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486 : 원발성 폐암에서 동반된 단독 위전이 1예

        장효진,현명수,이경희,고성애,정다은,정지윤,구은주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3 No.1

        혈행성으로 위장관 전이가 일어나는 것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고되는 암종으로 주로 악성 흑색종, 유방암, 폐암이 간간히 보고 되고 있지만, 폐암의 위전이는 드물다. 저자 등은 먼저 내시경에서 위의 종양이 발견된 후 병기 결정으로 필요한 CT를 확인 후 발견된 폐종양을 중복암이라 판단하고, 이후 시행한 아위전절제술후 시행한 면역화학검사상 원발성 폐암과 동시 단독 위전이로 확진한 1예를 경험하었기에 이에 보고한다. 69세 남자환자가 내원 전날부터 시작된 토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고혈압과 척추측만증으로 소염진통제와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가족력상 특이소견은 없었다. 내원당시 혈압 160/80 mmHg, 맥박은 분당 91회 체온은 36.5℃이었다. 결막은 창백하였으며 공막의 황달 및 경부, 액와부의 림프절 종대는 없었다. 폐야 청진상 수포음 등의 특별한 소견 없었으며, 복부진찰에서 압통은 없었고 간이나 비장종대, 만져지는 종물은 없었다. 말초혈액검사상 백혈구 10,140/uL, 혈색소 14.7 g/dL, 적혈구 용적 43.5% 혈소판 243,000/uL 이었다. 내시경을 응급으로 시행하였고 당시 위에서 출혈현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위체 중부에 2.5 cm의 크기의 위 점막 주름이 융합되어 있는 형태의 중심부 함몰궤양이 관찰되었고,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단순 흉부 방사선 검사상 우하엽에 의심스러운 결절 음영이 관찰되었으며 흉부 CT상 우하엽에 2.2 cm 크기의 spiculated한 결절이 관찰되었고 결핵을 앓은 흔적으로 보이는 섬유화 병변이 관찰되었다. 흉부 단층촬영에서 다발성의 석회화된 종격동 림프절, 우측 기관방 림프절 종대가 관찰되었다. 복부 CT상 위의 병변 및 주위 림프절 종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담낭, 췌장, 비장 등에는 특이소견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후 시행한 PET CT상에서 위와 폐병변 외에는 다른 장기 침범은 보이지 않았다. 위내 병변에서 시행한 조직검사에서 미분화형 선암으로 진단되었으며, 이후 폐병변에 경피적 침생검을 시행한 조직에서 선암으로 나왔으나, 면역조직검사상 TTF-1이 양성으로 나와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하였다. 위와 폐의 각각의 조직검사 결과와 방사선 소견을 종합하여 처음 생각했던 위암의 폐전이가 아닌 각각 생긴 동시성 중복암으로 진단하고, 수술을 진행하기로 하였고, 먼저 위암에 대한 수술을 하였다. 아전위절제술을 시행한 상의 조직검사상 선암이었으나, 면역조직검사를 진행한 결과 TTF-1이 양성으로 폐의 원발전이로 확인되었다. 이후 폐의 방사선 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추후 폐암 병기 4기에 준해 항암치료를 할 계획이다.

      • KCI등재

        시선추적 기법을 활용한 VR 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장효진,장선희,김인주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8 애니메이션연구 Vol.14 No.3

        Storytelling of virtual reality contents is accomplished by experiencing by the enjoyer himself. They seeks space and interprets meaning through objects that attract at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series of mechanisms to control the gaze toward the outside of the limited visual field and to control the gaze behavior according to the content. Using the gaze tracking system that reflects 360 spatial coordinates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we made the storytelling analysis by deriving the elements that allow the enjoyer to experience the VR contents and to divide the commonly understood points and induce the gaze. As a result, the category of gaze induction could be divided into ‘seek’, ‘selection’, and ‘shift’ through the enjoyment process of the enjoyers, and the gaze design elements belonging to these categories were presented. The main visual design elements belonging to these categories were ‘sound’, ‘character gaze’, ‘movement of character (object)’. Understanding the gaze induction mechanism and interac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se sight-line design elements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storytelling research of VR contents. 가상현실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은 향유자가 직접 경험하는 것을 통해 완성된다. 향유자는 공간을 탐색하고주의를 끄는 대상을 통해 의미를 해석해서 콘텐츠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정된 시야 바깥쪽으로 시선을 돌리도록 하는 것과 콘텐츠에 맞는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일련의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가상현실 콘텐츠의 360° 공간 좌표를 반영한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하여 향유자들이 VR콘텐츠를 경험하도록 하여 시선행동을 기록하였다. 피실험자들이 콘텐츠를 통해 공통적으로 이해한 ‘구성점’에서 시선을 유도하는 요소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스토리텔링 분석을 진행하였다. 향유자들의 콘텐츠 향유 절차를 관찰한 결과 시선유도의 범주는 ‘탐색’, ‘선택’, ‘이동’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들 범주에 속한 주요 시선디자인 요소로 ‘사운드’, ‘캐릭터 시선’, ‘캐릭터(오브젝트)의 이동’ 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시선디자인 요소를 통한 시선의 유도와 상호작용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VR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연구에서 점차 중요해질 것이다.

