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산 멸종위기종 두드럭조개의 분포와 개체군 동태

        전용락 ( Yong Lak Jeon ),박영준 ( Young Jun Park ),서예지 ( Ye Ji Seo ),윤희남 ( Hee Nam Yoon ),박성준 ( Seong Joo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2014년에 본 연구자들은 한국산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인 두드럭조개의 국내 최대 규모 서식지로 금강 중상류지역인 천내습지를 중심으로 645㎡면적에 300여 개체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종은 우리나라에서 담수에서 수질이 양호하며 유속이빠른 하천 중ㆍ상류지역에 서식하는 우리나라 토종 민물조개로 수생태계내에서 여과섭식, 납자루 및 중고기과 어류의 산란숙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Lee & Min, 2002). 최와최(1965), 최 등(1967) 및 김(1969)에 따르면 한강 중류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지난 1987년 한강 본류에서 33개체가 채집된 이래 1990년대 이후 관찰된 기록이없어 한강에서는 절종(絶種)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인위적인 교란에 따른 서식지 축소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됐다. 두드럭조개의 서식지는 수질이 좋고 유량이 풍부하며 모래와 자갈이 혼합되는 지점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있는데, 한강수계는 이러한 화학 및 물리적 조건이 이전보다많이 교란되어 그 서식지가 감소하여, 현재에는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 진다. 최근 하천 공사 등으로 금강을 비롯한 다른 하천들도 많은 교란이 발생되어 두드럭조개와 같은 보호 및 관리되어야 할 종들이 금강 및 섬진강 수계의 극히한정된 지역에 소량 분포하고 있으며 개체수와 미소서식지가 감소하고 있다(김 등, 2015). 최근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연구기관들이 참여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종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장기모니터링 및 서식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 상태에서 두드럭조개의 서식조건을 비롯한 생태학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금강 본류(용담댐-대청댐 구간)에서 10Km 구간당 1지점, 총 12개 조사지점(S1~12)을 선정하여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개체수가 많고 항시 관찰이 가능한1개 지점(S6)을 고정조사구로 선정하여 다중 재포획법을 사용하여 개체수 추정과 서식 형태 및 생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생패가 출현한 5개 지점(S2, S5, S6, S8,S11)과 패각이 발견된 4개 지점(S3, S7, S9, S12)이 두드럭조개의 서식 또는 서식가능지역으로 추정된다. 특히, 고정조사구(S6)에서 조사기간 동안 총 296개체의 출현을 확인하였고, 개체군 규모를 추정한 결과 95% 유의수준에서 최소 1,571에서 최대 36,133±4개체가 서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고정조사구(S6) 내에 여울, 소 및 유수역등 다양한 서식지 형태가 모두 포함되어 있고, 유속도 다양하며, 하상은 모래, 자갈, 호박돌 등으로 다양한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고 있어 많은 수의 두드럭조개가 서식하는 것으로보인다. 현재 고정조사구 모니터링과 서식지에 대한 연구 등을 추가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두드럭조개의 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 개체군 보존을 위하여 이지역과 같은 미소서식지역의 자연성을 유지하는 방안 마련을 포함한 서식지 보전 및 복원에 활용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비스테로이드 항염제에 의한 위장관 손상의 위험인자 및 연령의 중요성

        이항 ( Hang Lak Lee ),한동수 ( Dong Soo Han ),김진배 ( Jin Bae Kim ),김종표 ( Jong Pyo Kim ),전용철 ( Yong Chul Jeon ),손주현 ( Joo Hyun Sohn ),함준수 ( Joon Soo Hahm ) 대한소화기학회 200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4 No.5

        Background/Aims: It is clinically important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NSAID-induced gastropathy because there could be no symptoms. Age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according to previous repor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risk factors of

      • KCI등재

        다발 두피 전이를 보인 원발 간 평활근육종

        이항 ( Hang Lak Lee ),손주현 ( Joo Hyun Sohn ),김진배 ( Jin Bae Kim ),한동수 ( Dong Soo Han ),전용철 ( Yong Chul Jeon ),함준수 ( Joon Soo Hahm ),이동후 ( Dong Hoo Lee ),기춘석 ( Chun Suk Kee ),박용욱 ( Yong Wook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0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6 No.3

        Leiomyosarcoma is an uncommon tumor which arises from various sites including uterus, stomach, retroperitoneum, superficial soft tissues, bladder, kidney, and lung. Primary hepatic leiomyosarcoma is a very rare tumor and fewer than 70 cases of primary hepatic leiomyosarcoma have been reported since the first publication in Japan. And there was only one case report of cutaneous metastasis from hepatic leiomyosarcoma.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hepatic leiomyosarcoma presenting as subcutaneous palpable mass. Herein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Korean J Gastroenterol 2005;46:233-236)

