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말하기에 대한 인식의 편차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 Q 방법론을 적용한 인식의 주관성 유형 분류 -

        장성민 ( Chang Sung-mi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0 No.79

        이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좋은 말하기에 대한 인식의 편차가 주관성 유형에 따라 어떻게 존재하는가를 탐색하였다. 70개의 Q 진술문을 투입하여 P 표본에 해당하는 대학생 36명의 주관성 유형을 분석한 결과, 좋은 말하기에 대한 인식은 다음 6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요인 1(n=11): 상대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말하기가 좋은 말하기이다. 요인 2(n=10): 명료하고 논리정연한 말하기가 좋은 말하기이다. 요인 3(n=5): 공동체의 담화 관습에 충실한 말하기가 좋은 말하기이다. 요인 4(n=3): 자신의 개성과 신념을 소신 있게 표현하는 것이 좋은 말하기이다. 요인 5(n=3): 효과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말하는 것이 좋은 말하기이다. 요인 6(n=4): 상호 교섭적 말하기가 좋은 말하기이다. 각 요인의 특성은 의사소통의 구성 요소로 ‘발신자, 수신자, 맥락, 메시지, 접촉, 약호 체계’의 여섯 가지를 설정한 Jakobson(1960)의 소통 모형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었다. 화자가 청자를 고려하는 의사소통의 작용방향성(일방향성, 상호 작용성, 상호 교섭성)에 따라서도 좋은 말하기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how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for good speech is distributed according to subjectivity types by using Q methodology. Of the recognition of 36 undergraduates for 70 statements, six types of subjectivity were found: Factor 1 (n=22): Speech with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addressee Factor 2 (n=13): Clear and logical speech Factor 3 (n=4): Speech suitable for conventions in the discourse community Factor 4 (n=9): Speech that confidently expresses one’s personality and beliefs Factor 5 (n=7): Speech using effective methods Factor 6 (n=4): Transactional speec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ivity type wer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el of Jakobson (1960), who set “addresser, addressee, context, message, contact, and code” as constitutive factors of speech events. The recognition for good speech also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ree means of viewing the communication world: action, interaction, and transaction.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에서 자료의 텍스트 유형이 글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

        장성민 ( Sung Min Chang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7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학습자에게 공통 화제를 다루는 설명 텍스트와 서사 텍스트를 읽기 제재로 제시하여 자료 통합적 글쓰기 과제를 부과하고, 두 가지 유형의 제재에 대해 필자가 어떤 인지적 반응을 보여 글쓰기 결과물의 구조를 생성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는 자료 통합적 글쓰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읽기 자료에 대한 필자의 인지적 반응을 전제로 성립함에도 불구하고 정작 읽기 자료가 어떤 유형의 텍스트인가에 대한 천착은 이루어지지 못한 데 대한 문제 제기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 결과물(48편)을 수집하고, 텍스트 유형을 표시해 주는 총괄적 구조인 ‘상위구조(superstructure)’를 분석틀로 삼아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48명의 고등학생 필자는 일차적으로 상위구조로 논증 구조를 갖는 ‘설명 텍스트 중심형’과 상위구조로 이야기 구조를 갖는 ‘서사 텍스트 중심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와는 별도로 두 유형의 속성을 모두 공유하거나 예외적인 속성을 보이는 경계적 사례도 발견되었다. 경계적 사례 집단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 수행에는 논증 구조나 이야기 구조 외에 필자 자신의 사적인 느낌을 덧붙여 표현적 글쓰기에 근접한 형태로 제시된다는 점에서 다른 두 유형의 사례에서와 뚜렷한 변별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자료 통합적 글쓰기 수행 양상을 집단별로 분류해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필자 특성에 따른 교육적 처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ighschool students` cognitive responses on expository and narrative text during writing from sources. This study analyzed 48 students` writing texts by means of methodology based o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proposed the result by groups of writers using frame of superstructure. As a result, the following were discovered. Writers manage their own writing processes in two ways: the expository text-centered and the narrative text-centered. Plausible explanation can be made to show the exceptional examples, that contain the personal impression of writers` own as well as the argumantative and story structure from previous material texts. Those are come close to ‘the expressive writing’ rather than ‘the transactional writing’. This study`s discussion is valued in that the foundation able of educational search according to writer`s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by group and characterizing the aspects of the highschool student`s writing from sources construct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writer is established.

      • KCI등재

        교과 논술 교육을 위한 귀추적 글쓰기 학습 모형 탐색

        장성민 ( Chang Sung-mi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bductive learning model for writing based on theoretical exploration of “deep comprehension” as a goal of essay writing. The discourse performance needed to reach deep comprehension has been defined in previous studies as (a) processes that require learners' conscious attention, (b) processes that involve implicit knowledge transferable to long-term memory, and (c) processes that verify and elaborate the knowledge learners already have in a tentative state. The abductive perspective, together with the ideas of the “argumentative schema” and “dynamic epistemic cycle,” can explain the learner's cognitive processes in achieving deep comprehension both horizontally and longitudinally. This study presented an abductive learning model by applying several teaching and learning devices that facilitate learners in monitoring their previous learning products and revising them to reflect the new representations. Finally, the evaluation methods to measure students’ achievement through their writing outcomes and reflective journals based on the detailed phases of abductive learning procedures are discussed.

