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상(理想)의 모색과 좌절의 연대기 : 임화론(論)

        임형모 ( Im Hyeong-m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7 漢城語文學 Vol.3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가출에서부터 죽음에 이르는 임화의 삶과 문학을 재조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고찰하기 위해서 초기시, 단편 서사시, 『회상시집』의 세계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임화의 초기작의 세계에는 세계의 개진을 꿈꾸는 가출 지향성이 내재하고 있었으며 단편 서사시의 단초를 보여 주고 있었다. 그리고 단편 서사시에서는 소설적 방법으로 문제적 상황을 만들고 사건을 전개하기 위한 장치로서 `부재(不在)의 서사`를 서사 원리로 가져 오고 있었다. 또한 『회상시집』은 과거를 회상하며 `또 다시 네거리에서` 삶의 방향성을 고민하며 의지를 다지고자 하는 임화의 마음을 대변하는 세계였다. 주체와 세계의 부조화 속에서 주체와 세계의 조화를 문학에서만이 아니라 현실에서도 실현하기 위한 여정이 임화의 삶이었다. 그렇기에 그의 거리는 종로 네거리에서 현해탄을 지나 평양 거리를 거쳐 모스크바 거리까지 확장된다. 그러나 아쉽게도 그는 그가 꿈꿔온 세계의 배반으로 결국 죽음을 맞게 되는 삶의 아이러니를 맛본다. 한마디로 그의 삶은 이상의 모색과 좌절의 연대기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fe and works of Im Wha who lead to death from leaving home. To do this study, this paper focuses on his early poems, short epic, the poetry books of recall (『Hoesangsijip』). As a result, his poems included an intentionality of leaving home and the beginning of short epic. And, the short epic have hidden narrative style that principle could called `style of absent`. The style have a novelistic method that make problematic situation and storyline. Also The poetry books of recall(『Hoesangsijip』) represented the mind of Im Wha who he pondered on where to go `in crossroad again` remembering the old days. A road of Im Wha was aimed for harmony of the subject and world in literature and real life. As such, the road of Im Wha extends from Jongno crossroad to the Hyunhaetan, Pyongyang and Moscow. But, unfortunately, he trusted an ideal world while the world betrayed him. To conclude, his life was death of irony. In a word, the life of Im Wha is a chronicle of discouragement and a search of an ideal.

      • KCI등재

        ‘같다’ 추측문의 남용과 글쓰기 교육

        임형모(Im Hyeong-mo)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5 No.-

        본 연구는 ‘추측’의 ‘같다’ 구문을 남용하는 글쓰기 경향을 바로잡고 고민하는 글쓰기를 가능케 할 수 있는 교수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동적이며 방관자적이고 스스로가 내려야 할 판단을 유보하는 글쓰기 경향으로서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같다’라는 표현을 포함하는 추측문이다. 학생들은 글쓰기이든 말하기이든 이 표현을 남용함으로써 스스로가 내린 판단에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추측은 어떤 명제를 보고 판단을 해야 하는 것이지만 판단은 온데간데없이 추측만 함으로써 스스로가 내린 결정에 방관자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대학생들의 글쓰기 경향은 지역을 불문하고 나타나는 전반적인 현상이었다. 따라서, 세 단계에 걸친 순차적인 교수법을 제시했다. 1)추측문은 보충어에 ‘와’가 올 수 없는 문법적 성질이 있다는 것과, 2)판단의 논항이 부재(不在)한다는 것, 그리고 3)의미적 측면에서 ‘참’의 의미로 수렴된다는 사실을 중심으로 교수법을 개발함으로써 고민하는 능동적 주체화(主體化)를 가능케하는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力說)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expression of guessing which is an abuse of ‘gatta(to be same)" and to find a teaching method. These days, university students abuse the expression of guessing. ‘Gatta(to be same)" may be the best example of this. This description is a passive sense from the sidelines. In other words, university students reserve their judgment and they didn"t accept responsibility for their writing and speaking. Guessing is a judgment for a propositions, the guessing without the judgment should not do. If a student dose not want to judge, they are onlooker in academic writing. Such a tendency is shown whether in Seoul Metropolitan Area or in regional blocks, and this trend shows no sign of abating. Therefore, I presented a teaching method of a three-step process. It goes as follows; 1)the grammatical nature that ‘~wa(와)’ can not come to complementary words, 2)the argument of judgment is absent, and 3)it is gathered in the meaning of "truth" in the semantic aspect.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ed that the students have to deep thinking on writing. It is the essence of a writi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채만식 소설의 이분법(二分法) - 여성 인물의 형상화 양상을 중심으로 -

