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간접음주 폐해와 캠퍼스 음주정책

        장수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9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1 No.1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among college students become a widespread health problems in the world. In South Korea, the prevalence of alcohol drinking by the college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by the adults. Recently, concept on the secondhand harms of drinking that the result of excessive drinking influences negatively to the other person was introduced in the western societ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it was explored the concept, current status and strategies of the secondhand harms of drinking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Second, survey on the secondhand harms of drinking was conducted with 503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Third, it was discussed the campus alcohol policy to prevent the secondhand harms of drinking. These findings provide an understanding on the secondhand harms of drinking and basic data for building prevention policy in college campus. 대학생의 과도한 음주(excessive drinking)는 전 세계적인 보건문제로서, 한국 대학생의 월 간 음주율 및 문제 음주율도 성인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최근 서구에서는 과도한 음주로 인 한 결과가 음주자 본인 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음주 폐해 (secondhand harms of drinking)”의 개념이 제기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다음의 세 가지 목 적을 선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간접음주 폐해의 개념, 실태와 대 응을 살펴보고 둘째, 수도권 및 충청지역 소재 3개 사립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n=503)을 대상으로 간접음주 폐해 경험을 조사한 후 셋째, 대학생의 간접음주 폐해를 예방 하기 위한 캠퍼스 음주정책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간접음주 폐해에 대한 민감성 증진과 예방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자살 유족의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장수미,하형미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가족복지학 Vol.70 No.4

        자살 유족은 높은 수준의 우울, 불안, 트라우마, 사회적 낙인을 경험하며, 자살 고위험군으로서자살 유족 지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 유족의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지역사회 정신건강 전문기관의 자살 유족 지원사업을 점검하고, 향후유족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 유족 7명을 대상으로개별 심층 면접을 시행하였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개 주제(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 계기와 의미: 고통의 심연에서 회복으로 나아가기,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을 가로막는 장벽, 유족의 욕구와 기대를 반영하는 정신건강복지서비스), 10개의 상위범주, 26 개의 하위범주, 10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자살 유족은 사별 이후 고통 속에서 살아가지만,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이용하면서 일상 회복을 위해 나아가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유족은 센터 이용을 가로막는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유족의 욕구와 기대에 맞는 서비스를 희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족의 관점에서 현재 자살 유족 지원 서비스의 내용을 점검하고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서, 결론에서는 자살 유족 지원을 위한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 기관, 정부 차원의 노력과 정책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Suicide family survivors experience high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trauma, and social stigma. As they are high-risk suicide groups, the importance of support for them is emer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uicide family survivors’ use of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examine the support programs for suicide family survivors of community organizations, and explore future support plans for them. To this ends, a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even suicide family survivors at A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3 themes, 10 upper categories, 26 subcategories, and 104 concepts were derived. Suicide family survivors live in pain after their bereavement, but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y are moving toward daily recovery by using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this process, suicide family survivors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preventing the use of the center, and hoped for services that fit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the bereaved fami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current support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suicide family survivors and suggest specific directions. In the conclusion, efforts and policy at the level of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community agencies, and government to support suicide family survivor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개입모형 개발 :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를 예방하는 시각에서

        장수미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1 No.-

        알코올중독은 중독자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가족의 역기능을 초래한다. 특히, 부모의 알코올중독이 아동의 심리적, 사회적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이제까지 알코올중독자 자녀에 대한 지배적인 연구결과였다. 이 연구들은 주로 임상표본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서, 알코올중독 부모가 있는 역기능적 가족환경에서 자라난 자녀에게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가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알코올중독자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에 대한 치료적 개임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 알코올중독자 가족에서 성장함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적응을 이룬 자녀에 대한 연구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family resilience)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 과정에서 나타난 자녀에 대한 보호요인이 무엇인가를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질병중심, 결함중심 시각을 기반으로 한 치료적 접근에서 벗어나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을 촉진시켜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의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지역사회에서 개입할 수 있는 예방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Alcoholism has effect on all alcoholic's family members as well as alcoholic himself and it has results in adverse effects on the family function. Especially, it was dominant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alcoholic parents make adverse effects on the children's psychologic and social function in most cases. These studi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clinical population. Therefore, they are recognized the fact that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lcoholism will be easily executed to the COA(Children Of Alcoholics) who have brought up under the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Accordingly, there are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for alcoholic's spouse or children . However, the studies on the alcoholic's children who has achieved successful adaptation in spite that they had brought up under alcoholic parents, have made attention to family resilience in the alcoholic family.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focu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y in order to find that what is protective factors in the adaptation of COA that have appeared in the process of family resilience. Also,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transition from medical approach focused on disease and deficits to preventive approach in the community for improving family resilience and preventing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lcoholism.