      • KCI등재

        다양성 존중을 위한 논증 교육의 패러다임 탐색 - 설득적 논증으로부터 성찰적 논증으로의 전환 -

        장성민 ( Chang Sung-mi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국어교육 Vol.0 No.172

        This study aimed to overview theories of reflective argumentation and explore methods that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ve argumentation is an alternative paradigm that demonstrates the dialogic and dialectical nature of the argument through two-sided reasoning that weighs and synthesizes differences in diverse positions. A transition to reflective argumentation can contribute to resolving confirmation bias (from persuasive argumentation) and respecting diversity by acknowledging and responding to alternative positions. We proposed the following methods that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multiple documents, graphic representational tools, explicit instruction in strategies with modeling, and collaborative discour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oints out the problems of existing education developed mainly based on persuasive argumentation (e.g., debate, refutation) and proposes an alternative paradigm that demonstrates the nature of argumentation. Focusing on the gap between social and cognitive approaches to argumentation and considering various responses to different positions woul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argumentation, a complex communicative activity in which comprehension, expression, and learning are intertwined.

      • KCI등재

        좋은 국어 수업에 대한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의 인식 조사

        장성민(Sung-min Cha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좋은 국어 수업에 대한 진술문을 수집하고,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인식의 주관성 유형을 탐구하였다. 예비 평정을 거쳐 확정된 90개의 진술문에 대하여 참여자 51명이 지닌 주관적 인식을 분류한 결과, 6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제안할 수 있는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수업의 가치에 대해 학습자가 어떻게 정당화하고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이 필요하다. 둘째, 영역 특수적 속성과 영역 보편적 속성이 교차하는 지점을 찾아 관련 내용을 충실히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수행’과 ‘경험’ 활동에 대해 개념화하여 학습자 중심 교육 패러다임의 의미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넷째, 미디어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테크놀로지 기반의 교수·학습이 지닌 의미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어 교과의 기초 학력에 대한 인식이 제한적이나마 발견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실현된 교육과정으로서 국어교육의 성과가 학습자에게 어떤 배움의 형태로 남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구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llected statements about good Korean language arts classes for high school graduates and explored subjectivity types of perception by applying Q methodology.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51 participants for 90 statements, six factors were derived. The main implications that can be suggest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how learners can justify the value of, and give meaning to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arts.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the point where domain-specific and domain-general properties intersect, and develop related content accordingly. Third,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meaning of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paradigm by conceptualizing the activities of “performance” and “experience”.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echnology-based instructional design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media. Fifth, the recognition of basic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in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needs to be considered valuabl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can identify how the achievements of Korean language arts has influenced learners as an attained curriculum.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의 글쓰기 협력학습에 대한 인식 -동료지도의 작문 워크숍에 대한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장성민 ( Chang Sung-min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30

        이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동료지도를 위한 두 차례의 워크숍이 포함된 작문 프로젝트 활동을 실시한 다음, 은유 표현과 이유 기술문을 수집해 범주화함으로써 글쓰기 협력학습에 대한 인식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예비 초등교사는 학습자로서의 경험과 교수자로서의 경험이 공존하는 상태로, 이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개인의 경험이나 학습을 바탕으로 형성된 복잡하고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유용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참여자 124명의 은유 표현을 분석한 결과, 글쓰기 협력학습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은 ``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관점의 작용, 필자의 과제 표상 및 의사결정, 타인의 글을 읽는 독자로서의 역할,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활동, 긍정적 상호의존성, 감정적 불편함, 성장통, 타인을 매개로 한 성찰, 상황 인식``의 아홉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이 연구는 이론적 모형으로 다루어지던 글쓰기 협력학습의 영향 요인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124 preservice primary teachers` metaphorical images of awareness on collaborative writing by conducting metaphor analysis. To discover how preservice primary teachers constitute concepts of collaborative writing, this study employed metaphor analysis as methodology. Of 124 metaphorical expressions, 9 patterns were induced. These patterns were "multiple perspectives influencing writer`s editing, writers` task representation & decision-making, role of reading the others` written texts, problem-solving, positive interdependence, emotional discomfort, growing pain, reflection, context awareness."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작문 영역 평가의 타당성 검토 -선다형 점수와 수행형 점수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장성민 ( Sung Min Chang ),민병곤 ( Byeong Gon Min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9