        임형모 ( Im Hyeong M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1 漢城語文學 Vol.45 No.-

        채만식의 문학 전체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세 가지로 압축할 수가 있다. 그것은 ‘돈(자본)’, ‘민족’ 그리고 ‘여성’이다. 그 가운데 신분이나 계층 여하를 막론하고 ‘여성’의 삶을 형상화한 작품의 비중이 가장 크다고 할 수가 있다. 이때 채만식의 소설은 낡은 것을 지양하고 새로운 것을 지향하는 신구의 대립에서 언제나 새로운 사람을 중심으로 새로운 세대가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야 함을 암시하거나 기대케 하는 열린 결말로 작품이 마무리가 되며, 이것은 일반적이라고 할 만큼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채만식 문학이 지닌 독특한 ‘이분법(二分法)’으로 명명해도 손색이 없을 듯하다. 작가의 이분법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선행한 상태에서 그리고자 하는 이분법적 세계를 상정하고 자신의 생각을 읽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독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알레고리와 풍자(Satire)를 활용하는 서사 전략을 보였다. 따라서 채만식이야말로 알레고리와 풍자를 결합한 글쓰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한 작가라고 할 수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양상을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관계, 조혼과 상반되는 신여성과의 자유연애, 구여성과 신여성의 대비 등에서 나타난 여성 인물의 형상화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또한 작가의 이분법이 가장 선명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발휘가 된 <탁류>를 분석함으로써, 이분법이 채만식의 문학에서 중요한 서사 전략임을 확인하고자 했다. The key words that penetrate Chae Man-sik's novel can be compressed into three categories. It is ‘money(capital)’, ‘ethnicity’ and ‘female’. Among them, it can be said that the proportion of works that embody the life of ‘women’ is the most. In the novel, women appear regardless of status or class. At this time, Chae Man-sik's novel show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to avoid the old and pursue the new. To be more specific, the work ends with an open ending that suggests or makes expectations that a new generation should open a new era, always centering on a new person. This is a phenomenon that is so common that it is said to be common. This characteristic can also be called as the unique “dichotomy'” of Chae Man-sik's literature. Even if you name it like that, it seems to be inferior. With the advent of this dichotomy, allegory and satire are combined in the way to shape it. Chae Man-sik seems to be the most effective author of writing that combines allegory and satire. In order to confirm this aspect, this paper considered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 For exam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in-law and the daughter-in-law, the relationship with the new woman in contrast to the early marria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woman and the new woman. And I analyzed the “Tark-ryu” in which the dichotomy of Chae Man-sik's novel was most obvious and effectiv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chotomy was an important narrative strategy in Chae Man-sik's litera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탐색 소설에서의 계시(啓示)와 주체의 문제

        임형모(Hyeong Mo 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현대소설연구 Vol.- No.32

        It is unlikely that Lee Chung-Jun`s novel is familiar with readers. Nevertheless, if his literature ensures the popularity about people, that is because he borrowed from the technique of the mystery novel. But what is different from a perfect pattern of the mystery novel is that the absence of the ending may be Lee Chung-jun`s constructional principles through the twist of the technique of the mystery novel. The technique of the twist leads to the opening ending of the work, and it is origin of a multiple plot.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is technique of the mystery novel, he usually uses the epic developmental revelation. as the revelation in which an inquired person controls another person. Arousing the curiosity along with the revelation provides the clue about the work, and on the other hand, it may be a pattern which ensures the popularity. A searching subject, making the pattern of the revelation unconsciously, performs a search regardless of his own life. It is said that the orientation in Lee Chung-Jun`s searching novel is that `finding oneself in one`s life truly` is in the process. Consequently, it follows that I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a society.

