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의 현황과 개선방안

        임희진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락페스티벌을 비롯한 대중음악페스티벌은 음악 생산과 소비의 새로운 형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중음악페스티벌은 국가나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문화산업으로서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페스티벌 주최 측의 입장에서는 성공적인 개최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누릴 수 있다. 출연진의 입장에서는 라이브무대를 통해 자신의 음악적 정체성을 표출하고 팬들과 직접적인 교감을 나눌 수 있고, 다른 뮤지션과 교류하고 외국의 유명한 페스티벌에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관람객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뮤지션과 음악 장르를 직접 접할 기회를 갖고, 무엇보다 유희ㆍ일탈ㆍ자유ㆍ해방의 공간에서 억압되어 있던 자아를 분출할 수 있다. 한편, 아이돌그룹이 사실상 대중음악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댄스나 발라드 등 일부 장르만이 기형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의 대중음악 현실에서, 대중음악페스티벌은 대안적 음악활동의 한 가지 방식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뮤지컬 위주이긴 하지만 최근 들어 공연산업이 활성화되면서, 음악관계자들의 대중음악페스티벌에 대한 관심도 증대하였고 새로운 페스티벌을 기획하고 개최하는 작업도 늘어나고 있다.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은 국제 규모를 지향하는 락 장르의 페스티벌로는 국내에서 가장 긴 역사를 지닌 대중음악페스티벌이다. 2009년에 10주년을 맞은 이 행사는 매년 8월 초에 부산 다대포해수욕장에서 무료로 열리고 있다.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은 긴 역사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정체성이 뚜렷하지 못하며, 페스티벌을 상징할만한 대표적 프로그램도 지니고 있지 못한 상태이다. 초기에는 참가국 수가 2000년 5개국, 2001년 10개국, 2002년 12개국 등으로 계속 늘어났지만 이후에는 평균 5~6개국 정도에서 답보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이 ‘국제’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세계적 규모를 지향하는 페스티벌로서는 아직 미흡한 측면이 많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국내에서 다른 대중음악페스티벌이 개최되기 시작하여 현재 그 수가 상당히 늘어났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대중음악페스티벌이 계속해서 생겨날 것으로 전망된다. 결과적으로 국내 대중음악페스티벌간의 경쟁이 더욱 격화되고, 내용이 충실하지 않거나 인기가 없는 페스티벌은 위기를 맞고 퇴출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대중음악페스티벌로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아직도 그 정체성이 미흡한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의 과거와 현재를 돌이켜보고 미래를 향한 발전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산국제락페스티벌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겠지만, 이 연구에서는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그것은 프로그램 측면, 조직ㆍ예산 측면, 홍보ㆍ마케팅 측면이다. 이들 세 측면에서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다음, 그것을 기반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This study presents some developing strategies for Busan International Rock Festival(BIRF) which has 10 years' long history, while having no distinctive features as one of the leadi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major issues and problems faced by the BIRF from three aspects: first, main and accompanying programs, second, organizing committee and its budget, third, promotional marketing. And I analyzed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e BIRF by comparing to other rock festivals in Korea,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 for the BIRF based on the analyses. First, in the aspect of programs, charging for admission, a new festival location, program alliance with the world-famous rock festivals, development of various accompanying programs, opening the Asian Indie Band Contest, and secured spaces to bringing up Busan's local bands are needed. Next, in the organizing and budgeting aspect, changing the organizer of the BIRF to an independent legal entity, diversification of its financial resourses, and support at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level are required. Finally, in the aspect of promotional marketing, the BIRF needs to activate the internet website and internet marketing, and the master class program.

