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세기 금석문을 통해 본 신라 관등제의 정비과정

        전덕재(Jeon Deog-jae) 한국목간학회 2010 목간과 문자 Vol.5 No.-

        본 논고는 신라가 마립간시기에 干支관등을 설치한 과정과 아울러 520년 무렵에 고구려의 관등을 참조하여 大舍와 그 이하의 하위관등을 설치하였음을 살핀 것이다. 마립간시기에 처음으로 干支를 칭한 존재나 그에 버금가는 왕족 등을 及干支와 沙干支로 구분하여 位階化하고, 그 이후에 壹吉干支, 阿干支, 波珍干支, 壹干支, 壹伐干支를 단계적 또는 한꺼번에 사간지의 상위 관등으로 설치하였다. 일벌간지와 파진간지, 일길간지는 壹伐(一伐), 彼旦(彼日), 壹吉이란 관등에다 干支를 덧붙여 생성된 관등이고, 壹干支와 阿干支는 技能人에서 유래한 壹尺과 阿尺관등을 참조하여 설치한 것이었다. 이사금 시기에 이미 舒弗邯을 설치하였음이 확인되는데, 마립간시기에 새로이 일벌간지를 설치하면서 두 관등의 성격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520년(법흥왕 7)에 京位17관등과 외위 관등을 정비하였는데, 이때에 고구려의 使者, 兄, ?衣, 先人관등을 염두에 두고 대사와 그 이하의 하위관등을 새로 설치하였고, 이와 동시에 壹伐, 壹尺등을 外位관등으로 轉化시켜 새로이 지방의 지배세력에게 수여한 외위제를 정비하였다. 6부체제가 해체된 6세기 전반에 喙部와 沙喙部이외의 나머지 6부 지배자들을 17관등체계에, 지방의 지배층을 외위의 관등에 모두 편제하면서 비로소 국왕 중심의 일원적인 관등체계가 성립되었다. The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illa's Government Officials Ranking System Based on the sixth century Silla Monument Jeon Deog-ja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illa's Ganji (干支) ranking system during the Maripgan Period and the introduction of Daesa (大舍) and lower ranks in about 520 following the system established by Goguryeo. It was during the Maripgan Period that Silla divided the ruling class in Ganji ranks and minor royals into Geup-Ganji (及干支) and Sa-Ganji (沙干支), and introduced, at a time or by stages, the five Ganji posts, Ilgil-Ganji (壹吉干支), A-Ganji (阿干支), Pajin- Ganji (波珍干支), Il-Ganji (壹干支) and Ilbeol-Ganji (壹伐干支) as higher ranks of Sa-Ganji. Among the new ranks, Ilbeol-Ganji, Pajin-Ganji and Ilgil-Ganji were formed by attaching a common term Ganji to the titles of Ilbeol (壹伐/一伐), Pidan (彼旦) or Piil (彼日) and Ilgil (壹吉) which refer to higher government posts while Il-Ganji and A-Ganji were conceived from Il-Cheok (壹尺) and ACheok (阿尺) originated from the technical expert. Records show that the rank of Seobulhan (舒弗 邯) was established during the Isageum Period and that it is the same rank as Ilbeol-Ganji established during the Maripgan Period. It was in 520, the 7th year of the King Beopheung, that Silla established 17 government officials ranking system for the capital and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ranking system, including Daesa (大舍) and its lower ranks conceived from the Goguryeo posts such as Saja (使 者), Hyeong (兄), Joui (.衣) and Seonin (先人). Records also show that Silla gave some of its central posts such as Ilbeol (壹伐) and Ilcheok (壹尺)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ranks as a part of the effort for the centralizaiton of the kingdom. It was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6-Pu System in the early 6th century that Silla established a king-centered unitary government system via incorporating the rulers of 6-Pu excluding Hwebu (喙部) and Sahwebu (沙喙部) into the 17 Rank System and the local ruling class into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ranking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論文(논문) : 新羅(신라) 下代(하대) 浿江鎭(패강진)의 設置(설치)와 그 性格(성격)

