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교육을 위한 그림 자료 검색 편집 프로그램의 개발

        장선화,선섭희,이명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3 No.1

        In children education, it takes a much time for teachers to prepare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Most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consist of pictures so that children may easi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a study. If instructors free from laborious work for preparing these materials, they can provide children with better education by focusing more creative works. In this study, we manufactured many picture data which are used in children education, and developed a program that is used by teachers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these pictures according to study topics. This program provides a feature that easily search more than 3700 pictures according to subjects and areas, and also provides various editing facilities such as expanding, reducing pictures and writing statements.

      • KCI등재

        스웨덴 노동시장 갈등과노사정 협력체제의 지속과 변화

        장선화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6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7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tinuity and change on tripartite cooperation system in Sweden at reporting through the central bargaining system, collective bargaining structures and tripartite relations from the 1950s to the 2000s as diachronic. It reveals the gradual changes of the Swedish tripartite cooperation typ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evolutionary institutional changes of historical institutional analysis and the dynamic properties of the institutional changes through change in profit association between the actors. Adapting to changes from the centralized bargaining system to frame agreement, changing aspects of voluntary labor-management cooperation in the production side is defined ‘layering.’ As the cooperation of the policy making processes cooperation, however, has been significantly reduced, it could be typed ‘displacement,’ a mode of institutional change. There is political cooperation has reduced the impact Crazy solidarity wage has had a change due to ‘drift.’ As a result, the Swedish tripartite cooperation has gradually changed, but there was not a sudden conversion and has remains a path-dependent continuity in the big picture.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Swedish tripartite system give us an important implication that despite the growing phenomenon of dualization of labor markets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through reorganizing the labor market by building the tripartite institution and policy efforts, we could mitigate adverse social practices and form a sustainable cooperative system. 이 글은 195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스웨덴 노사정 협력체제의 특징과 변화를 중앙 협상체계, 단체교섭구조, 노사정 관계를 통해 살펴보고 제도의 지속과 변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한다. 20세기 후반부에 걸친 스웨덴 노사정 협력체제의 점진적 변화과정을 역사제도주의적 제도변화 개념을 적용하여 유형화하는 동시에 행위자 간의 이익연합의 변화를 통해 제도변화의 동태적 속성을 드러낸다. 생산 측면에서 자율적 노사협력이 중앙집중적 교섭체계에서 프레임 교섭 등으로 변화에 적응하는 양상-적층(layering)-을 나타내는 데 반해 정책적 협력은 확연히 축소, 대체(displacement)되었다. 정책적 협력이 축소되는데 영향을 미친 연대임금에는 드리프트(drift)로 인한 변화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스웨덴의 노사정협력체제는 급격한 제도 전환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점진적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나 큰 틀에서 경로의존적 지속성이 유지되고 있다. 후기 산업사회에 점증하는 노동시장 이중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노사정 협력제도의 구축과 정책적 노력에 의해 노동시장을 재조직하고 사회적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스웨덴 사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갈등론적 관점에서 본 이주자사회통합유형의 지속과 변화: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장선화,김영지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7 EU연구 Vol.- No.46

