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평으로서의영화, 영화적주석(註釋)으로서의메타시네마

        전성욱(Seong Wook Jeon) 동남어문학회 2022 동남어문논집 Vol.1 No.53

        이 논문은 ‘문학 매체의 변용과 스토리텔링’이라는 관점에서 구상되었다. 비평이라는 전통적 글쓰기의 형식이 영화라는 시각 매체를 통해 구현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임권택과 그의 영화세계를 다룬 정성일의 다큐멘터리 <녹차의 중력>과 <백 두 번째 구름>이다. 이 영화들을 ‘메타시네마’의 개념을 통해 필름으로 구현한 비평(임권택론)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구해보았다. 정성일은 비평가로 활동하며 영화를 직접 연출한 감독이다. 그러나 그는무엇보다 영화에 대한 진지한 사랑을 적극적으로 표현해왔던 ‘시네필’이다. 그래서 그가 쓴 비평과 그가 연출한 영화에는 시네필의 ‘자의식’이 강렬하게 표출되어 있다. 정성일은 영화를 사랑하는 가장 적극적인 방식이 그 영화(대상텍스트)가 제기하는 질문에 응답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에게 영화의 존재론에대한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 것이 임권택이라고 했다. 정성일은 임권택에 대한 작가론 단행본을 기획하였고, 방대한 분량의 인터뷰와 비평작업을 수행하였고, 마침내 영화라는 형식 그 자체로써 임권택의 영화가 제기하는 질문을 비평적으로 성찰하게 되었다. 정성일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서 수행하는 비평작업은 ‘자기 반영성’의 영화에 대한 고다르의 심오한 작업들에서 크게 영향을 받았으리라 추정된다. 그에게서 영화는 단지 여러 예술 장르 중의 하나가 아니다. 정성일에게 영화는어떤 존재론적 ‘물음’을 통해서 자기를 확인하는 실존적인 자기 증명의 매개체라고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정성일에게 고다르와 임권택은 그와 마찬가지로 강렬한 영화사랑을 바탕으로 실존적 자기 확인을 실천한 선배이자 선생이었다. 여기서 다룬 두 편의 영화 <녹차의 중력>과 <백두 번째 구름>은 메타시네마적 성찰이라는 고다르적 방법을 통해서 임권택의 영화 현장에서 얻어낸 존재론적 질문과 그 해답의 천착을 다루고 있다. 본고는 그것을 시대사의 흐름이라는 통시적인 관점이 아니라 비평을 통한 실존적 성찰이라는 공시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 비평적 ‘성찰’을 공부(工夫)와 교양(敎養)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배움과 깨달음의 학교로서의 ‘현장’에 대한 정성일의 뚜렷한 자의식을 확인한다. 그리고 그것이 본 논문에서 다루는 두 텍스트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 정성일이 필름을통해서 수행한 비평으로서의 메타시네마적 특성과 의미가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영화라는 매체이지만 활자를 적극 활용한다든가, 인쇄 매체로 출간된텍스트를 즐겨 인용하는 특징들이 드러난다. 그리고 연출의 현장을 엄밀하게관찰함으로써 도출하는 영화에 대한 앎과 깨우침의 과정을 주관적인 감수성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메타시네마로서의 비평은 정성일이 글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표현할 수 없었던 ‘현장’의 생생함을 자기의 주관적 감성으로써 포착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was submitted as one of the planned topics of 'Transformation of Literary Media and Storytelling'. The aspect of how the form of writing called criticism is realized through the medium of film was reviewed. The subject of review is <The Gravity of Green Tea> and <The Hundred Second Cloud>, a documentary by Jeong Seong-il, which deals with Im Kwon-taek and his film world. Through the concept of 'meta cinema', these films were analyzed as a critique and their meaning was explored. It is presumed that the critical work performed by Jeong Seong-il through the medium of film was greatly influenced by Godard's profound works on films of 'self-reflection'. As two teachers and pioneers who awakened Jung Sung-il to the most intense awareness of the ontology of cinema, we examine his influence on Godard and Im Kwon-taek. This thesis confirms Jung Sung-il's clear self-consciousness about the 'field' as a film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kung fu (工夫) and culture (敎養). And how it is reflected in the two texts dealt with in this paper was reviewed. In this part, the meta-cinema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a critique performed by Jung Sung-il through film were intensively discussed. Although it is a medium of film,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ly using type and quoting texts published in print media are reveal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knowing and awakening about the film derived by strictly observing the production site is expressed with subjective sensitivity.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ritique as a meta-cinema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apturing and expressing the vividness of the 'field' that could not be expressed through the medium of writing through his subjective emotions.

