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할관자의 사상적 배경과 신화적 우주론

        임형석 ( Lim Heng-se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6 No.-

        본고는 오랫동안 위서로 치부되다가 20세기 후반 출토문헌의 발견 덕분에 진모가 드러난 황로학의 대표 저작 『할관자』의 신화적 우주론을 다룬다. 우선 황로학에 대한 여러가지 오해에 대한 해명을 전제로 하여 할관자의 출신지를 논의한다. 할관자의 출신지가 남방이라는 일반적 주장과 달리 본고는 할관자가 북방 출신의 황로학파라는 점을 할관이라는 복식을 통해 논증했다. 본래 북방에서 발단한 황로학이 초 지역에 영향을 미친 증거의 하나이며 초 지역의 황로학이 지속적으로 북방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태일을 시작으로 명과 신명으로 이어지는 『할관자』의 중요한 개념 몇 가지를 분석한다. 이것은 중원을 중심으로 한 화하족의 신화 체계와 다르며 오히려 황로학의 본거지라고 할 수 있는 발해 연안의 동이족 신화 체계와 친연성을 보인다는 점을 지적한 중요한 증거이다. 특히 신명 개념이 담고 있는 태일 신앙이 북두칠성 신앙을 의미하며 북두칠성 신앙의 발원지는 고인돌을 만든 지역과 관련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따라서 본고는 『할관자』를 필두로 한 황로학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한다. 이를 통해 『주역』의 신명 개념, 참위나 도교의 천신지기 관념 등의 연관성을 해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mythological cosmology of Pheasant Cap Master, a Huanglao school's representative work, which had long been regarded as a forged book, but was exposed due to the discovery of the excavated documents in the China through the second half of the 20th. First of all, this article discusses the origin of Pheasant Cap Master on the premise of explanation for various misunderstandings about Huanglao school. Through the explanation for the origin of Pheasant Cap, this article proves that Pheasant Cap Master had originated from the northern region of China, in contrast to the general argument that he was from the south. This means one of the evidence that Huanglao school in the south had originally launched in the northern region, and it was continuously influenced by its northern sect. Based on the several evidences, this article further analyzes some of the important concepts of Pheasant Cap Master, which started with Tai-yi and continued with Ming and Shen-ming. Through my analyse, these are proved that the mythology shown in Pheasant Cap Master had a syngeneic form with that of the Dong-yi race, not with that of the Hua-xia race. In particular,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 Tai-yi religion, which contains the concept of Shen-ming, was the Plough religion, and that the origin of the religion was related to the region where the dolmens were made. This article therefore requests a reexamination of Huanglao school including Pheasant Cap Master inward. Through the reconsideration, it can be explain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cept of Shen-ming in the Book of Changes, and the concept of Heavenly-gods and Earthen-gods in the Taoism.

      • KCI등재

        군자(君子)와 군자왈(君子曰) : -고대 중국에서 이상적 인격 전형의 기원에 관한 연구-

        임형석 ( Lim Heng-seo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3 No.-

        동양 덕 윤리학의 이상적 인격 전형인 君子의 기원에 대한 본고의 탐구는 고대 중국의 초기 문헌에 나타나는 유의미한 내용을 문헌학적으로 일별하여 유형화, 개념화시킨 결과를 얻었다. 여기서 君子개념의 등장은 孔子인 것이 확실하며 荀子 및 荀子학파가 정립한 것이라는 결론도 아울러 얻을 수 있었다. 君子개념의 등장과 정립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고대 巫史에서 유래한 史官전통=역사 문학의 전통을 꼽아야만 하는데, 그것이 집중적으로 등장하는 『春秋左傳』 및 관련 歷史書등을 일별하면서 계통화시킬 수 있었다. 아울러 『周易』 經傳에 등장한 사례를 들어 君子曰형=史評이 君子형으로 일반화되는 양상을 제시하여 역사 문학에서 윤리학으로 변화 과정이 인류의 지적발전에서 동일한 유형으로 나타난다는 점까지 밝혔다. This essay aims to search for the origin of Chinese concept on the ideal character which appertains to the virtue ethics. It is inevitable for finding a concrete result to check into the significant contents bibliographically. Through the analyzing of two different meanings in the same word(君子) of many ancient texts, it can be now presenting two questions: Who is Great Man(君子)? Who is the Historian(君子) in the Historian says(君子曰)? It considers that these are definitely true: Confucius was the first thinker who invented Great Man concept as the ideal character, and his successor Xun-zi was the co-founder with his school. It may also considers that Confucian invention and Xun-zi’s establishment were affected by the shamans’ culture in the ancient Chinese courts who took charge of the divining and historiography at once. It regards the shamans’ culture as the historiographer’s tradition or the epic tradition. It continues to analyze the Book of Annals and the Book of Change, so determines that the Historian of the ancient history criticism as the form of the Historian says turns to Great Man. It might follows the general rule which the history literature switches to the ethics in the ancient world.

