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루의 기분과 창의 과정 몰입(CPE)간의 관계: 성실성과 개방성의 조절효과

        장재윤,문혜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1

        본 연구는 하루의 기분(긍정 또는 부정)에 따라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적인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에서 성격특성(성실성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직장에서의 기분이 매일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개인의 근무 중의 일상적인 기분과 창의 과정 몰입(CPE) 간의 관련성을 개인 내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긍정 또는 부정 정서를 나타내는 정서의 유인가(valence)가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기분은 창의적 행위를 촉진하고, 부정적인 기분은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과 기분과 창의 과정 몰입(CPE)간의 관계를 강화 또는 약화시키는 조절 변인으로서 성격 5요인인 성실성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71명의 국내 대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10일간 기분과 창의적 행동을 반복 측정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기분은 창의 과정 몰입을 증가시키지만, 부정적 기분은 감소시키며, 성실성은 기분이 창의 과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실성 수준이 높을수록, 기분이 창의 과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비교적 안정적으로 높은 수준의 창의 과정 몰입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성을 예측하는 개인 간, 개인 내 수준의 차별적 영향력을 이해하는데 기여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 함의와 연구의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한국 성인들의 창의성 신화에 대한 믿음 및 관련 변인 탐색

        장재윤,김 소정,서 희영 한국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2 No.2

        Despite the emphasis on the need for, and the understanding of, creativity, creativity myths widely known but devoid of scientific evidence are still hindering the realization of crea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creativity myths among South Korean participants(N = 668) via two online surveys measuring different variables and compared the results to those of previous study(Benedek et al., 2021) which revealed the pervasive unfounded assumptions and biases concerning creativity across 6 countri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s(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urce of knowledge, authoritarianism, perception of self-creativity, openness to experience, and goal orientations) presumably relevant to creativity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elief in creativity myths to replicate (Survey 1) and expand (Survey 2)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study. Results showed that South Korean participants also had stronger beliefs in creativity myths in general (53%). While this confirms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that universal belief in creativity myths is a cross-national phenomenon, it also revealed clear cross-cultural differences between Western countries and South Korea. Furthermore, the belief in creativity myths was related to age, reliance on undependable sources, authoritarianism, and learning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nvestigation of implicit theories about individual creativity and the understanding of creativity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need to be strengthened and shared among children and adults in our society for effective creativity education and releasing the creative potentials of our society. 창의성의 필요성과 이해에 대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창의성에 대한 오해는 창의성 발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6개국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신화를 믿는 정도를 파악하고 개인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본 Benedek 등(2021)을 기반으로, 국내 참여자(N = 668)의 창의성 신화를 믿는 정도를 조사하여 선행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창의성과 관련이 있는 개인차 변인들이 창의성 신화에 대한 믿음과 갖는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선행 연구를 재현(조사 1) 및 확장(조사 2)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창의성 신화에 대한 보편적 믿음은 국가에 상관없는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한 선행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지만, 문화 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결과도 있었다. 신화를 믿는 정도와 개인차 변인 간의 관계에서 권위주의, 대중적 지식 원천에의 의존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신경증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습 목표지향성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창의성 교육 및 발현을 돕는 바람직한 방향 설정을 위해 개인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의 파악 및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창의성의 이해가 우리 사회에 보다 강화되고 공유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대학에서 '전공'에 몰입하면 좋은 직장을 얻게 되는가? 대학생들의 전공 몰입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장재윤,신희천,이지영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0 No.4

        This longitudi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jor commitment on the quality of employment(person-jon fit, person-organization fit, overqualif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fter graduation among Korean college seniors(290 male, 212 female participants).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are participants committed to their college major, the more job is likely to compatible with their major, and also the higher is the quality of employment.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the relation between major commitment and quality of employment,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i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That is, for male college seniors,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major commitment and quality of employment, but for female college seniors, there were no such significant relations.