      • KCI등재

        대장 선종의 위험 인자로 복부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연구

        이항 ( Hang Lak Lee ),손병관 ( Byoung Kwan Son ),이오영 ( Oh Young Lee ),전용철 ( Yong Chul Jeon ),한동수 ( Dong Soo Han ),손주현 ( Ju Hyun Sohn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 Joon Soo Hahm ),이민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3

        목적: 대장암은 유전 소인, 흡연, 음주, 식습관 등의 환경인자가 작용하여 발생하며 또한 비만, 고지혈증, 고혈당, 고인슐린 혈증 및 인슐린 저항성이 대장암의 발암과정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비만 지표를 이용해서 대장 선종과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한양대학병원에서 검진 목적으로 대장내시경검사와 기타 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환자 대조군 연구를 시행했다. 크기가 0.5 cm 이상이며 조직학적으로 대장 선종이 증명된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대조군은 동일 기간 중 대장내시경검사를 시행 받았으나 특이 병변이 없었던 자로 정했다. 결과: 인슐린, 공복혈당, 총 콜레스테롤, triglyceride, LDL, HDL 수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환자군에서 모두 증가되었으나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HOMA-IR은 환자군에서 인슐린 저항성 수치가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체질량지수, 복부 비만, 체지방, 비만도는 환자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변량 분석에서 복부 비만이 가장 의미 있는 위험 인자였으며 체질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장 선종의 위험도도 증가했다. 체지방, 비만도 역시 중요한 위험 인자였다. 결론: 비만과 대장 선종의 연관성에서 복부 비만이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였으며 복강 내 지방조직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대규모의 환자 대조군 및 코호트 연구가 필요하며 복강 내 지방의 역할에 대한 분자생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Abdominal obesity and hyperinsulinemia or insulin resistance are of interest in connection with colon carcinogenesis. We conducted a prospective case controlled study for the evalu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colorectal adenoma. Methods: Fifty patients with colorectal adenoma and fifty healthy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otal colonoscop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in all the subjects. Fasting blood sugar (FBS), insulin,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triglyceride (TG), cholesterol (CROL), BMI (body mass index), WHR (waist hip ratio), percent body fat (PBF) and obesity degree (OD) were measured. HOMA-IR was considered to represent insulin resistance. Diabetic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x, serum insulin, FBS, HOMA-IR, TG, CROL between adenoma and control group. Subjects with high BMI, WHR, percent body fat, and obesity were more likely to have colonic adenom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confounding factors, had revealed that WHR was the most important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olon adenoma. Conclusions: Abdominal obesity was most closely related to colonic adenoma. However, insulin resistance was not related to colonic adenoma. A larger case controlled study is needed.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147-151)

      • SCOPUSKCI등재

        다발성 간전이를 동반한 위유암종

        이항 ( Lee Hang Lak ),전용철 ( Jeon Yong Cheol ),김진배 ( Kim Jin Bae ),박준용 ( Park Joon Yong ),한동수 ( Han Dong Soo ),손주현 ( Hyun Sohn Joo ),최호순 ( Choi Ho Soon ),함준수 ( Hahm Joon Soo ),장세진 ( Jang Se Jin ),박용욱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2 No.1

        Carcinoid tumors originate from the enterochromaffin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mucosa. Gastric carcinoids are rare and usually well-differentiated tumors with variable prognosis. Three types of gastric carcinoids have been recognized. Type I is associated with type A chronic atrophic gastritis, achlorhydria and pernicious anemia. Type II is associated with Zollinger-Ellison syndrome and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type I. Type III appears as a large malignant neoplasm and has no association with atrophic gastritis or hypergastrinemia.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gastric carcinoid tumor type III with multiple liver metastasis. Thus, we report here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Gastroenterol 2003;42:81-85)

      • SCOPUSKCI등재

        독성 거대결장과 단백상실성 장병증 소견을 보인 위막성 대장염

        이항 ( Hang Lak Lee ),한동수 ( Dong Soo Han ),김진배 ( Jin Bae Kim ),박준용 ( Joon Yong Park ),전용철 ( Yong Chul Jeon ),손주현 ( Joo Hyun Soh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 Joon Soo Hahm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1 No.5

