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축전지 공장 근로자들의 혈중 Zinc Protoporphyrin에 대한 코호트 연구

        전만중,이중정,사공준,김창윤,김정만,정종학,Jeon, Man-Joong,Lee, Joong-Jeong,SaKong, Joon,Kim, Chang-Yoon,Kim, Jung-Man,Chung, Jong-Hak 대한예방의학회 1998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1 No.1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in working environment and personal hygiene for the occupational exposure to the lead, the blood zinc protoporphyrin (ZPP) concentrations of 131 workers (100 exposed subjects and 31 controls) of a newly established battery factory were analyzed. They were measured in every 3 months up to 18 months. Ai. lead concentration (Pb-A) of the workplaces was also checked for 3 times in 6 months interval from August 1987. Environmental intervention included the local exhaust ventilation and vacuum cleaning of the floor. Intervention of the personal hygiene included the daily change of clothes, compulsory shower after work and hand washing before meal, prohibition of cigarette smoking and food consumption at the work site and wearing mask. Mean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controls was $16.45{\pm}4.83{\mu}g/d\ell$ at the preemployment examination and slightly increased to $17.77{\pm}5.59{\mu}g/d\ell$ after 6 months. Mean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exposed subjects who were employed before the factory was in operation (Group A) was $17.36{\pm}5.20{\mu}g/d\ell$ on employment and it was increased to $23.00{\pm}13.06{\mu}g/d\ell$ after 3 months. The blood ZPP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27.25{\pm}6.40{\mu}g/d\ell$ on 6 months (p<0.01) after the employment which was 1 month after the initiation of intervention program. It did not increase thereafter and ranged between $25.48{\mu}g/d\ell$ and $26.61{\mu}g/d\ell$ in the subsequent 4 results. Mean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exposed subjects who were employed after the factory had been in operation but before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initiated (Group B) was $14.34{\pm}6.10{\mu}g/d\ell$ on employment and it was increased to $28.97{\pm}7.14{\mu}g/d\ell$ (p<0.01) in 3 months later(1 month after the intervention). The values of subsequent 4 tests were maintained between $26.96{\mu}g/d\ell$and $27.96{\mu}g/d\ell$. Mean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exposed subjects who were employed after intervention program had been started (Group C) was$21.34{\pm}5.25{\mu}g/d\ell$ on employment and it was gradually increased to $23.37{\pm}3.86{\mu}g/d\ell$ (p<0.01) after 3 months, $23.93{\pm}3.64{\mu}g/d\ell$ after 6 months, $25.50{\pm}3.01{\mu}g/d\ell$ after 9 months, and $25.50{\pm}3.10{\mu}g/d\ell$ after 12 months. Workplaces were classified into 4 parts according to Pb-A. The Pb-A of part I, the highest areas, were $0.365mg/m^3$,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levels were decreased to $0.216mg/m^3$ and$0.208mg/m^3$ in follow-up test. The Pb-A of part II which was resulted in lowe. value than part I was decreased from $0.232mg/m^3$ to $0.148mg/m^3$, and $0.120mg/m^3$ after the intervention. The Pb-A of part III was tested after the intervention and resulted in $0.124mg/m^3$ in January 1988 and $0.181mg/m^3$ in August 1988. The Pb-A