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라산 아고산대 구상나무군락의 물질생산과 탄소수지

        장래하 ( Rae Ha Jang ),최재윤 ( Jae Yun Choi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한라산 아고산대에서 구상나무림의 물질생산, 탄소분포와 탄소수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상나무림의 현존량은 2009, 2010, 2011, 2012 와 2013에 각각 98. 88, 106. 42, 107. 67, 108. 31와 91. 48ton/ha 유기탄소량은 44. 5, 47. 89, 48. 45, 48. 74와 41. 17 ton C/ha 이었다. 순생산량은 2009, 2010, 2011, 2012 년에 각각 11. 40, 7. 41, 0. 05 와 -9. 46 ton ha-1yr-1 이었고, 유기탄소 순생산량은 5. 13, 3. 33, 0. 02와 -4. 25 ton C ha-1yr-1 이었다. 2009~2013년 연간 낙엽생산량은 각각 2. 42, 4. 02, 2. 94, 5. 47, 2. 67 ton ha-1yr-1이었고, 낙엽생산량의 유기탄소량은 1. 09, 1. 80, 1. 32, 2. 46, 1. 20 ton C ha-1yr-1. 연간 임상낙엽량 6. 09, 5. 40, 4. 45, 2. 57 ton/ha 임상냑엽량의 유기탄소량은 2. 74, 2. 43, 2. 00, 1. 16 ton C/ha. 토양 20cm까지의 유기탄소축척량은 각각 55. 77, 54. 90, 50. 69, 44. 42, 41. 87 ton C ha-120cm-1. 2012년 토양호흡을 통해 배출된 유기탄소량은 2011, 2012년에 각각 4. 42, 4. 14 ton Cha-1yr-1 이었다. 한라산 구상나무림에서는 2011년에 총 0. 01 ton C ha-1yr-1의 유기탄소를 대기로 방출하였고 2012년에 -8. 39 ton C ha-1yr-1의 유기탄소를 대기로 배출하였다.

      • KCI등재

        한라산 아고산대 구상나무림에서 연간 물질생산과 유기탄소량 변화1a

        장래하 ( Rae Ha Jang ),조규태 ( Kyu Tae Cho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국가장기생태사업(LTER)의 일환으로 한라산 아고산대 구상나무림의 물질생산과 탄소분포의 특성을 밝히고자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현존량, 유기탄소분포, 낙엽생산, 임상낙엽량과 토양 유기탄소 축척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현존량은 상대생장법에 의해 보고된 물질생산 식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이산화탄소의 고정량으로 환산하였다. 2009, 2010, 2011, 2012 와 2013년의 현존량은 각각 98.88, 106.42, 107.67, 108.31 와 91.48 ton ha-1 였다. 이 기간 동안의 유기탄소는 지상부 생물량에 35.95, 38.69, 38.96, 39.46, 33.2 ton C ha-1, 지하부 생물량에 8.54, 9.2, 9.49, 9.28, 7.97 ton C ha-1 이 각각 분포하였다. 5년 동안 낙엽 생산을 통해 1.09, 1.80, 1.32, 2.46 와 1.20 ton C ha-1 의 유기탄소가 생태계로 유입되었다. 2010, 2011, 2012와 2013년의 임상낙엽층의 유기탄소량은 2.74, 2.43, 2.00 와 1.16 ton Cha-1였고, 토양 20cm깊이까지의 유기탄소 축적량은 55.77, 54.90, 50.69, 44.42 와 41.87 ton C ha-120cm-1였다. 이와 같이 현존량과 유기탄소량이 2009~2012년까지 매년 증가하였지만 태풍이 있었던 2013년에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자연적 교란이 한국의 아고산대 생태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Annual biomass production and amount of organic carbon in Abies koreana forest at Mt. Halla were conducted as a part of Korea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KNLTER). We measured standing biomass change of litter, soil production and organic carbon amounts of the forest floor and soil layer of A. koreana forest in Mt. Halla from 2009 to 2013 in permanent plots. Standing biomass, which was determined by allometric method, was converted into CO2. The standing biomass in A. koreana forest was 98.88, 106.42, 107.67, 108.31, 91.48 ton ha-1 in 2009, 2010, 2011, 2012 and 2013 year, respectively. The amount of annual carbon allocated to above ground was 35.95, 38.69, 38.96, 39.46, 33.2 ton C ha-1 and below ground biomass was 8.54, 9.2, 9.49, 9.28, 7.97 ton C ha-1 in 2009, 2010, 2011, 2012 and 2013 year, respectively. Amount of organic carbon returned to the forest via litterfall was 1.09, 1.80, 1.32, 2.46 and 1.20 ton C ha-1 in 2009, 2010, 2011, 2012 and 2013. Amount of organic carbon in annual litter layer on forest floor was 2.74, 2.43, 2.00 and 1.16 ton C ha-1 in 2010, 2011, 2012 and 2013 year, respectively. Amount of organic carbon within 20cm soil depth was 55.77, 54.9, 50.69, 44.42 and 41.87 ton C ha-120cm-1 in 2009, 2010, 2011, 2012 and 2013 year, respectively. Then standing biomass and organic carbon distribution increased steadily until 2012. But there declined in 2013 because of the typhoon Bolaven. Thus, standing biomass and organic carbon distribution of this subalpine forest were largely affected by natural disturbance factor.

