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하 조선 상업회의소와 ‘朝鮮鐵道十二年計劃’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09 역사와 경계 Vol.71 No.-

        After enforcement absorption, Chosun Chamber of Commerce(CCC), centering around Japanese capitalists including korean capitalists, constantly claim a railroad network for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and, they organize local Chambers of Commerce and the Association for expansion of vested rights. Furthermore, they present 'the 10 years' Plan for the Korea railroad network completion to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Since then, they jump into movement as well as dispatching their's representative to Japan for achievement of this plan. Be wider develop in Korea and Japan, such movement had an effect on policital and economic circle in Japan as well as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started railroad survey and Imperial railroad council of Japan began to railroad survey for completion of Korea railroad network. Meanwhile CCC continually promote atmosphere of colony within and without for completion of railroad, there made an effort to be contain economic railroad that they desired through participate in these railroad survay. Continually active movement of CCC was gained the large scale sympathy of completion of railroad. Consequence, there was did compilation of the budget and present ‘the 18 years' Plan for railroad expansion of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CCC made and lead every kind of an action committee, endeavor for new railroad plan establishment with priority given to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There is ‘the 12 years' Plan of Korea Railroad. Seeing be like this established ‘the 12 years' Plan in perspective, Domunsun(圖們線), Manfosun(滿浦線), Hesansun(惠山線) should railroad for debouchment Manchuria of Japan imperial though exploitation of Northern-Korea, and to take out underground resources, forest products and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East Sea crossing course to solve food and wood problem and stabilization of Korea rule for Japan. But Dongheasun(東海線), KyeonJeonsun(慶全線) and Pyeonwonsun(平元線) not only was could harmonious mutual physical distribution currency of central southern-Korea to reference point central southern-Korea port city of Pyeongyang(平壤), Jinnampo(鎭南浦), Wonsan(元山), Busan(釜山), Mokpo(木浦), Kunsan(群山) etc, but also was could railroad to expend economic foundation of every port city for Korea. finally, we know ‘the 12 years' Plan was not satisfy only interesting of Japan, namely economic interesting and stabilization of colony through colonial administration, and military interesting of continent invasion, but also project to satisfy capitalist interesting of colonial Korea. Of course, at this time no doubt centering around Japanese capitalist despite capitalist of colonial Korea contained Korean people.

      • KCI등재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화’와 국내외 자료의 현황 및 활용 방안

        전성현 ( Jeon¸ Sung-hyun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1 항도부산 Vol.41 No.-

