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수에서의 대장균수 확률분포 특성 분석

        전상민,송인홍,정한석,강문성,박승우,Jun, Sang Min,Song, Inhong,Jeong, Han Seok,Kang, Moon Seong,Park, Seung Woo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3

        Probability distribution of microbes in wastewater is a crucial factor to be determined for microbial risk assessment associated with its reu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an indicator microorganism in wastewater. Daily total coliform counts measured from nationwid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2010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asic statistics and probability distributions were estimated in the three different spatial scales using the MS Excel software and FARD2006 model. Overall, wastewater from manure and livestock treatment plants demonstrated greater median coliform counts than from sewage and village treatment plants. Generalized logistic (GLO) and 2-parameter Weibull (WBU2) appeared to be the two probability distributions that fitted best for total coliform numbers in wastewater. The study results of microbial statistics and probability distributions would provide useful data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microbial risk from agricultural wastewater reuse.

      • KCI등재

        지표와 지중 퇴비 시비에 따른 토양에서의 분변성 미생물 생존성 비교

        전상민,송인홍,김계웅,황순호,강문성,Jun, Sang Min,Song, Inhong,Kim, Kyeung,Hwang, Soon Ho,Kang, Moon Seong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7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ecal microbes survival in soil between compost surface application and soil incorporation. The survival experiment was conducted in six styrofoam beds ($510{\times}325{\times}305(mm)$ in size) filled with sandy loam soil. A half of six boxes were received by compost surface application, while the other half were treated with compost-soil mixture. Duplicated surface and surbsurface soil (20 cm depth) samples were collected at various interval up to 50 days and analyzed for the determination of fecal coliforms and E. coli numbers. As expected, surface applied beds demonstrated two to three magnitudes order greater in both the study microorganisms as compared to soil incorporated beds. Microbial inactivation rate of soil surface was twice as great as subsurface soil condition probably due to exposure to sun ligh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moisture loss. When rainfall occurred, microbes on the surface were transported into soil along with water movement. It was concluded that surface compost application may be easier to apply but pose higher risk of human exposure to microbes. Winter compost application may be favorable in alleviating health risk by giving some time for inactivation compared to spring application.

      • KCI등재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전상민,강문성,송인홍,황순호,김계웅,박지훈,Jun, Sang Min,Kang, Moon Seong,Song, Inhong,Hwang, Soon Ho,Kim, Kyeung,Park, Jihoon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6

        About 74 % of reservoirs in Korea are older than 40 years and their storage capacities have been decreased substantially. As part of reservoir reinforcement, the dam heightening project has been ongoing for about 110 reservoirs. The main purpose of the dam heightening project is to secure additional environmental water, while improving flood control capacity by gaining additional storage volu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servoir flood control capacity changes of dam heightening reservoir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additional storage volume. In this study, 13 reservoirs were selected for reservoir simulation of 200 year return period floods. Rainfall data of 1981-2100 were collected and divided into 4 periods (1981-2010; 1995s, 2011-2040; 2025s, 2041-2070; 2055s, 2071-2100; 2085s). Probability rainfalls and 200yr design floods of each period were calculated using FARD2006 and HEC-HMS. Design floods were used as inputs of each reservoir simulation using HEC-5. Overall, future probability rainfalls and design floods tend to increase above the past 1995s. Control ratio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flood control capacities of reservoirs. As a result, average flood control ratios were increased from 32.6 % to 44.2 % after dam heightening. Control ratios were increased by 12.7 % (1995s), 12.4 % (2025s), 10.3 % (2055s) and 10.9 % (2085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reservoir management structure in the future.

      • KCI등재

        리콜의 자발성 여부와 공개 방식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와 구매의도

        전상민(Sang Min Jun),최은실(Eun Sill Choi)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0

        본 연구는 소비자와 기업 차원 모두에서 성공적인 리콜 시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리콜의 자발성 여부와 리콜 공개 방식에 따른 소비자의 신뢰도와 구매의도 차이 및 리콜 대상 제품 유형과 소비자의 사회인구적 특성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와 공산품, 식품 리콜에 대하여 총 1,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제품 유형에 대하여 일관되게 자발적 리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와 구매의도가 강제적 리콜보다 높게 나타났고, 소득 최하위 소비자가 상위 소득 계층보다 자발적 리콜에 대한 구매의도가 낮았다. 공개 리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와 구매의도가 개별공개 리콜과 비공개 리콜보다 높았고, 식품의 개별공개 리콜과 비공개 리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와 구매의도가 자동차와 공산품의 경우보다 낮았다. 또한, 20대는 공산품의 개별공개 리콜과 비공개 리콜에 대한 구매의도가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고, 40대와 50대는 모든 제품 유형에서 공개 리콜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자동차의 비공개 리콜에 대한 신뢰도가 낮고, 공개 리콜에 대한 신뢰도와 구매의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신뢰도와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리콜 시행 방안을 제안하여 기업과 리콜 감독 정부기관, 그리고 소비자교육기관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order to find successful product recalls for both consumers and businesses, this study tested the level differences of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product recalls according to recall spontaneity and communication. We also tes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oduct types and consumers'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upon the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product recalls. A web-based survey was conducted among 1,000 Korean consumers for car, industrial product, and food recalls.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spontaneous recalls are higher than that of mandatory recalls among all product types. The purchase intention levels for spontaneous recalls among the lowest income brackets is lower than that of higher income brackets. Additionally, the levels of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public recall communication is higher as compared to that of individual recall communication and closed recall communication. The levels of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food recalls is higher than that of car and industrial product recalls. People in their twenties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s for individual and closed communications among industrial product recalls, and people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s for public recall communications among all types of products than other age groups. Men have lower confidence levels on closed recall communications, but have higher confidence levels and purchase intentions on public recall communications than women among car recalls. Our results provide useful data for government agencies, businesses, and consumer education agencies on recall implementation plans which enhance the levels of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product recalls.