      • 도시홍수 피해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희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집중호우 등 크고 작은 자연재해로 인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난개발로 인한 수계의 변경, 도시화 및 밀집화로 불투수 면적의 증가, 저류공간 축소 등 재해 위험성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 피해규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시간 범위는 최근 10년 간(1997년-2006년)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다. 둘째, 공간 범위는 경기도 지역 25개 시?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셋째, 모형 설정에 있어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독립변수로는 유발요인, 가중요인, 방재요인으로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로는 홍수 피해액의 건물 피해액과 공공시설 피해액의 합계로 도시홍수 피해규모를 살펴보았다. 동일한 화폐가치에서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97년 소비자 물가지수를 기준으로 홍수 피해액의 물가상승률을 맞추었다. 또한 홍수 피해액을 시각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GIS를 활용하여 도면에 나타냈다. 분석은 유발요인, 가중요인, 방재요인의 카테고리로 관련 변수들을 선정하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도시홍수 피해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은 첫째, 도시홍수 피해규모가 높은 지역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하였고 둘째, 1997년-2006년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홍수 피해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Durbin-Watson값의 자기상관성 문제를 Prais-Winsten 방법을 이용하여 자기상관 보정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발요인의 하절기 강우 집중도, 가중요인인 불투수층 면적, 방재요인인 하수관거 보급률이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유의하게 나타난 요인들은 향후 경기도 방재 계획 수립에 참고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韓·日両国の新語の造語法に関する一考察

