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석 시와의 연관성을 통해 본 오장환의 초기시 : 인간을 위한 문학의 옹호와 선택적 부정의 양상

        장만호(Jang Man-Ho) 한국시학회 2009 한국시학연구 Vol.- No.25

        This paper aims at finding a relationship between Oh Jang-hwan's poetry and Baek Seok's poetry, clarifying Oh Jang-hwan poetry's thematic consciousness, and characterizing the inner logic of Oh Jang-hwan's early poetry. This kind of work helps finding out the logical reasons for the complex aspects of Oh Jang-hwan's early poetry. A desirable poem for Oh Jang-hwan is the one that reveals a poet's emotion, opinions, and visions. The 'sentimentalism' for him is the emotion that a true person has to feel when he confronts with the real life and the natural effect of the contents over the forms. On the one hand, Oh Jang-hwan's criticism for Baek, Seok is caused by this kind of reason. On the other hand, Oh tries to find Baek Seok poetry's good points, the characteristics of returning family and hometown and refinding a value of the present reality and the future directionality. The thematic tendency of Oh Jang-hwan's early poetry is perceiving the past with the present perspective and narrating the past with the vision for future. This kind of tendency is embodied in <Jongga [the head family]>. However, Oh Jang-hwan does not reveal his commentary and critical attitude in the poems depicting the low class whom he empathizes or feels sympathy. This kind of tendency proves that Oh Jang-hwan's critical voice is not his own voice but an intentional one resulted by his poetic theory. The reason why he shows a critical attitude in his many poems in spite of this tendency is that he thinks criticizing the old customs, the false consciousness and the deceptive attitude of the Yangban [the upper class], human alineation of the capitalistic society, and the small businessmen is more important than sympathizing with the lower class. This kind of attitude tells that Oh Jang-hwan does not deny all aspects of the contemporary reality and tradition but negate them selectively differentiating between the objects of negation and the objects of empathy. The reason why the critical poems are more visible than the empathizing poems is that the object of denial is the structure of reality itself.

      • KCI등재

        부정의 아이러니와 환멸의 낭만주의

        장만호(Jang Man-ho) 한국비평문학회 2009 批評文學 Vol.- No.32

        Oh, Jang-Hwan is the poet who demonstrated the contemporary social reality and its contradictions obviously through his literary practice liv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emancipation and the division. Oh, Jang-Hwan’s perspective covers such a broad range as the denial of old customs, a firm belief in progress, the criticism on the capitalistic modern urban civilization, a decadent experience of sailing, an ambivalent emotion on his hometown, which is regarded as an exceptionally broad spectrum comparing his contemporary poets. This paper aims at grasping an inner logic that can explain Oh, Jang-Hwan poetry’s heterogeneous and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which are produced by its complex and various aspects. The inner logic is the doubleness of Oh, Jang-Hwan’s consciousness of denial, in other words, an irony emergedby negating both reality and self and the attitude of romantic disillusionment.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s that Oh, Jang-Hwan’s consciousness of denial is expressed with the double aspects. Oh, Jang-Hwan is the poet who revealed a strong interest on the social reality. While he wrote poems that sympathize the lives of the low-class, he also created the poems that criticize the social reality. They negate tradition and old customs and criticize their fakeness. When this consciousness of the denial is toward his interiority, Oh, Jang-Hwan’s poems reveal the artificial pose and the decadent aspects. This paper regards the double negation and the contradictory attitude as the conspicuous characteristics of Oh, Jang-Hwan’s early poetry and named it as ‘the Irony of Denial.’ Second,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Oh, Jang-Hwan’s early poetry as the transformation from the romantic disillusionment to lyricism. This paper named this character as the ‘Romantic Disillusionment’ in that the emotions of self disillusionment are expressed with the romantic spaces. The frequent expressions in this early period such as ‘tears,’ ‘regret’, ‘sorrow’, and ‘death’ are the results of the lyric attitude that poetic subject inevitably had to arrive after getting through the disillusionment.

