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로스와 심리치료: 사랑을 통한 치료로서의 정신분석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8 목회와 상담 Vol.31 No.-

        정신분석은 분석상황이 성립되고 유지되기 위해서, 환자를 향해 순수하게 분석적이고 중립적인 태도, 그리고 신중한 자세를 강조해왔다. 이러한 신중하고 분석적인 태도가 정신분석을 딱딱하고 차가운 심리상담이론으로 이해하도록 만들었다. 하지만 정신분석을 시작한 프로이트는 융에게 보낸 편지에서 정신분석이 사랑을 통해 치료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말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프로이트는 지속적으로 정신분석이 사랑에 기반한 치료라는 것을 수차례 강조했다. 이는 순수하게 분석적이고 중립적인 분석가의 태도와 충돌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프로이트가 언급한 사랑을 통한 치료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본 논문의 목적은 프로이트가 융에게 보낸 편지에서 했던, 정신분석은 사랑을 통한 치료라는 언급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정신분석 발전의 역사를 통해 재구성하는 데 있다. 더불어, 프로이트가 후기“문명 속의 불만”에서 도입한 삶의 충동인 에로스는 사랑을 통한 치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본 논문은 설명하려고 한다. 정신분석은 전이를 통한 치료라 불릴 만큼 전이의 문제는 핵심적인 것이다. 전이가 없다면 분석가와 환자의 감정적 관계는 발생하지 않으며, 성공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없다. 프로이트는 전이를 사랑의 재발로 묘사하면서, 분석가는 전이를 통해 환자의 성적 충동, 곧 에로스의 대상으로 채색된다고 이야기한다. 이 전이에 대한 적절한 만족은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를 수행하는 기본 토대가 된다. 이 적절한 만족의 개념은 대상관계이론을 거치면서, 투사적 동일시, 대리적 심리기구라는 개념을 통해서 더욱 확장된다. 분석가가 투사적 동일시를 통해 환자의 대리적인 심리기구가 되는 것은 치료를 일으키는 핵심적인 과정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프로이트가 이야기하는 사랑을 통한 치료가 초기 대상관계의 에로스 상황의 재연, 그리고 이에 대한 적절한 만족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곧, 사랑이 재발된 전이 상황에서, 에로스의 적절한 만족은 상담자가 내담자의 대리적 심리내적 기구가 되어 내담자가 소화시키지 못한 감정을 대신 처리해 주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 연구는 주장한다. 이는 사랑과 희생의 덕목을 강조하는 기독교의 성육신 개념에서 상담적 자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추후 연구에 기초적인 논의자료가 될 것이다. Psychoanalysis has emphasized a purely analytical, neutral attitude, and a prudent attitude towards the patient in order to establish and maintain the analytical relationship. This careful and analytical attitude has made psychoanalysis understood as a cold therapeutical treatment. But Freud, who started theinitiated psychoanalysis, viewed psychoanalysis as the treatment by love, which as could be was seen in the his letter to Jung. In addition, Freud repeatedly stressed that psychoanalysis is a love-based therapy. This seems to conflict with the attitude of a purely analytical and neutral analyst. What, then, does the treatment by love me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meaning of the treatment by love which is what Freud wrote in his letter to Jung, following the history of the psychoanalytic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how Eros, the driver of life that Freud introduced in his later article,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 relates to healing through love. Psychoanalytic therapy is based on transference, which is one of the central ways to access the Unconscious, the hidden part of our psychic psyche . Without transference,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nalyst and the patient does not occur, and successful treatment can notcannot be guaranteed. Freud describes transference as a recurrence of love, and analysts become objects of patients’ sexual drive through transference. Adequate satisfaction of the relationship colored by transference is the basis for performing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This concept of adequate satisfaction is further extended through the concept of projective identification, surrogate organization of the mind, through object relations theory. Becoming a surrogate organization of the mind for the patient through projective identification has become a key process causing of healing in psychoanalysis.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argues that Freud’s treatment through love is the reappearance of the erotic situation of the initial object relationship and the proper satisfaction of it. This study argues that the appropriate satisfaction of Eros in the context of the transference where love has recurred, can be interpreted as a process by which the therapist becomes a surrogate organization of the mind for the patient which that treats emotions that the patient has not digested. This will be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to elicit counseling resources from the concept of incarnation of Christianity that emphasizes the virtues of love and sacrifice.