      • KCI등재후보

        남산의 소나무림, 신갈나무림, 아까시나무림의 낙엽생산과 토양유기탄소 동태

        정헌모 ( Heon Mo Jeong ),김해란 ( Hae Ran Kim ),신동훈 ( Dong Hoon Shin ),이경미 ( Kyoung Mi Lee ),이승혁 ( Seung Hyuk Lee ),한영섭 ( Young Sub Han ),장래하 ( Rae Ha Jang ),이상경 ( Sang Kyeong Lee ),김태규 ( Tae Kyu Kim ),유영한 한국환경생물학회 2013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1 No.2

        남산의 소나무림, 신갈나무림 그리고 아까시나무림에서 2008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의 월별 낙엽생산량과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조사하였다. 소나무림은 2008년과 2009년 모두 10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2008년 1월과 2009년 12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적었다. 신갈나무림은 2008년과 2009년 모두 11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2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적었다. 아까시나무림은 2008년 11월과 2009년 10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2008년 1월과 2009년 12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적었다. 이것은 한반도 중부에서 상록성의 소나무림이 낙엽성의 참나무숲 보다 더 일찍 낙엽이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 아까시나무림의 2년 평균의 낙엽생산량은 7.07, 6.36, 5.02 ton ha-1로 소나무가 가장 많았다.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 아까시나무림의 2년 평균의 토양유기탄소량은 76.2, 68.6, 72.5 ton C ha-1로 소나무림에서 가장 많았다. 이처럼 소나무숲에서 높게 나타난 것은 남산에서 신갈나무나 아까시나무를 벌목하여 임목밀도가 줄었기 때문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dynamics of litter production and soil organic carbon of Pinus densiflora forest, Quercus mongolica forest, and Rhobina pseudo-acasia forest at Mt. Nam as a part of Korea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KNLTER) from 2008 to 2009. Litter production of P. densiflora forest was the highest in October 2008, 2009 and the lowest i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09. Litter production of Q. mongolica forest was the highest in November and the lowest in February in 2008 and 2009. Litter production of R. pseudo-acacia forest was the highest in November in 2008 and October in 2009 and the lowest in January in 2008 and December in 2009. It means that leaves of P. densiflora forest shed earlier than deciduous oak forests in Korean central region. An average of litter production for 2 years was 7.07, 6.36, 4.66 ton ha-1 in P. densiflora forest, Q. mongolica forest, R. psuedo-acacia forest, respectively. An average of soil organic carbon matter for 2 years was 88.3, 76.5, 84.2 ton ha-1 in P. densiflora forest, Q. mongolica forest, R. psuedo-acacia forest, respectively.

      • KCI등재

        CO<sub>2</sub>농도와 온도증가에 따른 멸종위기수생식물 선제비꽃의 생태학적 반응

        장래하,이승혁,한영섭,조규태,유영한,Jang, Rae Ha,Lee, Seung Hyuk,Han, Young Sub,Cho, Kyu Tae,You, Young Han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3

        멸종위기수생식물 선제비꽃이 증가된 $CO_2$농도와 온도에 생태적으로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야외조건인 대조구와 $CO_2$농도 + 온도를 증가시킨 처리구에서 개체생태학적으로 생육반응을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지상부 길이, 개체 당 가지 수, 개체 당 열매 수, 열매 당 종자 수, 가지 당 열매 수와 종자무게는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가지 당 잎 수는 많았고, 꽃대길이, 가지 길이와 개체 당 잎 수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 $CO_2$농도와 온도가 증가하면 선제비꽃의 가지 수는 줄어들지만 가지에 붙은 잎 수를 늘리는 반응을 하며, 종자생산이 감소하여 번식에 부정적임을 의미한다. 그래서 지구온난화현상은 멸종위기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creas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affect ecological responses of plants. In order to know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on the Viola raddeana Regal, endangered aquatic plant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t control and treatment(increased $CO_2$ concentration + increased temperature) in glasshouse. Then, autecological responses of V. raddeana were monitored and measured. As a result, shoot length, number of fruits per plant, number of branch per plant, number of seeds per fruit, number of fruits per branch, and weight of 10 seeds were higher in control than in treatment. number of leaves per branch was higher in treatment than in control. Length of axis, length of branch and number of leaves per plant were not different between in the control and in the treat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reproductive response of V. raddeana might be negatively influenced by increas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he global warming will be one of the main causes of extinction for V. raddeana Regal.