      • KCI등재

        소비자의 식품위해불안이 식품표시 확인과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

        전상민(Jun Sang m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안전표시 지식수준에 맞게 식품위해불안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안전한 식품 구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실효성 높은 식품표시제도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식품위해불안이 식품표시 확인과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안전표시 지식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5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식품표시 확인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정적으로 유의하여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식품위해불안이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집단에서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의 영향력이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의 영향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식품표시 확인이 안전표시식품구입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 모두에서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의 영향력이 낮은 집단의 영향력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식품위해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과적인 식품표시제도 운영 방안과 소비자교육 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ffective operating plans for food labeling system that can successfully cope with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and enhance safe food purchase in accordance with consumer s knowledge level on safety labeling. We tested the difference of the influence of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on food label use and safe food purchase depending on the knowledge level of safety labeling. Data obtained from the 2015 Food Consum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were use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e influence of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on food label use was not significant in the groups with high knowledge about safety labeling, but was significantly positive in the groups with low knowledge of safety labeling. Further, consumer anxiety positively affected safe food purchase in both groups, with purchases by those with high knowledge of safety labeling more strongly affected than those with low knowledge. Lastly, food label use positively affected safe food purchase in both groups, but the influence of the groups with high knowledge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groups with low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effective operating plans of food labeling system and consumer education strategies for protecting consumers from food hazards and ensuring food safety.

      • KCI등재
      • 농업용 저수지 운영방법에 따른 하류 농경지 침수 해석

        전상민 ( Sang Min Jun ),황순호 ( Soon Ho Hwang ),김계웅 ( Kyeung Kim ),이현지,최순군 ( Soonkun Choi ),강문성 ( Moon Seong Kang ),( Do Gil Lee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우리나라에는 약 18,000개의 농업용 저수지가 산재해 있으며, 농업용수 공급 및 홍수 방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농경지 침수 해석을 위해서는 배수지연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인접한 하천의 수위를 동시에 모의해야 하며, 농업용 저수지의 운영방법의 따라 하류하천의 수위 모의 결과는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운영방법에 따른 하류 하천 및 농경지의 수위를 모의하고, 농업용 저수지의 운영방법이 농경지 침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저수지 모의 운영에는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 Reservoir System Simulation (HEC-ResSim)을 이용하였고, 하천 수위 모의에는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 River Analysis System (HEC-RAS)을 사용하였다. 농경지 수위는 배수지연을 고려한 물수지 방정식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배수펌프 및 배수문 등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상시 만수위, 홍수기 제한 수위, 농업용수 및 하천유지용수 공급량 등을 고려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운영 시나리오를 구성하였으며, 시나리오에 따른 농경지 침수 모의를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농업용수 및 하천유지용수 공급 계획과 연계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최적 운영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원단위와 모니터링을 통한 청미천 상류 유역의 비점부하 분석

        전상민 ( Sang Min Jun ),강문성 ( Moon Seong Kang ),이도길 ( Dogil Lee ),김찬우 ( Chan Woo Kim ),박창언 ( Chang E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비점오염원은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의미하며, 최근 점오염원에 비해 관리가 미흡한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에 의한 오염부하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등 6개 오염원그룹별 원단위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비점오염 발생 특성은 지역별 유역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어, 유역면적, 토지이용 등에 따라 원단위의 적용성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단위에 의한 비점부하량과 수문·수질 모니터링에 의한 부하량을 비교 및 분석하여, 유역특성에 따른 원단위의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유역은 청미천 상류유역으로, 축사가 밀집되어 비점오염 발생량에 대한 정확한 분석 및 대책이 필요한 지역이다. 모니터링 지점은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4개 지점을 선정하였고,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통해 지점별 오염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GIS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지점별 집수구역의 유역특성을 분석하였고, 통계자료를 통해 주거, 축산 등의 유역현황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의 전국오염원조사자료 및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을 이용하여 원단위를 통한 지점별 비점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점별 유역특성과 모니터링 및 원단위에 의해 계산한 오염부하량을 교차분석하여, 유역특성에 따른 원단위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 및 결과는 원단위 적용을 위한 개선 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배수지연을 고려한 논의 수위 모의

        전상민 ( Sang Min Jun ),강문성 ( Moon Seong Kang ),송정헌 ( Jeong Hun Song ),신샛별 ( Sat Byeol Shin ),이경도 ( Kyungdo L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호우 등 이상기후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농촌 지역의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농경지 침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모델링에 의한 정확한 피해 예측이 선행되어야 한다. 농촌 지역에는 농업용 수리시설이 산재해 있어, 수치해석 등 기존의 침수 모의 방법으로는 농경지의 수문 요소들을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논에서는 논 자체의 저류효과와 비교적 낮은 배수로의 배수능으로 인한 배수지연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농경지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배수지연 효과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농경지의 용·배수로 등 수리시설은 매우 복잡하며, 이를 일일이 조사하여 모의에 활용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농경지의 수문특성을 고려한 침수 모의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의 수문특성에 의한 배수지연을 고려한 농경지 수위 모의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청미천 인근에 위치한 논 구획지구를 선정하였고, 인근에 위치한 이천 기상관측소의 강우자료를 수집하였다. 논 구획지구를 하나의 물꼬를 가지는 단일포장으로 가정하여 강우에 따른 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배수로 설계기준에 의한 배수능과 논의 저류효과 등을 고려하여 농경지 유출량 및 수위를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는 기존연구의 위어공식 및 수치해석 등에 의한 계산 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배수지연을 고려한 농경지 침수 모의 방법은 향후 하천수위 모의 모형 등과 연계하여 농촌 지역의 침수 해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