      • KCI등재

        식물군락구조와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장정은 ( Jung-eun Jang ),이상철 ( Sang-cheol Lee ),강현미 ( Hyun-mi Kang ),유승봉 ( Seung-bong Yu ),신해선 ( Hae-seon Shin ),최송현 ( Song-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2

        환경과 식물, 식물과 식물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식물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결합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이 연구되고 있다. 식물사회네트워크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식물사회 분석과 기존의 종간결합분석 방법과 비교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식생구조분석을 실시하고 기존의 종간결합분석과 식물사회 네트워크를 비교 하였다. 식생조사를 위해 옛길 2구간을 대상으로 60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분석결과 60개 조사구는 해발고 800m를 기준으로 졸참나무-소나무군락(군락Ⅰ), 신갈나무군락(군락Ⅱ)으로 나누어졌다. 출현빈도 30%이상인 수종 간 상관관계분석과 DCA분석을 실시한 후 각 군락별 주요수종을 중심으로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졸참나무와 소나무, 신갈나무는 각각 -0.450**, -0.375**로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DCA에서도 1축을 따라 졸참나무와 소나무는 가까이, 신갈나무와는 멀리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40개 조사구를 추가하여 100개 조사구에 출현수종을 조사하였다. 네트워크 구조 분석결과, 378개의 연결선이 나타났고, 한 수종 당 평균 6종과 결합을 가졌다. 밀도는 0.097, 지름은 7, 평균 경로거리는 2.788로 나타났다.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은 기존 종간결합분석과 비교하였을 때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기존의 분석법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고 식물사회 구조 관찰에 용이했다. Plants Social Network(PSN) analysis combines the plant sociological method an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plant society focusing on environmental-to-plant and plant-to-plant relationships. PSN is at an early stage of research and require comparing plant society analyses in various environments and existing interspecies binding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vegetation structural analysi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and compared the existing interspecies connection analysis with the PSN. A total of 60 plots were established for a survey on the Old Trail. The TWINSPAN and DCA analysis showed that the 60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the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I) and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ommunity II) based on an altitude of 800 meters. We performed the interspecies correlation with more than 30% emergence frequency and the DCA analysi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a focus on the major species in each colony. The results showed that Quercus serrata had a correlation of -0.450** and -0.375** with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respectively. The DCA analysis also confirmed that Quercus serrata was located close to Pinus densiflora and far from Quercus mongolica along one axis. For the PSN analysis of PSN, 40 survey plots were added to investigate the species appearing in a total of 100 survey plots. The network structural analysis showed 378 links and a species having an average of 6 interspecies bindings. The density was 0.097, the diameter was 7, and the average path distance was 2.788, similar to the PSN analysis results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plant social network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existing interspecies combination analysis, enabling analyzing more data than the existing methods and observing the structure of plant society.

