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 노인요양병원 다인실 치유환경 평가

        전수경,남경숙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8 No.2

        Geriatric long-term care public hospitals provide public healthcare service to beneficiaries of medical care benefits, especially elderly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ervice focused healing environment of the multi-patient room in the geriatric long-term care public hospital. For the study, we conducted three steps. First, we identified a checklist of evaluation criteria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designers, researchers, and nurses from the geriatric long-term care public hospital reviewed checklist. Third, we evaluated a multi-patient room in the geriatric long-term care public hospital.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e categorized four factors for evaluating multi-patient room in geriatric long-term care public hospital (safety, livability, amenity, service support), 2) we found safety factors and amenity factors which were legislated by law were evaluated good condition, however, livability factors and service support were evaluated general or bad condition.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 about the livability factors, service support.

      • KCI등재

        대학의 교수역량 자가 진단결과 분석과 강의평가와의 관련성 탐색

        전수경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교수들의 교수역량 자기보고 점수를 알아보고 개인별 변인에 따른 차이점과, 학생들이 평가한 강의평가 점수와의 관련성, 그리고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역량 하위변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에 소재한 N대학에서 2019년 11월 168명의 교수를 대상으로 교수역량 검사를 실시했으며, 강의평가 점수는 2019-2학기 기말고사 이후 학생들이 평가한 점수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으로 기술통계, t-검증, ANOVA, Pearson r,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역량은 기본역량에 비해 강의역량이 점수가 낮았으며, 하위 영역 중에는 교수로서의 전문성 및 신념이 가장 높았다. 성별, 직급별, 재직기간별 차이는 없었으며, 오직 계열별로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강의평가와 교수역량 중 교수학습설계, 강의운영, 상호작용, 동기부여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회귀분석 결과 강의평가에는 교수-학습설계 역량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 대학의 풍토와 특성에 맞는 교수자 역량개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reported teaching competency of professors at a universit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the relevance to the lecture evaluation scores assessed by students, and the sub-factor of the teaching competency to influence on lecture evaluation. To this end, the teaching competency test was conducted for 168 professors at N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do in November 2019, and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lectures were used by students after the final exam of 2019-2 semes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cture competency was lower than the basic competency, and among the sub-categories, ‘professionalism and belief as a professor’ was the high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eaching competency by gender, job status, and period of teaching in this university. Only the difference of teaching competency by college was significant. The teaching-learning design, lecture operation, interaction, and motiva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cores of lecture evaluation by student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eaching-learning design was the only factor to affect lecture evaluation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that fits the climate and characteristics of a university.

      • KCI등재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에 관한 연구

        전수경 국회예산정책처 2021 예산정책연구 Vol.10 No.4

        This study is about how to effectively respond to recurring crises and achieve fiscal sustainability and flexibility by improving the fiscal rule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ases of the fiscal rules that many countries had reforme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suggested that there are five key characteristics of new fiscal rules and operating mechanism. Therefore those that have the five characteristics are the new fiscal rules in response to recurring cris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next generation’ fiscal rules as follows. First characteristic of the new fiscal rules is to operate all the fiscal rules centered on the medium-term fiscal objectives to promote the fiscal flexibility and sustainability.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new fiscal rules lays emphasis on the simplicity that could be achieved by closely integrated linking the three rules in times of the normal (upturn), crisis (downturn) and correction (restoration). Third characteristic of the new fiscal rules is to stockpile the fiscal capacity by keeping to the strong rules for the fiscal surplus in normal time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significant increase of the fiscal expenditure by the next economic crisis, Fourth characteristic of the new fiscal rules is to effectively use new escape clauses in response to the crisis, and prevent its abuse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clear elimination principle for the fiscal deficits that have increased during the crisis. Fifth characteristic of the new fiscal rules is, in times of correction after a crisis, to discipline to promptly take back to the fiscal rules in normal times and to clearly eliminate the fiscal deficits that have incurred during the deviation from the rules. In conclusion, whether the fiscal rules have the five characteristics qualified for the new fiscal rules could determine the success of response to recurring crises.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위기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과연 어떠한 재정준칙으로 대응해야 재정건전성과 지속가능성을 이룰 수 있는지 밝히려는 것이다. 그것이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이다. 각국은 1990년대 이후 21세기에 들어서 경제위기가 반복되면서 기존의 재정준칙으로 대응할 수 없게 되었고, 나아가 경직된 재정준칙이 정부의 재정적 대응을 가로막는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새로운 재정준칙으로의 전환이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유연성을 보강한 재정준칙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차세대 재정준칙이다. 그러나 이 역시 새로운 문제점을 노정하면서 이를 극복할 새로운 재정준칙이 필요해졌는데 그것이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국의 사례를 비교 분석해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의 특성과 요건과 운영 메커니즘을 밝혔으며, 특히 차세대 재정준칙과 다른 5가지 요건을 제시했다. 첫째, 그것은 중기 균형재정 준칙을 중심으로 제반 재정준칙을 운용하며 반복되는 경제위기에 대응하는 것이다. 둘째, 그것은 경제위기 상황 변화에 대응해 평상시・위기시・복원시 준칙들을 통합적으로 연계 운용하는 것이다. 셋째, 평상시에는 보다 강력한 흑자재정・균형재정 준칙을 확립해 향후 반복될 경제위기에 대비해 재정여력을 비축하는 것이다. 넷째, 위기시에는 예외규정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재정의 적극적 역할을 수행하여 위기 극복을 도모하는 한편, 다른 준칙들과 연계해 예외규정 남용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섯째, 위기 이후 복원시에는 원래의 준칙 목표로 기민하게 복원하는 준칙을 운용하고, 특히 준칙 일탈기간 중 발생한 재정적자를 반드시 상환하도록 준칙을 운용하는 것이다. 경제위기가 반복되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준칙들을 통합적으로 연계 운용하며 대응해야 국가부채의 급증을 제어하고 중기적 재정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5가지 요건을 갖춘 재정준칙을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의 5가지 요건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정부가 2020년 제출한 한국형 재정준칙 방안을 평가했다. 그 결과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의 요건을 대부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위의 5가지 요건을 갖춘 새로운 재정준칙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