      • KCI등재

        완적의 대인 대망론 -「통역론」의 새로운 독법-

        임형석 ( Lim Heng-seok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5

        본고는 위진 현학자 완적의 「통역론」의 분석을 통해 제도옹호론자 완적이 자연주의자로 변모한 흔적을 추적했다. 「통역론」은 ‘주역’을 대상으로 한 전기 작품이었지만 사상 변화를 거친 후기의 완적이 다시 손본 작품이다. 본고는 이 점을 증명하기 위해 「통역론」의 구조적, 개념적 불일치를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 연구의 미비점을 지적했고 특히 완적의 학파 소속이 죽림파라는 점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이어서 「통역론」의 핵심 개념을 현진과 변경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두 개념은 ‘역’의 성질에 대한 완적의 이해를 보여줄 뿐 아니라 그가 「통역론」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요지인 ‘대인 대망론’을 근거지 우기 위한 시도였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완적은 전통 중국의 개혁주의에서 한 자리를 차지할 만한 자격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This essay is examining how Ruan-ji as an institutional advocate, had transformed into a naturalist through the analysis of his Tong-yi lun. It was considered one of his main works that contained his research on the Book of Changes in the first half of his life, but he retouched it in the second half of his life after a change of thought. To prove this point, this essay analyzes the structural and conceptual inconsistencies of Tong-yi lun. Through my analysis, I point out the shortcomings of the modern researches and discuss what kind of school was Ruan-ji belonged to. Consequently, I suggest that Xuan-zhen(玄眞) and the Apocryphal(變經) are his two core concepts and that they can not only show his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Book of changes but also are made to connect to history. He expected that the Big Man corresponding to Xuan-zhen would come again in the age of corruption. Waiting for Big Man’s advent, was his original intention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later Chinese reform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왕부지 ‘장자지학’의 의의

        임형석 ( Lim Heng-seo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3 동양문화연구 Vol.38 No.-

        본고는 왕부지 철학의 최종 결론인 ‘장자지학’을 검토하기 위해 만년의 대표작 『장자정몽주』의 「서론」과 「건칭편」 제서를 분석한다. 그의 『장자정몽주』는 비록 주석 형식을 빌려 그 사유 결과를 제시한 것이고 장자지학은 그의 지향을 표현한 말이다. 「서론」은 『정몽』에 대한 왕부지의 전체 관점과 방향을 간결하게 보여주고, 「건칭편」 제서는 하늘 섬기기보다 부모 모시기가 우선한다는 도학 이래 천인관계론의 핵심 주제에 대한 최종해결을 제시한다. 「서론」은 ‘정몽’이라는 말에서 시작해서 ‘정몽’으로 끝을 맺으니, 그 논의의 핵심은 ‘정몽’ 의미의 규정이다. 주희가 ‘정몽’을 술어-목적어의 문장으로 이해한 것은 교육학적 관점인데 반해, 왕부지는 명사구로 이해하며 주희와 대결한다. 『대학』의 ‘정심’을 왕부지는 명사구로 새롭게 해석하며 대상화의 측면 외에 환원할 수 없는 ‘심의 본체’라는 점을 밝힌다. 정심 개념은 심의 본체인 점에서 정몽과 일치하게 된다. 여기에 송학 전체를 통틀어 희귀한 우연성의 사유가 깔려있다. 「태화편」 제3장 후어 분석을 통해 생의 형이상학의 실천적 의의는 부모 모시기가 하늘 섬기기에 우선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형이상학과 실천 양쪽을 연결시키는 제3장 후어처럼, 성인 공부의 실천 측면에서 「건칭편」 제서는 부모 모시기와 하늘 섬기기 논쟁의 형이상학적 중요성을 지적하고 리학의 이론적 파탄을 비판한 다음, 그의 생과 운동의 형이상학 입장에서 가능성으로만 머물 수 있던 필연성의 한 계열을 실현한 실존의 우연성의 계기인 부모 모시기가 하늘 섬기기에 우선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여 낮은 차원의 이원성을 극복한 점을 밝히고, 부모 모시기의 실천이 단독자의 실존을 상정하고 전개한 논의인 주자학과 양명학을 동시에 극복하는 방법임을 보여준다. This essay is an examination to reveal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so-called scholarship of Master Zhang to Wang Fu-zhi, an eminent philosopher who liv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y.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his opinion, I analyze the introduction and the foreword after the chapter Qiancheng but do not analyze each title of the chapters in his Commentary on the Zhengmeng written by Master Zhang(abbr. CTCMC), which is representative of his works. Master Zhang is a name to show his respect to Zhang Zai, another eminent philosopher who lived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Zhengmeng is originally the book title written by Zhang Zai, which contains his philosophical thinking. CTCMC expresses his scholastic intentions well in the word of the scholarship of Master Zhang. Compared to the vast amount of CTCMC, the introduction and the foreword after the chapter Qiancheng are very simple. The introduction shows his overall perspective and direction of the Zhengmeng, and the foreword after the chapter Qiancheng is very worthy because it reveals the priority of parental maternity rather than serving heaven. I say it is precious because it was the final solution to one of the core themes in the scholarship after Northern Song. He starts with the word Zhengmeng and ends with Zhengmeng in CTCMC, so we can imagine his defining the meaning of Zhengmeng was very important as a key to understanding his core concept. Zhu Xi understands Zhengmeng as a sentence of a predicate and object, but it is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pedagogical nature of his philosophy. However, Wang Fu-zhi understands it as a noun phrase and discovers its activity and spontaneousness through his confrontation with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Through his new interpretation of Zhengxin of the Great Learning as a noun phrase, Wang Fu-zhi reveals that Zhengmeng and Zhengxin are the same meaning, and they have obtained a right to be substantiality of the world. We must pay attention that the contingency is underlying in his philosophy, and it is the most distinct among different philosophers after Northern Song. The postscript of the 3rd paragraph in the chapter Taihe of CTCMC contains a synthetic opinion of his metaphysics and its practice, so I analyze it before analysis of the foreword after the chapter Qiancheng for revealing the meaning of the scholarship of Master Zhang. The foreword after the chapter Qiancheng deals with the practical aspects of his metaphysics, which understands the scholarship of Master Zhang as learning to be a sage, which shows the priority of parental maternity rather than serving heaven, which criticizes the theoretical destruction of Zhu Xi in the metaphysical debate of the priority.