of part IV was also tested after the intervention and resulted in $0.110mg/m^3$ in August 1988. There was no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Pb-A and blood ZPP concentration. The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group A and B workers in the part of the highest Pb-A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workers in the parts of lower Pb-A. The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workers in the part of the lowest Pb-A increased more rapidly. The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group C workers was the highest in part III.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ervention in personal hygiene is more effective than environmental intervention, and it should be carried out from the first day of employment and to both the exposed subjects, blue color workers and the controls, white color workers. 혈중 ZPP 농도를 생물학적 모니터링 표지자로 사용하여 새로 설립되는 축전지 제조 공장에서 작업환경과 개인위생에 대한 개선조치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연취급 근로자 100명을 대상으로 입사한 시기를 기준으로 3개의 군으로 구분한 후 채용시 측정된 혈중 ZPP 농도와 약 3개월 간격으로 12-18개월간 측정되어 보관된 기록 중 혈중 ZPP 농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군은 개선조치 시행전인 1987년 8월의 작업장의 기중 연 농도를 기준으로 $0.30mg/m^3$ 이상인 단위 부서들을 제 I 부서로, $0.30mg/m^3$ 미만인 단위 부서들을 제 II 부서로, 비교적 기중 연 농도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어 1988년 1월부터 새로 기중 연 농도가 측정된 단위 부서들을 제 III부서로, 그리고 작업장소가 일정하지 않고 이동하면서 근무하는 단위 부서들을 제IV부서로 대분하였고, 1987년 8월부터 약 6개월 간격으로 측정된 작업장의 기중 연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조군 31명중 6개월째까지 관찰되었던 22명도 채용시와 6개월 후에 측정된 혈중 ZPP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작업환경 및 개인 위생에 관한 개선조치를 1987년 8월 중순부터 시행하였으며, 주 1회 보건관리자를 통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이 실시되었다. 부서별 기중 연 농도는 1987년 8월부터 약 6개월 간격으로 3회 측정된 결과, 제 I 부서는 처음에는 $0.365mg/m^3$였으나 작업환경개선조치 후 $0.216mg/m^3$, 1년후에는 $0.208mg/m^3$로 감소되었고, 제 II 부서는 처음에 $0.232mg/m^3$였는데 개선조치 후 $0.148mg/m^3,\;0.120mg/m^3$가 되었으며, 제 III 부서는 1988년 1월의 측정치가 $0.124mg/m^3$였고, 8월에는 $0.081mg/m^3$였다. 제 IV 부서는 1988년 8월에 $0.110mg/m^3$였다. 대조군에서의 혈중 ZPP 농도는 31명중 6개월째까지 관찰되었던 22명에서 채용시와 6개월 후가 각각 $16.45{\pm}4.83{\mu}g/d\ell$과 $17.77{\pm}5.59{\mu}g/d\el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공장이 가동되기 전에 입사한 A군에 있어서는 채용시 혈중 ZPP농도가 $17.36{\pm}5.20{\mu}g/d\ell$였고, 3개월째에는 $23.00{\pm}13.06{\mu}g/d\ell$였으며, 개선 조치가 시행된 직후인 6개월째에는 $27.25{\pm}6.40{\mu}g/d\ell$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0.01),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9개월째에 측정된 농도는 $25.48{\pm}5.17{\mu}g/d\ell$로 6개월째의 검사 농도보다 유의하게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12개월째부터 3회의 측정치는 유의한 증가나 감소가 없이 대체로 비슷한 농도의 양상을 보였다. 공장이 가동된 후 개선조치가 시행되기 전에 입사한 B군의 경우에 있어서는 채용시에 혈중 ZPP농도가 $14.34{\pm}6.10{\mu}g/d\ell$였고, 개선조치가 시행된 직후인 3개월째에는 $28.97{\pm}7.14{\mu}g/d\ell$로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6개월째부터 4회의 측정치는 유의한 증가나 감소가 없이 비슷한 농도의 양상을 보였다. 개선조치가 시행된 후 입사한 C군에서는 채용시 혈중 ZPP 농도가 $21.34{\pm}5.25{\mu}g/d\ell$였고, 입사한 후 3개월째에는 $23.37{\pm}3.86{\mu}g/d\ell$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1), 6개월째에는 $23.93{\pm}3.64{\mu}g/d\ell$의 농도를 보였고, 9개월째에는 $25.50{\pm}3.01{\mu}g/d\ell$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1). 계속하여 3개월 뒤 측정된 12개월째에는 그 농도를 계속 유지하였으며,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서별