      • KCI등재

        식민과 해방; 두 "탑" 사이의 거리 -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본 오장환의 해방기 시-

        장만호 ( Man Ho Jang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4

        이 논문은 오장환의 해방기 시문학에 관한 연구이다. 해방 후 발간된 『病든 서울』을 중심으로 한 해방기 시편들과 필자가 새롭게 발굴한 월북 이후 오장환의 시를 통해 해방에서 월북에 이르는 오장환의 시적 이력과 정치적 행보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필자가 찾아낸 오장환의 시 「탑」과 번역시 「튀스터-氏」, 한효의 오장환 관련 평문은 해방을 맞이한 순간부터 월북에 걸친 시기의 오장환의 시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오장환은 식민지 시기의 행적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을 일회성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었고 이 점에서 오장환의 자기반성은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의 해방기 시편들은 피식민의 역사를 건너 온 한 시인의 자기반성과 머뭇거림을 당대 어느 시인보다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개아적(個我的) 진정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월북 후 오장환은 「탑」을 발표하는데 이 시는 식민지 시기 「絶頂의 노래」와 상호 참조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탑」을 통해 새로운 세계에 대한 희망과 다짐을 노래하였지만 북한 내에서 이 시는 봉건적이며 재래적인 시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두 시의 대상인 ``탑``의 거리는 오장환 개인에게 있어 피식민의 억압으로부터 새로운 세상을 기약하고자 한 바람의 거리였지만, 해방기 시문학사로 보면 해방기 남과 북, 또는 정치와 시의 거리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h, Jang-hwan`s career as a poet and political practices from the liberation to detection to North Korea through his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in ``Byeong-deun Seoul``(Diseased Seoul)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and poems written after his detection to North Korea, newly unearthed by the author. Especially, his poem ``T`ap``(Pagoda) and translated poem ``Mister Twister`` newly unearthed and Han, Hyo`s criticism related to Oh, Jang-hwan are expected to offer new perspectives on the understanding of Oh`s poems. It seems that Oh, Jang-hwan had been thoroughly and consistently reflecting on his whereabouts in the colonial period not as a one-off thing and in this respect, we needs to shed new light on Oh`s self-reflection. His poems in the liberation period much more clearly showed self-reflection and hesitation of a poet who had passed the history of colonized nation than any other poets in that period and displayed ``individual sincerity`` based on this. After detection to North Korea, Oh wrote ``Pagoda``, which showed the cross-referential characteristics with poem ``Song of Zenith`` written in the colonial period. He expressed his hope and promise for a new world in poem ``Pagoda``, however, it was criticized as feudal and conventional in North Korea. To Oh, Jang-hwan, the distance between two ``Pagodas``, objects of poems, was the distance of his hope and promise for a new world, free from the suppression due to the colonization, but it also showed the dista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or politics and poetry in the liberati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poetic history back then.