        이 연구는 그 동안 선다형 문항을 통해 학습자의 작문 능력을 측정할 수있는 것으로 밝혀 온 현행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간접평가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습자 127명을 대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작문 영역의 선다형 문항(15문항) 점수와 의견 제시형 글쓰기(opinion essay)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 통합적 글쓰기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 준거별,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다형 문항과 수행형문항 점수의 총점 간 상관관계는 .471로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났으며, 두 점수 간 상호 예언력을 갖는 학생의 비율은 21.5%에 불과했다. 둘째, 수행형 문항의 항목별 점수에 대한 선다형 점수의 상관관계는 ‘고쳐 쓰기’를 제외한전 항목에서 ‘표현’, ‘조직’,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에서 벗어난 글쓰기 결과물에 대해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 ‘내용’ 항목에 편차가 벌어진 반면 선다형 점수의 예언력은 ‘표현’ 항목에서 제한적으로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여학생은 ‘고쳐 쓰기’ 유형의 선다형 문항에서, 남학생은 ‘계획하기’와 ‘내용 조직하기’ 유형의 선다형 문항에서 수행형 문항의 모든 평가 항목과 비교적 고른 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multiple-choice test score and a writing performance-based test scor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27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urth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by sub-criteria were employed to evaluate performance by gender and the efficacy of the ‘Writing From Sources’ produ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SAT multiple-choice test total score and the writing performance-based test total score was .471. The ratio of participant predictability by either score was merely 21.5%. Second, there was a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s” score and the CSAT multiple-choice test total score. This correlation was also identified vi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writing products. Thir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male students overall. Fourth, sub-areas of the CSAT multiple-choice test scores demonstrating the most prominent effect on writing performance by gender were as follows: “Planning” and “Organizing Ideas” for male students, and “Editing for Purpose and Style”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작문 맥락 분석 -“국어Ⅱ”의 설득적 글쓰기 단원을 중심으로

        장성민 ( Sung Min Chang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3

        이 연구는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Ⅱ” 교과서 11종을 대상으로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작문 맥락’이 설득적 글쓰기 단원에 어떻게 교재화되어 있는지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그 과제와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작문 맥락은 언어 사용자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객관적인 대상으로서가 아닌 언어 사용자의 작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표상으로 간주될 때 비로소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의 정체성이 구현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작문 맥락 교육을 둘러싼 학문적 쟁점은 어떻게 규정할 수 있는가? 연구 문제 2. 작문 맥락 교육을 둘러싼 학문적 쟁점은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었는가? 연구 문제 3. 작문 맥락 교육은 교재화 수준에서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가?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종래의 작문 교육 담론과 화용론의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맥락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 ‘작문맥락의 범주, 작문 맥락의 구성 요소, 인적 요인에 대한 고려, 심리적 표상에 대한 고려’를 준거로 설득적 글쓰기 단원에 나타난 작문 맥락의 교재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언어 사용 능력 신장에 기여하기 위한 과제와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the Writing Context’ in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for highschool students based on the 2011 revised curriculum and to explore alternative ways to overcome those problems. The Writing Context should be defined not as an objective subject but as an cognitive representation that is psychologically constructed by writers and audiences in the process of using language. Three research problems are organized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The perspective on analyzing contents of the Writing Context are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papers. research problem 2. Contents of the Writing Context in Textbooks are analyzed by means of methodology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1. research problem 3. Desirable directions on the textbook-design of the Writing Context are suggested by reinterpreting conclusion of the research problem 2.

      • KCI등재

        초보교사의 글쓰기 과제 표상에 나타난 지적 구조 분석 - 우수한 필자 교사와 미숙한 필자 교사의 차이를 중심으로 -

        장성민 ( Chang Sung-min ) 한국작문학회 2018 작문연구 Vol.0 No.37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교과 논술을 수행하는 초보교사의 글쓰기 과제 표상으로부터 지적 구조를 분석하고, 우수한 필자 교사와 미숙한 필자 교사의 차이에 주목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교직 경력 5년 미만의 2급 정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참여자 전체 집단과 논술문 수준에 따른 세부 집단별로 주제어 빈도 분석, 지적 구조 네트워크 분석, 주제어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수한 필자 교사는 교과 논술 수행을 뒷받침하는 인지적 운용의 횡적, 종적 측면에 대한 인식이 정교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우수한 필자 교사의 과제 표상에서는 영역 특수성을 갖는 내용 지식 고유의 값(value)에 대한 표상 대신 필자의 인지 속에 이들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배열하는 슬롯(slot)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고 있었다. 셋째, 우수한 필자 교사의 과제 표상에서는 미숙한 필자교사에 비해 훨씬 적은 수의 주제어가 추출되었지만, 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의 수는 오히려 더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ask representation during novice teachers’ essay writing by using text mining, and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sophisticated writer-teachers and naïve writer-teachers. For this purpose, data of 127 novice teachers with less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collected and their keywords were extracted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a network analysis, and a centrality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phisticated writer-teachers represented longitudinal aspects as well as horizontal aspects of the abductive procedures supporting essay writing. Second, sophisticated writer-teachers showed a representation of slots that systemically integrates and arranges the domain-specific values in the writers’ own cognition. Third, task representation of the sophisticated writer-teachers had fewer keywords compared to that of naïve writer-teachers, but the number of keywords that appeared more than 5 times was hig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