        전덕재 ( Deog Jae Jeon ) 대구사학회 2013 대구사학 Vol.113 No.-

        This study tries to determine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of the Paegangjin, its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in the Late Period of Silla. Paegang refers to the Taedong River, and Paegang Rigion encompassed the Hwanghae-do area of the east and west of the Jaeryeong River in the era of Unified Silla. Silla government installed the Paegangjin in Daegogseong(Pyeongsan, Hwanghae-do) in order to prepare for the potential invasion of the Balhae and to maintain a safe of the newly pioneered Paegang Rigion`s GunㆍHyeon in January of 782 Years(3 Years of King Seondeog). It dispatched the Daegam and Sogam of the Paegangjinjeon as the commander of several Garrisons located in the Paegang Rigion`s strategic point and transportation important spot, and then was to supervise them by the Dusangdaegam of Paegangjin in Daegogseong. Because of the Paegangjin was responsible for policing and patrol of the Paegang Rigion, it has been recognized as a just Tang`s Dohobu by Silla people, thereby they were renamed the Dusangdaegam to the Doho in the Middle or Late 9th century. (Dankook University / ms8794@chollian.net)

      • KCI등재

        사로국의 건국 주체세력과 그 과정

        전덕재(Jeon Deog-jae)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2

        中代에 신라인은 楊山部, 高墟部 등의 6部人들이 赫居世를 추대하여 王으로 삼고 신라를 건국하였으며, 유리이사금 9년(32)에 양산부, 고허부 등을 喙部, 沙喙部 등으로 改定하였다고 이해하였으나 그대로 신뢰하기 어렵다. 신라에서는 본래 ‘ (喙)’로 部名을 표기하였으나 고려시대에 일괄적으로 ‘梁’으로 改書하였다. 喙와 沙喙, 本彼 등 6部名은 모두 경주 분지의 지명에서 유래되었고, 사로국을 구성하는 단위 정치집단으로서의 성격을 지녔다. 기원 전후 무렵에 月城 근처에 위치한 本喙(及喙)集團과 조양동 및 구정동 지역에 위치한 本彼集團이 연합하여 辰韓 小國의 하나인 斯盧國을 건국하였고, 기원 1세기경에 내남면 덕천리에 위치한 새로운 喙集團, 즉 沙喙集團이, 기원 2세기경에 서면 사라리에 위치한 牟喙集團이 사로국의 단위 정치집단으로 새로 편입되었다. 그리고 3세기 후반 이전에 천북면과 강동면에 위치한 새로운 彼集團, 즉 斯彼集團이, 3세기 후반 무렵에 감포읍과 양남면, 양북면에 위치한 漢祇集團이 사로국의 단위 정치집단으로 새로이 편제되면서 사로국은 비로소 6부집단이 연합한 국가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In the middle era, the people of Silla were understood that Silla state founded by bolting the people of 6bu, such as Yangsanbu, Goheobu, etc, King Hyeokgeose, and that Yangsanbu, Goheobu, etc, had been revised to Hwebu, Sahwebu, etc, in 9th year of the Yuriesageum’s Reign, but it is difficult to believe it literally. Silla people marked Bu names as Hwe(喙) primarily, but rewrote it in an lump to Yang(梁) in early Goryeo Dynasty. The name of 6bu, such as Hwe(喙), Sahwe(沙喙), Bonpi(本彼), originated from the local name of the Gyeongju Basin, and had features of local political groups composing Sarogug. Around A.D. Bonhwe(Guekhwe)-groups located near the Weolseong, and Bonpi-groups located in Joyangdong and Gujeongdong, Gyeongju City, united and founded Sarogug, one of the Jinhan small country, around 1st century new Hwe-groups, in other words Sahwe-groups, located in Deogcheonri, Naenammyeon, and around 2nd century, Mohwe-groups located in Sarari, Seomyeon, were newly included to Sarogug as a local political group. And before late 3rd century, new Pi-groups, in other words Sapi-groups, located in Cheonbukmyeon and Gangdongmyeon, and around late 3rd century, Hangi-groups located in Gampoeup and Yangnammyeon, Yangbukmyeon, had newly organized as local political group of Sarogug, so that Sarogug could fulfill the conditions of united nation of 6bu-groups.

      • KCI등재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Political System during the Three Kingdoms Era

        Jeon Deog Jae(전덕재)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8 No.-

        삼국초기에 고구려와 백제의 5부, 신라의 6부는 다양한 계층을 포괄하고 그 내부의 소규모 정치체인 부내부를 누층적으로 편제시킨 구조를 갖춘 지역집단이었다. 당시 5部나 6部는 내부의 통치에 대하여 자치권을 행사하는 한편, 그보다 상위의 정치권력인 왕권의 통제를 받으면서 각 국가의 중요한 통치 단위로서 기능하였다. 이때 삼국의 정치체제는 이러한 성격의 ‘部’에 의하여 규정받았다는 의미에서 5부체제 또는 6부체제라고 부른다. 고구려는 3세기 후반, 백제는 5세기 후반, 신라는 503년대에 단위정치체적인 성격의 5부나 6부가 왕경의 행정구역단위로 바뀌었다, 삼국은 이와 동시에 삼국은 부체제를 극복하고 왕권 중심의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를 구축하였으며, 部 및 지방 복속소국의 지배세력들을 국왕 중심의 일원적인 관등체계에 편제시켰다. 나아가 삼국은 공통적으로 지방의 복속소국이나 읍락집단을 국가의 지방통치조직으로 재편한 다음, 거기에 지방관을 파견하여 전 영역을 직접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 지배체제, 즉 중앙집권적인 영역국가체제를 정비하였다.