        With increasing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use of antibiotics,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or antibiotics-induced colitis has become a major clinical problem. The clinical spectrum of presentation of antibiotics-induced colitis ranges from an asymptomatic carrier state to fulminant toxic colitis or toxic megacolon. Toxic megacolon and protein losing enteropathy have rarely been reported in the course of antibiotic-induced pseudomembranous colitis. We experienced a 68-year-old patient who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due to abdominal distension, edema, fever, and diarrhea two days after spine operation. We could diagnose the case as toxic megacolon and protein losing enteropathy complicated by pseudomembranous colitis. After conservative management including removal of the offending antibiotics, bowel rest, and oral metronidazole, the patient completely improved.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410-413)

      • KCI등재

        Helicobacter pylori 제균 후 위축위염과 장상피화생의 변화

        이용구 ( Yong Gu Lee ),전용철 ( Yong Cheol Jeon ),구태연 ( Tai Yeon Koo ),조현석 ( Hyun Seok Cho ),변태준 ( Tae Jun Byun ),김태엽 ( Tae Yeob Kim ),이항 ( Hang Lak Lee ),은창수 ( Chang Soo Eun ),이오영 ( Oh Young Lee ),한동수 ( D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5

        목적: Helicobacter pylori 감염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위축위염과 장상피화생을 초래하여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그러나 H. pylori를 제균하는 것이 위축변화나 장상피화생을 회복시킬 수 있을지는 아직 이견이 많다. 따라서 저자들은 H. pylori 제균 후에 위축과 장상피화생의 변화 여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6년 4월까지 방문한 107명의 H. pylori 제균에 성공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정부 조직검사를 통해 H. pylori 감염 여부를 판단하였으며 동시에 위축변화와 장상피화생의 정도를 updated Sydney System에 따라 점수화하였다. 전정부 조직검사는 제균 후 일정기간 후에 위내시경검사를 통해 재시행하였고, H. pylori 제균 여부도 조직검사로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평균 연령은 55.3±11.3세였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28.7±13.9개월이었다. 내시경 진단은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비궤양 전정부위염의 3가지로 구분하였다. 위축변화는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91명 중 41명에서 관찰되었고, 평균 점수는 0.73±0.92였다. 추적한 위축변화 점수는 0.38±0.70로 제균 후 회복되었다(p=0.025). 그러나 107명 중 49명에서 관찰된 장상피화생은 다소 호전되어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새로이 발생한 위축변화와 장상피화생이 관찰되었으며 그 평균 점수는 제균 전 위축변화나 장상피화생이 있는 환자에서의 평균보다 낮았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론: H. pylori 제균 후에 위축변화는 호전되지만 장상피화생은 호전 정도가 미약하여 호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더 오랜기간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H. pylori 제균과 위 점막의 위축변화 및 장상피화생 사이의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추후 더 큰 규모의 대조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Long-term Helicobater pylori infection results in atrophic gastritis and intestinal metaplasia, and increases the risk of gastric cancer. However, it is still controversial that eradication of H. pylori improves atrophy or metaplasia. Therefore, we investigated histological changes after the H. pylori eradication in patients with atrophy or metaplasia. Methods: One hundred seven patients who received successful eradication of H. pylori infection in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from March 2001 to April 2006, were enrolled. Antral biopsy was taken before the eradication to confirm the H. pylori infection and grade of atrophy or metaplasia by updated Sydney System.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tral biopsy was repeatedly taken to confirm the eradication and investigate histological changes of atrophy or metaplasia. Results: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5.3±11.3,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8.7±13.9 months. Endoscopic diagnosis included gastric ulcer, duodenal ulcer, non-ulcer antral gastritis. Atrophy was observed in 41 of 91 and their average score was 0.73±0.92. After the eradication of H. pylori, atrophy was improved (0.38±0.70, p=0.025). However, metaplasia which was observed in 49 of 107,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during the follow-up period. Newly developed atrophy (7 of 38) or metaplasia (18 of 49) was observed in patients who without atrophy or metaplasia initially. Their average scores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cases with pre-existing atrophy or metaplasia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After the eradication of H. pylori infection, atrophic gastritis may be improved, but change of intestinal metaplasia is milder and may take longer duration for improvement.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299-305)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왕피천 유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박영준 ( Young Jun Park ),전용락 ( Yong Lak Jeon ),김기동 ( Ki Dong Kim ),윤희남 ( Hee Nam Yoon ),남상호 ( Sang Ho Na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3