      • KCI등재

        성찰적 근대성과 4,19세대 비평의 한 행로 -염무웅론-

        전성욱 ( Seong Wook Jeon ) 겨레어문학회 2014 겨레어문학 Vol.52 No.-

        본 연구는 1960년대에 시작되어 지금에까지 이르고 있는 염무웅의 비평을 대상으로 그 핵심을 성찰적 근대성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한다. 염무웅이 이른바 4.19세대의 비평가들과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 독자적인 비 평의 길을 개척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염무웅은 독문학자이면서도 국문학 분야의 연구에 논쟁적으로 참여하기도 하였으며, 서구문학을 추종 적으로 답습하는 것에 비판적 자의식을 분명하게 갖고 있었다. 염무웅의 비평은 일관되게, 민중이라는 주체를 중심에 두고 현실에 대 한 천착과 역사적 인식을 탐구해왔다. 역사와 인간에 대한 신뢰는 그의 비평의 핵심적인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소시민성의 극복이라는 테제는 염무웅의 비평의 근간이 다. 소시민은 경험에서 오는 불안과 유물론적인 고통을, 공포라는 정념으 로 고뇌할 뿐인 허약한 주체다. 그래서 그들은 대개 정신의 분열증을 앓는 병적인 인간으로 표현되곤 한다. 그리고 한국의 근대성이 갖는 식민 성의 질병을 앓고 있는 이들이 바로 그 병적인 주체들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시민에 대한 비판은 민중에 대한 옹호와 함께 염무웅 비평의 양대 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서구화가 대세였던 1960년대에 시작하여 50여년에 걸쳐 이루어진 염 무웅의 비평은 서구적 근대성의 반성하는 가운데 당대의 현실에 밀착한 문학론을 전개했다. Yeommuung criticism began in the 1960s. This study explores the trajectory of his criticism. The point examined in terms of reflexive modernity. Yeommuung generation of the so-called critics and 4.19 in relation to carve their own unique way of criticism was focused on the process. Literature in the field of German literature who yeommuung yet controversially took part in the study. He followed that of Western literature as to follow the enemy clearly had a critical self-consciousness. Yeommuung criticism has consistently put people at the center that the subject of historical reality and perception has been explored. Human history and is a key theme in the trust. However, this approach is sometimes populist school prayer reveals the composition. Came in late, but this aspect seems to becoming increasingly overcome. Westernization that his criticism is the trend that was started in the 1960s took place over 50 years. His critique of Western modernity and reflection, tailored to the realities of contemporary literary theory and evolved. Thus his critical trajectory is lost in Korea now lack the critical point, see the back.

      • KCI등재

        한국소설의 상하이 표상과 장소의 정치성

        전성욱 ( Jeon Seong-wook )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6 中國現代文學 Vol.0 No.77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political representation in Shanghai in Korea novels. In the relevant literature in Korea, China, the Shanghai Literature would want to actively find a new imaginative geography. The writers of the colonial Korea imported Shanghai as their narrative space is approximately 1930. This period can be grasped from a macro perspective of the transition to capitalism in the late imperialism in the flow of world history that the calling of the Great Depression and fascism. Shanghai novel went largely to the background of a two-pronged direction in this historical context. One of the ideal type was a realist from experience, stay in Shanghai, the other one fled from the historical reality through the cliché of the genre format.