      • KCI등재

        직무만족과 직무에서 경험하는 정서간의 관계: 빈도 가설과 긍정성 비율 가설의 비교

        장재윤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3 No.2

        삶의 만족이나 주관적 안녕감 연구에서는 ‘행복’이나 ‘번영(flourishing)’과 일상적 정서 경험 간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 다소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빈도 가설(Diener et al., 1991)은 일상생활에서 긍정 정서 경험의 강도보다는 긍정 정서 경험의 빈도가 행복 또는 삶의 만족과 더 관련이 있다는 관점이며, 긍정성 비율(positivity ratio) 가설(Fredrickson & Losada, 2005)은 긍정 대 부정 정서경험의 비율(P/N)이 특정 비율(예: 3 : 1) 이상을 이루는 것이 최적의 기능을 하는 데 중요하다는 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일상재구성법(DRM)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이러한 두 관점을 직무만족과 하루 근무시간 동안의 정서 경험 간의 관계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빈도가설의 예측처럼, 하루 동안 매 근무시간마다 부정 정서보다 긍정 정서를 경험하는 빈도가 많을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러나 긍정 정서 경험의 강도는 빈도 효과를 통제하면 아무런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또한 긍정성 비율의 가설처럼, 긍정성 비율이 높을수록 직무에 더 만족하였지만, 그러한 선형적 관계뿐만 아니라 비율이 일정 수치를 넘어서면 평평해지거나 오히려 낮아지는 비선형 관계도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무특성과 직장-가정간 갈등이 조직에 대한 애착 및 조직시민행동에 매치는 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장재윤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A공단의 남녀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무와 관련된 특성들(도전성 및 유의성)과 직장ㆍ가정간 갈등(WPC)이 조직에 대한 애착(조직몰입 및 이직외도),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직무특성과 WPC 모두 조직에 대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 애착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특성과 WPC가 조직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남녀 차이를 보였다. 즉, 남성들의 경우에는 직무특성이, 여성들의 경우에는 WPC가 조직에 대한 애착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성 역할 관점 및 여성 친화적 조직은 맥락에서 결과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일상재구성법(DRM)을 통해 살펴본 남녀직장인과 주부의 삶의 질

        장재윤,유경,서은국,최인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in terms of how individuals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and emotions in daily life using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DRM). The DRM, which combines features of the time-diary method and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assesses how people spend their time and how they experience the various activities in different settings of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three groups: working men, working women, and housewives. In order to minimize recall biases, participants were asked to systematically reconstruct their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the preceding day. In general, the three groups showed no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 most happiness when they spent time with their spouse/partner and when they did eating. Eating, working, and talking were the most frequent daily activities and participants overall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more than negative emotions. As for the daily emotion experiences by time periods, working men and women groups experienced most happiness during the lunch time and after work; on the contrary, the working time was reported as the most tiring and stressful time of the day. Implications of measuring life satisfaction using the DRM were discussed.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활동과 정서 경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일상재구성법을 이용하여 직장인 남녀와 전업 주부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일상재구성법은 사람들이 하루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어떤 장면에서 얼마나 다양한 활동을 하고 정서를 경험하는지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회상편향을 줄이기 위하여 시간대별 일기쓰기와 경험표집법을 결합한 방법으로, 연구 참가자들로 하여금 전날 자신의 활동과 경험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 결과, 세 집단은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각기 경험하는 활동과 정서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일하기’, ‘먹기’, ‘대화하기’였으며 전체적으로 부적 정서보다는 정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강한 행복을 경험하는 경우는 '배우자와 함께 할 때'와 ‘먹을 때’ 라는 응답이 나왔으며, 시간에 따른 정서 경험을 살펴본 결과, 직장인 남성과 여성은 점심시간과 퇴근 후에 가장 행복했으며, 업무시간에 가장 피곤하고 긴장과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한정된 자료만을 수집할 수밖에 없었던 기존의 연구 방법에서 벗어나 실용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하였으며, 각 집단 별 경험하는 사회적 활동과 정서의 특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집단 간 차이를 이해하고 의사소통을 도울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게 된 연구의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국내 ICT 업종 종사자들의 직장에 대한 불만 요인 분석 및 전/현직자 간 차이 분석: 토픽 모델링 적용

        장재윤,최연재,강지연 한국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9 No.3

        This study applied the Topic Modeling method, one of the text mining techniques, to analyze the text describing the shortcomings(unsatisfactory factors) of the company in the corporate review of the recruitment platform and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ext contents bettween the stayers and the leavers. Specifically, following the procedures proposed by Schmidel et al.(2019), we analyzed the texts describing the company's shortcomings by former and incumbent employees in the ICT sector in South Korea and derived 50 topics through Topic Modeling. 44 of the 50 topics judged to be most appropriate were labeded by referring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sults on job attitude and predictors of turnover, 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topic among them was 'low salary'. Among the 44 top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etween stayers and leavers. In addition, the extracted topics were similar to the variables that were important in the existing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studies, but there were also new ones. Finally, the potential of text mining methods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psychology as a new approach was discussed. 본 연구는 대표적 텍스트 마이닝 기법인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방법을 적용하여, ICT 업종 종사자들이 채용 플랫폼의 기업 리뷰에 회사의 단점(불만 요인)으로 기술한 텍스트를 분석하고, 현직자와 전직자 간에 기술 내용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Schmidel 등(2019)이 제시한 조직 연구에서의 토픽 모델링 절차를 따라, ICT 업종에 근무하는 전, 현직 종업원들이 국내 채용 관련 플랫폼인 잡플래닛에 회사의 단점으로 기술한 텍스트 데이터(128,464개)를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토픽들을 직무태도 및 이직의 예측변인들에 대한 국내외 연구결과들을 참조하여 해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 50개의 토픽 중 44개가 명명되었고, 그중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난 토픽은 ‘낮은 연봉’이었다. 44개의 토픽들 중 현직자와 이직자 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나게 언급되는 토픽들이 확인되었고, 추출된 토픽들은 기존의 직무만족 및 이직 연구들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변인들과 유사한 것들도 있지만, 새롭게 도출된 것들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의 조직심리 분야의 텍스트 마이닝 방법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졸자들의 취업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