      • 멸종위기식물 선제비꽃 (Viola raddenana Regel)의 지구온난화 조건에서 수분, 유기물, 광량차이에 따른 번식생태학적 영향

        장래하 ( Rae Ha Jang ),김영진 ( Young Jin Kim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2급 식물로 알려져있는 한국의 고유종인 선제비꽃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조건에서 수분, 유기물, 광을 처리하였을 때 각 환경에서 두 종의생육 반응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온실을 CO2를 공급한 처리구와 공급하지 않은 대조구로 나누었다. 그리고 두 구역 내에 각각 수분을 100%, 90%, 70%, 50%, 30%로 처리한 수분 구배, 유기물을 20%, 15%, 10%, 5%, 0%로 처리한 유기물 구배, 그리고 광을 100%, 70%, 30% 로 처리한 광 구배를 설정하고 각 환경에서 2014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재배하였다. 그 결과, 선제비꽃의 잎 수는 수분 구배의 경우, CO2 를 처리하였을 때 100%와 30%에서 가장 많았다. 사망율은 수분 90%, 질소 10%와 질소 20%일 때 가장 높았다. 지상부 길이는 처리구에서 더길었으며, 잎수는 대조구에서 더 많았다. 수분은 잎수보다는 지상부 길이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선제비꽃은 지구온난화가 되면 지금보다 낮은 광에서 더 잘 자랄것이다. 이결과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CO2 농도와 온도가 더 올라가면, 각 환경요인에 따른 반응이 크게 달라질 것이다. 선제비꽃의 지상부 길이는 길어지지만 잎수는 줄어들어 광합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환경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 멸종위기종인 선제비꽃은 변화하는 기후조건에 대비해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CO2 농도와 온도증가가 목본성 수종 3종과 멸종위기 2종의 생육반응에 미치는 영향

        장래하 ( Rae Ha Jang ),김해란 ( Hae Ran Kim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3 생태와 환경 Vol.46 No.2

        Increasing global CO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is leading to the phenomenon of global warming and impacting the growth of pla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on the woody plants of Korea, five woody species, Pinus densiflora (Korea`s dominant species), Ginkgo biloba (a commonly used street tree), Quercus glauca (dominant species in sub-tropical forests), Quercus gilva and Abeliophylum distichum (both endangered species), were grown at control (ambient CO2+ ambient temperature) and treatment (elevated CO2+elevated temperature) conditions in a glasshouse, and were monitored for their ecological response. Shoot lengths and number of leaves were measured once a month from April to October in 2010, and were again measured in November 2011. Shoot lengths of P. densiflora, G. biloba and Q. glauca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levated CO2 and temperature conditions. However. those of Q. gilva and A. distichum were both higher for plants grown under treatment than for those grown under control. The number of leaves of five woody specie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levated CO2 and tempera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 densiflora, G. biloba and Q. glauca react more favorably than Q. gilva and A. distichum (each of which are designated as endangered plants) under global warming situations.

      • KCI등재

        나도승마(Kirengeshoma koreana Nakai) 생태정보 수집 및 서식지 평가

        장래하 ( Jang Rae-ha ),김선령 ( Kim Sunryoung ),도재화 ( Tho Jae-hwa ),윤영준 ( Yoon Young-ju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3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6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bitat assessment system for the endangered wildlife II Kirengeshoma koreana Nakai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based on field survey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rough spatial data analysis and literature research. Evaluation 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31 variables for 23 K. koreana habitats. Afterwards, the importance and evaluation range for each assessment factor were selected. The selection of survey variables, assessment factors,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assessment range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t each stage. As a result, the assessment factors and importance were 16% for precipitation of the wettest month, 10% for vegetation zone, 12% for vegetation type, 10% for crown canopy vitality, 14% for tree layer coverage, 13% for drainage grade, 12% for soil depth, and 13% for distance to stream including dry stream. This study provides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and a habitat assessment system for K. koreana habitats. Therefore,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preparing an endangered wildlife conservation policy, preparing a habitat improvement plan, and selecting an alternative habitat.

      • 기후변화와 토양 내 질소가 상록침엽수인 소나무와 잣나무 그리고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의 생육반응에 미치는 영향

        장래하 ( Rae Ha Jang ),박완우 ( Wan Woo Park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2급 식물로 알려져있는 한국의 고유종인 선제비꽃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조건에서 수분, 유기물, 광을 처리하였을 때 각 환경에서 두 종의생육 반응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실을 CO2를 공급한 처리구와 공급하지 않은 대조구로 나누었다. 그리고 두 구역 내에 각각 수분을 100%, 90%, 70%, 50%, 30%로 처리한 수분구배, 유기물을 20%, 15%, 10%, 5%, 0%로 처리한 유기물구배, 그리고 광을 100%, 70%, 30% 로 처리한 광 구배를 설정하고 각 환경에서 2014년 9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재배하였다. 그 결과, 선제비꽃의 잎 수는 수분구배의 경우, CO2를 처리하였을 때 100%와 30%에서 가장 많았다. 고사율은 대조구에서 수분 90% 유기물 10%, 20%, 광 20%, 70%에서, 처리구에서는 수분70%, 90% 유기물 0%, 5%, 10%, 20%, 광100%에서 가장높았다. 이 결과는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될 경우, 선제비꽃의 경우 수분의 양에 따라 생육반응이 크게 변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게다가 수분과 유기물을 처리하였을 때는선제비꽃이 처리구에서 더 많이 고사하였으나 광을 처리하였을 때는 감소하여, 기후변화가 지속될 경우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는 수환경에서 광량이 낮아질수록 더 잘 생존할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