      • KCI등재

        상고기 신라의 동해안지역 경영

        전덕재(Jeon, Deog-ja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역사문화연구 Vol.45 No.-

        본고는 3세기 후반∼6세기 전반 신라의 동해안지역 진출과 경영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신라는 3세기 후반에 동해안지역으로 진출하여 濊族의 읍락과 취락들을 복속시켰으며, 전략적 요충지에 城을 쌓거나 軍鎭을 설치하고, 거기에 城主 또는 鎭主를 파견하여 왜나 말갈(동예)의 침략에 대비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예족을 지배·통제하도록 하였다. 400년에서 450년대까지 고구려가 포항 이북의 동해안지역을 지배하였고, 450년대에 신라가 동해안지역을 다시 차지한 다음, 예족의 읍락을 행정촌으로 편제하는 사업을 전개하였다. 신라는 510년대까지 행정촌의 지배자에게 어느 정도 자치를 보장해주다가 520년 무렵에 촌의 지배층 모두에게 外位를 수여하면서 그들에 대한 통제와 관리를 더 강화하였다. 5세기 이전에 신라는 동해안방면에서 침략하는 왜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또는 언어와 생활풍속이 다른 濊族이 신라에 叛旗를 들 수 있는 가능성이 常存하였기 때문에 예족의 전통적인 지배기반을 최대한 보장해주면서 그들을 간접적으로 지배·통제한 것으로 보인다. 5세기 중반 이후 신라는 동해안지역을 영역화하는 과정에서 먼저 친신라적인 예족을 일반 公民으로, 반신라적인 성향의 濊族을 집단적으로 奴人으로 규정하여 차별 대우한 다음, 그 후에 다시 노인을 公民의 신분으로 상승시키는 작업을 추진하였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East Sea coastal area expansion and management of the Silla in the late 3rd∼early 6th century. Yejok(Ye-ethnic group) lived in the East Sea coastal area was ruled by Silla having made inroad to there in the late 3rd century. Silla built a castle and installed a military quarters to the strategic point, and then the lord of castle and the military base commander was dispatched there. They are tasked to prepare for the invasion of Whae and Malgal(Dongye), as well as they have been given a mission to dominate, control Yejok. Goguryeo dominated the East Sea coastal region north of Pohang from 400 years to 450's. After having occupied the east coast area again from Goguryeo in 450's, Silla government set to promote the operations that the town of Yejok restructured the administrative village. For a while guaranteeing a certain degree of the leader of the administrative village autonomy, Silla had been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trol on them by granting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rank to the village ruling class in 520 years. Prior to the 5th century,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invasion of Whae from the east coast toward, and because there was always likely to go Yejok using different language and being different living traditions revolt against Sllla, it dominated, controled indirectly Yejok by ensuring as far as possible with their traditional ruling foundation. Since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having defined a pro-Silla Yejok as general citizens and an anti-Silla Yejok as Noin in the course of setting to promote the operations that the eastern coastal areas restructured the Silla's territory, Silla, the former and the latter were discriminated against, and after that Silla promoted to the Noin to rise to the status of a general citizen.

