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천 석장리유적의 제철시설 성격 재검토

        장덕원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중앙고고연구 Vol.0 No.23

        충북지역의 고대 제철유적은 10개소로 이 유적들에서 확인된 제철로는 대부분 제련로이다. 제련로의 평면은 원형이며 축조방법은 두 가지로 나뉜다. 축조방법의 차이점은 할석의 사용 유무이지만 청원 연제리유적을 제외하면 유적들의 연대는 대체로 대동소이하다. 석장리유적은 토기편년상 A지구에서 B지구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조업이 이루어진 대규모의 철생산 유적이다. 석장리유적에서는 동일한 제철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이견이 있는 시설이 있는데, 그것은 A-4·8·9호, B-2호 등이다. 전자는 제련·정련·용해 등으로, 후자는 제사 혹은 제철시설로 본다. 특히 A-4호의 A-4-1호는 평면형태와 배재구로 추정되는 부분 때문에 일본의 상형로와 비교되었으나 현재는 부정하는 의견이 있다. 이견이 생긴 이유는 슬래그층 위에 조성된 맥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구덩이를 제외한 것들을 제철시설로만 판단했기 때문이다. 재검토 결과 A-4호는 쪽구들(A-4-1호)을 갖춘 수혈주거지이며, B-2호도 동일한 성격으로 추정된다. 정련로 혹은 단야로로 본 A-4-2호는 정련로와 단야로의 판단기준에 상응하는 증거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 시설이 조성된 A-4호의 형태와 토층상의 문제점으로 보아 현재로서는 제철로의 가능성이 희박하다. A-8호와 A-9호는 잔존한 형태, 소토부의 형태 및 위치, 장벽에 붙은 도랑 등으로 볼 때 수혈주거지의 특징과 유사하다. B-‘라’호는 B-‘나’·‘다’호를 고려하면 화덕시설을 갖춘 수혈주거지로 생각된다 There are ten iron processing structures from ancient South Chungcheong Province, most of which are iron-smelting sites. The iron-smelting sites have a round cross-section, and show two construction metho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struction methods lies in whether talc was used. Except for Yonje-ri site at Chongwon, the archaeological sties have similar dates. The Sokjang-ni site is an iron-production site of great scale, formed by sequential movements from A region to B region, based on pottery chronology. Despite being identical iron manufacture structures, A-4.8.9 and B-2 have been associated with different opinions. The former is regarded as a structure for iron-smelting, tempering, and melting; the latter as an iron production site. In particular, A-4-1 of the A-4 structure has been compared to the equivalent site in Japan; although there is disagreement. Some of the features in Sokjang-ni site are still under controversy. The results of the reexamination shows that A-4 and B-2 are pit dwellings equipped with partial floor heating system. A-8 and A-9, which were previously interpreted as smelting or melting furnaces, show strong evidence that they were actually pit dwellings equipped with the floor heating system. B-Ra and B-Na-Da structures are also thought to be pit dwellings with floor heating system.

      • KCI등재

        原三國∼三國時代 금강유역의 주거와 취사시설의 변화로 본 정치적 동향 -기원후 3~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장덕원 호서고고학회 2010 호서고고학 Vol.0 No.22