      • KCI등재

        남·북한 태권도의 비교 분석

        전만중 한국체육사학회 2003 체육사학회지 Vol.12 No.-

        Real conditions of divided Korean peninsular and real conditions of Taekwondo's two international groups seem to be in one coherence. However, peace has been kept in Korean peninsular, inter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done at the present, accordingly, South and North Korea must unify Taekwondo groups in order that Taekwondo could be continually selected as a regular sports event in the Olympics. Therefore, both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and the International Taekwondo Rederation must make efforts to elevate international rank of Taekwondo through more active activities, and strengthen the step to Olympic diplomacy through harmony and union of Taekwondo-related persons. For these purposes, respectable leaders need be trained, quality of judges must be enhanced, the judgment system must be rationalized, scientific Pumsae must be legislated, games must be operated rationally, overall game-levels must be elevated through developing Taekwnndo's playing techniques, conclusively, Taekwondo need become a major Olympic game. As Taekwondo was formally selected as a regular event in 2008 Olympics as well as afterward Olympics, screening standards need be understood sufficiently, all preparations must be competed to achieve an objective evaluation that Taekwondo has qualifications more perfectly than any other events. The World Championship Tournament that more than 100 nations participate in must be hold regularly, a tournament series in singles and team competition that both man players and woman players participate in must be hold by continents. Short ways for Taekwondo to be admitted as a permanent event are building the system for excellent players to participate in the Olympics, admitting Taekwondo's justifiableness, concreteness, techniques as an Olympic game, agreeing policies of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with purports of IOC, etc. The idea of cooperation, which is actualized by Taekwondo Federation, is directly connected with expansion of Olympism,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confine that the result that Taekwondo was selected as a permanent Olympic event will greatly contribute to modern movements of Olympic games. Taekwondo not only has educational, ethical, social values of a sports game through Taekwondo education but also premises a Taekwondo educational campaign that encourages teenagers to cultivate moral disposition, do a character-building, and become an excellent democratic citizen. In addition, Taekwondo education should take charge of modem people's sound leisure-education, enhance people's physical health and mental well being, which might be helpful to elevate Taekwondo's phase. This spirit was on the same coherence with the all-round education focusing on human-centered education followed by Taekwondo as well as educational campaign for democratic citizens. Therefore, if Taekwondo implements a campaign informing that IOC conveys 「Modern Olympism」 to contribute to the world peace, it was expected that Taekwondo will be selected as a permanent and major Olympic game in 2004 and 2008.

      • KCI등재후보

        경호전공대학생의 체력요인 분석

        전만중 한국경호경비학회 2007 시큐리티연구 Vol.- No.14

        경호전공 대학생들의 체력요인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경호업무수행에 있어서 경호학과 전공학생의 체력요인과 전공무도 별 체력요인의 실태를 분석하고, 체력요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전 공학생들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남도에 소재한 J대학교 재학생 남자 80명을 대상 으로 10개 항목의 체력검사를 실시하여 체력요인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경호학 전공학생에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인은 순발력, 평형성, 근력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호학 전공학생 중 태권도 전공에게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인은 평형성, 순발 력, 근력, 심폐지구력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호학 전공학생 중 유도 전공에게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인은 순발력, 유연 성, 근력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호학 전공학생 중 합기도 전공에게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인은 근지구력, 근 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호학 전공학생 중 검도 전공에게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인은 심폐지구력, 순발력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키보드 형태가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에 미치는 영향

        전만중,김창윤,정종학,임우택,사공준 大韓産業醫學會 200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6 No.2