        이 연구는 환경부 지정 생태?경관보전지역인 왕피천 유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2012년 6월에서 9월까지 총 2회에 걸쳐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 지점은 왕피천 유역의 핵심 및 완충구역을 중심으로 상류에서 하류에 걸친 총 11개 지점(본류 5개 지점, 지류 6개 지점)에 해당된다. 조사결과 총 5문 7강 15목 74과 155종이 확인되었으며, 분류된 종과 개체수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DI)는 평균 0.22로 낮게 나타났으며, 평균 종다양도지수(H``)는 4.24로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조사된 섭식기능군을 이용하여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전과 후의 서식지 유형별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이후에 지류 94.51%, 본류 93.19%의 높은 유사도 지수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왕피천 유역에 다양한 종과 많은 개체수가 서식하고 있으며,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이후에 하천생태계의 기능적인 면 역시 잘 유지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청정한 하천에서 높은 값을 보이는 EPT 지수값 역시 62.9%로 높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ESB)와 한국오수생물지수(KSI)를 이용한 연구지역의 환경상태 및 생물학적 수질을 평가한 결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는 평균 208.2로 매우 높게 나타나 ``최우선보호수역``으로 판정되었으며, 한국오수생물지수는 평균 0.32로 생물학적 수질등급 ``Ⅰ등급``으로 평가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erform community analysis and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 from Wangpi-cheon watershed which is defined as conservation areas of ecosystem and landscape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Field survey of the study area was carried out 2 times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2.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total 155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74 families, 15 orders, 7 classes and 5 phyla were collected. The findings of community analysis using the classified species and individuals showed relatively low DI(Dominant Index) value of 0.22 and very high value of average H`(Diversity index) as 4.24. And the analyzed results of SI(Similarity Index) according to habitat types using functional feeding groups showed higher values of 94.51% and 93.19% respectively to tributary and main stream after the designation of conservation areas of ecosystem and landscape. These results infer that various species and lots of individual are widely distributed at Wangpi-cheon watershed and stream ecosystem of the study area is healthy and well maintained after the designation of conservation areas. And also, the calculated EPT value was 62.9% as high enough to explain the cleanness of Wangpi-cheon watershed. We evaluated environmental condition and biological water quality by using ESB(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and KSI(Korean Saprobic Index). The average evaluated ESB shows very high value of 208.2, therefore Wangpi-cheon watershed is designated as ``First priority protection waters`` area and the value of KSI is 0.32 which meets the saprobic water quality standard as ``First class``.

      • KCI등재후보

        월악산국립공원의 곤충다양성에 관한 연구 -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 -

        박성준(Seong-Joon Park),전용락(Yong-Lak Jeon),홍의정(Eui-Jung Hong),윤주창(Ju-Chang Yun),박서경(Seo-Kyoung Park),김병진(Byung-Jin Kim)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4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 동안 월악산 모니터링 조사 지점과 동일지구에 대해 정기적인 주 간조사를 통해 주간곤충류(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의 종목록을 확보 하여, 월악산국립공원의 생태계에 자연적 혹은 인위적으로 변화된 내용을 측정하여 곤충자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조 사기간 동안 채집 확인된 주간곤충류는 65과 404종(노린재목 21과 86종, 딱정벌레목 38과 244종, 나비목 6과 74종) 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문헌조사를 포함한 결과 월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주간곤충류는 멸종위기야 생동물 2종, 고유종 6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0종과 특정종 50종을 포함하여 총 72과 609종(딱정벌레목 44과 368 종, 노린재목 22과 126종, 나비목 6과 115종)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사지점별 분석결과 S3에서 종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10은 다른 조사지점과 다르게 종다양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기간별 우점종으로는 2007년과 2009년도에 넉점박이송장벌레, 2008년도에는 더듬이긴노린재로 나타났다.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three years from 2007 to 2009 and at the same points as monitoring surveys, through regular surveys insects (Hemiptera, Coleoptera, Lepidoptera) to obtain the list, to measure and assess  Woraksan National Park ecosystem’s natural or artificial change, to provide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contents of insects. As a result of all the collections were examined, 404 species of 65 family under 3 order were identified. Therefore, the species composition of insect over each result from Woraksan National Park’s was a total of 3 orders,  72 families, 609 species including 2 Endangered species, 6 Endermic species, 10 Management of exotic species and 50 Designated species; 368 species of family Coleoptera which is the highest, 126 species of family Hemiptera and 115 species of family Lepidoptera. Site 3 had the highest indices diversity. In contrast, Site 10 indices diversity, different  from the other survey points, were significantly low. In each survey period, dominant species included Nicrophorus quadripunctatus in 2007 and 2009. In 2008, dominant species was Pachygrontha antenn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