      • KCI등재

        '산문적 로맨스'로부터 일깨워진 '열정'의 의미

        임형모(Hyeong Mo 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현대소설연구 Vol.- No.34

        Four novels that Yuhangrim wrote befor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are not certainly rich in quantity. Nevertheless, his novel shows a timely transfigured process. The elements of common and dominated contents in Yuhangrim`s novel are a disorientation of the times and an affective problem between man and woman. Within four writer`s novels, characters who are agonizing their generation consist vertical axis each other, and people who agonize affective problem form integrated relation. His novels have a structure that both his generation in vertical axis and affective problem in horizontal axis are combined elaborately. An affective problem shows the aspect of a romantic transfiguration in this process. In other words and the structure is that a ``Passion`` intervenes relationship that begins as a ``Prosaic romance``. The concentration about Marxism that loses the value in disillusion of his generation was restored the theoretical dimension after discarding practical value. In this process, a problem of passion in times could change affective problem. Choosing a woman instead of strong holding or discarding their ideal is identified with the process for peaceful-living in reality. Prosaic romance, the affection logic that the subject has, shows the way which returning to one person`s life is strongly rejected through the relationship of man and woman. The subject converts a figure which the changed reality approves itself in process of making distance. This is the recovery of passion in the relationship of prosaic affection and is the figure which overcome the loss of some measured generation. However, such a recognition of the reality does not mean of coincidence for a new structure system. It was difficult to approve the loss, not to approve the coincidence of system. Sometimes the reality could be denied. Also, self-conscious subject attempts to reconcile the world through the problem of choosing in the relationship of affection. As a result, the important to the writer Yuhangrim in this era is to discovery of changed reality and the way of understanding not to choose the system. Therefore, previous Yuhangrim`s works from this discussion might be called of modernism which is sublated and prospective realism.

      • KCI등재

        고려인문학에 나타난 낯선 장소와 공간 연구

        임형모(Im, Hyeong-Mo)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5 No.-

        본 연구는 소비에트 고려인들의 문학과 삶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고려인들은 디아스포라로서 끊임없는 이주와 안착의 과정 속에서 다양한 삶의 방식을 보여 왔으며 이를 글쓰기로 형상화해 냈다. 이러한 고려인문학을 연구할 때 발생하는 문제 가운데 하나가 아무런 설명이 없이 무작정 등장하는 낯선 장소(공간)들이며, 이를 이해하기 위한 지리감(地理感)의 필요성이다. 따라서 문화지리학을 연구방법론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장소와 공간을 감각적, 심미적, 정서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은 이산과 정착에 따른 삶을 글쓰기로 승화시킨 고려인문학을 문화지리학으로 읽을 충분한 근거가 된다. 이로써 본고에서는 조선을 떠나는 과정에서부터 원동(Дальний Вост́ок Росс́ии)에 안착하기까지의 과정을 운문 및 산문 텍스트를 중심으로 세밀하게 고찰하며 낯선 장소가 공간으로 화하는 과정을 추적하는 가운데 그 속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의미를 고찰했다. 그 결과 고려인 문학이 지닌 특수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선-원동-중앙아시아’에 이르는 고려인의 삶에서 1차적으로 원동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CIS 지역의 경우는 2차 과제로 남겨 두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better understand the life and works of Soviet-Korean. Soviet-Korean had drifted from place to place, repeating Immigration and emigration. The journey extends from Korea to CIS(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They have adjusted to barren deserts. And, they wrote a series of historical facts and lifes. So, this study looked at unfamiliar place and space in Soviet-Korean Literature. The life of Koryo-saram was extended from Promorye Region of Russia to Central Asia(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At first, studied unfamiliar place and space in Promorye Region of Russia. So, the text used to prepare this report is prose and verse in Soviet-Korean Literature, АВАНГАРД, ЛЕ НИН КИЧИ, КОРЕ ИЛЬБО from Soviet-Korean newspapers, and Hong-Beom-Do, Sip-O-Manwon-Sakeon from full-length novels. And, looked at the immigrant narrative of Sinsoseol(新小說), Sohakryoung. The methodology used to prepare this report is history, social history, cultural geography, anthropogeography. As a result, the essence of Soviet-Korean Literature was anxiety. Koryo-saram was tormented by feelings of insecurity.

      • KCI등재후보

        번역투(飜譯套)의 남용과 글쓰기 교육 - 전치사 ‘about’의 한국어 전이 양상을 중심으로 -

        임형모 ( Im Hyeong M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0 漢城語文學 Vol.43 No.-