      • KCI등재

        해방기 시의 공간 표상 방식 연구

        장만호(Jang Man-ho)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이 글은 해방기 시에 형상화된 공간의 양상을 고찰하여 해방기 시문학에 나타나는 공간 표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당대의 현실 상황이 시적 주체의 인식과 상상력을 통해 어떻게 변용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해방공간의 서울은 식민지 시기의 ‘경성’이 지녔던 식민성을 재삼 확인하는 공간이며, 새로운 역사와 국가를 정립해야 하는 시발점으로 인식되었다. 대표적으로 오장환과 임화는 ‘서울’을 과거의 삶에 대한 반성과 ‘다가올 미래’에 대한 실천적 의지의 장으로 표상한다. 그러나 이후 다른 시인들의 시에서 서울은 구체적 공간성을 상실하고 ‘사건’이 발생한 ‘현장’으로 등장하거나 해방된 조선의 당대 현실을 제유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서울이라는 ‘해방기의 중심 공간’은 그 실감과 구체성을 상실하고 사건의 배경으로 등장하거나 하나의 관념적인 대상으로 성립되는 것이다. 서울이라는 공간이 시적 주체들이 삶을 영위하고 사회 · 정치 제도의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실제적인 공간이었다면 아시아, 소련, 미국 등의 공간은 일정 부분 지리학 및 언론 매체를 통해 습득한 간접 지식을 바탕으로 형상화된 ‘상상’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직접 체험하거나 거주하지 못한 장소나 공간을 문학적 대상으로 포섭하고자 할 때 필연적으로 개입되는 것이 시인의 상상력과 그 장소 및 공간의 특징들이다. 이런 점에서 이 공간들은 시적 주체의 상상력과 문화, 문학, 지리, 역사 등 실제 공간에 대한 예비적인 지식과 정치적 지향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박인환, 임화, 김기림 등은 아시아, 소련, 미국의 문화적 아이콘들을 호명하고 나열함으로써 해당 국가(공간)을 형상화하고 있는데, 나열의 방식을 통해 공간을 표상한다는 점에서 이 시들의 공간 표상 방식은 다분히 ‘환유적’ 방식에 기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patial representation in poems by investigating the aspects of space in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Through this, it will look into how the reality of the period was transfigured with perception and imagination of the poetic subjec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Seoul was the space where people reconfirmed coloniality once Kyungseong had and had to be the starting point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history and nation. Oh, Jang-hwan and Im, Hwa represented Seoul as the space of self-reflection of the past life and practical will for the coming future. In poems of other poets after them, however, Seoul lost the concrete spatiality and was described as the site of events or as the synecdoche of the liberated Joseon’s reality. Seoul, the central space of the liberation period, lost its reality and concreteness and was appeared as the background of events or became an ideological object. While Seoul was the real space where poetic subjects lived their lives and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change of social and political systems, Asia, the Soviet Unio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ere imagined spaces formed with indirect knowledge attained through geography and mass media. When spaces or places where the poet has never been to or lived in were to be included into literary world, the poet's imagination and features of the spaces and places are necessarily intervened. In this respect, these spaces could be called as the whole of poetic subjects’ imagination, preliminary knowledges on real space such as culture, literature, geography and history, and political orientation. Park, In-hwan, Im, Hwa, Kim, Gi-rim embodied those nations(spaces) by calling and listing cultural icons of Asia,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at they represented spaces with enumeration, the way of spatial representation in their poems seems to be relied upon metonymic method.

      • KCI등재후보

        이형기 시 연구 - 아이러니적 인식을 중심으로 -

        장만호 ( Jang Manh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1 漢城語文學 Vol.44 No.-

        이형기는 허무의 시인이라 불릴 만큼 허무에 천착했다. 이 논문은 허무를 강조하는 그의 시론과 시가 아이러니적 인식과 태도의 반영임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슐레겔의 낭만적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아이러니의 이론과 미학을 살폈으며, 이형기의 텍스트에 이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형기는 시인이라는 자각을 통해 아이러니적 예술가의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그의 언어관 역시 아이러니적 언어관을 닮아 있었다. 그가 감행한 자기파괴의 행위 역시 아이러니적 행위였으며, 이 행위를 통해 발견한 허무란 자기창조와 자기파괴의 지속적인 반복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그의 대표적인 시론이라 할 수 있는 ‘우로보로스의 시학’은 평면적 순환이 아니라 아이러니적 무한으로 나아가는 전진의 시학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Lee Hyung-ki was so obsessed with nihility that he was called the poet of nihility. This thesis attempted to clarify that his poetics and poetry, which emphasizes nihility, are in fact ironic perceptions and attitudes. To this end, I examined the theory and aesthetics of irony, focusing on Schlegel's romantic irony, and tried to apply it to Lee's text. Lee Hyung-ki showed the appearance of an ironic artist through his awareness of being a poet, and his view of language also resembled an ironic view of language. The act of self-destruction he undertook was also an ironic act, and the aim was to reveal that the nihility he found through this act was a continuous repetition of self-creation and self-destruction. Based on this, I tried to confirm that his representative poetic theory, “Ouroboros' poetics,” is not a flat cycle, but a poetic progression toward ironic infinity.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인문도시와 공동체 내에서의 타자의 문제 - 인문도시 진주 사업을 중심으로

        장만호 ( Jang Man-ho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용봉인문논총 Vol.- No.58