        Geum River Basin was the upland of Mahan where the archeological materials of the third to fifth century showed the establishment and demise of the tribal government by the conquer of Pakje(百濟). The archeological data on dwelling sites have been accumulated, which made it possible to research the various dwelling cultures of the period according to the political changes. In a similar vein,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changes and the dwelling cultures including Furnaces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classification of types of Furnaces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s, we can guess there would be som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Furnaces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s and the plane shapes. So the paper examined throughly the verified forms of the two facilities. Dwelling sites can be classified as round shaped hous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two-pillars type dwelling sites, none two-pillars type dwelling sites, pentagonal shaped houses and hexagonal shaped houses. Furnaces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s w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respectively; Furnaces were classified as TypeⅠ→ TypeⅡ→ TypeⅢ ,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s were classified as Type‘Ga’→ Type‘Na’→ Type‘Da’ according to the overlapping of dwelling sites and the correlations of constructional materials. The paper classified the two housing facilities as five stages based on the cultural assemblage of Furnaces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s and on the plane shapes of dwelling sites, and researched each stage. Finally, the observation of the aspects of each dwelling site after dividing Geum River Basin into five based on the water boundaries revealed that each area had its preferred dwelling cultures which were greatly affected by geological factors. In the places where the dwelling sites of Pakje were excavated, there was no changes in Furnaces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s and dwelling plane shapes even though both indigenous dwelling culture and Pakje‘s appeared at the same time. This aspect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archeological materials in this area such as tombs, earthenwares, ironwares that experienced changes starting from the middle of the forth century. 금강유역은 마한의 高地로서 이 지역의 3~5세기대 고고학 자료는 마한의 성장과 백제의 영역화에 따른 마한의 소멸과정을 보여준다. 그에 상응하여 이 글에서는 부뚜막과 쪽구들을 포함한 주거문화가 당시의 정치적 변화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고찰하였다. 먼저 부뚜막과 쪽구들을 형식분류함에 있어 주거지의 평면형태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두 시설이 확인된 주거지를 검토한 결과 주거지는 평면형태에 따라 원형주거지, 방형주거지, 오각형 · 육각형주거지가 확인되며, 방형주거지는 기둥배치에 따라 4주식주거지, 2주식주거지, 비4주식주거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부뚜막과 쪽구들은 각각 3개의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형식은 확인된 유적의 출토유물의 상대적인 비중, 주거지의 중복관계 및 축조재료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부뚜막은 Ⅰ→Ⅱ→Ⅲ식, 쪽구들은 가→나→다식으로 변화되고 축조재료와 함께 유형을 설정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부뚜막 및 쪽구들의 유형과 주거지 평면형태의 변화를 기준으로 5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한성백제지역에서 주로 확인되는 주거형태가 금강하류와 내륙지역 그리고 아산만 일대에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한성백제의 주거문화에 의한 변화는 크게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금강유역을 수계에 따라 5개 지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의 주거양상을 관찰하였는데, 각 지역별로 선호하던 주거문화가 존재하였고 그것은 자연지리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결과였다. 아울러 백제주거지가 출현한 지역은 재지적 주거문화와 백제의 주거문화가 결합되는 양상이 관찰됨에도 불구하고 부뚜막·쪽구들·주거지 평면형태의 변화는 간취되지 않았다. 이러한 면은 이 지역의 4세기 중반을 기점으로 무덤·토기·철기 등의 고고학 자료가 변화되는 양상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호서지역 마한·백제 주거와 유물 변천양상

        장덕원 호서고고학회 2023 호서고고학 Vol.- No.56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s in dwellings and relics in Hoseo area based on data spanning from the 2nd century to the Ungjin period. Residential areas in the Hoseo region have a lack of historical data dating back to the third century. However, relics from the 2nd century were excavated from the Miho Riv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tructures during that period.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idential structure, and Byeokju-style, which was recognized by the influence of Hansung Baekje, was found to have been a re-intellectual residential culture. Clay + stone furnaces and handicrafts have been in use since the mid-fourth century. This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Mahan and Baekje's residential culture by analyzing relics rather tha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sidential site, and at the same time, furnaces may be more related to rich culture like Byeokju-style. However, in some areas during the same period, residential forms that combine local four-column and external Yeo-cheol's CHARACTER SHAPED DWELLING were identified, which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Mahan forces' acceptance of Baekje's residential culture before the mid-4th century. Since the mid-4th century, the number of the rectangular dwellings and Yeo-cheol's Character Shaped Dwelling where clay + stone and Baekje earthenware are identified has gradually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common-sense building sites such as general ground buildings and compartmental houses have also increased.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hange in residential culture caused by moving from the central village of Mahan to the central village related to Baekj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linked to the background of Ungjincheondo. From the relics, the appearance before the lattice-patterned long-range earthenware has been observed, and it may have appeared a little earlier than previously thought. Before the mid-to-late 4th century, traces of exchanges between regions in Hoseo region or Honam region, the central region, and the Yeongnam region were observed. After that, it can be seen that Baekje and Yeongnam region were more important than exchange occurring within the Hoseo region.