        Since the 2000s, in Europe there has been severe migrant conflict, which has not been solved as a social problem. Due to the violence of migrant conflicts and the deepening of social splits, European countries declared the failure of immigrant integration policies and are changing policies for social integration. Based on the conflict theory,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of immigrant conflicts in France, Germany and the Netherlands. These European countries that had suffered immigrant conflicts have taken a different approach to immigrant inclusion in their society. First of all, this article analyzes whether the immigrant conflict could be solved in a functional manner using Migrant Integration Policy Index (MIPEX).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Conflict theory, the failure of the foreign immigrant policy in France, Germany, and the Netherlands and the resulting violent conflict are all due to a common cause, in other words, “unequal distribution of authority” and which could not be solved in a functional manner. As a finding results of this analysis of the conflicts and integration cases of France, Germany, and Netherlands since the 2000s, it shows the changes of major cases of the immigrant integration model of Castles and Miller. The Netherlands of the multicultural model, the France of the assimilation model and the Germany of the difference exclusion model have not succeeded in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immigrant conflict which has soared since the 2000s, and as a result, it tends to converge on a mixed type. 2000년대 이후 유럽 전역에서는 외국인 이주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사회적 문제로 존재하고 있다. 이주자 갈등의 폭력화 및 사회 분열의 심화로 유럽국가들은 기존 이주자 통합정책의 실패를 선언하였고사회통합을 위해 각국의 외국인 통합 정책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갈등론적 관점에서 이주자 갈등을 겪고 있는 유럽 국가들 중 상이한 이주자 통합정책을 취해왔던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에서 발생하는갈등의 양상을 비교하고, 세 국가의 이주자 통합유형의 지속과 변화를살펴본 후 이주자 갈등이 순기능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지에 관해 분석한다. 갈등론적 시각에서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의 외국인 이주자정책의 실패와 그에 따른 폭력화된 갈등은 모두 갈등을 일으키는 공통된 원인 즉, 권위의 불평등한 배분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를 순기능적으로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2000년대 이후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이주자 갈등 및 통합 사례를 이주자 통합정책지수(MIPEX)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카슬과 밀러(Castles and Miller)의이주자 사회통합모델의 주요 사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모델의 네덜란드, 동화모델의 프랑스, 차별-배제모델의 독일은 2000 년대 이후 급증한 이주자 갈등의 사회통합에 성공적이지 못했고, 그결과 혼합유형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인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장선화,Jang, Sun-Hwa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moderated by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local children's center cultural program commitment on career awareness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Local Children Centers' Service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of local children's center cultural program commitment, career awareness and developmen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was conducted to 19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3rd grade and middle and high school in 22 children's centers in N city. The statistical packages were SPSS PC+ 25.0 and SPSS MACR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program commitmen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awareness and career development. Also, self-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career awareness and career development,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wareness and career development. Second, the hypothesis model was supported that cultural program commitment positively affects career awareness mediated by self-efficacy moderated by social support. In other words, the more they participated and commited in cultural programs, the more self-efficacy increased leading to more career awareness. Also, the more social support was felt, the more the positive influence of cultural program commitment on self-efficacy increased. The hypothesis model was supported that cultural program commitment positively affects career development mediated by self-efficacy moderated by social support. In other words, the more they participated and commited in cultural programs, the more self-efficacy increased leading to more career development. Also, the more social support was felt, the more positive influence of cultural program commitment on self-efficacy increased. The limitation and future task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이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N시 지역아동센터 22개소에 다니는 190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프로그램 몰입, 진로인식, 진로발달,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PC+ 25.0의 SPSS MACRO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첫째, 문화프로그램 몰입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진로인식, 진로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며,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영향을 매개하는 자기효능감을 사회적지지가 조절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아동·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커지고, 문화프로그램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긍정적 영향이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일-가정 균형정책과 지속가능한 발전: 스웨덴 사례를 중심으로

        장선화 한국유럽학회 2018 유럽연구 Vol.36 No.2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y Sweden's response has been successful in the face of low fertility and aging trends, which are becoming a major challenge to be overcome globally for social stabi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e existing interpretation that the universal cause of the declining fertility rate in the present era is that it is difficult for women to reconcile work-life balance, this study has focused on social policy for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The factors that enable women to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include institutional -such as employment, child-care environment, social security law and related institutions and policies- and social & cultural factor that is changes in social perspective on roles in women's work and family. The institutional factors had an independent effect.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meanwhile, is a prerequisite for the success of the policies for balancing work-family life because policies and institutions gradually influenced and the social perspective changed. Policies for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were successful in terms of the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rising of female employment rate, overcoming low birth rate -increasing in fertility rate-, increasing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However there still exists a gender gap within the labor market and also remain inequalities by the skill and education level among women workers in terms of employment opportunity and the length of employment. 이 글은 전 세계적으로 사회 유지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극복해야할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경향에 직면하여 스웨덴의 대응이 성공적이었던 원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스웨덴이 여성의 일⋅가정 균형 정책을 통해여성 고용의 지속성을 보장함으로써 저출산 극복을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 모형을창출했다고 보고 이를 가능하게 한 요인을 분석하고 정책적 효과를 평가한다. 여성의일-가정 균형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으로 제도적 요인(고용, 보육환경, 사회보장 법과 일련의 정책⋅제도들)과 사회⋅문화적 요인(여성노동과 가정에서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관점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 결과, 제도적 요인이 독립적 영향을 미쳤다면 사회⋅문화적 요인은 제도들이 점진적으로 영향을 미쳐 사회적 관점이 변화함으로써 일⋅가정 균형정책이 성공하는 필수 조건으로 작용했다. 일-가정 균형정책은 여성의 경제참여율 증가(여성 고용률 증가)와 저출산 극복(출산율 증가), 남녀 공동육아 참여(아버지 육아휴직 증가) 등 양적 측면에서 성공적이라고 평가될 수 있으나 질적으로 평가할 때 직종 및 급여 면에서 노동시장에서의 젠더 간 격차, 학력에 따른 여성 고용 격차 등의 과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 KCI등재후보