        본고는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간과하고 있는 번역투(飜譯套)를 남용하는 현실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했다. 영상 세대의 성장과 함께 무엇보다 소통이 더욱 중요해져만 가는 시점에서 번역투를 남용하는 일은 학문적 글쓰기는 물론이고 일상의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번역 시에 생성되는 것이 번역투라고 했을 때, 번역투가 가장 많이 남발되는 경우는 한문이나 일본어를 번역했을 때보다는 영어를 우리말로 옮겼을 때이다. 특히 번역투가 일상의 언어가 됐을 때가 가장 문제가 되는데, 그중에서도 전치사를 번역할 때 발생하는 우리말답지 않은 부자연스러움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자연스러운 소통을 방해하는 요소로서 전치사인 ‘about’을 우리말로 옮겼을 때 발생하는 애매함은 글쓰기를 편하게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소통을 어렵게 만드는 주범이기도 하다. ‘about’은 대개 ‘~에 대하여(대한)’로 번역이 되는 것이 일반인데, 이렇게 번역했을 때 생겨나는 문제는 학문적 글쓰기는 물론 일상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생활에 간섭하여 사고의 깊이를 단순화하는 경향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편하기 때문인데, 무엇보다 ‘~에 대하여(대한)’는 현재 단순한 번역투를 넘어 추상화된 한국어 표현으로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서, ‘사람에 대한 글’과 같이 기술하는 데에는 어떤 사람을 말하는 것인지 혹은 사람의 어떤 면모를 말하는 것인지 분명하지는 않아도 그 이상의 사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가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기술한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는 상황에서 쓰고자 하는 대상을 단순화함으로써 사고의 깊이를 차단하는 일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것은 번역의 문제로 국한할 수만은 없다. 따라서 이 현상은 글쓰기를 교육하는 마당에 간과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 대학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학문적인 글쓰기를 시작하는 시점에 바로잡아야 사회적으로 확대·재생산이 되지 않는다. 이것이 그러한 글쓰기 경향을 지양하고 사고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교수법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raise the question of the reality of abuse of translationese, which are overlooked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t this point, abuse of translation is spreading as a daily problem as well as academic writing. With the growth of the video generation, communi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ranslationese are created when translating. At this time, the most problematic case of translation is when English is translated into Korean rather than when Chinese or Japanese are translated. In particular, the most problematic is when translationese has become the language of everyday life. Among them,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unnaturalness of Korean language that occurs when translating prepositions. Above all, the element that hinders natural communication is the preposition ‘about’. The ambiguity that occurs when translating this into Korean makes writing easier.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the main culprit that makes communication difficult. In Korean, ‘about’ is usually translated as ‘~에 대하여(대한)’. Such translation simplifies the depth of thinking by interfering with not only academic writing but also daily life of language. The reason this phenomenon occurs is because it is convenient. Above all, ‘~에 대하여(about)’ has settled as an abstract Korean expression beyond a simple translation. For example, it is not clear what kind of person you are referring to or what aspect of person you are referring to in a description like ‘a text about a person.’ There is a convenience to avoid having to think deeply. First of all,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at specific content is being described. In addition, in such a situation, the depth of the thinking is blocked by simplifying the object to be written. This is an area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e field of teaching writing. This should be corrected by the time you enter college and begin academic writing. Thus, this problem cannot be socially expanded or reproduced.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avoid such a tendency to write and develop a teaching method that can add depth of thought.

      • KCI등재

        글쓰기 능력을 신장하는 효율적인 첨삭 지도 방안

        임형모(Im Hyeong-mo)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60 No.-

        본고에서는 교수자 개인이 수업부터 첨삭까지 해야 하는 현실 속에서 첨삭하는 시간은 줄이면서도 지도의 효과는 배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첨삭 지도방법으로 ‘밑줄 탐구 첨삭(Writing Feedback Line)’을 제안했다. ‘밑줄 탐구첨삭’이란 전달자인 교수자가 제시한 밑줄과 박스를 피전달자인 학습자가 탐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습자에게 학습에 필요한 ‘간접적 계기’를 제공하는 첨삭 지도이다. 따라서, ‘밑줄 탐구 첨삭’은 학습자가 작성한 글에 밑줄과 박스만으로 첨삭의 임무를 완수한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글을 보고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지점에 밑줄을 긋거나 박스를 쳐 줌으로써 비로소 학습자는 탐색을 시작한다. 형사가 폴리스 라인 안쪽에 있는 단서를 보고 수사를 진행하듯이 학습자는 밑줄이 그어지거나 박스가 쳐진 부분을 보며 스스로 자신의 글이 지닌 문제점을 찾고 글을 수정해 나가게 된다. 이때 학습자는 미리 교수자가 제공한 단서(탐색지) 안에서 오류를 고민하면서 수정을 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밑줄 탐구 첨삭의 실제를 글의 형식적, 구성적, 내용적, 어법적 측면에서 고찰해 봄으로써, 과도한 수강 인원이나 학생들 간의 학력 격차 등으로 첨삭 지도의 고충을 토로하는 교수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했으며, 첨삭을 담당할 전문 인력을 양성키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는 대학 등의 여타 기관에서 실제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논문을 구성하였다. For a professor, writing education was a double difficulties of teaching and writing feedback. That is the reality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o resolve this matter, I suggested the way of efficient feedback, which would reduce feedback times. It is called the ‘Writing Feedback Line’. This method provides indirect occasion for learners. This teaching method uses indirect communication. For example, a professor underline(or blocked) the wrong part in writings of learners. And then, learners investigate the wrong part watching the feedback line. Learners correct their writings watching the feedback line, as the police are digging deep into some case to solve it. ‘Writing Feedback Line’ have a similar structure to police line. Knowledge about the correct way of investigating items must be in place before learners investigate their writings. In conclusion, this study places emphasis on practical in work: format, plot, content, grammar.