      • KCI등재

        놀이치료의 정신분석적 주제와 문학치료적 함축

        장정은 ( Jung Eun J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사례를 통해 아동분석관계에서 나타나는 놀이의 핵심적인 주제를 문학치료의 서사이론과 비교하고 연결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의 임상사례에서 경험한 아동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정신분석 주제는 과대자기감, 박해자로서의 초자아, 그리고 투사적 동일시이었다. 첫 번째, 아동은 부모와의 공감적인 관계의 부재에서 자기감의 결핍을 경험했고, 그 반대급부로 놀이를 통해 과대자기감을 드러내게 된다. 이것은 부적절한 자기애 환상으로 치부될 것이 아니라, 견고한 자기 구조를 향해 나아가는 일종의 자기애 발달 단계가 활성화 된 결과이다. 그렇기에 상담자는 과대자기감의 표현을 수용하는 자기대상으로 기능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과대자기감은 내담 아동의 지배와 피지배라는 내적 대상세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그 내면에 가혹한 초자아의 존재를 가정한다. 이것은 놀이의 주제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내면의 박해자로 인한 심리내적 갈등과 긴장을 표현하고 숙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세 번째, 내적 대상관계의 능동적 표현은 상담 관계에서 투사적 동일시로 일어나게 되어, 상담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놀이에서 내담 아동화 된다. 상담자는 통합되기 어려워 분리된 내담 아동의 일부분을 담아주고 다시금 독이 빠진 형태로 되돌려줌으로 치료가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이런 정신분석 주제들은 문학치료의 서사이론과 비교할 수 있다. 내담 아동이 처한 실제 현실의 입장에서 보면, 그들에 의해 창조되는 놀이의 세 주제들, 곧 과대자기감, 가혹한 초자아, 투사적 동일시는, 문학치료 서사이론에서 자녀서사로 분류될 수 있다. 자녀서사의 핵심과제가 순응에 있듯이, 정신분석적 놀이에서 표현되는 과대자기감, 가혹한 초자아, 투사적 동일시는 순응의 문제가 잘못되어 발생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공감적으로 반응하지 못하고, 참된 권위의 역할을 제공하지 못한 부모에 의해 아동의 내적 세계에서 과대한 자기의 느낌을 경험하는 것이 시급해지는 동시에 가혹한 박해자의 이미지를 가진 초자아를 내적인 한 부분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런 부모와의 인간관계의 순응에 실패한 아동은 투사적 동일시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내적 세계를 외부 대상과 일치시키려 한다. 때로 외부 대상은 내면화된 가혹한 초자아로 동일시되거나, 혹은 그 가혹한 초자아에 의해 학대받는 내면의 부분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놀이 상황에서 내담 아동들이 창조한 정신분석적 개념들은 기본적으로 자녀의 입장에서 부모와의 관계를 묘사한 자녀서사에 해당된다.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의 치료적 개입은 치료자의 새로움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적 서사가 이러한 자녀서사와 융합되는 과정으로 묘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nect key psychoanalytic themes of play therapy with literary therapeutics through my clinical case. Child analysts can verify three psychoanalytic topics in their play therapy with children. They are 1) a grandiose sense of self, 2) superego as a persecutor, and 3) projective identification. First, child patients experienced self deficits due to the absence of an empathetic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in response, they displayed grandiosity in play therapy. This can be observed as a result of reactivation of the narcissistic developmental stage that is arrested due to the lack of an empathetic response of the parents. Therefore, therapists need to allow the patients to disclose the narcissistic fantasy of grandiosity. Second, grandiosity reflects the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structure of their inner minds and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the strict superego. Play therapy provides an opportunity of making themselves the master of inner conflicts and tension produced by the internal persecutor. It can occur by experiencing a new relationship with child therapists who reveal a protecting and loving superego. Third, active expression of the inner structure occurs through projective identification in the analytic setting, and the therapists lose their identification to become an aspect of the patients` internal object. The therapists contain the patients` internal object, which cannot be integrated into the patients` inner structure and return it to them as an innoxious form. The unconscious process causes therapeutic effects. When child analysts can understand their analy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in terms of these essential concepts, they can use therapeutic interventions psychoanalytically. It is important for child analysts to see their patients` play through the lens of these concepts in order to analyze the children`s inner worlds and conflicts. This paper attempts to connect these essential topics of play therapy to th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and elaborates on approaching to literary therapeutics with regard to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three main psychoanalytic concepts displayed in the play therapy fall under the purview of son and daughter epic whose interests lie in the adaptation of children to the way parents` bring up children. Therapeutic effects of the psychoanalytic play therapy with children can be described as a mixture of both children`s own epics and therapists` therapeutic epics. Children can disclose their own epics in the play therapy, which will be mixed later with the therapeutic epics of therapists. This comparison lays the foundation for implementing the theory of epic psychoanalytically for children and even adults who struggle with their own psychological problems.