      • KCI등재

        증공의 홍범학과 체용론

        임형석 ( Lim¸ Heng-seok )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3 No.-

        증공은 북송의 문학자로 알려져 있지만, 경학과 이학에 공헌한 바가 크다. 그의 작품 가운데 「홍범전」은 『상서』 「홍범」을 대상으로 이학, 특히 체용론의 관점에서 주석한 경학 작품이다. 본고는 총론, 각론, 결론으로 구성된 「홍범전」 가운데 경학으로서 홍범학의 성과와 이학으로서 체용론의 성과가 집약된 총론을 대상으로 증공의 홍범학과 체용론을 해명했다. 총론은 5개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다. ① 무왕과 대화하는 기자가 과거를 불러내 교육적 전형을 제시하는 데서 상리 개념을 제시한다. ② 전지적 화자가 과거의 일회적 사건이 아닌 현존하는 일반 법칙을 서술하고 홍수/치수 사건의 의미를 되새기는 데서 상륜 개념을 제시한다. ③ 구양수의 의고주의에 대한 비판이며 「홍범」의 의의에 대한 옹호이다. ④ 중국 정치사상의 전형으로서 「홍범」의 구조를 체용론에 따라 분명히 밝히고, 현실적 실체 개념으로 오행을 규정한다. ⑤ 홍범구주 가운데 오행 이후의 8가지를 다시 불러내서 구주=구용이라는 견해를 밝힌 다음 체용론에 입각해 수양론을 전개한다. 증공 홍범학의 경학적 성과는 구양수를 대표로 하는 의고주의의 회의론에 대한 비판과 기존 홍범학의 성과를 종합한 것이다. 이학적 성과는 체용론을 구사하여 증공 이전 홍범학의 여러 개념과 구도를 철저하게 선별, 종합, 재구성했다는 점이다. 이학 작품으로서 「홍범전」의 개념과 구도는 훗날 주자학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This essay is my reflection on which had its origin in Zeng Gong’s Commentary of the Great Plan in the Book of Documents. Zeng has been a famous writer of the Northern Sung Dynasty, but it also have not been well known to his great contribution to the classical study and the Neo-Confucianism. There were many scholars who studied the Great Plan in the Northern Sung Dynasty, they began to explore who was the principal agent of the new power field, as well as they needed new logic of this subject for justification in the Chinese Classics. The theory of Ti with Yong had emerged as a good solution at the moment, Zeng adopted the theory when he annotated his Commentary of the Great Plan, it was a work of the classical study from the point of view of Neo-Confucianism. His meritorious achievement in the range of classical study were the criticism of skepticism on the Chinese Classics represented by Ou-yang Xiu and a synthesis of the many existing studies on the Great Plan. In the range of Neo-Confucianism, he thoroughly used the theory of Ti with Yong to select the existing studies and to reconstruct it for the aggregation. His Commentary is composed of 3 parts: General introduction, Particulars, and Conclusion, my essay focuses on General introduction. The General introduction consists of 5 parts and each main contents and themes are as follows: ① Qizi who talked to King Wu of the Zhou Dynasty, presented the concept of Chang-li as the universal order in bringing up the past and presenting educational paradigm. ② The omniscient speaker presents the concept of Chang-lun as the moral order in describing general laws, not an event of the past. ③ It was a criticism of Ou-yang Xiu’s skepticism and a defense against the significance of the Great Plan. ④ According to the theory of Neo-Confucian Ti with Yo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Plan was clearly revealed as the epitome of Chinese political thought, and the Five-Elements was defined as the realizable substantial being. ⑤ Among the Nine-Principles of the Great Plan, eight of them were recalled except the Five-Elements, they were declared as the Nine Utilities, and then Zeng developed a theory of discipline based on the theory of Ti with Y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