      • KCI등재

        경제인문사회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생산성 변화 분석

        전성욱(Jeon, Seong-Wook),김성종(Kim Sung-J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논문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2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2006년도부터 2010년도까지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 고 생산성 변화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DEA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중 연구기관의 평균 생산성은 6.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효율성 변화와 기술변화로 나누어 본 결과, 효율성은 평균 4.7% 향상되었지만 기술변화율이 평균 10.8%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기간 중 정부출연연구기관 의 구조조정과 경영합리화에 대한 외부 압력이 높았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추격효과로 해석되는 효율성 향상은 내부적 경영 합리화의 긍정적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기술변화율의 하락은 전체적인 생산성 저하에 영향을 주고 있어, 향후 급변하는 외부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핵심 연구인력 확충, 연구개발비 확대, 연구개발방식 변화 등 연구개발 기능 강화를 통한 기술진보 를 도모해야 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개별 연구기관들도 생산성변화의 원인이 효율성변화인지 기술변화인지를 파악하여 내부 경영합리화 또는 연구개발 강화 등의 발전전략을 수립하여 생산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changes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for Economics &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rom Malmquist total factor productivity index analysis, the average productivity decreased 6.5% between 2006 and 2010.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technical efficiency increased 4.7% annually while the technology change rate decreased 10.8% on average. Under pressure for innovation from the outside, research institutes responded to managerial efficiency improvement, which lead to increases in technical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of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they must pursue technological advances by securing an outstanding research workforce, expanding the R&D budget, and changing the R&D method. Each institute must perceive the cause of an individual institute's productivity change,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increasing productivity.

      • KCI등재

        『라마야나』의 신화적 상상력과 서사구조

        전성욱 ( Jeon Seong-wook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6 石堂論叢 Vol.0 No.66

        본 연구는 『마하바라따』와 함께 인도의 양대 서사시로 널리 알려져 있는 『라마야나』의 신화적 상상력의 기본 모티프를 검토하여 그 원형상징적 의미를 분석하고, 영웅이야기의 일반적 서사구조를 통해 『라마야나』의 서사적 구조와 그 특이성을 해명한다. 더불어, 『라마야나』의 확산과 전파,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개작과 각색의 변이형들이 산스크리트 문명의 중심인 인도에서 힌두교를 비롯한 문명 중심권의 문화가 다른 지역으로 이입되고 수용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문화횡단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basic motifs of mythical imagination of the Ramayana.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circular had symbolic meaning. Through the general narrative of the heroic epic story explains the structure and specificity of the Ramayana. Ramayana adaptations of the variants made in the diffusion process of they were going to show the culture in the process of crossing empathy and acceptance of other areas in the center of civiliz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the universality of the circle and the identity of the mythical imagination combined with other era and nation. The aspect of the difference can inspire the creation of active versions. Therefore, the ability of thinking to combine universal prototypes in historical peculiarity is important. It is the political role of such a capacity to prevent mythical imagination from being misused as supporting nationalism or totalitarianism, but rather allowing it to unite the community.