        장재윤,신희천,장은영 한국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5 No.1

        This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of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state of employment among the university gradu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had two folds. First purpose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long term youth unemployment experience on the mental health.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ployment experience on the mental health among the university graduate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we designed longitudinal study composed by four surveys at six-month intervals. At all four poin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GHQ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level of mental health. GHQ consists of depression anxiety subscale and disadjustment subscale. The data from 560 graduates who were identified whether employed or not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We divided this data into four groups: First, ‘employment-employment-employment group(G1)’ was composed by the graduates who were employed at T2, T3 and T4. Second, ‘unemployment- employment- employment group(G2)’ was composed by the graduates who were employed at T3 and T4. Third, ‘unemployment-unemployment-employment group(G3)’ was composed by the graduates who were employed at T4. Fourth, ‘unemployment-unemployment-unemployment group(G4)’ was composed by the graduates who were unemployed during all four poi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mployment had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mental health at the point of job achievement, and that the long term youth unemployment resulted in the negative changes of the emotional mental health(GHQ-depression anxie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s of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청년들의 취업 및 실업 경험이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난 이후에 지속적으로 미취업 상태로 남아있는 사람들의 정신건강의 문제 그리고 취업에 성공하는 경험이 정신건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 대학교 4학년생들을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약 6개월 간격으로 2차 조사, 3차 및 4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네 시점에서 모두 응답자들의 취업여부를 조사하고 정신건강을 우울・불안 차원과 부적응 차원으로 측정하였다. 4차 조사까지 모두 응답한 560명 중에서 2차, 3차 및 4차 시점의 취업여부에 의해서 집단을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2차, 3차 및 4차 시점 순서대로, 모두 취업 상태인 집단(‘취업-취업-취업 집단’), 3차 시점에서 취업에 성공한 집단(‘미취업-취업-취업 집단’), 4차 시점에서 취업에 성공한 집단(‘미취업-미취업-취업 집단’) 그리고 모두 미취업 상태인 집단(‘미취업-미취업-미취업 집단’). 각 집단별로 취업여부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취업 성공 및 실업 경험은 우울・불안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취업에 성공한 사람들은 취업 전 시점에 비해 우울・불안 수준이 낮아졌으며, 장기간 미취업 상태에 남아있는 사람들은 졸업 3개월 후인 3차 시점에서 우울・불안 수준이 높아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다소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부적응 수준은 취업의 성공 및 실패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장래 연구의 과제가 논의되었다.

      • KCI우수등재

        직장인의 회복 역설: 방해 스트레스 요인과 심리적 분리 간의 매개 기제 검증

        장재윤,김보람,문혜진 한국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2 No.1

        Recovery paradox (Sonnentag, 2018) shows the paradoxical results from job stress, even though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greater recovery is required.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ors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as a recovery-enhancing process to examine the paradoxical phenomenon. It specifically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tial impact on psychological detach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job stressors (challenge, hindrance). Additionally, the effects of the two mediator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negative activation hypothesis and the energy resource depletion hypothesis. Ninety-four employees participated in a daily survey. As a result of multilevel path analysis, the workload had a detrimental impact on psychological detachment. Also, only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was significant in the link between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the mediating effect of energy resource depletion was not. The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the recovery paradox phenomenon and its mechanism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큰 회복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는 회복 역설 현상(Sonnentag, 2018)과 그 기제를 검증하기 위해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주요 회복 증진 과정인 심리적 분리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도전(업무 부하)과 방해(역할 갈등) 요인으로 구분하여, 스트레스 요인의 유형에 따라 심리적 분리에 차별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회복 역설의 기제를 설명하는 부적 활성화 가설과 에너지 자원 고갈 가설을 바탕으로 두 가지 매개변인(부적 정서, 에너지 자원 고갈)의 효과를 각각 검증하였다. 직장인 94명으로부터 주중 퇴근 무렵에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매개변인을, 다음 날 아침에 심리적 분리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일일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층경로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유형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중 업무 부하는 회복 증진 과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방해 스트레스 요인인 역할 갈등과 심리적 분리 간의 관계에서는 부적 정서의 매개 효과만 유의하였고, 에너지 자원 고갈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에서는 회복 역설 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 활성화된 부적 정서가 갖는 의미와 현장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