        부산은 1876년 개항에 의해 근대 도시로 변모되기 시작해 일제강점과 한국전쟁이라는 20세기 가장 중요한 사건을 거치면서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부산의 근현대사 중 일부를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으로 범주화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세계유산으로 ‘유산화(Heritagization)’ 하려는 시도는 가치 있다. 즉, 유산을 기존의 문화재보호법 하의 국가, 민족, 지역에만 한정하지 않고 유산과 함께 살아왔고 살아갈 사람은 물론 보편적 인간과 세계로 확장하고자 하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런데 세계유산 등재라는 목적 때문에 유산의 긍정적인 점만 부각시키고 관련 자료만 선별적으로 찾는다는 점에서 유산의 확장과 가치를 제한하고 있다. 더군다나 ‘유산화’의 목적이 ‘피란수도(열전시대)’에서 ‘평화도시(평화시대)’로의 전환이라면 열전의 아픔을 드러내는 기억과 유산을 애써 모른 채할 것이 아니라 전면화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반성적 성찰과 새로운 미래로의 도약을 위해서도 유산의 긍정적인 점과 부정적인 점을 함께 드러내어 유산의 확장된 가치와 내용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피란수도 부산의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모습을 새롭게 조사 발굴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반성적으로 성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당대의 사실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종합해 교차 분석하는 한편, 새로운 자료는 다시 조사 발굴해야 한다. 유산의 지속가능성은 유산의 범주 확장은 물론 가치의 확장과도 상호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들 자료의 발굴과 수집을 토대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장치를 통해 활용할 필요가 있다. 우선 지속적인 국내외 자료의 추가 조사·발굴 및 수집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국내외 자료군 별로 키워드 색인 및 해제(번역)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이어서 자료의 원문까지 디지털화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자료군별 데이터베이스를 집대성하는 한편, 유산별 종합 데이터베이스(개요, 내용, 자료)를 구축한다. 궁극적으로는 이와 같은 정형의 데이터베이스는 물론 비정형의 데이터를 모두 망라한 빅데이터 체계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Busan began to be a modern city gradually by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and became the same form as now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In this sense, the attempt to categorize some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Busan as 'the heritage of Wartime capital Busan' and to 'Heritagization' it as a sustainable world heritage is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is meaningful to expand the heritage to the universal human being and the world as well as the person who has lived with the heritage, not limited to the nation, state, and local under the existing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However, because of the purpose of listing the World Heritage, it emphasizes only the positive points of the Wartime capital and restricts the expansion and value of these heritages in that they have only found the facts related to them selectively. Moreover, if the purpose of Heritagization is to switch from the Wartime capital (the heat war era) to the Peace City (the peace era), it is necessary to fully embrace the memories and heritage that reveal the pain of war. For reflection on this and a leap forward to a new future,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positive and negative points of the Wartime capital and to include them in the value and contents of the heritage. The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discover the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aspects of the Wartime capital and to confirm the value of heritage and heritage that can reflect on its value and meaning.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ross-analyze the data that can confirm the facts of the time more specifically, and to investigate new data again. Sustainable Heritagization requires not only expansion of heritage but also expansion of value, so it is necessary to utilize it through institutional devices based on the discovery and collection of these data. First, additional investigation, excavation and colle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data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And the collected data should be indexed and released by data groups. Then, based on the Database that adds the original text of the data, the databases by data group should be made into a digital archive or digital library, and then the Big Data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by converting them into comprehensive databases by heritage.

      • KCI등재

        일제강점기 부산 유곽의 실태와 일본군과의 관련성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18 역사와 경계 Vol.109 No.-

        개항과 동시에 일본의 성매매업이 진출한 부산은 조선의 침략을 위한 군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일본 관리관, 영사관, 그리고 이사청에 의해 줄곧 성매매업의 관리 감독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성매매업은 1902년 단계에서 집창 형태의 일정 지구(佐須土原, 牧島, 草梁)에 설정되었고, 이를 일본은 조선의 식민화와 도시화 과정 속에서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어 기존의 綠町으로의 통합을 전제로 草梁洞, 瀛仙洞(牧島의 洲岬과 東部) 등 4곳이 지정되었다. 부산유곽은 1920년을 전후한 시기까지 성장세에 있다가 이후 경제적 불황, 근대적 유흥·위락시설의 확대, 관리기관인 부산경찰서의 제한정책에 의해 하락세가 가속화되었다. 하지만 전시체제는 군과의 관련성으로 말미암은 공창에 대한 느슨한 통제가 오히려 유곽의 안정세 또는 성장세를 추동했다. 특히 만주사변 이후 일본군의 일시적이고 임시적인 군대 파견과 만주사변 이후의 상시화는 유곽과 일본군과의 긴밀한 관련성을 더욱 강화시켰다. 유곽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한 관리감독은 지방행정기구와 함께 파견 부대의 병참을 맡은 부산병참지부에 의해 주도되었다. 애초 요원의 파견에 의한 임시적인 기구였던 병참기관이 1937년 조선임시병참사령부 부산지부로 설치되고 1938년 상설화되면서 군부대의 부산 숙영과 급영에 관한 업무 가운데 유곽 등 화류병과 관련된 사항을 지방행정기구의 협조를 받아 직접 관리 감독했다. 오히려 기존의 관리감독기관인 도와 부는 협조 협력기관에 지나지 않았다. 이처럼 일본군은 개항이후 줄곧 성매매업과 긴밀한 관계 속에 있었고 전시체제가 되면 더욱 적극적인 관리감독의 주체로 부각되었던 것이다. The Japanese prostitution business, which entered Busan with the opening of the port, was determined to grow and decline in connection with the Japanese army that entered the Korean invasion. The prostitution business was set up in 1902 in a certain district. Japan needs to manage it more systematically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and urbanization of Joseon, and four sites(Nogjeong, Choyangdong, Yeongseonjeong) have been designated on the premise of integration into the existing one(Nogjeong). Busan"s red-light districts was growing until around 1920, and the decline was accelerated by the economic recession, the expansion of modern entertainment and amusement facilities, and the restriction policy of Busan Police Station, the management agency. However, according to the wartime system,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army and the red-light districts was deepened, and busan"s red-light districts became stable or growing. In particular, the temporary dispatch of troops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regular dispatch of troops after the Sino-Japanese War further deep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d-light districts and the Japanese army. The management supervision of the red-light districts was led by the Busan Provisional Organization of the Japanese Army, which was in charge of the dispatching unit together with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logistical agency, which was originally a temporary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in 1937 as the Busan branch of the Chosun Temporary logisticts Command and was established in 1938. In addition, the Busan branch directly supervised and supervised matters related to the red-light districts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long with the work of the dispatching unit on the stay and meal in Busan. Rather, Gyeongsangnam-do and Busan-bu, which are existing management supervisory agencies, were merely cooperating agencies. As such, the Japanese army has been in close relationship with prostitution since its opening, and when it became the wartime system, it became more active as a subject of management supervision.