        북유럽 정당체제와 탈근대적 변화: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를 중심으로

        장선화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2018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4 No.1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Nordic political party systems. Since the 1990s, Nordic party systems have shown postmodern changes along with traditional legacy of modern party systems such as ideological and central-local cleavage and the importance of peasant party as a central political player. While rising of the right wing populist partie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effective political parties, reorganized electoral coalitions, and changed party-voter alignment, these changes has been moderated by consociational legacy in their parliaments and interactions among political parties. Nordic party system has been known for their ideological cleavages and persistence of left-right-axis based regime changes. This articles, however, suggests that the current changes in ideological distance between parties, regime shifts, and party-voter alignment clearly influenced by the substantiality of populist rights and their participation in coalitions and radicalization of anti-immigrant/nationalistic politics. The Nordic party systems still lies in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gradual changes occur in the modern institutional framework. 이 글은 근대 민주주의 제도화 이후부터 최근까지 북유럽 정당체제의 지속과 변화를 설명한다. 1990년대 이후 북유럽 정당체제는 좌우 이념적 균열과 중앙-지방 균열, 농민당에서 성장한 중앙당의 중요성 등 근대 정당체제적 특징이 지속되는 가운데 탈근대적 변화가 혼재된 역동성을 나타낸다. 포퓰리스트 우파 정당의 성장으로 의회 내 유효 정당수의 증가, 선거연합의 재편, 정당-유권자 지지편성의 변화가 진행 중이지만 협의제적 의회 질서의 작동과 정당 간 상호작용에 의해 변화의 충격이 완화되어 온건 다당제적 이념 균열과 주요 정권 교대 축이 온존되고 있다. 포퓰리스트 우파 정당의 지속가능성과 연정 참여 지속 가능성 여부, 반이민·민족주의 정책의 급진/온건화 여부에 따라 정당 간 이념적 거리, 정권 교대축의 변화, 정당-유권자 지지편성의 변화가 뚜렷해질 가능성이 높다. 북유럽 정당체제는 근대에 형성된 제도적 틀 속에 점진적 변화가 나타나는 과도기적 상황에 놓여있다.