      • 『三國志』 韓條의 ‘草屋土室’에 대한 一考察

        장덕원(Jang, Duck-won)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0

        이 글은 『三國志』 韓條에 기록된 ‘草屋土室’의 성격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문헌적·고고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먼저 『三國志』 東夷傳의 사료적 가치와 성격에 대한 시각을 간략하게 검토하였고 다음으로 그간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문헌과 고고학적 물질자료와의 부합여부를 살펴보았다. 문헌적 접근을 위해 『三國志』 東夷傳 이외의 사료에서 각 민족이 사용한 가옥의 기록을 살펴보았다. 사서에 나타난 ‘穴’, ‘室’, ‘屋’, ‘宅’, ‘宇’ 등은 당시에 일반사람들이 사용한 주거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草屋土室’과 ‘土室’은 수혈주거로 볼 수 있다. 『三國志』 韓條의 기록은 진수가 從軍者, 群吏, 商人 등의 보고를 통해 작성된 것으로 그들이 머물거나 지나갔던 곳은 교역소로서 중국 화폐, 한경, 중국 도자기 등이 확인 된다. 이러한 곳에서는 기둥구멍, 화덕시설 등을 가진 수혈주거지가 확인되고 그 중 화 재주거지는 탄화된 목재와 소토가 확인되어 상부구조를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외국사 례를 통해 초옥토실의 상부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히 2~3세기대의 기후가 춥고 습기가 많은 기후였기 때문에 화덕시설이 확인되지 않은 장선리 토실을 일본 고분시대 중기의 中筋遺蹟과 동일하게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최근의 연구를 참고하면 장선리 토실은 주거보다 저장기능이 농후한 것으로 생각된다. Tthis study capitaliz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attempted a bibliographical and arche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hooktoshil(草屋土室)’. First of all, this study briefly reviewed the historical value of Dongyijeon (東夷傳)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Samgukji)』. As a result, archeological and physical data corresponded to the records in some cases, while they did not in other cases. In particular, the non-correspondence of Hanjo(韓條)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Samgukji)』 is most salient. For the bibliographical approach, this study examined the records on the houses used by each people in Hanjo(韓條)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Samgukji)』 and the 『History of the Later Han dynasty (Huhanseo)』 and other historical materials. The bibliograph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Hyeol(穴),’ ‘Shil(室),’ ‘Ok(屋),’ ‘Taek(宅)’ and ‘Woo(宇)’ appearing in historical texts represent the pit dwellings and log cabins used by ordinary people in those days, and the buildings presumably used by upper classes for special purposes, and ‘Chooktoshil(草屋土室)’ and ‘Toshil (土室)’ are thought to be ordinary pit dwellings. As the records in Hanjo(韓條)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Samgukji)』 were prepared on the basis of reports made by camp followers, government officials and merchants, the places they stayed at or passed were probably important places of trade, which is proven by places where Chinese currency, Han bronze mirrors and Chinese ceramics. The dwelling patterns found in the locations where these relics were excavated varied slightly depending on regions, but they are mostly pit dwellings with pillar holes and fire pots. As charred wood and baked earth were discovered in burned dwellings, the upper structure can be restored, and recently archeology and architecture are joining hands to restore pit dwellings of those days. The Nakasuji remains(中筋遺蹟) belonging to the middle Kohun Period of Japan can be viewed as corresponding to the record in 『Nihon Shoki』, but as the climate in the 2nd~3rd centyr was cold and humid, it is unreasonable to regard the Jangseon-ri Toshil without any fire pot as identical to the Nakasuji remains(中筋遺蹟). In light of recent researches, however,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view the pit dwellings including Jangseon-ri Toshil as structures for storage rather than as dwellings.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의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와 프라이버시 염려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창기,덕원,성욱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3 정보화정책 Vol.30 No.2

        AI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에서는 서비스 이용 경험으로 인한 이용자의 신뢰 및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AI에 대한 개인의 신뢰와 온라인 프라이버시 염려가 AI 기반 음성비서의 지속적인 사용에 미치는 영향, 특히 상호 작용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고 응답자 4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공지능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와 개인정보보호 관심이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도입 및 지속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Heckman 선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이용행태는 기술수용 촉진요인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편의성, 사회적 영향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둘째,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는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이용행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지속 이용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은 AI에 대한 신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억제하는 효과(β=-0.153)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지털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거버넌스로서 기술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용자의 우려를 완화할 수 있는 이용자 의견수렴과 조치를 통한 이용자 경험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인공지능 기반의 정책서비스를 도입할 때,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 범위를 공론화 과정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프라이버시 문제가 사후적으로 추적 및 평가될 수 있는 제도의 마련과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고려한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하다.

      • 대규모 사용자 지원을 위한 빅 가상 플랫폼 인프라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선욱 ( Sun-wook Kim ),오수철 ( Soo-cheol Oh ),조정현 ( Jeong-hyun Jo ),김성운 ( Seong-woon Kim ),김학영,장덕원 ( Deok-won Jang ),( Dae-won Kim ),( Jong-bae M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사용자는 데스크탑이나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할당 받은 계정으로 인증하고 로그인하면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용 가상화 PC 또는 업무용 가상화 PC 를 자신만의 가상 데스크탑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라이선스 및 구축 비용, 서비스의 최적화와 같은 사항을 만족시키는 대규모 플랫폼 가상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인프라 상에서 가상 플랫폼을 대규모의 모바일 및 경량 단말 사용자에게 네트 워크를 통해 끊김없이 전송하는 빅 가상 플랫폼 인프라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