        이 연구는 인문도시지원사업의 운영 방법과 목표를 검토하고 2020년 인문도시지원사업에 선정된 ‘인문도시 진주’ 사업의 이론적 배경과 주제의 설정 과정, 구체적인 사업 내용 등을 기술하고자 한다. 인문도시지원사업은 지역의 인문자산을 활용하여 시민들에게 인문학을 전파,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와 인문공동체의 형성을 지향하고 있는 사업이다. 사업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서는 현대 도시와 도시적 삶의 문제, 공동체 형성의 가능성과 성격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인문도시가 지그문트 바우만이 말한 ‘짐 보관소로서의 공동체’인 동시에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적인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 같은 가능성을 토대로 인문도시 진주 사업단은 사업 지역인 진주시에 필요한 가치가 ‘우리 안의 타자와 함께 가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관련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는 근본적으로 모두 타자들이며, 나는 나인 동시에 상대의 타자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우리는 동일 집단 내에서의 소외와 배제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은 ‘타자’의 문제가 단순히 특정 외부 집단에 대한 호의와 배려가 아니라 나와 우리의 근본적인 문제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 배제와 소외의 극복이야말로 인문학이 당연히 감당해야 할 시급한 책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인문학, 진주를 품다’라는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소통과 치유, 동행의 가치를 확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on methods and goals of the Humanities City Support Project, and then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ocess of setting the subject, and specific project details of the ‘Humanities City Jinju’ project selected as the Humanities City Support Project in 2020. The Humanities City Support Project is a project aiming at the formation of a local community and a humanities community through the use of local cultural heritage to spread humanities to citizens. For the efficient progress of the projec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oblems of modern city and urban life, and the possibility and character of community formation. In this proces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functioning as a heterotopian space for Foucault as well as the “community as a luggage storage” that Sigmund Bauman referred to as a humanities city. Based on this perception, the Humanities City Jinju Project decided that the value needed in Jinju City, was ‘to go with the other within us’. The fact that we are all fundamentally other people, and that I and I have no choice but to be the other’s other at the same time, is that we are always exposed to the alienation and exclusion within the same group. It reminds us that it is not caring, it is a fundamental problem with me and u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overcoming exclusion and alienation is an urgent responsibility that humanities must bear, the subject of “Humanities, Embracing Jinju” has been derived,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spread the values of communication, healing, and companionship.

      • KCI등재

        최남선 창가의 문화정치학과 『소년』 계몽기획의 이중적 구도

        장만호(Jang, Man-ho)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6

        이 글은 최현식의 『최남선·근대시가·네이션』(소명출판, 2016)의 서평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근대·계몽의 주체(최남선, 근대 매체)와 근대·계몽의 내용(네이션 기획), 근대·계몽의 문학적 형식(근대시가)을 살피고 있다. 최남선과 근대시가, 네이션의 삼각구도를 통해 최남선의 문학 및 문화 기획과 문학 양식의 문제를 검토하고 있는 셈이다. 이 서평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이 책을 읽고자 한다. 2장에서는 최남선의 철도창가와 근대 투어리즘의 관계에 대한 저자의 논의를 소개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저자는 최남선이라는 ‘문제’를 그 시기적 추이에 따른 변모를 기본축으로 삼으면서도, 대상 작품들과 그 주제나 창작 시기, 매체적 상동성·상사성을 지닌 대상들을 지속적으로 호출한다. 「경부텰도노래」에 대해서 오오와다 다케키의 「만한철도창가」를, 근대계몽기 한양의 모습에 대해 일제의 시각인 ‘경성’의 표상을, 「세계일주가」에 대해서는 이케베 요시다카의 「세계일주창가」를 호명한다. 이 과정에서 영향 관계가 밝혀지고, 창가의 공통적 특질이 드러나며, ‘문명국이며 제국주의 국가’ 일본의 기차와 ‘문명국이 되고자 노력하는 조선’의 기차가 실어나르는 문명과 역사, 심상지리의 차이가 구별된다. 3장에서는 『소년』의 계몽기획이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다고 보는 저자의 논리를 따라가고자 한다. ‘소년’을 호출하고 ‘신대한’의 건설을 계획하던 최남선의 계몽기획은 당연히 좌절될 수밖에 없었고, 이에 ‘신대한’이라는 국민국가를 대신할 새로운 이념형의 찾을 필요가 있었다. 저자는 ‘신대한’을 대체한 것이 바로 ‘대조선’이라고 보았다. ‘신대한’이란 국민국가의 수립은 현실과는 무연한 욕망임을 깨달은 최남선이 문화 담론을 통해 그 활로를 개척할 수 있는 민족으로 전환한 결과가 ‘대조선’의 호출이었다는 것이다. 저자의 논리에 따르면 시조의 등장이란 이처럼 ‘대조선’의 정신을 앙양하고 민족의 기원과 영광을 상징하는 ‘대황조(단군)’를 기림으로써 ‘국가 만들기’에서 ‘민족 지키기’로 방향 전환한 최남선식 계몽기획의 필연적 결과였던 셈이다. This writing is a Choi, Hyun-sik’s book review on Choi, Nam-sun Geondaesiganation(Published by Somyung, 2016). Through this book, the author examines the subject (Choi, Nam-sun, modern media), content (Nation Planning) and literary expression form (Modern poem) of modern enlightenment. He reviews on the issues of literature, culture planning and literary form of Choi, Nam-sun through the triangular structure of Choi, Nam-sun Geondaesiganation. The book review is largely divied into two perspectives. Chapter 2 introduces author’s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oi, Nam-sun’s railway song and modern tourism to idenfiy its feature. Chapter 3 follows the author’s logic of that enlightened planning of Boy is going through major change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this book.