      • KCI등재

        여성의 불행감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

        장정은(Jang Jung Eu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3

        본 논문의 목적은 여성의 불행감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있다. 인간은 누구나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를 바라고 또 이를 추구한다. 하지만, 행복이란 상태는 좀처럼 정의내리기도 어렵고, 또한 그 행복에 도달하는 일은 지극히 어려운 일처럼 여겨진다. 오히려 인간은 불행감을 보다 더 쉽게 경험하는 듯 보인다. 인간은 자기 자신과 자신의 인생과 미래에 대해 불안감을 갖고 있으며, 그 전망에 대해 부정적인 관점을 채택하여 자신을 불행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그렇다면 이런 불행에 대한 느낌과 감정은 어떤 심리적 기제에 기원하고 있는가?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인간의 불행감은 인간이 현실 세계에 직면하며 경험하게 되는 갈등과 결핍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정신분석은 인간의 내적 세계를 갈등과 결핍이 일어나는 곳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인간의 정신병리가 이런 갈등과 결핍에 의해 생겨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인간의 불행감 또한 이런 정신분석적 갈등과 결핍이론에 근거했을 때, 보다 분명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인간은 갈등으로 인해 고통당한다. 선천적으로 주어진 욕동은 만족을 추구하지만, 문명세계에서 그 욕동은 충분히 만족될 수 없다. 특별히 프로이트가 이야기하는 성적이고 공격적 욕동은 현실 세계에서 포기되거나, 지연되어야 한다. 그렇기에 그가 바라보는 인간은 갈등 속에서 고통받는 존재이다. 다시 말해, 억압하려는 세력과 억압받는 세력 사이의 갈등 가운데 인간은 불행감을 경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다만 그 불행감은 신경증적인 불행감과 정상적인 불행감으로 나눠지며, 정신분석의 목적은 정상적인 불행감의 수준으로 불행감을 완화시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코헛에 따르면, 인간은 결핍으로 인해 고통당한다. 결핍은 자기 구조의 결핍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간이 특별하게 존중받고 싶고 인정받고자 하는 자기애적 욕구에 지속적인 좌절이 발생할 때 이런 결핍은 발생하게 된다. 코헛은 인간의 자기감은 혼자의 힘으로 고양될 수 없으며, 자기의 가치를 알아봐주고 존중하는 외부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만 그 자기감은 향상될 수 있다. 그는 이런 대상을 자기대상으로 개념화시켰다. 그에 따르면, 자기대상 경험의 부재로 인해 자기감의 결핍이 초래되고, 이는 자기 자신과 자신의 인생에 대한 어두운 전망으로 이어져 불행감을 발생시킨다. 정신분석적 갈등과 결핍이론은 인간의 내적 세계와 외부 현실이 끊임없이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임을 보여준다. 정신분석적 갈등과 결핍이론에 근거했을 때, 여성의 불행감은 여성에 대한 지나친 억압과 불평등, 그리고 여성성에 대한 평가절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여성은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억압과 불평등을 받는다. 이는 여성 안에 내적 긴장과 갈등을 촉발하게 되어, 불필요한 억압으로 인한 신경증적 불행감을 경험한다. 한편으로 한국 사회에서 여성성은 평가절하의 대상이 될 때가 많고, 여성은 혐오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는 여성 안에 무의식적 결핍을 만들게 되고 이로 인해 여성들의 자기감은 더욱 떨어지게 된다. 정신분석적으로 여성에 대한 불행감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불행감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신분석적 일대일 상담에서는 여성을 불행에 빠트리게 한 상황을 상쇄시킬 수 있는 상담관계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여성의 내적인 심리 세계 안에 심한 갈등과 결핍을 유발시키는 사회구조와 환경에 때한 분석과 그 변화를 위해서도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women’s sense of unhappiness in terms of psychoanalysis. Human beings attempt to enjoy a happy life, but it is difficult to learn not only what happiness is but also how to attain it. Rather, it is easy for them to feel unhappy about themselves and their life and future. Where does this sense of unhappiness come from? How can we explain this negative feeling in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 When unhappiness is seen in terms of psychoanalysis, it can be said that a sense of unhappiness originates in conflicts and deficits in our inner world to which psychoanalysis ascribes psychopathology. According to Freud, human beings suffer from inner conflicts between the repressing and the repressed. Every human being has sexual and aggressive drive which should be repressed to adapt themselves to the civilized society representing the repressing. In that sense, human beings are obliged to experience conflicts between the repressing and the repressed which leads to the sense of unhappiness. According to Kohut, human beings suffer from inner deficits which occur due to the absence of psychological support structure. In his view, human beings’ psychic motive lies in a sense of self which can be facilitated with the help of others. In other words, when others empathically respond to the needs of the self for its values and especialness to get accepted and confirmed, its sense of self is lifted. When the self experiences the empathic failure, it can be depleted. Based on these psychoanalytic theories of conflict and deficit, women’s sense of unhappiness is closed associated with repression and devaluation targeted to women and femininity. The repression and devaluation result in not only women’s inner tension and conflict but also lack of the sense of self. Women’s sense of unhappiness is caused by the deficit because of which women think of themselves as impoverished and inadequate. Psychoanalysis should be interested in taking care of not only women with the conflicts and deficits but also social structure producing them.