      • KCI등재

        이어령의 일본문화론과 전후세대의 식민주의적 무의식

        전성욱(Jeon, Seong-Wook)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5

        본 논문은 전후세대로 분류되는 이어령의 일본문화론을 통해 포스트식민주체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어령과 같은 전후세대는 식민지 통치와 한국전쟁이라는 두 개의 집단적 체험이 그들의 주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중언어 상황에 놓였던 식민지 경험은 그들의 언어적 무의식에 깊은 흔적을 남겼으리라 추정된다. 이어령의 방대한 글쓰기는 식민통치와 전쟁이 가한 폭력성에 대한 일종의 환상적 저항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주체의 형성에 관한 사사키 아타루의 논의를 빌려 이어령의 주체형성을 둘러싼 복합적인 맥락들을 추적한다. 그의 한국문화론과 그 거울상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문화론에 내재하는 그의 자아상(주체성)을 탐색해 본다. 여기서 중요한 개념이 ‘절대적 향락’에 대비되는 ‘합법적 향락’이다. 쉽게 말해 이어령의 글쓰기는 겉으로 저항을 말하고 있지만, 대단히 체제적이고 탈정치적이다. 그의 한국문화론은 탈농경시대, 산업화시대로 가는 한국의 근대화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거기에는 미개발의 조국에 대한 모종의 콤플렉스가 작동하고 있다. 그 콤플렉스의 합리화와 탈정치성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일본문화론에는 포스트 식민주체의 복잡성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는 단서들이 있다. 그의 일본문화론에 대한 연구는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비롯한 여러 저술과 대담을 대상으로 한다. 트랜스내셔널한 기억공간에서 벗어나 내셔널한 주체되기의 과정을 살펴본다. 더불어 이어령의 기호학적 방법론이 갖고 있는 탈정치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기의 이어령에게서 확인할 수 있는 지속과 변화의 지점을 확인해 본다. 먼저 그의 사상적 지향점의 이동이 확인된다. 서구적 근대에서 아시아적 포스트모던으로의 변화가 그것이다. 그럼에도 여전이 일관되는 것은 가치중립성이며 탈정치성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ost-colonial identity of the postwar generation using the Japanese culture theory by Lee O-Young. In the postwar generation, such as that of Lee, the two collective experiences of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people’s subjectivity. In particular, the colonial experience and the bilingual context it presented is thought to have left a deep trace in their linguistic unconsciousness. Lee’s extensive writings formed resistance to the violence of colonial rule and war. This paper borrows from Sasaki Ataru"s discussion of his self-image (subjectiveness) inherent in his theory of Korean culture and Japanese culture, that is, the mirror image. His theory of Korean culture is deeply connec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 in the post-farming and industrialization eras. He argues that there is for the undeveloped country.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ization and of the complex can be confirmed. In his theory of Japanese culture, there are clues about the complexity of post-colonial subjects. His research on the theory of Japanese culture focuses on writings and talks which are oriented.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becoming a national subject transnational memory space. In addition to that, we can also assert the depolitical significance of Lee"s semiotic methodology.

      • KCI등재

        세계의 끝’에 관한 인식과 그 서사화의 유형학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의 재난 · 종말 서사

        전성욱(Jeon, Seong-Wook)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8

        In this paper, we attempt to distinguish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four aspects of the narrative aspect of the disaster. Can be summarized as 'the time of the disaster Sao closed Tue and future' of jeongyujeong『28』 and yijaeik 『the sink hole』. Jeongyongjun of『Babel』, can be summarized as the present emergency and critical imagination『travelers of night』 is yungoeun. Sonhonggyu 『Seoul』, Parksolmoe 「winter eyes」, can be summarized by the concept of disaster melancholy and allegory "of Kimaeranl 「water Goliath」. 묵시의 서사가 급증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것은 바로 목적론이 봉착한 난관을 종말론으로 돌파하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러나 그 의지가 ‘역사의 종언’에 대한 일종의 발작이라면, 묵시의 서사가 재현하는 것은 ‘역사’가 아니라 ‘종언’ 그 자체일 수밖에 없다. 역사가 불가능한 곳에서 가능한 것은, 그 불가능성을 서술하는 것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재난의 서사를 독해하는 데 있어 주의해야 하는 것은 역사의 불가능성을 사유하는 태도이다. 재난의 파국으로 ‘세계의 끝’을 예감하는 묵시의 서사가, 역사의 종언과 근대문학의 종언을 비켜나가려는 꼼수인가 아닌가는 그 ‘미래’를 대하는 태도를 통해 드러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서사의 양상을 네 가지 측면으로 구분해 유형학적 분류를 시도한다. 정유정의 『28』과 이재익의 『싱크홀』은 ‘재난의 상투화와 닫힌 미래의 시간’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작품들은 장르문법의 도식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으면서 그 도식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정용준의 『바벨』, 윤고은의 『밤의 여행자들』은 ‘발명된 재난과 비판적 상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작품들은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재난을 문학적 상상력으로 표현했지만, 그것이 현실비판의 알레고리로 기능한다. 손홍규의 『서울』, 박솔뫼의 「겨울의 눈빛」, 김애란의 「물속 골리앗」은 ‘재난의 멜랑콜리와 알레고리’라는 개념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작품들은 파국의 상상력을 멜랑콜리의 감수성으로 표현함으로써 비판적인 알레고리를 구성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