      • KCI등재

        식민자와 조선 - 일제시기 大池忠助의 지역성과 ‘식민자’로서의 위상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9 No.-

        ‘식민자’ 또는 ‘풀뿌리 식민자’로 평가되는 재조일본인 오이케 츄스케는 1856년 쓰시마에서 태어나 20세가 되던 해인 1875년 부산으로 건너와 대일무역에 종사하면서 친형의 도움으로 부산에서 기반을 잡기 시작했다. 그리고 사무역 및 고리대업은 물론이고 일제의 조선 침탈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부합하며 조선의 출입구인 부산과 오이케여관을 통해 일본군부와 관계를 맺고 토지구매, 군수물자조달을 통해 자본을 확장했다. 개인사업과 지리적 이점을 토대로 오이케는 강고한 인적네트워크도 형성함으로써 자신의 기반과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는 한편 확대해 나갔다. 그가 맺은 인적네트워크는 제국주의 일본의 핵심적인 인사인 관료와 군인은 물론, 일본 본국의 재벌 및 경제인, 그리고 조선 또는 부산 거주 일본인과 조선인 등이었다. 부산에서 쌓은 인적·물적 토대를 기반으로 오이케는 경제활동과 공직활동을 통해 ‘부산의 오이케’에서 ‘조선의 오이케’로 나아갔다. 우선 그는 개인경영의 11개 부문을 토대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동시에 부산 및 조선의 각종 회사와 조합의 설립과 경영에 뛰어들어 1929년 사망 때까지 부산 및 조선재계의 원로로서 활동하였다. 더불어 지역사회의 ‘공직’이라고 할 수 있는 상업회의소, 부협의회(도평의회), 학교조합 3단체의 중심인물로서 활약하면서 향리인 쓰시마에 입후보하여 당당히 제국의회 의원이 되었다. 이 때문에 오이케는 ‘부산의 오이케’를 넘어 ‘조선의 오이케’로 표상되며 조선의 대표적인 성공한 식민자로 위치 지워졌다. 하지만 식민지에서의 성장과 제국주의 내의 위상은 식민지 조선이라고 하는 공간, 특히 부산이라는 공간이 있어야만 가능했다. 여기서 본국 일본인과 식민지 일본인 간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나며 그 독특한 위치도 드러난다. Considered as a "colonizer" or "Grassroots colonizer," Oike Chusuke, a Japanese colonial settler, was born in Tsushima in 1856 and moved to Busan in 1875 when he became 20. In Busan, he started to build his foundation by the assistance of his elder brother, engaging in trade with Japan. Like most Japanese people that made growth in Chosun, he conformed to the situations of the times including Japan"s invasion of Chosun as well as smuggling and loan sharking and accumulated capital by forming relations with the Japanese military through Busan with its geographical and spatial advantages and Oike Ryokan, purchasing land, and delivering war supplies. He established a solid human network based on his personal business and Busan with its geographical and spatial advantages, further solidifying and expanding his foundation and position. His human network encompassed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soldiers, who were the core figures of imperial Japan, the financial cliques and businessmen of Japan, and Japanese and Chosun people residing in Chosun or Busan. Based on his human and material foundation, he evolved from "Oike of Busan" to "Oike of Chosun" through economic activities and public duties. He first managed his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his 11 personal establishments and then got involved in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all kinds of companies and associations in Busan and Chosun around the 1900s. He served the financial community of Busan and Chosun as an elder until 1929 when he passed away. He was also an active, central figure in the chamber of commerce(商業會議所), Pu-council(府協議會), and school corporation(學校組合), which were part of "public duties" during the Japanese rule. His activities of "public duties," in fact, expanded to Japan beyond Busan. In 1914, the Japanese colonial settlers lost their autonomous body after the abolition of the Georyumindanje(居留民團制). Once feeling a need for political activities in Japan in order to promote their stability and expand their foundation in colonized Chosun, they started to advance to the Japanese Imperial Diet. Joining the flow, Oike was elected in his hometown Tsushima and finally advanced to the Japanese Imperial Diet, which is why he was represented as "Oike of Chosun" beyond "Oike of Busan" and position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successful colonizers in Chosun. However, his growth in the colonized country and his status within imperial Japan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space of Chosun or more particularly Busan. Here, the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people from Japan and those from a colonized country become obvious along with their unique position. They faced their contradictory position between "colonizers" and "residents of colonized land" in reality through the Japanese rule, which is why the contradictions of imperialism also took place within the inside.