      •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 이해: 자기-자기대상 모체 개념을 중심으로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9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에 대해 살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의 흐름 가운데 위치한 자기심리학은 인지영역의 확장이나 자아의 강화에서 치유의 원인을 찾지 않았다. 자기애 개념에 관심을 갖고 정신분석 이론을 전개시킨 자기심리학은 내담자의 자기 구조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 자기 구조의 변화가 정신분석이 치유를 발생시키는 이유가 된다고 보기 시작했다. 동일하게 전이에 깊은 관심을 보인 자기심리학은 내담자가 보이는 전이를 해석을 위한 관찰 자료로 이해하기보다, 자기 구조의 성숙과 변화를 위한 발달의 재활성화로 이해하기 시작했다. 억압과 분열로 마음 속 깊이 분리되어 있던 자기의 측면은 상담관계에 전이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다시금 성장하려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욕구가 담겨져 있다고 자기심리학은 본 것이다. 그렇기에 자기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치료개입은 공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자기심리학이 전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이 활성화를 통해 자기 구조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전체로서의 자기에 집중하고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는 자기심리학의 핵심적인 상담개입 방법이 공감이다. 분석가의 공감적 개입은 내담자의 전이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숨겨진 내담자의 자기 구조가 지금 여기의 분석관계에서 다시금 재활성화되도록 이끈다. 그리고 성숙한 분석가의 공감에 의해 촉진된 원초적이고 유아적인 자기의 융합 욕구는 결국 분석가의 건강한 공감에 조율할 수 있게 되고,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기 구조는 변화한다. 본 논문은 이런 자기 구조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코헛의 치유개념을 살펴보며 이해하려고 한다. 먼저 자기애에 대한 정신분석의 다른 이해들을 살펴보면서, 코헛이 자기애를 어떻게 다르게 이해했는지를 묘사할 것이다. 더불어 코헛은 자기애에 대한 다른 이해를 통해 어떻게 정신분석의 치유과정을 설명하려고 했는지 이해하면서 사례를 통해 그 과정을 보다 심화시켜 이해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ure in psychoanalytic self-psychology. Self-psychology located in the flow of psychoanalysis did not seek the principle of cure in the expansion of the cognitive domain or the strengthening of the ego. Self psychology constructed upon the concept of narcissism was interested in the self-structure of the client, and began to see that the change in this self-structure is the reason why psychoanalysis generates cure. Equally, self-psychology, which showed a deep interest in transference, began to understand transference as reactivation of development for maturation and cohesion of self-structure, rather than as observational data for interpretation. Self-psychology saw that the aspects of the self were deeply separated in the mind due to repression or splitting and transferred 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which contained the unconscious desire of the client to grow agai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has begun to emerge as important in self-psychology is empathy. Self-psychology sees transference as sphere in which development of self-structure is reactivated. In this process, empathy is an important psychoanalytic technique that focuses on the client’s self as a whole and understands it as it is. The analyst’s empathic intervention not only promotes the client’s transference, but also leads the client’s self-structure to be reactivated in the analytic relationship here and now. And the primitive and infantile desire for fusion of self promoted by the mature analyst’s empathy can eventually be tuned to the analyst’s healthy empathy, and in this process, the client’s self-structure changes.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is change in self-structure occurs by examining Kohut’s concept of cure. I will first look at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narcissism in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and then describe how Kohut understood it differently. In addition, I will describe how Kohut tried to explain the healing process of psychoanalysis through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narcissism,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process more deeply through case vignette.

      • 내적 대상관계 변형을 위한 애도 과정으로서의 정신분석 심리상담 이해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5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심리상담을 대상관계와 애도 과정의 관점에서 묘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목표는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데 있다. 정신분석이 무의식을 의식화하기 위해 강조한 개념이 전이와 역전이다. 정신분석은 상담 상황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유년 시절 대상관계를 재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전이로 인해 상담자는 무의식적 압력을 받게 되어 내담자에게 반응한다. 그렇기에 정신분석은 전이와 역전이 개념을 도입하여 지금 여기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분석관계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그 분석관계에서 구현되어 나타나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환상과 갈등, 그리고 내적 소원과 기대가 내담자의 무의식으로 들어가는 효과적인 길임을 알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대상관계의 성격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정신분석에서 중심 과제가 되었다. 결국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내담자의 내면에 깊이 존재하는 내적 대상을 떠내 보내도록 돕는 작업이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목표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대상관계이론의 효시가 되는 논문 중 하나인 프로이트의 「애도와 우울증」을 시작으로 다양한 상담사례를 통해 내적 대상을 떠나보내는 애도의 과정이 어떻게 정신분석 심리상담에서 핵심 목표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프로이트는 「애도와 우울증」에서 상실의 경험 이후에 어떻게 외부 대상이 내면화되는지의 과정을 설명했다. 이는 우울증의 정신 상태을 의미하며 병리적인 것으로 그는 이해했다. 하지만 이 내면화와 동일시의 과정은 발달상의 핵심 과제로 이해되었고, 그 내적 대상에 대해 다루는 것이 정신분석의 작업에서 중심 주제가 되었다. 그 내적 대상은 상담 상황에 다시 재현되어 나타나며, 정신분석 상담자는 그 내적 대상의 일부가 되어 다뤄줌으로써 애도의 과정을 돕게 된다. 본 논문은 정신분석을 대상관계와 애도과정의 관점으로 조명한다는 점에서 상담자들이 정신분석 상담의 사례를 개념화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the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terms of object relations and mourning process. The core goal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s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The essential concepts that psychoanalysis emphasized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are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Psychoanalysis has found that the patient reproduces the object relations internalized in his/her childhood in an analytic situation. Due to this transference, the analyst is unconsciously pressured and reacts to the patient in compliance with the pressure. Therefore, as psychoanalysis introduced the concept of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it began to put an emphasis on the analy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nalyst and the patient, here and now. It was found that the patient’s unconscious fantasies and conflicts, as well as internal wishes and expectations that were embodied in the analysis relationship, were an effective way to enter his or her unconscious. In that sense,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nature of object relations has become a central task in psychoanalysis. In the e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ignificant goal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s the work of helping the unconscious to be conscious and letting out the inner objects that exists deeply within the patient’s psychic world. This article shows how the process of mourning and letting the inner objects go is one of the important task in the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by investigating Freud’s Mourning and Melancholia which is recognized and analyzing various psychoanalytic cases. Freud described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external objects after experiences of loss in “Mourning and Melancholia.” For him, internal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ost loved object meant a mental state of Melancholia which was understood as pathological. However, this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identification began to be understood as a essential task in the child development and dealing with the internalized inner objects became a central theme in the work of psychoanalysis. The inner object reappears in the analytic situation, and the psychoanalytic therapist helps the process of mourning by dealing with the inner object.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conceptualizing and understanding the cases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that it illuminates psychoanalysis in terms of object relations and mourning process.

