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반월상 연골의 탈출 -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와 상관 있는가? : Meniscus Extrusion after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Does Size Matter?

        장석환 인제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반월상 연골의 탈출 -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와 상관 있는가?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정형외과 전공 장 석 환 (지도교수: 고 한 석) 목적: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후 발생하는 반월상 연골의 탈출은 흔히 접하게 되는 문제 중 하나이다. 반월상 연골 크기 측정시 흔히 사용하는 Pollard 방법으로 측정한 군과 변형된 방법으로 측정한 군의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반월상 연골의 탈출 정도 및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본원에서 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받은 총 3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18예는 Pollard 방법으로 측정한 크기의 동종 반월상 연골판을 사용하였고, 18예는 Pollard 방법보다 크기를 5% 더 줄인 변형된 방법으로 측정한 반월상 연골판을 사용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1.4개월 (24개월-36개월) 이었고 평균 나이는 33.3세 (14세-47세) 이었다. 모든 예에서 수술 전후 이학적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와 자기공명 영상 촬영을 하였으며 두 수술군간의 반월상 연골 탈출의 정도의 절대치와 개인의 무릎 크기에 따라 보정한 상대적 탈출 비율 (relative percentage of extrusion)을 측정하여 비교 하였다. 두 수술군의 Lysholm 점수, 단순 방사선 검사상 관절 간격 변화와 Kellgren-Lawrence grade 등급도 비교하였다. 18예에서 이차관절경술을 시행하였다 (Pollard 방법 측정군 6예, 변형 측정군 12예). 결과: 두 군의 반월상 연골의 탈출 정도의 절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평균 상대적 탈출 비율은 Pollard 방법보다 5% 줄인 군이 더 낮았다 (p=0.037). Lysholm 점수는 모든 예에서 평균 61.2에서 88.2로 향상되었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군간의 단순방사선 사진상 관절간격 변화와 Kellgren-Lawrence 등급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변형된 Pollard 방법으로 측정 후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시행한 수술군에서 반월상 연골의 탈출의 상대적 비율은 감소하였으나, 반월상 연골 탈출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영향은 장기적인 추시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반월상 연골,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반월상 연골 탈출, 반월상 연골 측정법 Abstract Meniscus Extrusion after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Does Size Matter?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Suk Hwan Jang, M.D (Director: Professor Han Suk Ko, M.D, Ph.D) Purpose: Meniscal extru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blems associated with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MAT). We compared two groups of patients, one using the standard Pollard method to measure the size of the meniscus before MAT and the other using a modified Pollard method, to evaluate the amount of extrusion and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36 patients who underwent MAT between September 2002 and June 2008. Eighteen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MAT between September 2002 and September 2006 had preoperative allograft sizing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of Pollard et al., and 18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MAT after September 2006 had their preoperative allograft size measured using our modified method, reducing the total size of the graft described by Pollard et al. by 5%.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1.4 months (range 24?36) and the mean age was 33 years (range 14?47). Pre- and postoperative clinical, radiographic,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ata were recorded. We compared the absolute amount of extrusion and relative percentage of extrusion, between the two groups, to standardize the measurement to the different sized knees. We also compared the Lysholm knee score, amount of joint space narrowing on radiographs, and Kellgren-Lawrence grade. Second-look arthroscopy was performed in 18 patients (6 in the Pollard group and 12 in the modified Pollard group). Results: The absolute amount of extrus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mean relative percentage of extrusion was lower in the modified Pollard group (p=0.037). The mean Lysholm knee score increased from 61.2 to 88.2 in all pati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joint space narrowing or Kellgren-Lawrence grad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modified Pollard method decreases the relative percentage of extrusion after MAT. Further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effect of meniscal extrusion. Key words: Meniscus,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Meniscus extrusion, Meniscus sizing method

      • Association between Contactin-5 promotor polymorphism and schizophrenia in a Korean population