      • KCI등재

        한국전쟁기 유엔한국묘지(적군 묘지)의 조성과 의미

        전성현 ( Jeon Sung-hyun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2

        이 글은 한국전쟁기 적군 묘지의 조성 배경과 실체를 제한적인 자료를 토대로 살펴본 것이다. 요약하면, 적군 묘지의 조성은 표면적으로 국제 인도법인 제네바협약에 따른 것이었다. 미군은 제네바협약의 체약국이 아니었지만, 참전과 동시에 곧바로 승인했다. 이 같은 즉각적인 조치는 적진에 있는 미군 전사자의 수습과 송환을 위한 영현관리 때문이었다. 따라서 미군의 영현관리가 어느 정도 체계화되는 1950년 9월 전후한 시기에 비로소 미군 묘지의 일부 구역에 최초로 적군 유해가 매장되기 시작했다. 나아가 낙동강 방어선의 돌파, 인천상륙작전, 그리고 서울 수복이라는 일련의 전투 과정에서 대규모의 적군 포로가 발생해 부산에는 약 14만 명을 수용하는 포로수용소들이 운영되는 가운데 독립적인 제2 적군 묘지가 1950년 12월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이와 병행해 미군 유해의 자국 송환을 위한 예비적 조치와 유엔군 전사자의 체계적인 영현관리를 위한 유엔묘지가 조성되자, 기존의 미군 묘지는 1951년 4월 중순부터 제1 적군 묘지로 전환되면서 적군 묘지는 제자리를 잡았다. 이들 적군 묘지는 1953년 7월 정전협정과 1954년 8월 조인된 전사자 유해의 인도인수에 의해 1954년 9월 1일부터 10월 말까지 북한으로 유해가 송환되면서 현장은 물론 기억에서도 사라졌다. 북한으로 유해가 송환되기 전까지 부산 적군 묘지에 매장된 수는 제1 적군 묘지 1,691구, 제2 적군 묘지 5,459구, 추모사찰 79구 등 총 8,602구로 전체 인도 유해의 2/3를 차지할 정도였다. 이들 적군 묘지에 매장된 유해는 북한군, 중국군뿐만 아니라 국군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각 국적의 민간인 억류자 또한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확인을 통해 이장되기도 했지만 외국인도 매장되어 있었다. 이처럼 한국전쟁기 적군 유해 대부분이 매장된 부산의 적군 묘지는 국제인도법에 따른 것이지만 미군의 전사자 유해를 수습하고 본국으로 후송하기 위한 영현관리의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조성되었으며, 매장자는 북한군과 중국인민군만이 아니라 국군, 민간인(억류자), 외국인 등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 묘지였다. This study examines enemy cemeteries created in Korea during the Korean War. These enemy cemeteries wer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Geneva Conventions. However, though the US Army was not a signatory to the Convention, it soon joined after entering the war, which led to a graves registration system for those killed in action and for the repatriation of remains. Therefore, it was not until around September 1950, when graves registration was systematized to some extent, that the enemy remains were first buried in some areas of US Army Cemetery in Busan. Furthermore, the Enemy Cemetery Number 2 was built and started operation in December 1950. At the same time, as UN Military Cemetery was created, the existing US Army Cemetery was converted into the Enemy Cemetery Number 1 in mid-April 1951. While numerous ‘transfer of remains of the dead’ took place after the signing of a repatriation agreement in 1954, the number of burials in the Busan enemy cemeteries was 8,602, including 1,691 in the 1st Enemy Cemetery, 5,459 in the 2nd Enemy Cemetery, and 79 in the Memorial Temple, accounting for 2/3 of the total repatriated remains. The remains buried in these enemy cemeteries include not only North Korean and Chinese People’s Army, but also South Korean soldiers. There were also many civilian internees of different nationalities buried in these cemeteries. Although many were transferred during the verification process, foreigners were also included. These enemy cemeteries in Busan, where most of the enemies’ remains were buried, was not simply a graveyard for the enemy. It was a graveyard with complex significance, for it was not merely one for Korean soldiers but also one that held civilians and foreigners.