        목적 :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가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컴퓨터 신경행동검사를 수행할 때 키보드 형태의 영향을 평가하며,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와 신경행동검사 결과의 관련성에 키보드 형태의 영향을 평가함으로서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신경행동검사 항목을 선택하고 향후 컴퓨터 신경행동검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키보드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는 한글의 분당타자속도에 따라 컴퓨터를 사용한 경험이 전혀 없는 군(1군, 24명, 타자속도 0자/분), 컴퓨터를 사용하긴 하나 익숙지 않은 군(2군, 21명, 타자속도 200자/분 미만) 및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루는 군(3군, 25명, 타자속도 200자/분 이상)으로 나누고 성별, 연령 및 학력을 조사하였다. 신경행동검사는 컴퓨터 신경행동검사 프로그램인 SPES-K를 이용하여 단순반응시간, 숫자더하기, 부호숫자짝짓기 및 손가락 두드리기 순으로 시행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사용되는 106개의 키를 가진 키보드(1형), 일반적인 키보드를 검사에 사용되는 17개의 키(10개의 숫자키, 4개의 화살표 키, 양쪽 Ctrl키, 스페이스 바)만 두고 나머지 키는 제거한 키보드(2형) 및 11개의 키(10개의 숫자키, 스페이스 바)로 된 특별히 제작된 키보드(3형)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1군이 49.9세, 2군이 33.6세 및 3군이 28.9세였으며,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8.88, p<0.001). 남녀의 구성은 1군, 2군 및 3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육수준은 1군이 평균 10.3년, 2군이 15.3년 및 3군이 17.1년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9.605, p<0.001), 분당 한글 타수는 1군은 0회, 2군은 평균 79.2회 및 3군은 224.2회였다(F=165.983, p<0.001). 단순반응시간, 숫자더하기, 손가락 두드리기에서 연령과 교육수준을 보정한 평균반응시간과 반응시간의 표준편차 및 오답수는 세 가지 키보드 형태 모두에서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부호숫자짝짓기에서는 1형 키보드 형태에서 연령과 교육수준을 보정한 후 1군은 3448msec, 2군은 2520msec 및 3군은 2753msec로 1군과 2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347, p=0.041, Bonferroni F 사후검정). 그러나 2형 키보드 형태나 3형 키보드 형태에서는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호숫자짝짓기의 오답수는 연령과 교육수준을 보정한 후 세 가지 키보드 형태 모두에서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경행동검사 결과를 한글 타자속도에 따른 각 군내로 한정하여 세 가지 키보드 형태간의 차이를 비교하면 단순반응시간, 숫자더하기 및 손가락 두드리기의 검사 결과는 세 가지 키보드 형태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부호숫자짝짓기의 경우 평균반응시간의 표준편차 및 오답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반응시간이 1군에서 1형 키보드로 검사를 한 경우 4630 msec, 2형 키보드로 검사한 경우 3265 msec 및 3형 키보드로 시행한 경우 3519 msec로 1형 키보드와 2형 키보드간 및 1형 키보드와 3형 키보드간에서 유의한 있었다(F=6.197, p=0.003, Bonferroni F 사후검정). 2군의 경우에는 세 가지 형태의 키보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3군의 경우에는 1형 키보드로 검사한 경우 1915 msec, 2형 키보드로 검사한 경우 1761 msec 및 3형 키보드로 시행한 경우 1784 msec로 1형 키보드와 2형 키보드간 및 1형 키보드와 3형 키보드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8.950, p<0.001, Bonferroni F 사후검정). 결론 :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나 키보드에 의한 영향이 많다고 생각되는 근로자 집단에 대해 컴퓨터 신경행동검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단순반응시간, 숫자더하기 및 손가락 두드리기와 같은 검사항목이 다른 검사에 비해 타당성이 좋은 검사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나 키보드 형태에 영향을 받는 부호숫자짝짓기의 경우 대상자의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를 결과의 해석에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부호숫자짝짓기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합한 키보드의 선택에 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부호숫자짝짓기의 경우 일반적인 1형 키보드에 비해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인 2형과 3형의 키보드 사용이 권고된다. Objectives: A stratified cross-over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amiliarity with computer on the performance of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s. Effects of keyboard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arity with computer and performance of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s were also examined. Methods: We tested 70 person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degree of familiarity with computer: Group 1 was people with no computer competency, Group 2 had slight working experience on the computer, and Group 3 were highly competent and efficient on the computer. For each group, we executed 4 test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wedish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imple Reaction Time, Addition, Symbol Digit, and Finger Tapping Speed). Three types of keyboard were applied for all three groups. Type 1 keyboard was a conventional layout with 106 keys. We removed the unused keys except for the 17 which were used in the test and remodeled the normal keyboard into Type 2 keyboard with 17 keys (10 numeric keys, 4 arrow keys, space bar, and both CM keys). Type 3 keyboard with 11 keys consisted of 10 numeric keys and the space bas was newly developed for the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performanc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Simple Reaction Time, Addition, and Finger Tapping Speed were not affected by familiarity with computer and type of keyboard. The mean reaction time of Symbol Digit adjusted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with Type 1 keyboard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F=3.347, p=0.041). The performance of Symbol Digit in Group 1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Group 2. The performances of Symbol Digit measured with Types 2 and 3 keyboards were not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ee groups. In Groups 1 and 3, the performances of Symbol Digit measured with Type 1 keyboar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keyboard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imple Reaction Time, Addition, and Finger Tapping Speed have high priority over other neurobehavioral tests for the workers having varying degrees of computer familiarity. It is also suggested that familiarity with computer and keyboard type needs to be considered in interpretation of the performance of Symbol Digit. We recommended executing the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 with keyboards 2 or 3 to reduce the effect of computer familiarity.