        장석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Contactin-5 (CNTN5), which is a member of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of cell adhesion molecules, plays a role in synapse formation and maturation.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involvement of CNTN5 in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through 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promoto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ith schizophrenia, and the expression in the brains of schizophrenic-like mice. For th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promoter SNPs (rs1222589, rs11218061, rs4754573, and rs4754574), a total of 263 schizophrenia patients and 455 control subjects were recruited. In the allele frequency analysis, I observed that the G allele of rs4754573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schizophrenia (P = 0.012). In the haplotype analysi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AAGA haplotype consisting of rs1222589, rs11218061, rs4754573, and rs4754574, and schizophrenia was also shown (P = 0.028). The luciferase activity assay according to the alleles of 4 SNPs showed that the G allele of rs4754573 reduced the promotor activity, compared to the A allele. The promotor activity of the AAGA haplotype was also decreased, compared to the AAAA haplotype (reference haplotype). Furthermore, in the prefrontal cortex, striatum, and hippocampus of the schizophrenic-like MK-801-treated and maternal immune-activated (MIA) mice, I examined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CNTN5. In MK-801-treated mice,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expression of CNTN5 was detected. In contrast, in MIA mice, a decrease in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CNTN5 was observed in the prefrontal cortex on postnatal day (PND) 50 and 6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 allele of rs4754573 and the AAGA haplotype in CNTN5 may be contributed to the susceptibility of schizophrenia, through the decreased transcription of CNTN5. The decreased expression of CNTN5 may be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Contactin-5 (CNTN5)는 세포 접착분자의 면역 글로불린 슈퍼 패밀리의 구성원으로, 시냅스 형성과 성숙에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저자는 조현병의 병태생리에 대한 CNTN5 의 역할 규명을 위해 프로모터 단일 염기 다형성과 조현병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조현병 유사 동물모델의 뇌에서 유전자/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였다. 먼저, 프로모터 단일 염기 다형성(rs1222589, rs11218061, rs4754573, rs4754574) 의 연관성 분석을 위해 총 263 명의 조현병 환자와 455 명의 건강 대조군 피험자를 모집했다. 대립 유전자 빈도 분석을 통해 본 저자는 CNTN5 의 rs4754573 의 대립 형질이 조현병의 위험도 증가와 관련되어 있음을 관찰했다(P = 0.012). haplotype 의 연관성 분석에서도 rs1222589, rs11218061, rs4754573 과 rs4754574 로 구성된 AAGA haplotype 과 조현병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을 확인하였다(P = 0.028). 다음으로 CNTN5 의 4 개의 프로모터 단일 염기 다형성과 haplotype 이 CNTN5 의 프로모터 활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luciferase 활성 분석법을 통해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 rs4754573 의 G 대립 형질이 A 대립 형질에 비해 프로모터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AGA haplotype 또한 AAAA haplotype 에 비해 감소된 프로모터 활성도를 나타냈다. 이에 더불어 본 저자는 조현병 유사 동물모델에서 CNTN5 mRNA 및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분석했는데, 그 결과, MK-801 처치한 생쥐에서는 유의미한 CNTN5 발현 차이를 관찰하지 못했지만, 모성면역활성화 생쥐의 뇌에서는 CNTN5 의 단백질 그리고 mRNA 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모성면역활성화 생쥐의 전전두피질에서 출생 후 50 일과 60 일째에 CNTN5 의 mRNA 와 단백질 발현 감소가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NTN5 의 프로모터 단일 염기 다형성 rs4754573 및 haplotype 이 조현병의 민감도와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CNTN5 의 전사 감소를 통해 조현병의 발병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반월상 연골의 탈출 -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와 상관 있는가? : Meniscus Extrusion after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Does Size Matter?

        장석환 인제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Meniscus Extrusion after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Does Size Matter?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Suk Hwan Jang, M.D (Director: Professor Han Suk Ko, M.D, Ph.D) Purpose: Meniscal extru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blems associated with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MAT). We compared two groups of patients, one using the standard Pollard method to measure the size of the meniscus before MAT and the other using a modified Pollard method, to evaluate the amount of extrusion and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36 patients who underwent MAT between September 2002 and June 2008. Eighteen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MAT between September 2002 and September 2006 had preoperative allograft sizing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of Pollard et al., and 18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MAT after September 2006 had their preoperative allograft size measured using our modified method, reducing the total size of the graft described by Pollard et al. by 5%.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1.4 months (range 24?36) and the mean age was 33 years (range 14?47). Pre- and postoperative clinical, radiographic,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ata were recorded. We compared the absolute amount of extrusion and relative percentage of extrusion, between the two groups, to standardize the measurement to the different sized knees. We also compared the Lysholm knee score, amount of joint space narrowing on radiographs, and Kellgren-Lawrence grade. Second-look arthroscopy was performed in 18 patients (6 in the Pollard group and 12 in the modified Pollard group). Results: The absolute amount of extrus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mean relative percentage of extrusion was lower in the modified Pollard group (p=0.037). The mean Lysholm knee score increased from 61.2 to 88.2 in all pati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joint space narrowing or Kellgren-Lawrence grad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modified Pollard method decreases the relative percentage of extrusion after MAT. Further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effect of meniscal extrusion. Key words: Meniscus,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Meniscus extrusion, Meniscus sizing method 국문초록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반월상 연골의 탈출 -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와 상관 있는가?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정형외과 전공 장 석 환 (지도교수: 고 한 석) 목적: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후 발생하는 반월상 연골의 탈출은 흔히 접하게 되는 문제 중 하나이다. 반월상 연골 크기 측정시 흔히 사용하는 Pollard 방법으로 측정한 군과 변형된 방법으로 측정한 군의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반월상 연골의 탈출 정도 및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본원에서 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받은 총 3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18예는 Pollard 방법으로 측정한 크기의 동종 반월상 연골판을 사용하였고, 18예는 Pollard 방법보다 크기를 5% 더 줄인 변형된 방법으로 측정한 반월상 연골판을 사용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1.4개월 (24개월-36개월) 이었고 평균 나이는 33.3세 (14세-47세) 이었다. 모든 예에서 수술 전후 이학적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와 자기공명 영상 촬영을 하였으며 두 수술군간의 반월상 연골 탈출의 정도의 절대치와 개인의 무릎 크기에 따라 보정한 상대적 탈출 비율 (relative percentage of extrusion)을 측정하여 비교 하였다. 두 수술군의 Lysholm 점수, 단순 방사선 검사상 관절 간격 변화와 Kellgren-Lawrence grade 등급도 비교하였다. 18예에서 이차관절경술을 시행하였다 (Pollard 방법 측정군 6예, 변형 측정군 12예). 결과: 두 군의 반월상 연골의 탈출 정도의 절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평균 상대적 탈출 비율은 Pollard 방법보다 5% 줄인 군이 더 낮았다 (p=0.037). Lysholm 점수는 모든 예에서 평균 61.2에서 88.2로 향상되었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군간의 단순방사선 사진상 관절간격 변화와 Kellgren-Lawrence 등급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변형된 Pollard 방법으로 측정 후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시행한 수술군에서 반월상 연골의 탈출의 상대적 비율은 감소하였으나, 반월상 연골 탈출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영향은 장기적인 추시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반월상 연골,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반월상 연골 탈출, 반월상 연골 측정법