      • KCI등재

        박재삼 시의 시적 주체와 타자

        장만호(Jang, Man-ho)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1

        이 논문은 시적 주체의 태도가 먼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적 대상, 즉 타자의 존재와 성격이 시적 주체로 하여금 일종의 태도를 결정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전제하였다. 이 점에 착안하여 타자의 성격과 시적 주체의 반응, 타자와 시적 주체의 연관성을 통해 박재삼적 서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의식은 항상 "무엇에 대한" 의식이듯, 시적 주체의 언술 역시 항상, (심지어 그 자신에 대한 언술이라 할지라도) "어떠한 대상(타자)"에 대한 언술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시에 나타나는 "대상(타자)"과 시적 주체와의 관계성에 의해 시적 주체의 위치와 성격이 부여된다. 우리가 박재삼적 서정을 논하고자 할 때 타자의 존재와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아야 할 이유의 하나가 여기에 있는 셈이다. 그리고 이것은 둘 사이의 "동사성"(관계성), 즉 양자가 어떻게 관계 맺고 연관되는가에 주목하는 일이다. 시적 주체가 타자를 결정하는 것도, 그렇다고 타자가 시적 주체를 결정하는 것도 아니라면 중요한 것은 시적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인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은 박재삼 시에 나타나는 타자의 양상을 살피고 이에 반응하는 시적 주체의 반응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assumed that it is not the attitude of poetic subject that is decided first, but the poetic target, in other words, the existence and characteristics of others are the ones that make a poetic subject decide a type of attitude. Based on this point, the lyrics of Park, Jae-Sam style was intended to be confirmed through others" characteristics and response, and relevance of poetic subject. As consciousness is always for "what about", the discourse of a poetic subject should always (Even if it is a discourse of himself) be nothing but a discourse about "a certain target (others". Therefore, the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poetic subject is granted by the relationships of "target (others)" and the poetic subject appeared in a poetry. When we discuss the lyrics of Park, Jae-Sam style, one of the reasons to examine the existence and characteristics of others is right here. And thi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namely paying attention to how both are related and associated. What is importan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poetic subject and other if neither a poetic subject decides others nor others decide a poetic subject.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others revealed in a poetry of Park, Jae-Sam, and the response of poetic subject is considered.