      • KCI등재

        당뇨환자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장수미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999 한국가족복지학 Vol.- No.4

        당뇨병은 지속적인 자기관리가 요구되는 만성질환으로 혈당관리를 위한 환자본인의 노력과 이에 대한 가족의 지지는 필수적이나 만성질환의 특성상 환자와 가족 모두 자포자기, 분노, 비난 등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사회복지적 개입이 요구되지만 기존의 이론적 연구나 임상적 접근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당뇨환자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새로운 개입대상으로 대두되고 있는 당뇨환자와 가족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여 이들을 위한 임상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당뇨환자가 인지한 가족기능은 전체의 65.1%가 중등도 이하의 역기능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첫째, 배우자가 있는 환자군의 가족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당뇨관리에 있어서 가족 특히, 배우자 역할의 중요함이 제시되었고 둘째, 당뇨로 인해 입원한 경험이 없는 환자군의 가족기능이 높아 반복되는 입원이 가족에게 경제적, 정서적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당뇨환자와 당뇨환자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 임상프로그램 사례를 제시하였다. Diabetes is a chronic disease which self-care has been required for a long time. Self-care and family support are crucial to control diabetes. However, like most cases of chronic disease, the diabet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faced hopelessness, resentment and other psychosocial problems. Therefore, even though the appropriate Social Work intervention should be reguested,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practical approach had not been developed. This study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problems listed above. Its purpose was to recognize the family function being effected to the self-care of diabetic patients. As a result of study, the families of diabetes patients were moderately dysfunctional (21.2%) and highly dysfuntional(43.9%). The spouse's role and the experience of hospital admission were factors that affected family funtion. Accordingly, based on abov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clinical Social Work program for the diabet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 모색 : 종합사회복지관 실습에 참여한 사회복지학전공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장수미,김경미,이지수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9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0 No.2

        사회복지학전공 학생들은 실습을 통해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현장에 적용시켜보며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의 가능성을 탐색하게 되므로 실습은 사회복지사로 성장하는데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실천교육을 위한 대표적인 기초과목인 사회복지실천론은 실습 전에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선수과목으로서 성공적인 실습을 위해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를 위해 실천론수업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답을 구하기 위해 서울지역 6개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습을 완료한 사회복지학전공 학생 10명에 대해 6명, 4명으로 구분하여 각 1회씩 총 2차례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고, thematic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실습에서사회복지실천론의 적용, 실습을 통해 실천론 내용의 이해가 깊어짐, 사회복지실천론 수업과 현장의 간극, 사회복지실천론 교과목의 개선과 변화의 방향(사례를 통한 수업진행과 피드백, 현장의 흐름을 반영, 자기인식 및 자아성찰 추가, 가치갈등에 대한 해결연습등)의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과 실천의 통합을 위해사회복지실천론 수업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 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를 위한논의와 제언,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제시하였다.

      • 사회복지실천과 온라인 상담 : 가능성과 도전 탐색하기

        장수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2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3 No.1

        The COVID-19 pandemic has had a direct impact on social work practice provided by face-to-face service traditionally. The issue of loneness and isolation on vulnerable populations including the elderly and disabled are emerged. Also the violent behaviors(ex. child abuse, partner violence) and addictive behaviors(ex. internet game and online gambling) are increase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online counseling by using ICT as new model of social work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online counseling in the social work practice. The author examined the definitions, availabilities and effects, readiness of social workers, practical, ethical and legal issues in online counseling need to be social work settings in the new normal era.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nd evidences to develop a non face-to-face model in the social work settings. 코로나 19 팬더믹은 전통적으로 대면상담을 진행해 온 사회복지실천 현장에도 변화를 야기시키고 있다. 정부의 방역지침에 의해 사회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없게 되자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외로움과 고립, 돌봄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아동학대, 배우자 폭력 등의 폭력행동, 인터넷 게임, 온라인 도박 등의 중독 행동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새로운 실천 패러다임으로서 정보통신 기술(ICT)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뉴노멀 시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온라인 상담(online counseling)의 개념, 적용 분야와 효과, 온라인 상담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준비, 실천적, 윤리적, 법적 이슈 등 가능성과 도전 이슈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온라인 상담 등 비대면 서비스의 개발과 보급을 위한 근거 및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그 의의를 가질 것이다.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음주문제와 영향요인