      • 첩포검사를 시행한 습진성 입술염 환자에 관한 임상적 연구

        장석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습진성 입술염은 입술 및 입술 주변부의 홍반, 가려움증 및 부종, 열창 등의 형태를 보이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접촉성 피부염의 한 형태로 입술연지, 입술용 크림 등 외부 물질과 장기간의 일광노출, 입술을 자극하는 습관 등 외인성으로 발생가능하며 아토피 피부염, 지루 피부염등의 내인성 요인에 기인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목적: 습진성 입술염 환자 중 첩포검사를 시행한 환자에서 알레르기 접촉 입술염 환자의 유병률 및 원인 항원을 알아보고, 자극에 의한 입술염, 내인성 입술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입술에만 가려움, 건조, 부종, 열창등을 동반한 입술염 환자 중 첩포검사를 시행한 환자 56명의 의무기록과 임상사진을 조사하였고 첩포검사 및 문진 결과를 통해 입술염의 원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총 56명의 환자 중 41명의 환자에서 첩포검사 상 1개 이상의 항원에 양성소견을 보였다. 이 중 원인항원이 밝혀진 알레르기 접촉 입술염 환자가 25(44.6%)명 이었고, 자극에 의한 입술염이 13(23.2%)명, 내인성 입술염이 5(8.9%)명 이었다. 알레르기 접촉 입술염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로는 lipstick 및 lipstick casing 과 같은 cosmetics, 치약, 의약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습진성 입술염 중 화장품이나 치약, 의약품 등의 원인 물질에 의한 알레르기 접촉 입술염의 빈도가 높으므로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습진성 입술염에서 첩포검사가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Cheilitis is an inflammatory reaction of the lips. Eczematous cheilitis can be caused by either endogenous or exogenous factors. Contact sensitization could be a common exogenous cause as the lips are exposed to lipsticks, toothpastes and topical medications. Objective: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allergic contact cheilitis, irritant contact cheilitis from eczematous cheilitis patients. Methods: We indentified the patients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Gwangju, between January 2004 and February 2013. Clinical characteristics (age, gender, past history, disease duration, etc) and patch test results were carefully evaluated. Results: Allergic contact cheilitis was diagnosed most commonly (25 patients, 44.6%) followed by irritant contact cheilitis (13 patients, 23.2%) and endogenous cheilitis (5 patients, 8.9%). However the causative factors were uncertain in 13 patients (23.2%). Among 56 patients, 41 revealed patch test positivity to one or more antigen (73.2%) which indicated a clinical relevance for the positive antigen in 25 patients of allergic contact cheilitis. Conclusion: The common cause of allergic contact cheilitis was related to lipstick casing, lip cosmetics such as lipsticks and lip balms followed consumer product like toothpaste. Interestingly, nickel sulfate was the most common in positive patch test followed by fragrance mix and balsam of Peru. While it’s difficult to conclude a clinical relevancy, patients with chronic eczematous cheilitis should be patch-tested to identify the possible cause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2.3GHz CMOS 2단 저잡음 증폭기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장석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문초록:Recently, wireless communication WiBro which is one of the next generation technology is not long to get ready to service. When the WiBro service is available, we can us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contents at high speed by connecting internet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this paper, we designed LNA in the range of 2.3GHz WiBro by applying 0.25um CMOS technology. In advance of amplifier simulation, we applied inductor to PGS structure which is always mentioned because of its physical size and Q factor in order to increase the area efficiency of the whole chip while enhancing the series resistance of inductor and Q factor. Designed amplifier induced each of the voltage without making any bias circuit. At this time, we turned on electricity of 30mA. We put the inductance value by choke inductor to prevent leakaging out of AC toward in/output matching and bias. And we put a capacitor and made a DC block. As a result, in the simulation data, the gain is 26.84dB and the noise figure showed to be 3.4dB. In the actual made result, the gain is 23.87dB and the noise figure turned out to be 3.6dB and showed a little error compared to the simulation data. Size of the made amplifier has 940um in width and 720um in l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