      • KCI등재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상담적 개입의 치료 효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장정은 ( Jang Jung-e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 비교를 통해 본 연구는 상담적 개입의 치료적 효과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곧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의 비교를 시도하는 본 연구는 상담적 개입의 치료적 효과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춰 이뤄진다.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 사이의 비교가 가능한 것은 이 두 이론이 모두 인류의 역사를 통해 남겨진 고전과, 신화, 민담과 설화와 같은 문학작품을 치료적 자원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데 있다. 많은 세대에 걸쳐 읽혀진 고전과 같은 문학작품은 인간 삶에 대한 지혜와 통찰을 담고 있기에 인간 마음에 치료적인 기능을 하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그것이 어떤 방식에 의해 그런 치료적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는가? 문학작품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는 비교적 상세하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상담적 개입이 갖는 치료적 효과와 연결지어 설명할 수 있다. 이런 비교작업을 통해, 본 연구는 상담적 개입이 마음의 문제에 치료와 회복을 가져올 수 있는 이유가 내적 경험 세계의 반영과 상담에서의 새로운 요소의 도입에 의한 그것의 변화와 창조에 의한 것임을 보여준다. 먼저, 본 연구는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이 가정하는 인간 내적인 심층세계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한다. 이 두 이론은 인간의 정신병리와 심리문제의 기저에 인간의 행동과 사고, 느낌과 감정에 강력하게 영향끼치는 심층세계의 문제가 존재하며, 그것을 다룰 수 있어야 보다 근본적인 치료적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는 각각 그 심층세계를 집단무의식과 서사라는 개념으로 묘사한다. 분석심리학에서 집단무의식은 인류의 태생적이고 유전적인 인류 보편적 원형으로 이뤄져 있다고 보는 반면, 문학치료는 그 심층세계가 다양한 인간관계의 양식으로 분류될 수 있는 서사로 구조화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은 문학작품이 바로 이런 인간 내적 세계에 자리잡고 있는 심층세계의 단면들을 보여주고 드러낸다. 분석심리학에 따르면, 집단무의식의 원형은 개인내적경험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으며 오히려 인류 고전과 같은 문학작품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될 수 있다. 문학작품 속 이야기를 통해 사람은 자신의 내적 세계에서 소외되었던 마음의 영역을 통합시킬 수 있다. 문학치료는 문학작품 속 작품서사는 읽는 독자의 자기서사에 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변화와 성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을 문학치료는 공명이란 개념으로 체계화시켰다. 이 두 이론의 비교를 통해, 문학작품이 읽는 독자의 내적 세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삶의 지침과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드러나게 된다. 문학작품의 이야기는 독자들의 삶을 공감하고 반영하여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한다. 하지만, 이에게 한걸음 더 나아가 문학작품은 읽는 독자들이 미처 파악하지 못한 삶과 인간관계의 개선을 위한 지혜와 통찰을 담고 있다. 곧, 비교심리학과 문학치료는 문학작품과 인간의 내적 세계의 이야기 사이의 유사성을 통한 반영의 경험, 그리고 문학작품의 새로운 요소에 의한 심층세계의 새로운 창조와 변화의 경험이 치료적 효과를 설명한 두 차원임을 보여준다. 상담의 치료적 성격 또한 이런 공감과 모델링에 의한 것임을 본 연구는 주장하며, 이를 자기심리학에서는 거울, 쌍둥이, 그리고 이상화 자기대상 개념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of psychotherapy by comparing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This comparison is possible is because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both make frequent use of classic works of literature, myth, and folktale as therapeutic resources. One can easily surmise that those stories play a therapeutic role because they contain wisdom and insight into human lives. Then, how can the stories work as therapeutic materials?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concretely explain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ose works of literature whose discussion helps to unravel clues on how the therapy cures psychological problems. This study shows that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comes from mirroring the world of inner experiences and introducing a new dimension in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This study makes assumptions about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regarding the in-depth human inner world. Both see the in-depth inner world as a place that not only powerfully influences pathological behaviors, thoughts, and emotions but should also be dealt with in therapeutic settings to reach the fundamental cure. Both conceptualize the inner world as collective unconscious and epic. Analytic psychology understands the collective unconscious as an intrapsychic realm composed of hereditary, genetic, and universal archetypes. Literary therapeutics asserts that the inner world is made up of epics representing various human relationships. Both similarly understand that works of literature contain the hidden and unknown aspects of the human mind, and that is why they induce growth and maturation of human minds. Therefore, works of literature not only reflect the inner worlds of readers but also provide a better way of life. They make it possible for readers to experience catharsis by echoing the readers internal dimensions. However, they contain wisdom and insight used for improving human relationships. The stories contained within the literature create an in-depth human inner world as well as mirror the readers’ daily lives,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This article explains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therapy by introducing concepts of self psychology; in other words, mirroring, idealizing, and the twinship selfobjects.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Counseling Relationship Facilitating Human Psychological Development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Process Philosophy and Person-centered Therapy