      • KCI등재

        일제시기 부산의 중심 상점가와 도시문화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2 No.-

        원도심의 중심가로 다시 부흥하고 있는 광복동 상점가는 개항 전후 부산으로 몰려든 일본인들에 의해 ‘긴 길’이라는 의미의 장수통(長手通)으로 불리어지던 거리였다. 장수통은 다양한 상점들이 각자의 상점장식과 상품진열 및 손님 유인책을 통해 영업 활동을 전개했다. 장수통의 명물인 야점도 일몰이후 출현하여 주로 생활 잡화를 노상에 늘어놓고 떠들썩한 소리로 손님을 유인하며 번성을 구가했다. 또한 상점가는 가로등, 네온사인, 꽃전차 등 거리의 장식은 물론 공동의 매출 향상을 위한 연합 세일 등 다양한 행사를 정기적으로 펼쳤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연말의 대매출행사와 봄가을의 변천시(辨天市)였다. 특히 변천시는 거리 행렬의 하나마츠리(花祭り) 및 부산상공제(釜山商工祭)와 결합하여 ‘부산의 일본인들’ 이라는 식민주의 지역문화로까지 확장했다. 따라서 장수통 상점가는 새로운 근대적 인간군상이라고 할 수 있는 ‘모던보이’, ‘모던걸’, ‘유한마담’, ‘샐러리맨’들이 할 일 없이 산책하며 구경할 수 있는 근대적 거리로 변모했다. 하지만 이러한 도시문화는 부산의 일본인들을 위한 것이었다. 그런데 1930년대 후반 전시체제에 따른 통제경제로 말미암아 상점가는 침체에 빠졌다. 상점가의 각종 경제활동은 축소 또는 폐지되는 반면, 지금까지 자본주의 소비문화의 메카였던 미나카이(三中井)백화점은 전쟁과 동원에 관계된 정치 선전의 장이 되었다. 결국 1930년대까지 일본인들에 의해 주도된 장수통 상점가의 자본주의 소비문화 및 식민주의 지역문화는 전시체제기 인적, 물적 수탈을 위해 조선인들까지 포섭하는 제국주의 전쟁문화로 수렴되었던 것이다. Reviving as the central area of the origin downtown, the Gwangbokdong shopping district used to be called Nagadori(Naga street), which means a “long boulevard”, by Japanese people that gathered around Busan before and after it opened its port. Along Nagadori, various stores engaged in sales activities through their respective store decorations, product display, and customer attraction measures. One of its specialties, the night market emerged after sunset and was crowded with road shops that usually sold miscellaneous goods, attracted customers with clamor, and contributed to the prosperity of the night market. The shopping district decorated the streets with streetlamps, neon signs, and flower trains and regularly held a variety of events including alliance discounts to promote joint sales. Representing them were year-end grand bargain sale and spring and autumn Bentensi(Benten market), which was in particular combined with the street parade Hanamatsuri(flower festival) and the Commerce and Industry Festival of Busan and expanded to the local colonial culture of “Japanese people in Busan”. The shopping district of Nagadori thus transformed itself into a modern venue where a new modern group of people including “modern boys”, “modern girls”, “leisured women”, and “salarymen” could stroll down and do sightseeing, doing nothing particular. Such an urban culture, however, was for Japanese people in Busan. Entering the latter half of the 1930s, the shopping district fell in recession due to controlled economy under the war regime. All types of economic activities were either reduced or abolished in the district, and Minakai Department Store, which had been the Mecca of capitalist consumption culture, became the place of political propaganda related to war and mobilization. The capitalist consumption culture and local colonial culture of the Nagadori shopping district led by the Japanese until the 1930s eventually converged into the imperialist war culture encompassing even the Joseon people for human and material exploitation during the war regime.