      • KCI등재

        내적 형식으로서의 ‘편지’와 한국 근·현대문학의 소설사 기술의 가능성-개화기를 중심으로-

        임형모(Im, Hyeong-Mo)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7

        근대적 우편제도가 도입된 이후 공간적ㆍ물리적 거리를 극복케 하는 편지가 지닌 이점들은 우편제도가 근대적 문화로 빠르게 자리 잡는 데 일조하는 한편 소설 속에도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면서 편지라는 형식은 신소설의 서사를 조직하는 데에 작가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중요한 내적 형식으로 기능하게 된다. 신소설의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가족이나 가족과 유사한 관계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며 이들 인물들이 자신의 소식을 전하는 방법은 근대적 우편제도에 따른 편지나 전보 등이다. 이러한 설정 자체는 근대적 우편제도가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로서 편지 자체가 소설 속에서 내적으로 형식화되어 있음을 방증해 준다. 이것은 작가와 독자의 경험이나 인지적 정의적 측면이 공통된 기반을 내포하고 있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한편, 편지가 신소설만의 전유물이 아닌 이상 고소설과의 차이를 짚고 가야 하는데, 고소설과 신소설에 나타나는 편지는 공간적 단절을 극복하고 서사를 전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내용상으로는 차이가 없다. 양자의 차이라면 우편제도가 도입되며 달라지는 편지의 전달방식과 소비방식에서 찾을 수가 있다. 편지를 부치는 비용이 저렴해지면서 사소한 안부도 편지로 전하는 일상의 대화가 가능해지며, 위서(僞書)의 경우라면 공적인 방식을 활용한 거짓 편지의 위장술이 가능해진다. 결론적으로 신소설에 나타난 편지는 작품의 흥미성을 배가시키고 교훈을 담보하는 형식화된 내용으로서 당대 작가들의 상상력을 세계 전체로 확대케 하는 데 기여했다. 편지는 서간체 소설로 1917년에 발표된 〈어린 벗에게〉를 시작으로 이후에도 꾸준히 확인되는 바 내적 형식 자체만으로 읽어 내는 소설사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of the letter in the history of novels. The letter is a form of confession in novel. Additionally, the letter represents an inner form within novel.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a possibility of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as the inner form of the letter.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postal system, letters have facilitated communication between spatially distant people. Thus, the postal system rapidly consolidated its position within modern culture. It also appears in earnest in the novel. In this way, the letter becomes an important inner form that stimulates the imagination of the writers in organizing the narrative of a new novel (sinsoseol). The protagonists of the new novel (sinsoseol) are mostly shaped at work, away from their families. Thus, they use letters or telegrams to communicate with their families. This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modern postal system, thereby demonstrating that the letter is internally formalized in the novel. In other words, in order for this to be possible, the experiences of the writer and reader or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must have a common foundation. On the other hand, the letter is not exclusive to the novel. Therefore, we need to point out the difference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new novels (sinsoseol). In both these types of novels, letters help to overcome the spatial disconnection between characters.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he novels’ narratives. Therefore, there is no difference in terms of cont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found in the method of delivering and consuming the letter, which has chang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postal system. As the cost of sending a letter reduced, even short daily conversations were conducted through letters. Additionally, a camouflage method that uses public methods could be employed to send a false letter. In conclusion, the letters appearing in the new novel are formal contents that enhance the interest of the work and deliver certain lessons. Moreover, these letters helped to expand the imagination of contemporary writers throughout the world. Even later, the letter continues to be valuable in literature, such as in the novel “To a Little Friend” (1917). Therefore, a novel history that can be read only by the inner form itself will be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