      • KCI등재

        악간고정 제거 후 능동적 하악운동의 효과: 비무작위 대조군 설계

        장효진,김명희 한국간호과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8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ctive mandibular exercise (AME) in patients with limited mouth opening after maxillomandibular fixation (MMF) release. Methods: The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a pre test-post test design. Sixty-two patients with Maxillomandibular Fixation Release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n=31) or control group (n=31). The AME was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4 weeks. The exercise AME consisted of maximal mouth opening, lateral excursion and protrusive movement. These movements were repeated ten times a day. After the final exercise of the day, the number of tongue blades used for mouth opening was noted. The effect of AME was evaluated after MMF release at different time intervals: a) immediately, b) after 1 week, c) after 2 weeks, d) after 4 weeks, and e) after 12 weeks. The exercise was assessed using the following criteria: a) mandibular movements, b) pain scores associated with maximal mouth opening, c) discomfort scores associated with range of movement, and d) daily life activities that involve opening the mouth.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regarding the range of mandibular movements (maximal mouth opening (F=23.60, p<.001), lateral excursion to the right side (F=5.25, p=.002), lateral excursion to the left side (F=5.97, p=.001), protrusive movement (F=5.51, p=.001)), pain score (F=39.59, p<.001), discomfort score (F=9.38, p<.001). Daily life activities that involve opening the mouth were more favorable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AME in patients after MMF release is helpful for increasing mandibular movement range, decreasing pain and discomfort, and improving day life activities that involve opening the mouth. Therefore, AME is highly recommen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 KCI등재

        A Study on National Wetland Evaluation for the Selection of Priority Control Target Wetlands in South Korea

        장효진,이관규 대한토목학회 2013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7 No.7

        The Kore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has promoted the designation of key wetlands that are worth conserving as areas targeted for priority management and protection by conducting a national inland wetland investigation every 5 years as a part of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s and to assess the value of the wetlands. The national inland wetland investigation is conducted by classifying the survey methods into a general investigation to approximately determine the present situation and a detailed investigation for in-depth examination of key wetl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ystem for the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of national wetlands without any prioritization order by proposing a method that will make it easy to select wetlands for priority management. The results of the overall analysis of locational importance, scale and size revealed that the entire area of Bakdudaegan and estuaries were the most highly evaluated, receiving approximately 50 points. As a final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217 wetlands as top-grade wetlands which are 1 and 2 classess wetlands from the results of the overall analysis,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16.5% of the investigated wetlands; 323 wetlands as second-grade wetlands, or approximately 24.65%; 735 wetlands as third-grade wetlands, or approximately 56%; and 37 wetlands as fourth-grade wetlands, or approximately 3.7%. This study raises the potential necessity of conducting a preferential investigation of approximately 500 top-grade wetlands indicated by the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it is predicted that it might be possible to decrease the time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that are required to perform these surveys due to the availability of data from excavations at several additional wetlands as well as monitoring and management within the same time period if the national inland wetland investigation is targeting these topgrade wetlands and areas.

      • KCI등재

        쇼펜하우어와 덕윤리학

        장효진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2

        Virtue ethics claims itself as ‘ethics of being’ in opposition to the modern deontological ethics which can be designated as ‘ethics of doing’. Similarly, we can classify Schopenhauer’s ethics as ‘ethics of being’ as well which is known to have raised some objections to Kant’s ethics. Oddly enough, these two lines of ‘ethics of being’ do not coincide defining the relation between doing and being differently. Schopenhauer’s ethics takes the problems of moral act and moral being simultaneously and shows that in moral situation there cannot be any separation of being and doing. It makes a distinctive way of explaining while virtue ethics stresses the concept of virtue, prudence or practical knowledge for flourishing one’s life. Especially on the basis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Schopenhauer defines two fundamental problems of ethics, the ‘structure of being’ and the ‘formation of being’ made up with the concepts of ‘compassion’ and ‘saint’. As ‘ethics of being’, Schopenhauer's philosophy take precedence over the modern virtue ethics in that it can promote moral development of human beings through self knowledge, which is not different from will-to-life. 근대 의무론적 윤리학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현대 덕윤리학은 칸트의 이른바 ‘행위의 윤리학’에 대하여 ‘존재의 윤리학’을 표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쇼펜하우어의 윤리학은 칸트 윤리학에 대하여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행위와 존재 사이의 관계를 논의의 중심으로 삼는 ‘존재의 윤리학’으로 해석될 수 있다. 쇼펜하우어의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와 도덕적 존재의 문제를 동시에 취급하고 도덕적 사태에서 행위와 존재는 분리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덕’을 개인적 삶의 풍요에 도달하기 위한 ‘실천적 지혜’로 파악하는 현대 덕윤리학과 구별된다. 특히, 쇼펜하우어의 윤리학은 칸트 선험철학을 기초로 하여, 도덕적 존재로서의 ‘성자’와 그가 발휘하는 ‘자비심’을 중심으로 ‘존재의 구조’와 ‘존재의 형성’ 문제를 밝힌다. 쇼펜하우어의 윤리학은 인간이 자신의 존재에 관하여 궁극적 인식을 가지는 것 자체가 존재의 도덕성을 드러내고 함양하는 도덕적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밝히는 진정한 존재의 윤리학에 해당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