      • KCI등재

        ‘租界’와 ‘居留地’ 사이

        전성현(Jeon, Sung-Hyun)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2 No.-

        부산의 개항과 개항장에 설치될 일본인 거주지를 둘러싸고 조선과 일본은 입장 차이를 드러냈다. 먼저, 조선과 일본은 개항과 더불어 개항장에 설치된 외국인 거주지를 ‘조계’와 ‘거류지’로 대별하여 사용했다. 일본이 처음부터 끝까지 ‘거류지’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과 달리 조선은 공식적인 명칭으로 줄곧 ‘조계’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조계’를 사용하지 않고 ‘거류지’를 사용한 원산과 마산의 경우, 모두 일본 측의 조약문을 그대로 한역한 것으로 이 또한 조선 측이 사용한 용어가 아니라 일본이 사용한 용어였다. 둘째, ‘조계’와 ‘거류지’의 용어 사용은 단순한 번역의 차이가 아니라 성격의 차이를 내포한 것이었다. 조선이 concession 방식의 ‘조계’ 설정을 주장하고 관철시킨 것은 교섭국 일본의 강제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일본의 settlement 방식의 ‘거류지’가 추구한 자유로운 거주와 통상을 반대하고 이를 제한하고 방어하기 위한 조치였던 것이었다. 셋째, 일본은 왜관과의 연속선상에서 ‘거류지’를 설정하고 이를 근대적인 자유로운 거주통상지로 확대하고자 했다. 반면 조선은 구래의 왜관이 지닌 거주와 통상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측면을 적극적으로 이어받아 조계를 설정하고 일본의 식민주의에 대항하는 조치로 활용했다. 끝으로 이상의 의미를 지닌 ‘부산구조계’의 설치는 조선 측의 ‘定界의 防限’으로써 규정되었고 이후 ‘조계’라는 명칭의 고수와 일본인 거주지의 독점 및 확장에 대응하는 경찰소와 감리서 설치, 그리고 조계의 잡거지로의 전환을 통한 각국조계화 등으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측이 조계의 정리 및 조계 밖으로의 토지침탈과 법제화(조계 밖 10리의 토지영차), 러일전쟁과 이에 따른 조선의 半식민지화, 그리고 1906년 개항장의 행정 일원화에 의한 부산이사청을 설치함에 따라 막을 내렸다. 이때부터 조계라는 명칭은 사라지고 ‘전관거류지’가 공식화되었던 것이다. Joseon and Japan showed differences in their positions around the opening of Busan and the Japanese residence to be installed at the port. First, Joseon and Japan used foreign residents to be installed at the port of opening as ‘Concession’ and ‘Settlement’. In the official Joseon treaty, the name ‘Concession’ has been used consistently. The treaty of foreign residence in Wonsan and Masan, in which the term ‘Settlement’ was used without using the term ‘Concession’, was a Japanese term, not a term used in Joseon. Second, the use of the terms of ‘Concession’ and ‘Settlement’ was not a difference in simple translation, but a difference in personality. It was not by the compulsion of the negotiating country Japan that Joseon insisted and carried out the ‘Concession’ setting of the Concession method. It was a measure to oppose, limit and defend free residence and trade pursued by a Japanese ‘Settlement’ of the settlement method. Third, Japan established a ‘Settlement’ on a continuous line with the Waegwan (倭館) and tried to expand it to a modern, free residential commercial area. On the other hand, Joseon actively succeeded the Waegwan, which could limit residence and trade freedom, and set it as a "Concession". Joseon used the Waegwan as a measure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Finally, the Joseon government established ‘the Busan Port Concession’ to set up and prevent boundaries, and then worked on establishing the Police Station and the Superintendent Office in response to the monopoly and expansion of the Japanese residence, and to be a concession of the nations. Nevertheless, Japan first organized the interior of the concession, and then it invaded the land from outside the concession and legislated it. Furthermore, the concession was closed due to the Russo-Japanese War, the colonialization of Jose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Busan Isacheong (釜山理事廳) in 1906.From this time on, the term ‘Concession’ has disappeared and the `all-round Settlement` was formulated.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식민권력의 지방지배 ‘전략’과 도청이전을 둘러싼 ‘지역정치’