      • KCI등재후보

        대구지역 치과의사들의 누적외상성 장애에 대한 조사

        전만중,사공준,이중정,이희경,정종학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1

        목 적 :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누적외상성 장애의 증상유병률 및 양상을 조사하고 그 관련요인을 규명하여, 다양한 직종별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기초자료 제공 및 직종별 비교를 통한 누적왁상성 장애의 예방대책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방 법 대구광역시에서 진료행위를 하고 있는 치과의사 512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요인과, 진료관련특성, 사회심리적요인, 자각증상에 대해 설문 조Al하였다. 사회심리적 특성으로는 직무요구도(5항목), 정신신체적 긴장도(5항목), 직무불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Karasek, 1994), A형 행동양상도 함께 측정 하였다.자각증상에 대한 조사는 송동빈 등(1997)에 의해 개발된 자각증상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목, 어깨, 팔 및 팔꿈치, 손목, 손가락, 등에 통증이나 쑤심, 저림등의 불편한 증상과 관련된 변수들을 조사하였다.조사된 결과는 N10SH의 근골격계장애에 대한 감시를 위 한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결 과 : N10SH 감시기준에 의한 누적외상성 장애 증상호소율이 63.3 %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증상호소부위는 어깨, 목, 허리, 손과 손목, 무릎, 발과 발목의 순이였다. 진료위치는 9시에서 10시 방향에서의 접근이 가장 많았으며 이들 중 어깨 부위의 증상호소율이 가장 높았다.근무경력은 5년에서 10년 사이가 가장 많았으며 이들도 목과 어깨부위의 증상호소율이 가장 높았다.대상자들이 주로 보는 환자에 따른 증상 호소율은 치주치료를 주로 하는 경우 증상호소율이 가장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30~◎세에서 증상호소율이 70 %로가장 높았다. 성별로는 여성에서 증상호소율이 높았으며, 미흔인 대상자에서 증상호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일일 진료환자수에 따른 증상호소율은 21명 이상을 진료하게 되는 군에서 70 %로 가장 높았다.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정신신체적긴장도와직무요구도가 높을수록 누적외상성 장애의 증상호소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형 행동양상을 보일수록증상호소가 높았으며, 쳐근 3개월 동안에 진료위치를 변경한 경우도 증상호소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결 론 : 조사한 일반적, 직업적 특성, 진료판련특성 및 사회심리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변량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성에서 누적 외상장애증상발현위험이 남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정신신체적 긴장이 높을수록, A형 행동양상 일수록누적외상성 장애증상 발현위험이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치과의사의 경우 숙련되고 섬세한 근골격계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해야 한다는 특성파 불안정한자세를 장시간 취해야 한다는 작업적 특성으로 인한근골격계 장애의 발생은 물론이고 환자 만족도에도신경을 써야하는 등의 정신적 스트레스도 누적외상성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인이라 할 수 있겠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symptom prevalence and aspects of symptoms for cumulative trauma disorders in dentists and elucidate their associated factors. Methods : A questionnaire-based investigation on demographic factors, work-related characteristics, psychosocial factors and symptoms of 512 dentists practic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Subsets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including job demand(5 items), psychosomatic strain(5 items), job insecurity, and type A behavior were also assessed. For the evaluation of symptoms early developed questionnaire by Song (1997)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arameters related to pains in the neck, shoulder, arm and elbow, wrist, finger, back or discomforts, such as pricking and numbing. Results : The symptom prevalence of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alculated based on NIOSH criteria, was high at 63.3%; the most frequent site of complaint was the shoulder, followed by neck, back, hand and wrist, knee, foot and ankle. The most common approach position was direction of 9 to 10 o'clock. Most subjects had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those with such years of experience also complained most frequently of symptoms in the neck and shoulder areas. As to rate of symptom complaint according to the type of dental procedure, the highest rate was associated to peri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ge, those between the age of 30-40 had the highest symptom prevalence rate at 70 %. According to sex, women had the higher symptom prevalence rate. Unmarried subjects also had higher symptom prevalence rate. The results of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sychosomatic strain and job demand, the higher the symptom prevalence rate of cumulative trauma disorders. Moreover, the higher the score of type A behavior, the higher the symptom prevalence rate, and even those who changed the location of their practice for the last three months also showed high symptom prevalence rate. Conclusions : The results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ch incorporated demographic, work-related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that women were at a higher risk than men in developing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nd that the higher the psychosomatic strain and more frequent type A behavior, the higher the risk of developing cumulative trauma disorders. The above results seem to suggest that not only continual, repeated fine and skillful musculoskeletal movements and lengthy hours in an uncomfortable position but also the psychological stress related to patient satisfaction, can lead to cumulative trauma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