        장정은 ( Jung Eun Jang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3 목회와 상담 Vol.20 No.-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a counseling relationship facilitating human psychological development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Process Philosophy and Person-centered therapy. In particular, it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actual occasion described in White Head`s terms such as subjective aim, causa sui of the actual occasion, consequent nature of God, and primordial nature of God. Rogers` humanistic psychology contributes to providing a good frame to view the qualit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actual occasion in terms of a counseling setting. The facilitating relationships through the comparison can be epitomized by “mutually influencing relationship” which puts an emphasis on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 KCI등재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문학치료의 효용

        장정은 ( Jang Jung-e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40 No.-

        상담은 어떻게 치료적 변화를 일으키는가? 이 질문은 정신분석 역사에서 중심적인 질문인 동시에 논쟁의 대상이 되어온 질문이다. 이에 대한 학자들의 답변들은 정신분석이 상담관계에서 치료적 변화를 찾는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프로이트는 환자가 중요한 대상과의 초기 관계양상을 상담관계에 재연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를 전이라고 개념화시켰다. 그는 바로 이 전이의 적절한 해석이 치료적 변화를 가져온다고 주장했다. 반면, 코헛과 같이 분석가의 공감적 태도를 강조한 학자들은 전이를 통해 환자들은 새로운 발달적 성취를 기대하는 것이기에 분석가가 공감적으로 이 기대를 만족시켜줄 수 있어야 치료적 변화가 일어난다고 보았다. 이런 정신분석적 모델들은 분석가가 가진 주관적 독특성이나 정신세계에 대한 고려가 없다. 최근 발전된 정신분석학적 상호주관성 이론은 치료적 변화를 치료자와 환자가 함께 창조하는 전이와 역전이의 상호작용에서 찾는다. 다시 말해, 치료자와 환자의 정신세계가 조우하고 병합되는 과정에서 치료적 변화는 일어난다고 보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런 정신분석적 상호주관성 이론 관점에서 문학치료의 치료적 효용을 고찰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논문은 문학치료의 치료적 잠재능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문학치료적 성찰방법을 제안한다. 정신분석적 상호주관성 이론은 치료자의 주관적 경험내용이 불가피하게 상담관계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환자는 치료자에 의해 영향 받지 않을 수 없으며, 동시에 치료자 또한 환자에 의해 영향 받지 않을 수 없다. 그렇기에 상호주관성 이론은 상담관계를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로 묘사하게 된다. 치료자의 내적 정신세계와 주관적 경험내용은 치료적인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게 되며, 치료자 자신은 환자의 치료적 변화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인식된다. 그러므로 작품서사를 통한 자기서사의 변화와 수정을 목표로 하는 문학치료가 그 치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문학치료자는 수동적 위치에 있어서는 안되며, 문학치료자의 역전이를 적극 활용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문학치료자가 자신의 역전이를 사용할 수 있는 문학치료적 성찰방법을 제시한다. 그것은 세 단계로 나눠볼 수 있는데, 1) 다양한 작품서사에 대한 분석과 문학치료적 훈련을 거친 문학치료자가 특정한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역전이를 성찰하는 단계, 2) 역전이를 통해 선택된 작품서사와 그 주제들과, 사례의 유사점을 조명하는 비판적 사고의 단계, 그리고 3) 선정된 작품서사를 치료적으로 사용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문학치료적 성찰방법을 통해서 작품서사는 치료적 변화를 수반하는 공간인 상담자와 내담자에 의해 창조되는 상호주관적 영역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작품서사는 내담자의 자기서사에 공명하고 그것을 변화시키는 치료적 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How does counseling cause a therapeutic change? This question has been the subject of controversy in psychoanalysis. However, every psychoanalytic tradition has focused on the counseling relationships as the source of the therapeutic change. Freud discovered that patients reenact an aspect of early relationship with important figures in the counseling relationship and he conceptualized this as transference. He asserted that a suitable interpretation of the transference causes the therapeutic change. However, Kohut contended that what patients want in the transference is to satisfy their own inner needs in the relationship with analysts. Therefore, he saw the empathetic attitude of analysts as the origin of the therapeutic change. The psychoanalytic models do not consider subjective experiences of analysts which play a central role in the recent psychoanalytic theory called the intersubjective theory. It asserts that the therapeutic change occurs in the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matrix co-created by analysts and patients. In other words, the mixing of minds in the matrix is the reason for the therapeutic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literary