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교육 모형과 교과서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법의 효과성 연구

        장인실 ( In Sil Chang ),유영식 ( Young Sik Yo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효과성 연구로 다문화교육 모형에 근거한 프로그램과 현행 초등학교 교과서에 근거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의 향상 정도를 살핌으로써 다문화 교육이 어떤 형식으로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세 개 반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I은 장인실(2007) 모형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 실시를, 실험집단 II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산재되어 있는 다문화교육 관련 교육과정을 근거로 한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독서교육을 실시하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개발 방법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 다문화 인식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교과서에서 추출한 다문화 교육보다 모형에 근거하여 구안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향상에 있어서 더 효과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지속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문화교육은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교육은 교과와 통합되어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이상적이지만, 현재의 교과서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은 교과서가 다문화교육 인식에 바탕을 두고 저술되지 않은 관계로 학생들의 다문화인식 함양에 미흡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근거하여 현재의 다문화 교육은 이론적 모형에 기초하여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more efficient multicultural edu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for students who will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to face such a forthcoming multicultural era.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se programs on multicultural perception, this study established two experimental groups Ⅰ and II, and a comparative group. On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a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hang`s(2007) model and the other was applied condensed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cattered throughout the 7th curriculum. Then, with a view to controlling variables for the natural growth of students, the study conducted a pre-and post-questionnaire survey into the multicultural awareness of a total of three class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was composed of contents for a total of 14 trials and it was implemented into the discretional activity tim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6th grad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positively affected the enhancement of the students` multicultural perception. Also,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is more efficient for students to offer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model in order to elevate the students` multicultural perception rather than to deliver education, which is scattered without any specific form such as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ent 7th curriculum.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had a long-lasting effect,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model was more effective in long-lasting effect th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ent 7th curriculum.

      • KCI등재후보

        Bennett 모형에 근거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장인실(In-sil Chang),김명희(Myeong-hee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Bennett 모형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학습자의 다문화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천에 위치한 M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6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재량활동 시간에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 집단은 학교의 재량활동인 한자 프로그램을 16차시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은 요인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반 구조화된 면담지와 학습자와의 인터뷰, 소집단별 수업 관찰을 통해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다문화 인식 향상되었으며 다문화 인식의 하위 요소인 개방성, 수용성, 존중성 모두 향상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향상에도 효과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소 중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제외한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 모두 향상을 보였다. 셋째, 실험 집단에서 학업 성취도에 따른 다문화 인식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다문화 인식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 인식의 향상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향상에도 유용하며, 여자가 남자보다 다문화 인식에 좀 더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Bennett’s model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i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self-esteem.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determined: First, what effect do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have on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Second, what effect do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have on students’ self-esteem? Third, does the effec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multicultural awareness vary depending upon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Fourth, does the effec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multicultural awareness vary depending upon students’ sex? Fifth, how is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changed qualitatively? To solve the study problems, two elementary classe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qualitatively, a semi-structured interview paper and an instructor’s observation diary were prepar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indicated to be effective for enhancing multicultural awareness and self-esteem. Second,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s of students had no effect upon the level of multicultural awareness attained. Third, regarding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ccording to sex, women are more sensitive in multicultural awareness than men, which supports the results of Higbee et al. (2007) and Cox (1982).

      • KCI등재
      • KCI등재

        편견감소(Anti bias)교육 프로그램이 편견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장인실 ( In Sil Chang ),정경미 ( Gyeong Mi Jeong ) 안암교육학회 2009 한국교육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타문화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다문화 사회를 이해할 수 있도록 편견감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편견감소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편견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학작품과 영상자료를 활용한 편견감소 교육 프로그램을 14차시로 개발 구성하였고, 인천광역시 소재 H 초등학교 5학년 두 개 학급 61명 연구 대상으로 하여, 총 14회에 걸쳐 실험처치를 하였다. 실험집단은 편견감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비교집단은 학교 교육과정에 계획된 논술 재량활동을 적용한 후 t검증과 공변량 분석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논술과 소감문, 질문지, 일기 등으로 편견과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편견감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편견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편견감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다문화 인식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은 학업 성취 능력에 따라 편견과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질적 분석을 통해서 편견감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편견과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사고의 변화가 나타났다. 후속연구로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접근의 편견감소 교육과 다문화 교육과 함께 교사교육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ti-bias educational programs on the bias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s 61 fifth-graders elementary students in two classes located in Incheon. This study organizes an anti-bias educational program that consisted of 14 class hours, using literary works and video materials. Data are collected from multiple sources inclu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Quantitative data a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d ANCOVA. For qualitative data, the participants are asked to take an essay-type test for writing their feelings and replying to a questionnaire before, during, and after they take the program, while the teacher is to keep records of her classes and to make diary entr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anti-bias educational program that used literary works and video materials on the reduction of bias and the improvement in multicultural awarenes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효과성 연구