      • KCI등재

        椵岑城의 位置와 그 戰鬪의 역사적 성격

        전덕재(Jeon, Deog-Jae) 부산경남사학회 2013 역사와 경계 Vol.87 No.-

        ?岑城은 현재 충북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에 위치하여 가지산, 즉 갓산, 또는 갖산으로 부른 비봉산의 산성으로 고증된다. 7세기 중반에 비봉산 서쪽의 원당리 대왕산성에 助比川城을 쌓고, 행정촌의 이름을 가잠성에서 조비천성으로 바꾸었다. 611년에 隋煬帝가 고구려 정벌을 가시화하자, 이를 틈타 백제가 611년 10월에 가잠성을 공격하여 차지하였다. 618년에 수나라와 전쟁을 치른 고구려가 신라를 적극 공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신라가 백제의 가잠성을 공격하여 빼앗았다. 그 후 628년에 백제가 가잠성을 공격하였다가 실패하였다. 655년 정월에 백제가 조비천성을 빼앗았다가 곧바로 신라가 다시 그것을 탈환하였다. 영동군 양산면지역은 백제와 신라에서 상대방을 강력하게 압박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라는 점에서 7세기 전반에 세 차례에 걸쳐 치러진 가잠성전투는 그 후 신라와 백제의 운명을 가르는 중요한 역사의 분수령이 되었다고 규정할 수 있다. The fortress of the Bibongsan Mountain, currently located in Gagog-Ri, Yangsan-Myeon, Yeongdong-Gun, Province of Chungcheongbuk-Do, and called Gajisan or Gatsan in the past was estimated to the Gajamseong Fortress of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Silla government built the Jobicheonseong Fortress to Daewangsan Mountain of Wondang-Ri located in the west of the Bibongsan Mountain in the second half of the 7th century, and then changed the name of the administrative village to Jobicheonseong from Gajamseong. Sui Yang-di has let the visualization the Goguryeo conquer in 611 years, Baekje was occupied by attacking the Gajamseong Fortress of Silla in October 611 years to take advantage of this opportunity. In the circumstances that Goguryeo was highly difficult to attack Silla, because of the war with Sui dynasty in 618 years, Silla was occupied by attacking the Gajamseong Fortress of Baekje. After that, Baekje attacked there in 628 years, but defeated by Silla. Baekje occupied the Jobicheonseong in January 655 years, however, as soon as the Silla reclaimed it from the Baekje again. Because Yangsan-Myeon areas is a strategic point that can strongly influence the other party, Baekje and Silla, it is defined that the Gajamseong battle of taken three times in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became a watershed of deciding the fate of Baekje and Silla after that times.

      • KCI등재

        신라 진흥왕의 巡幸과 巡幸路 고찰

        전덕재(Jeon, Deog-jae) 신라사학회 2023 新羅史學報 Vol.- No.57

        본 논고는 娘城의 위치 비정 및 진흥왕의 낭성 순행 목적과 그 의미, 북한산진흥왕순수비의 건립 연대와 568년 진흥왕의 巡幸路, 新州의 동북 경계의 변화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나오는 娘城은 충주지역에 위치한 지명이었으나, 고려 말기에 옛 琅琊郡과 琅琊國의 영역이 명나라 靑州府에 소속되었던 사실을 감안하여 淸州를 琅城이라 別稱하는 관행이 나타났고, 조선 후기에 琅城을 娘城의 異表記로 이해하면서 娘城 역시 청주의 별호라 부르기도 하였음이 확인된다. 진흥왕은 551년 3월에 娘城에 巡幸하여 소백산맥 이북의 赤城(단양군 단성면)과 國原(충북 충주시)을 새로 신라의 영토로 편제하였음을 대내외에 선포하는 한편, 한강유역으로의 진출을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였다. 金武力의 관등이 553년(진흥왕 14)에 阿飡이었고, 북한산비와 561년에 건립된 창녕비에 그의 관등이 迊干이었다고 전하는 사실 및 북한산비와 568년에 건립된 마운령비에 진골 출신인 未智의 관등이 모두 大奈末이라 전하는 사실 등을 감안하건대, 북한산비는 568년에 건립되었다고 봄이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마운령비와 황초령비, 북한산비 등에 의거하여, 진흥왕은 568년 8월 21일에 王京을 출발하여 동해안을 따라 황초령과 마운령을 순행하였고, 10월 2일 이후에 안변을 떠나 추가령구조곡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이용하여 北漢山(한강 이북의 서울)에 이르렀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후 진흥왕은 북한산에서 충주를 경유하여 계립령을 넘어 의성, 영천 등을 걸쳐 왕경으로 귀환하였다. 553년 이후에 신라는 철원지역까지 新州의 영역을 확장하였다가 590년을 전후한 시기에 娘臂城(경기도 포천시 군내면의 반월산성) 이북의 영토를 고구려에게 빼앗겼으며, 629년(진평왕 51) 8월에 낭비성을 차지하고, 다시 철원지역 등을 新州의 영역으로 편제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historical research on the location of Nangseong(娘城) and the purpose and meaning of King Jinheung’s Patrol of Nangseong, the year of construction of Bukhansan(北漢山) King Jinheung’s Patrol Memorial Stone, the King Jinheung’s route of Patrol in 568, the changes in the northeastern boundary of Sinju(新州). Nangseong in the Samguksagi Sillabongi was a place name located in the Chungju region, but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people began to refer to Cheongju(淸州) as Langseong(琅城),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territory of the old Nangya-gun and Nangya-guk belonged to Cheongju-bu(靑州府) in the Ming Dynasty. And it is confirmed th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Nangseong was understood as another spelling of Langseong, Nangseong was also called as another nickname for Cheongju. In March 551, King Jinheung went to Nangseong, proclaiming to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at Jeokseong (Danseong-myeon, Danyang-gun) and Gukwon(Chungju-si, Chungcheongbukdo), located north of the Sobaek Mountains, were newly incorporated into Silla’s terri tory, while established a specific strategy to promote advancement into the Han River basin. Considering the fact that Kim Muryeok’s official rank was Achan(阿飡) in 553(the 14th year of King Jinheung’s reign) and his official rank is recorded as Japgan(迊干) on Bukhansan Stele and Changnyeong Stele built in 561, and the fact that it is said that the official rank of Miji, who was of Jingol status, was Daenamal on Bukhansan Stele and Maunryung Stele built in 568,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Bukhansan Stele was built in 568. Based on the Maunryeong, Hwangchoryeong and Bukhansan Stele, we can deduce that King Jinheung departed from the capital(Gyeongju) on August 21, 568, and left Anbyeon after October 2nd and arrived at Bukhansan(Seoul located north of the Han River) by using the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the Chugaryeong Valley. Afterwards, King Jinheung reached Chungju from Bukhansan, and from there, crossed Gyeripryeong, passed through various regions such as Ui seong and Yeongcheon, and returned to the capital. After 553, Silla expanded the territory of Silla to Cheolwon, and around 590, the territory north of Nangbiseong (Banwolsanseong in Gunnae-myeon, Pocheon-si, Gyeonggi-do) was lost to Goguryeo, and occupied Nangbiseong in August of 629 (the 51st year of King Jinpyeong), and organized the Cheolwon area into Sinju’s territory again.