therapeutic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sychoanalytic intersubjective theory. Through this argument, this paper suggests an introspective method of literary therapeutics to maximize efficiency of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its approach. The intersubjective theory realizes that therapists` subjective experiences inevitably influence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Patients and therapists form mutually influencing relationships giving and taking influences from the other party. The internal object relationships and subjective experiences of therapists play a necessary role in the therapeutic process and therapists themselves are recognized as an important tool in the therapy. Therefore, literary therapists take advantage of their own countertransference to accomplish its therapeutic purpose of giving a strong influence to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literature. This paper presents an introspective method of literary therapeutics that makes it possible for the therapists of literary therapeutics to use their own countertransference. The method can be broken down into three steps: (1) the therapists who have gone through literary therapeutics training reflect on their own countertransfer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s; (2) they critically review literary works, their topics and their implications for a specific case; and (3) they use the selected literary works for therapy. This introspective method applies the epic of literary works to function as the intersubjective field involving the therapeutic change. This method also ensures the epic of literary works resonate with the epic of self as a therapeutic resource.

      • KCI등재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 관점에서 본 놀이치료 임상사례 연구

        장정은 ( Jung Eun Jang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5 목회와 상담 Vol.25 No.-

        In this paper, a clinical case of play therapy is presented through the lens of Melanie Klein’s Object Relations Theory, which even today is often used as a key approach to the psychoanalytic play therapy with children. Klein considered the play of children as equivalent to free association of adults. In a reliable and safe environment with child analysts, children can project their inner stories and express them without resistance by using play figures through which their own unconscious representations and conflicts are discovered. They can also re-experience past events that have affected their lives. Reliving these through play therapy can weaken their influence on the children’s psyches. In this clinical case, which lasted for around three years, a 7 year-old boy reenacted through play a traumatic event and a series of unfortunate consequences. This reenactment was closely related to his need to master his own traumatic experiences. He was able to control his anxiety and aggressiveness by bringing his inner object relations and conflicts into the play, which allowed him to step into the unresolved developmental path from a paranoid-schizoid position to a depressive position. In the beginning, he separated toy figures into good guys and bad guys, which symbolized dichotomous thinking in his min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play therapy, he was able to attain the mental capacity that made it possible for him to have a whole object relationship. This argument illuminates that play is an area where meanings are created and possibilities are brought into being. Pastoral counseling can be called a form of play whose area is filled with religious symbols and resources. The representative resource for the play of pastoral counseling and care is the Bible, into whose stories and figures clients can transfer their own inner problems. They can have the opportunity not only to find their own inner object relations through the stories but also to realize a new alternate way to resolve their own psychological problems. The therapeutic process of play therapy can provide a methodological guideline for pastoral counselors to build up their own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