      • KCI등재

        『문장』: 문학에서 문화로 :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장만호(Jang Man-ho)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문장??의 수필은 당대 다른 매체들에 비해 그 필자의 분포와 내용의 측면에서 차별화된다. 타 매체들이 문인들을 위주로 수필의 필자를 구성한데 반해 ??문장??은 문인을 포함, 학자, 연극?영화, 미술, 음악, 언론?출판, 의료, 종교 등 다양한 계층의 전문가를 망라했던 것이다. 이것이 ??문장?? 수필의 첫 번째 특징이다. 이 같은 필자의 분포로 인해 ??문장??의 수필은 매우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다. ??문장??의 성과라 할 수 있는 조선학적 지식의 전파는 물론이고, 음악?영화?미술 등의 예술 분야, 의료?경제와 같은 비예술 분야에 이르기까지 ??문장?? 수필의 주제와 대상은 당대 문화 전반을 다루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문장?? 수필의 두 번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문장??의 수필은 당대 문화 전반을 아우름으로써 수필을 ‘교양’의 층위로 올려놓게 된다. 이는 ??문장??이 수필을 ‘에세이’와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며, 무엇보다 문학을 통해 “문화”를 창안하고자 한 기획의 일환이라고 판단된다. 대부분의 ??문장?? 논의들은 ??문장??이 주력했던 ‘고전의 발굴과 목록화’, ‘조선학의 전파’에 주목하고 이 부분을 ??문장??의 최고 심급으로 놓고 있다. 하지만 문화 전반에 걸친 수필의 게재와 예술 및 문화 관련 기획들을 함께 놓고 고려한다면, ??문장??의 전체 기획은 ‘문학을 통한 문화의 전유 및 창안’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문장?? 소재 수필을 고찰하고 이를 “문화”의 관점에서 보고자 한 이 논문의 주장이 여기에 있다. Essays in the literary magazine ??Munjang??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agazines of the day in the distribution of the writer and contents. Writers of other magazines were mostly literary person, however, including literary person, essay writers of ??Munjang?? were from various social stratum; academia, play, movie, fine arts, music, media, publication, medical circle, religion, etc. This is the first characteristics of essays in ??Munjang??. The distribution of writers resulted in the variety of areas covered by essays in ??Munjang??. Subjects and objects of essays in ??Munjang?? were overall culture of the day, covering not only the propagation of knowledges on Joseon Studies, the very achievement of ??Munjang?? but also music, movie, fine arts and inartistic fields such as medical circle, economy. This is the second features of essays in ??Munjang??. Ultimately, essays in ??Munjang?? strived to propagate knowledges on Joseon Studies on one hand, and placed essay in the ranks of 'gyo-yang' by covering cultures of the time in general. This is because ??Munjang?? recognized sooph'il(essay) as same with 'essay' and it was the part of strategy to create 'Culture' through literature. Most of discussions in ??Munjang?? paid attention to 'the discovery and cataloging of classics', 'the propagation of knowledges on Joseon Studies.' However if the publication of essays on culture in general and projects related to arts and cultures were considered together, overall project of ??Munjang?? is more close to 'the exclusive possession and creation of culture through literatu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essays in ??Munjang?? and interpret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신문 독자투고시의 시어 사용 양상

        장만호(Jang, Man-Ho),김일환(Kim, Il-Hwan)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8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동아일보』와『조선일보』에 게재된 독자투고시의 시어 사용양상과 특징을 ‘통계적 키워드’와 ‘공기어 네트워크’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1920년부터 1939년까지 두 신문에 투고․게재된 4,032편의 시를 전산입력하여 코퍼스를 만들었다. 이후 시기별 특징을 살피기 위해 1920년대(1920~1929)와 1930년대(1930~1939)로 나누어서 시어 사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면밀한 검토를 위해 단순한 사용 빈도가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통계적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1920년대와 1930년대 독자들의 시에 나타나는 중요 시어 30개씩을 조사하였다. 워드 클라우드를 통해 시각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그 특징을 명확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통계적 키워드’가 갖는 ‘시어 그 자체’의 고립성을 극복하기 위해 ‘공기어’의 개념을 적용하여 특정 시어와 관련을 맺는 30개의 시어들을 몇몇 사례별로 확인하였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독자투고시의 시어는 1920년대에서 1930년대로 넘어오면서 근대적 가치를 수용하는 데서 나아가, 가족, 교육, 산업 등 변화하는 시대적 환경을 반영하고 이를 구체적 시어들과 연계하여 시적 맥락을 형성해가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words used in the newspapers Donga Ilbo and Chosun Ilb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analyzing statistical keywords and co-occurrence relation networks. From 1920 to 1939, 4,032 poems were published in the two newspapers, and a corpus was created.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the period, we analyzed the usage patterns of poetic words in the 1920s (1920-1929) and 1930s (1930-1939). To conduct a careful examination, we extracted not only the frequency of use but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keywords, and we surveyed 30 important words in the poems submitted by readers. Through word cloud, we attempted to obtain a clear picture of poems’ characteristics in a visual and intuitive way. To avoid an isolation of the poetic words by the statistical keywords, we identified 30 poems including specific poetic words using co-occurrence relation words. Through the above processes, we found that the poetic words in the newspapers during the 1920s - 1930s went from accepting modern values to reflecting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times including changes in family, education, and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