        임희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일 양국의 신어 조어법에 관한 일고찰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신어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조어법의 대조를 통해 양 국의 언어습관과 신어의 경향을 고찰한 것이다. 본 논문은 서론과 본론, 결론의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선행연구, 그리고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론은 크게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신어의 정의와 신어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였다. 등장 배경은 세가지로 사회적, 심리적, 언어적 이유를 들고 있다. 제 2장에서는 신어의 분류기준을 크게 분야, 어종, 조어법으로 제시하였다. 분야는 일반분야와 전문분야로 나뉘고, 본 논문에서는 일반 분야만을 다루었다. 어종은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혼종어로 나누어 해당되는 어종에 따라 신어를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조어법에 대하여 자세히 다루었는데, 한국과 일본의 신어를 대조하기 위해 공통된 조어법을 추출하였다. 어구성에 따라 크게 ‘단순어의 경우’와 ‘합성어의 경우’로 나누고 이에 해당하지 않는 신어는 ‘특수어의 경우’로 분류하였다. 단순어의 경우는 다시 ‘어기창조’, ‘어기차용’, ‘어기축약’으로 분류하였고, 합성어의 경우는 ‘복합’과 ‘파생’으로 나누어 각각 ‘어기보지(保持)’와 ‘어기축약’에 따라 분류하였다. 특수어의 경우는 일본어와 한국어로 나누어 각 언어에 따른 특이한 조어법을 확인하였다. 제 4장에서는 각 조어법에 따른 각 국 신어의 비율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단순어에서는 ‘차용’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의 차용의 기능을 넘어 말의 의미를 세분화하는 기능도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합성어는 ‘복합’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어기축약의 복합’이 높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조어력이 높은 복합과 언어의 경제성에 따른 축약이 동시에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파생’은 한 글자만으로 의미를 덧붙일 수 있다는 점과 비유적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그 사용 빈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특수어는 일본어의 경우 풍부한 문자체계로 인해 로마자, 한자어를 이용한 조어법이 많았다. 한국어는 맞춤법과 발음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특수한 조어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고찰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신어 경향과 각 언어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각국 신어 자료에서 채택한 신어의 기준에 차이가 있고 전문분야를 제외한 일반분야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앞으로는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신어의 조어법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계획 영향 요인 분석 : 서울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임희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2004년 Study Korea Project 도입을 시작으로, 고등교육 국제화를 위한 우수 유학생 유치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그 결과 유학생 10만 명 시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 수의 비약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졸업 후 한국에 남아 정착하는 외국인 학생의 수는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외국인 학생들의 유학 동기 및 유학 국가 선택 과정에 주목하고 있을 뿐, 이들이 졸업 후 어떠한 진로를 선택하고 어디로 이동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진로 선택 실태를 살펴보고, 이들이 졸업 후 한국에 체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진로 선택을 진학과 취업으로 세분화하고, 각각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외국인 학생들의 유학동기와 대학생활, 취업경험, 진로계획 등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대학교의 정규 학위과정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 306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대상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계획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ANOVA,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학생들의 진로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졸업 후 한국에 남기를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은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영어권 국가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한국에 남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경우, 진학보다는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학생들은 한국인 학생들과의 교우 관계가 친밀할수록, 한국의 취업시장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이공계열 학생일수록, 영어 및 한국어 구사 능력이 탁월할수록,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점이 낮을수록 졸업 후 한국에 체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졸업 후 진로를 진학과 취업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본 결과, 한국이 1순위의 유학 희망 국가였던 학생일수록,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한국인 학생들과의 교우 관계가 친밀할수록, 학점이 낮을수록 한국에서의 진학을 희망하였다. 그리고 이공계열의 박사과정 학생일수록, 한국어 및 영어 구사 능력이 탁월할수록, 한국의 취업시장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한국인 학생들과의 교우 관계가 친밀할수록 한국에서의 취업을 더욱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 및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이 졸업 후 진로계획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바,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 및 진로지원 활동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인 학생들과의 교우관계는 진학과 취업 모두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학생 간 교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와 영어 구사 능력이 졸업 후 한국에서의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재학 기간 중 외국인 학생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졸업 후 상위 교육과정으로의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경우 한국보다는 미국을 비롯한 서구 선진국을 보다 선호하고 있는 바, 한국에서의 진학을 보다 촉진할 수 있도록 대학 교육의 질 제고와 함께 한국 대학에서의 학위의 가치를 높여나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Over the last decade,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put enormous efforts and resources in recruiting international students to come and study in Korea. ‘Study Korea Project’, a state-led initiative was introduced in 2004 and as a result, Korea became a country that has one of the highest increase rates o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mong OECD countries. However, in contrast to the huge and rapid influx of international students, those who stay in Korea after completion of their study is found to be very low. Even though such career plan, which can also be expressed as ‘stay or leave’ decision, is widely acknowledged to be as important as international students' motivation to choose a host country, there has been lack of interest from previous studie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realities of international students' career plan and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ntion to stay in Korea. Also, career plan was specified into ‘work’ and ‘to continue study’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fluential power of variables based on each choice that international students make. Survey was developed for the analysis, and it contained questions regarding international students' motivation to come to Korea, their experience in university, work experience and future plans. As a resul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a regular degree program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otal 306 survey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Crosstab, ANOVA, t-test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career plans between students’ nationality, degree stage and major program. Also,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international students' career plans. Followings are notabl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international students' rate of intention to stay in Korea were found to be lower compared to countries such as U.S or UK. Second, among the students who wish to stay, there were more students who wish to get a job compared to students who wish to continue their study in Korea. Third, peer relation with Korean students, level of information on labor market in Korea, major program (Science and Engineering), language proficiency (both Korean and English), satisfaction on university life and GPA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influence on international students' intention to stay in Korea. Among these variables, GPA score was the only variable which exerted negative influence. Fourth, when specifying career plan into ‘work’ or ‘study’, variables such as having had Korea as first choice study destination, faculty interaction, peer relation with Korean students and GPA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or their intention to stay and study in Korea. Once again, GPA score was found to exert negative influence, which means that those who perform better academically wish to leave to other countries for their further study. Also, as for intention to stay and work in Korea, language proficiency (both Korean and English), doctoral students in S&E field, level of knowledge in Korean labor market and peer relation with Korean student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Based from these results,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or government and university's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First, it was found that factors related to students' university life were significantly more influential compared to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factors. Therefore, effective support system for these students are needed in all perspective that they encounter in university, including academic and career counselling. Peer relation with Korean students was found to have biggest influential power for both career plans (study and work), hence, more active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vitalize interaction among students 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 Second, since to have higher level of both Korean and English proficiency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on increasing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stay and work in Korea, various language support programs offered by university may help their students to be better prepared for future recruitment opportunity in Korea. Third, instead of staying in Korea for their further education, mor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ish to continue their education in western countries, notably U.S. Based from such result, more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promote the general perception and value of the degrees produced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current status of ‘stepping stone’ study destination.