      • KCI등재

        조선시대 영남지역 포구와 나루의 변천

        全德在(Deog-Jae Jeon)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6 島嶼文化 Vol.28 No.-

          본고는 낙동강 유역에 위치한 조선시대 포구와 나루의 변천을 고찰한 것이다. 古代에 낙동강유역에 위치한 나루들은 신라가 가야 및 백제와 낙동강을 경계로 접전을 벌일 때에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되었고, 고려시대에는 낙동강 수로를 이용한 선박들의 寄港地로서 주로 활용되었다. 특히 창녕읍 남지읍 용산리와 부산 광역시 북구 화명동 용당마을에 위치한 두개의 伽倻津에서는 龍堂(伽倻津溟所와 伽倻津衍所)을 짓고 龍神에게 제사를 지내 선박과 선원의 무사 안전을 기원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田稅穀을 운반하는 경로나 倭使의 往還路에 위치한 낙동강가의 나루들이 주목을 받았고, 조선후기에 漕運制度의 변천으로 전세곡을 積載한 배가 출발한 나루나 漕倉이 설치된 포구와 나루, 그리고 수로와 육로교통의 결절점에 위치한 포구와 나루들이 교역중심지로 성장하였고, 19세기 후반에 낙동강 수로를 통행하는 선박들이 급증하자, 각 衙門이나 宮房 등에서는 선박들의 移出入이 잦은 포구와 나루에 收稅所를 설치하여 通過稅를 징수하기도 하였다. 조선후기에 낙동강가에 위치한 포구와 나루들이 교역중심지로 성장한 것은 영남 내륙지방에서 이들을 중심으로 상품화폐경제가 먼저 발달하여 주변으로 확산되었음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In this paper, the change of ports and ferries in Nakdong-river area at Joseon dynasty were studied. Ferries in Nakdong-river were used for strategic points when the war was held between Silla and Gaya or Baekjae in ancient times. In Goryeo dynasty, these ferries were mainly used as ports of call for ships that ran the Nakdong-river channel. Especially, at two Gayajin, Yongsan-ri Namji-eup Changnyung-gun and Yongdang-maeul Hwamyoung-dong Busan-si, dragon shrines were built (Gayajin-myoungso, Gayajin-yeonso), and held a sacrifice for the safety of ships and crews. In Joseon dynasty, the transferring route for grain paid as a tax or round trip route Japan were getting attention. On later Joseon dynasty, with the change of taxation transportation regulation, ferries for ships that carry grain paid as a tax, or ferries and ports with taxation warehouse and in traffic node between land and sea transportation were improved to the central point of trading. In later 19th century, the ships that passed Nakdong-river channel were greatly increased, and government office and palace house installed taxation office in ferries and ports of frequent tradings to collect transit duty. The improvement of ferries and ports in Nakdong-river as central trading point indicates that the goods and monetary economy into inland area of Youngnam were spreaded from these ferries and por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