        장수미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Alcohol use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family violenc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violence experience of abused women has not been evaluated. This study explored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problem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family violence. Respondents were 145 abused women in family violence counseling centers and shelters. Standardized questionnaires augmented by face-to-face interview were used to measure alcohol use and levels of family violence. As the results, 26.2% of respondents were problem drinker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atterer's drinking problem was independently related to victim's drinking problem when other factors were controlle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re reviewed. 알코올사용과 가정폭력행동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실증연구가 축적되고 있다. 이 연구들은 주로 가정폭력가해남성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지만, 최근 가정폭력피해여성의 폭력 경험과 음주문제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가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음주문제는 잘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사회복지적 관심도 적은 편이다. 이는 가정폭력과 여성 음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낙인과 함께 학계와 실천현장에서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음주문제에 대한 연구 및 개입노력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상담소와 쉼터 사회복지사의 협조를 통해 배우자로부터 가정폭력을 경험한 바 있는 14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에 응답한 가정폭력피해여성의 26.2%는 문제음주자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인구사회학적변인, 가정폭력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남편의 음주문제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음주문제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음주문제에 대한 개입의 내용 및 방향에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휴먼서비스 분야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장수미,정지형,이희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1

        The necessity of non face-to-face counseling developed by ICT has been further emphasizing due to social distancing since COVID-19. As non face-to-face counseling programs have been developing, studies that proved those effects have also been reported in Korea. However, few studies that systematically analyzed such programs have been reported. Thus,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17 articles on non face-to-face counseling programs that applied (quasi) experimental design and published in KCI by May 31, 2021. The analysis frameworks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published years, academic fields, research designs, subjects, and types of non face-to-face counseling), (2) theoretical backgrounds, contents and structures of the programs, and (3) goals of the programs, measurements, and effectiveness. Based on the primary findings, we argued usefulness (anonymity, efficiency, high accessibility, immediate intervention, and ease of post-monitoring) and limitations (limitations of non-verbal expression, quality of contents, low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lienated groups, and ethical issues) of non face-to-face counseling programs, and then discussed implications for practical fields of human service.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on face-to-face counseling programs by providing evidence and basic data that may serve as a guide for practitioners as they conduct non face-to-face counseling programs. 정보통신기술로 발달한 비대면 상담은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그 필요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그 효과성이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 이를 체계적·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1년 5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에 출판되었으며, (유사)실험설계를 적용한 비대면 상담프로그램 논문 17편을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틀은 첫째, 일반적 특성(발행연도, 학문분야, 연구설계, 연구대상, 비대면 상담 유형), 둘째, 이론적 근거, 프로그램 구조와 내용, 셋째, 프로그램 목표와 측정, 효과성이다. 분석 결과에 따라, 비대면 상담의 유용성으로 익명성, 효율성, 높은 접근성, 즉각적 개입, 사후 모니터링의 용이성을, 제한점 및 보완할 점으로 비언어적 표현의 제한, 콘텐츠의 질, 정보 취약계층의 접근성, 윤리적 이슈 등을 제시한 후 휴먼서비스 현장에의 함의를 논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통해 비대면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할 때, 실무자에게 지침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 및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남성당뇨병환자의 당뇨병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장수미,한인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4 No.4

        Background Diabetes treatment required by regular medication, diet, exercise and metabolic control is dependent on the ability of diabetes self-care by patients. Accordingly, the medical professionals increase their interests on the factors which are hindered or enhanced on the self-care. The clarification of psycho-social variables influencing self-care is prerequisite for offering the professional services. Methods Eighty-eight male diabetics aged 30 years and over were interviewed in 4 general hospitals from Oct. 2001 to Feb. 2002. Diabetes self-care and various psycho-social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disease-related, individual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by self-report. The level of diabetes self-care was compared according to psycho-social variables.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t-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diabetes self-care was 17.61. When the score of diabetes self-care was compared, it shows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numbers of admission, drinking problems and family support. Also, the variables such as family support, drinking problems and marital status were influencing the level of diabetes self-care in a descending order. 연구배경 규칙적인 약물복용, 식습관, 운동, 혈당체크 등을 요구하는 당뇨병치료는 환자의 ‘자기 관리’능력에 좌우된다. 이에 따라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의료전문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남성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 자기관리 수준을 파악한 후, 심리사회적 요인이 당뇨병자기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하였다. 방 법 2001년 10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 4개 대학병원의 외래와 입원병동에서 치료중인 남성당뇨병환자 88명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당뇨병 자기관리수준을 비롯하여 인구학적, 질병관련 특성 및 음주, 흡연, 스트레스, 가족지지정도에 관한 것이었다. 통계분석은 SPSS(version 11.0)를 사용하였으며,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당뇨병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결 과 당뇨병자기관리수준의 평균은 17.61점이었으며(총점 32점), 당뇨병환자에 대한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음주문제가 없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당뇨병자기관리가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병기간, 입원횟수 등의 질병관련 요인은 자기관리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에 개인 및 가족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당뇨병환자에 대한 개입이 환자의 특정문제나 어려움에 대한 관심과 접근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당뇨병환자개입에서는 환자에게 문제 해결기술과 자원을 제공하는 환자 임파워먼트 모델의 시행과 효과성에 대한 추후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