        장인실 ( In Sil Chang ),정남조 ( Nam Jo Je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2

        한국에서의 다문화교육이 타문화에 대한 단순한 지식 획득과 문화적 이벤트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현재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효과성을 검토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 P초등학교 5학년 3학급을 대상으로 실험반1은 Bennett 모형에 따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실험반2는 국제이해교육의 대표적 프로그램인 CCAP를 적용했으며, 비교반은 학교 교육과정을 그대로 운영하였다. 다문화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다문화인식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논술 주제를 선정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실험반1, 실험반2, 비교반 순으로 다문화 인식이 높았다. 둘째, 학생들의 사전 다문화 인식 점수를 기준으로 상 집단과 하 집단으로 나눈 뒤 다문화인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실험반1은 다문화 인식 상, 하 집단 모두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실험반2는 다문화 인식 하 집단에만 효과적이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다문화 인식의 변화에는 실험반1과 실험반2 모두 여학생들에게는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으나, 남학생에게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논술 주제를 분석한 결과실험반1은 다문화를 비판적 사고와 명확한 근거를 들어 인식하였으나, 실험반2는 단순한 문화의 차이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에서의 다수자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Banks의 기여적 접근에서 탈피하여 교육과정 개정을 통한 인식 개혁을 할 수 있는 변환적 접근이나 사회행동 접근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 global understanding of educa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3 classes of 5th graders at Incheon ‘P’ elementary school were studied. These groups were divided into either Group 1 which received the Bennett-modeled multicultural lesson, Group 2 which received CCAP, or a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discretionary activities in the curriculum of the school. In order to observe the students’ chang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qualitative research were also applied. An analysis of variance and a paired-sample t-test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by utilizing the SPSS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level of awareness, Group 1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Group 2 and the control group,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students’ awareness scores, the groups were separated into 2 subgroups, an upper one and a lower one, and these groups were then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Bennett-modeled multicultural program was effective for both the upper and lower groups, while CCAP only had an effect on the lower one. In terms of changes in awareness by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female students in both Group 1 and 2, whereas both programs had no effect on male students. Group 1 developed an awareness of other cultures by providing a clear course of thinking and reasons based on critical thinking, while Group 2 showed a strong tendency to recognize cultures according to their differences.

      • KCI등재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제언

        허창수 ( Soo Hur Chang ),장인실 ( In Sil Chang ),박철희 ( Cheol Hee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4

        본 논의는 2009년 12월부터 2010년 1월 중 전국 8개 대학(교)에서 교사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것이 가진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교과 과목과 내용 측면에 초점을 둔 예시적 교육과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 각 대학(교)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자료집 내용은 어떤 교육 영역으로 나눠지는가? 둘째, 장인실(2008)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교육과정 모형에 의해서는 어떻게 분석되는가? 이에 대한 답변을 위해서 본 연구는 각 대학(교)이 연수를 위해 제작한 자료집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세 가지 결론으로 귀결되었는데 첫째, 강사 인구로부터 다양한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핵심 내용 분석을 통해 결정된 8개의 교육영역에 대한 결과 또한 교육과정 차원에서 특정 영역에 치우쳐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장인실(2008)의 교사 연수 교육과정 모형을 적용해본 결과 단계 1인 인종, 민족, 문화, 성별과 관련된 지식과 단계 5인 교육과정 변화를 위한 실천에 대부분의 대학(교)들이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근거하여 미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은 기본형과 심화형으로 나누어 것에 대한 필요성과 교육과정의 예시를 제공하고 있다. We purport firstly to analyze and understand current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pened from December 2009 to January 2010. We also attempt to provide examplary curriculum of future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understandings. For this purpose we have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1) how can we categorize content matters of 8 college level programs based on textbook analysis?, 2) According to Jang(2008)`s curriculum model for teacher education, how can we conceptualize the content matters?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specifically focus on analyzing the textbook content matters in depth. We have found three conclusions. First, we understood that there can be various directions based on teacher population distribution for developing curriculum. Two, we found 8 different educational field. However, content matters were unbalanced among those fields. Some field, such as knowledge based content matters, were relatively weighted. Third, according to Jang(2008)`s model, content matters were also relatively emphasized on level 1 which is knowledge about race, ethnicity, culture, gender and so on, and level 5 which is practices to change content matters in curriculum. We finally suggests two exemplary curriculum based on thos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