        전성현 ( Jeon Sung-hyun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6

        이 글은 일제강점기 도청이전이라는 지역 문제를 둘러싼 정치적인 장을 통해 식민권력의 지방지배 ‘전략’과 진주 및 부산지역민의 ‘전술’적 대응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봤다. 첫째, 일제는 통감부 시기부터 식민지배 전략의 일환으로 도청이전을 계획했고, 도청소지재 지역민의 동요와 도청이전지 지역민의 협조를 각각 '전략적 부정'과 '교섭/협상'으로 대등했다. 둘째, 도청이전을 반대하는 진주지역민은 처음부터 협의 대상이 아니었지만 조선인 중심의 시민대회를 통해 민의를 표출하고 일본인 중심의 진정운동을 통해 식민당국의 의사를 확인하는 전술적 대응을 전개했다. 다만 식민권력은 진주의 진정위원을 교섭의 파트너로 보지 않고 언제나 ‘전략적 부정’으로 일관했다. 때문에 조선인은 도청이전이 단순한 지역 문제가 아니라 민족 문제임을 강조하며 민의 표출의 확대와 지배의 정당성을 문제 삼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에 식민권력은 이를 폭력적으로 제압하는 등 식민주의의 면모를 드러냈다. 셋째, 거류민단 때부터 도청이전을 요구하던 일본인 중심의 부산부민은 이전 비용의 협조와 이전 교섭/협상을 통한 전술적 대응을 전개했다. 식민당국은 이를 받아들여 교섭에 나섰고,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 결과 도청이전은 식민권력과 부산부민의 이해관계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를 통해 보면, 지역정치는 식민지배의 합법적이고 전략적 범주 내에 머물 수밖에 없는 명확한 한계를 지녔다. 그럼에도 항상 그 경계는 희미했고, 지역 문제는 민족 문제와 연결되었으며, 또 다시 폭력적 지배라는 식민지배의 민낯을 드러내기도 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local ruling strategy of colonial power and the tactical response of Jinju and Busan residents through the political field surrounding the local problem of the relocation of provincial government. First, the plans for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began from the time of the Residency- General as part of the colonial strategy. ‘Strategic denial’ and ‘bargaining’ served as the means for managing the agitation of locals in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prompting residents’ cooperation. Second, especially the Korean residents of Jinju, who opposed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were not subject to consultation before the relocation. However, through civic convention, Koreans expressed their will and organized tactical responses, such as through petitioning mechanisms comported with colonial authority desires and appeals that centered on the Japanese people. However, colonial processes maintained “strategic denial,” refusing to accept Japanese-centered petitioners as partners in bargaining processes. Therefore, the (mostly Korean) residents of Jinju maintained that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was not merely a local problem but a national one. They thus developed a movement to expand public expression and deny its legitimacy as a local ruling organ. The colonial authorities violently suppressing their efforts. Third, the Japanese-centered Busan residents demanded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developed tactical responses that used cooperation and bargaining to address location selection and transfer costs. The colonial authorities accepted this new direction and actively negotiated under these new terms. As a result, a combination of colonial power and Busan residents’ interests resulted in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In this regard, local politics limited the legal and strategic category of colonial rule. Nevertheless, the boundaries have always faded, the local problems have been linked to the national problem, and again the colonial rule of violent domination has been revea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