      • KCI등재

        페르 알빈 한손: 시대적 위기, 갈등, 그리고 통합의 리더십

        장선화 한국유럽학회 2015 유럽연구 Vol.33 No.4

        This article is about Per Albin Hansson’s leadership of the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Sveriges socialdemokratiska arbetareparti: SAP)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SAP had established Swedish social democratic sodiety and welfare model under Hansson’s leadership. He was born in a poor labor family and employed as a errand boy after dropping out of elementary school. Not much later, he joined the SAP’s youth organization and grown up into one of a promising young party activists. In his early time, he was also belong to left wing of socialist’s faction, however, gradually he became a social democrats having a belief that accomplish an equalitarian social democratic society through a gradual social reform. He well knew about that had to gain other bourgeois political groups’ cooperation and ordinary people’s support for realization of an social democratic reform programme. He, as an excellent speaker and popular politician, used an understandable rhetoric such as “the people’s home and the citizen’s nation” for getting across the need for social democratic reform. While in government as the prime minister, for 14 years, he carried out several reform policies enlarging a primary welfare programme, materializing the economic policy and electoral coalition(“red-green coalition”) enabling inter-class’ coordinatio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rough neutral line policy and two grand coalition, he had played a fundamental role establishing SAP’s political hegemony in Sweden. Political idea is made by a prominent strategist. Realizing the idea, however, need a popular and comprehensive politician. Hansson is an suitable leadership model of coordinating and integrating social conflicts in times of crisis. 이 글은 1930~1940년대 스웨덴 사민당의 리더이자 내각 총리로 스웨덴 사회민주주의적 복지국가 형성을 이끈 페르 알빈 한손(Per Albin Hansson)의 리더십에 대한 것이다. 한손은 19세기 말 격동기 스웨덴의 가난한 노동자 가정에서 태어나 사민주의 정당운동가로 성장했다. 초기에는 당내 청년 사회주의 좌파 활동가였으나 점차 민주주의적제도 틀 내에서 점진적 사회개혁과 평등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보수주의 정치인과부르주아 계급, 농민, 중산층 등 사회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는사실을 잘 알고 있는 탁월한 연설가이자 대중 정치인으로 성장했다. 당 리더로서 사민당을 이끌면서 한손은 “인민의 가정, 시민의 국가”와 같은 이해하기 쉬운 레토릭과 연설을 통해 사회민주주의적 복지국가의 구체적 상을 제시했다. 14년간의 총리 재임기간동안 기초적 복지를 확대하는 사회개혁을 단행했고 계급 타협적 경제정책과 적록동맹을 통해 계급 간 사회연대를 이끌었으며 2차 세계대전 당시 스웨덴의 중립정책과 두 차례의 대 연정을 이끌면서 스웨덴 사민당의 정치적 헤게모니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정치적 아이디어는 탁월한 전략가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이를 현실적으로 구현하기위해서는 대중적 포용력을 갖춘 정치인이 필요하다. 한손은 위기의 시대에 대안적 정책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통합적 리더십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인물이라 하겠다.

      • KCI등재

        스웨덴의 시민정치교육과 정당의 역할

        장선화 한국유럽학회 2014 유럽연구 Vol.32 No.1

        이 글은 스웨덴 정당의 시민정치교육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소위 “학습동아리 민주주의(study circle democracy)”라 지칭될 만큼 공동체 시민교육과 정당 시민정치교육의 긴밀한 연계 속에 정치사회화가 진행되고 시민의 정치적 참여가 일상화되어 있는 스웨덴 민주주의의 역사와 그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의 민주주의 시민정치교육과 정당의 역할에 대해 비교 고찰한다. 특히 한국에서 스웨덴 복지국가의 정치경제와 사민주의 정당정치, 옴부즈맨 제도 등 정치 제도와 정당정치를 연구의 대상으로 해 온데 비해 스웨덴 정당의 시민정치교육에 대한 학문적 관심도는 그리 높지 않다. 스웨덴 민주주의의 안정과 높은 수준의 복지, 시민 참여문화의 형성에 정당의 사회적 역할이 중요했다는 점에서 스웨덴 정당들의 민주주의 시민정치교육 사례는 주목할 만하다. 이 글에서는 스웨덴의 시민교육 제도화 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시민정치교육 제도 속에서 스웨덴 정당의 역할과 정당 시민정치교육 체계의 특성을 제시한다. 제2차 세계대전이후 1970년대 초 스웨덴 교육체계가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까지 집권정당으로서 핵심적 역할을 했던 스웨덴사민당을 중심으로 스웨덴의 주요 정당(온건당, 중앙당, 자유당, 녹색당 등)의 시민정치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민주주의를 위한 한국정당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본다. This article is an case study about civic political education of the Swedish political parties. Swedish democracy had been referred so-called “study circle democracy" because it characterized as political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the democratic norm closely linked with an civic education in civil communities. The subjects related Sweden in Korea has been concentrated on Swedish welfare state, party politics and the political system such as the ombudsman system. For Sweden's stable democracy and a high level of welfare, however, the linkage between the civic education institutions and political parties played a key role. This stud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wedish civic education history and institutions and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as the ruling party leaded the current state of the civic education system since the end of the World War II until the early 1970s, and the major political parties (Moderate party, Center Party, the Liberal Party, the Greens, etc. An eventual goal of this investigation is looking for implication how enable to build sustainable democracy in South Korea and the role of Korean political parties.