      •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혼합학습의 활용 방안

        임희진 창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etworking capability is being increasingly emphasized in the twenty-first century. Networking is implemented in various areas such as cultural, economic and social phenomena. Even in academia, there are active collaborative research activities taking place as in space and biochemical sciences. With similar reasoning, the most significant change taking place in the field of education nowadays is blended learning, which involves networking among different learning methods and media. Blended learning is a design strategy for optimizing the learning environment by integrating two or more learning methods and delivery means to maximize the learning experience. Despite the fact that the concept was proposed some years ago, it has been the focus of recent attention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Taking a step further from the restrictions placed by conventional off-line learning approaches, blended learning effectively incorporates the unique advantages of e-Learning that allows the users to enjoy the on-site experience. This is being regarded as a part of efforts to develop and operate training programs that enhance task efficiency as well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paper defines the concept of blended learning and examines its application examples to find out how i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education in Korea. The paper also surveys how blended learning can be applied in the education environment in Korea as well as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to prepare a teaching plan that incorporates blended learning in an actual learning situation. The teaching plan was drawn for the computer course, since it was easier for blended learning to be applied compared to other subjects. The plan was designed for second-yea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the computer course. The class environment such as the teaching hours and material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school circumstances. The proposed teaching plan based on the blended learning is expected to expand the depth of learning for subjects with insufficient dedicated hours under the current curriculum and provide a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terms of the time spent and the efficiency realized. A note about applying blended learning is that failing to recognize the respective advantages of on and off-line education can result in transient provision of the concept. To prevent this, there must be thorough pre-analysis regarding the students, subject course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focus must be placed on developing a learning process adequate for blended learning.

      • A Poly(dimethylsiloxane) Microfluidic Channel Coated with Poly-p-xylylene for Nanocrystal Growth Applications : 나노입자 성장을 위한 Poly-p-xylylene이 코팅된 Poly(dimethylsiloxane) 미세유체 장치

        임희진 DGIST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pplications of microfluidic device fabricated in poly(dimethylsiloxane) (PDMS) have been limited to water-based analysis rather than nonpolar solvent based chemistry due to PDMS swelling problem occurring by absorption of the solvents. The absorption and swelling causes PDMS channel deformation in shape and changes the cross sectional area, making it difficult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concentrations of solution in PDMS microfluidic channels. We propose that poly-p-xylylene polymers (parylenes) were chemical vapor deposited on the surfaces of PDMS channels to alleviate the effect of solvents on the absorption and swelling. The parylene coated surface sustains 3hours with a small volumetric change (less than 22% of PDMS swelling ratio). By generating an air-nonpolar solvent interface based on droplets in PDMS channel, we confirmed poly-p-xylylene coated PDMS microfluidic channels have the potential to be applicable to nanocrystal growth using nonpolar solvents. Poly(dimethylsiloxane) (PDMS)로 만들어진 미세유체 장치는 무극성용매가 PDMS 내부에 흡수되어 PDMS의 부피를 팽창시키는 성질 때문에 무극성용매를 사용하는 화학분야에 적용이 어렵다. 이러한 PDMS의 흡수와 팽창하는 특성은 PDMS 미세유체 장치의 내부변형과 단면적의 변화를 일으켜서, PDMS 미세유체 장치 내에서의 유체 제어와 용액의 농도 조절을 어렵게 한다. 우리는 무극성용매에 의해 발생하는 PDMS의 흡수하고 팽창하는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비다공성 성질을 가진 poly-p-xylylene (parylene)을 증기 화학 증착법으로 코팅한 PDMS 미세유체 장치를 제안한다. Parylene이 코팅된 PDMS 표면은 무극성용매인 톨루엔 환경내에서 낮은 부피 변화(코팅이 되지 않은 PDMS의 팽창률 보다 22% 낮음)로 약 3시간동안 본래의 형태를 유지한다. PDMS 미세 유체 채널 내에 방울 기반의 공기-무극성용매 계면을 발생시킴으로써, poly-p-xylylene이 코팅된 PDMS 미세 유체 장치가 무극성용매를 사용하는 나노입자 성장 분야에 응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