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들은 왜 기꺼이 어려움을 감수하는가? : 한 공동육아협동조합원들의 공동육아 경험을 통해 본 사회적 육아의 의미

        전가일(Jeon, Gail)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한 공동육아협동조합원들의 공동육아 경험을 통해서 우리 사회에서 ‘아이 함께 키우기’라는 사회적 육아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17년째 공동육아조합의 형태로 기관을 운영해 온 경기도의 한 공동육아조합을 연구 현장으로 선정하였으며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부모조합원 4인과 교사조합원 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조합원들의 조합 활동과 유아들의 실내외 활동에 관한 참여관찰 자료와 현지자료,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에믹 코딩(emic coding)하여 자료의 패턴을 파악하여 주제화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공동육아의 어려움은 비용, 참여, 책임, 관계의 부담과 불안정감, 비체계적인 의사결정과정 등이었으며,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공동육아조합을 유지하는 이유는 ‘자녀를 위한 최고의 선택’, ‘공동체적 관계 형성’, ‘자기 성장의 장’, ‘아이 함께 키우기’, ‘나를 넘어서 우리를 생각하기’ 등을 경험하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육아의 의미를 ‘서로 둘러보기’, ‘다양성 인정하기’ ‘함께 살기’로 주제화하였다. 이 연구는 공동육아조합 내부의 목소리를 통해 사회적 자본으로서 공동육아가 가진 성격과 사회적 육아 모델로서 공동육아조합의 가능성과 한계를 드러내고, 우리 사회가 사회적 돌봄을 다양화할 방법과 유아교육기관의 다양화 확장 방법 등에 통찰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aimed at revealing the meaning of raising children together , that is, social parenting in our society through the experience of joint parenting by members of a co-parenting cooperative. For the purpose of the above study, this study uses a joint childcare cooperative in Gyeonggi-do, which has operated an institution in the form of a cooperative parenting cooperative for 17 years, wit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Four parents and two teacher union members who volunteered to interview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includes participatory observation data, local data,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regarding the union activities of the members,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of the infants, and all the materials were subject to the subject by identifying patterns of the data by emic cod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ifficulties of joint parenting experienced by participants were cost, participation, responsibility, relationship burden and instability, and an unstructured decision-making process. It was because they experienced the best choice, community relationship formation , the field of self-growth , raising children together , and thinking us beyond me . Through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meaning of social parenting as look around each other , admit diversity and live together . This stud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co-parenting as a social capital an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co-parenting as a social parenting model through the voices of the co-parenting, and how our society can diversify social care and diversif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t could contribute to providing insights, such as expansion methods.

      • KCI등재

        동네 놀이터의 특징과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전가일 ( Gail J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이 연구는 한 동네 놀이터 관찰을 통해 아이들의 자유로운 바깥놀이의 장인 놀이터의 특징과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놀이터 두 곳을 연구 현장으로 정하여 대략 8개월간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관찰 자료는 vanManen(2014)이 현상의 분석 틀로 제안한 다섯 가지 실존체(시간, 관계, 공간, 신체, 사물)로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실존체를 초점으로 분석한 놀이터의 특징은 어느 한 방향으로 정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대칭적이었다. 놀이터의 시간적 특징은 ‘반복’과 ‘차이’로, 놀이터의 관계적 특징은 ‘병렬적’이며 ‘서열적’인 것으로, 놀이터의 공간적 특징은 ‘뚜렷한 공간 구분’과 ‘경계의 애매함’으로, 놀이터의 신체적 특징은 ‘규제 받는 신체’와 ‘모험하는 신체’로, 놀이터의 물적 특징은 ‘놀이를 길들이는 놀이 기구’와 ‘쓰임새을 뒤트는 아이들’로 주제화 하였다. 이를 통해 동네 놀이터는 놀이가 아이들의 실존의 한 방식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장이며,놀이터의 특징은 놀이터라는 대상과 아이들의 노에시스 그 사이의 상관작용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관 외에서 일어나는 아이들의 자유로운 실외놀이를 살핀 연구가 매우 드물다는 측면에서 아이들의 놀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관련 연구들에 기본적 논의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playground and its meanings. Two local playgrounds were selected as study sites and observed for 8months. Data selected were analyzed under van Manen(2014)’s analysis frame, existentials of lived time, lived relationships, lived space, lived body and lived things. The analysis of playground characteristics focused on each of the existentials are not one sided but contradictorily two sided. The features of the playgrounds are thematized. Time features are thematized as repetition’ and ‘difference’, relationship features as ‘paralleled’ and ‘ordered’, space features as ‘boundary distinctive’ and ‘boundary vague’, body features as ‘body under security regulation’ and ‘body under adventure’, and material features as ‘taming equipment’ and ‘children twisting its use.’ It is understood through these 5 symmetric features that playground is place which shows play is one way for children’s existence and made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object(playground) and children’s noesis This study may extend understandings on children’s play and provide basic arguments in that there rarely are studies that examine children’s outdoor play outside early childhood institution.

      • KCI등재

        반상(盤上) 위에 펼쳐진 포스트휴먼 페다고지 탐색

        전가일(Jeon, Gail)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사조에 기반하여 새로운 실험적 페다고지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바둑 관련 기사와 기보 및 사진, 한국기원 기록실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년 이상 프로기사로 바둑을 두고 바둑교육을 해온 프로9단 3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바둑두기에서 드러난 포스트휴먼적 독특성은 코드화된 말이 아닌 리좀 운동의 단자로서의 바둑 돌, 외부적 관계망으로 유목하는 ‘전쟁기계’인 반상의 질서, 끝없는 영토화와 탈영토화를 통한 차이 반복의 과정인 반상의 전투로 이해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 3인의 바둑두기와 바둑교육 경험을 통해 사범이란 ‘배우는 이들과 함께 길을 모색하는 존재’, ‘제자의 공과功過를 같이하는 자기 확장의 존재’, ‘공동체적 책임에 반응하는 존재’로 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바둑의 세계에 드러나 포스트휴먼 페다고지의 독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해했다. 첫째, ‘답이 없는 세계에서 최선의 길을 모색하다.’ 둘째, ‘지는 것을 배우며 위베맨쉬를 향하다.’ 셋째, ‘차이를 반복하여 놀이함으로 예술이 되다.’ 넷째, ‘인공지능과 겨루고 배움으로 포스트휴먼이 되다’ 이 연구는 뉴노멀 시대를 사는 우리가 준비해야 할 미래 교육을 위한 포스트휴먼적 페다고지를 구성하는데 모종의 통찰을 제공할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hilosopher Deleuze, who initiated a new materialism posthuman trend for the purpose of seeking a new experimental pedagogy based on the posthuman trend. He pointed to Baduk(Go) as an example of a war machine that creates a decoded space, and this study seeks to gain insight into the experimental pedagogy of post-humans exposed in the world of Go. For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Baduk-related articles, and data from the Korea Baduk Association. And this study selected three Go professional player (9th level) who have been teaching and playing Baduk more than 20 years as research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ost-human uniqueness revealed in Go is not a coded word, but a Go-stone as a terminal of the rhizome movement, the order of Bansang, a ‘war machine’ that drifts through external relational networks, and Bansang, a process of repeating differences through endless territorialization and deterritorializ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was revealed to the world of Baduk and understood the uniqueness of post-human pedagogy as follows. First, ‘searching for the best way in a world without answers.’ Second, ‘Learning to lose and heading towards Supperman(Ubermensch).’ Third, ‘It becomes art by repeating the difference.’ Fourth, ‘Becoming a post-human by compet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