      • KCI등재

        한국 정당민주주의의 제도적 특징과 개혁 과제: 독일, 영국, 스웨덴과 비교적 관점에서

        장선화 고려대학교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015 평화연구 Vol.21 No.1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nstitutional properties of the party democracies and the tasks of reform in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Examining some issues of institutional reforms related the political parties’ activities in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Germany, Great Britain, Sweden, this research founded that the party institutions in detail has been changed by degrees not fixed their old institutional arrangement since the late 1990s. The party democracies could be categorized 3 types by existence of the dissolution provision of a political parties on constitution, degree of restraints about the political parties’ activities, and subsidies to the political parties by government: defensive, liberal, and active democracies. Korean case is included in the defensive one. However, among the defensive democracies, the institutional properties of party democracy in Korea is more restrictive than others. It has too many rules and regulations for subjects of the political party to claim specific class, ideology, or interest. European democratic countri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has reformed the law and institutions related political parties according to the social demand for strengthening political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cy of the political parties. Otherwise, under winnertakes- all electoral institution and strict formal regulation to the political parties’ activities, there are still in existence of the monolithic competition and weak political responsibilities by major parties in Korea. Consequently, the overall institutional reform is recently being earnest in Korea. Through the comparative studies about institutional reform of the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it should be reconsidered what institutional reform be adjusted in Korea and when it begin. 이 연구는 선진 민주주의 국가들(독일, 영국, 스웨덴)과 비교적 관점에서 정당민주주의 규범 및 제도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 정당민주주의의 제도적 특징을 규정하고 ‘정당정치의 위기’에 대응해 각국에서 진행되어온 제도를 둘러싼 갈등과 제도개혁 논쟁 및 제도 변화를 일별함으로써 한국정당제도 개혁의 과제를 제시한다. 제도개혁에 관한 정치학 연구들은 주로 권력구조, 선거제도와 선거법 개혁을 매개로 득표-의석수 비례성 증진과 등가성 보장을 통한 정당경쟁체제 재편을 다루는데 치중해 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유럽 선진 민주주의 국가들의 정당 제도는 대중정당 민주주의 발전시기에 형성된 전통적 유형에 고착되어있지 않고 개혁 필요성에 부응하여 점차 변화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정당제도의 시대적 유효성을 고찰하고 개혁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본격적인 비교 제도 연구의 필요성이 커져가고 있다. 정당민주주의를 헌법상 정당에 대한 제한조항의 유무, 정당성립 ․ 조직 ․ 활동에 대한 법적-제도적 제한의 정도, 국가의 정당 활동에 대한 지원 제도 등을 준거로 유형화했을 때 한국은 방어적 민주주의에 해당한다. 하지만 한국의 정당민주주의 제도는 유사한 유형인 독일과 비교했을때 보다 규제적 특징이 강하고, 정당 활동의 주체가 특정이념이나 이익을 대표하는 것을 여전히 규범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전반적인 민주주의 제도개혁논의가 본격화된 현 시점에서 한국사회 역시 정당정치 정상화와 민주적 대표성 강화를 위한 점진적 변화와 선택적 전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단계이다. 민주적 책임성과 투명성 강화를 위해 유럽의 정당들은 정당 관련법 제정과 규제 정비에 나섰지만 한국은 이와 반대로 선거제도와 권력 구조적 특징, 정당에 대한 지나친 규제 등으로 인해 정당경쟁이 획일화되고 정치적 책임성이 약화되는 경향을 나타내 왔다. 따라서 정당 민주주의 제도 운용의 역사에 있어 앞서있는 선진 국가들의 제도 개혁을 살펴볼 때 역사적 관점에서 신중히 비교 검토하고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제도적 운용을 실험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