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카모토 료마의 국가 건설사상

        임태홍(Lim Tai-ho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04 정치사상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사카모토 료마의 ‘선중팔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그 사상적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그의 제안은 단순한 구상에 머문 것이 아니라 이후 ‘대정봉환’이나 ‘메이지유신’ 등으로 현실화되었다. 그의 정치적 입장은 분열되어 있는 각 정치세력을 하나로 묶어 강력한 통일정부를 만드는 데에 있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연구는 일본 근대의 정치사상을 이해하는데 있어 그리고 아직도 진정한 의미의 민족국가 수립을 못하고 있는 우리 민족에게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론에서는 ‘선중팔책’을 중심으로 사카모토 료마의 행적과 그 배경을 살펴보고 ‘선중팔책’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특징을 명확히 하기위해서 멀리 중국과 한국의 사례와 비교해보았다. 중국의 경우는 태평천국시기에 룽훙(容?)이 태명천국에 제시한 방안과 청말의 쑨원(孫文)이 리홍장(李鴻章)에게 제출한 건의안, 그리고 한국은 동학 운동시기의 폐정개혁안과 갑신정변시 개화파가 제시한 신 정령 14개 조항을 참고하였다. 사카모토 료마의 ‘선중팔책’은 메이지 유신 직전에 제시되었는데, 그 당시 일본의 대표적인 건국 방략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제안은 국가의 정체(政體), 사법, 행정, 의회, 외교, 헌법, 군대 등 범위가 광범위하며 어느 한쪽으로 편증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지국의 문제를 일본을 넘어선 국제적인 시간에서 파악하려는 특징이 강하다. 또한 ‘선중팔책’에는 서구의 의회정치나 법률, 외교 등의 제도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고 한 사카모토 료마의 노력이 뚜렷이 드러나 있다.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개혁안과 비교해 보면, 사카모토 료마와 그 주변 사람들의 상황인식이 얼마나 폭이 넓고 깊이가 있었는가를 잘 알 수 있다. ‘선중팔책’은 이미 서양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근대 국가 건설의 핵심을 정확히 짚어내고 또 그러한 시대적인 방향을 정확히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평가할 만한 방책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Sakamoto Ryoma's "Great Plan at Sea" or eight-point plan, which he wrote aboard ship in 1867.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background of the plan's formation and its feature as a nation building thought. Sakamoto's plan was very important. Because it was not merely an idea, but became a real after a few months. For example by his proposal, Yoshinobu Tokugawa, the 15th Shogun of the Tokugawa Shogunate, returned his political power to the Emperor, that is the so-cold "The Return of Sovereignty"(Taisei Houkan) of November 1867. In the main part, the writer examines the Sakamoto Ryoma's circumstance and analyzes the contents and the feature of the Sakamoto's plan. In order to clarify the plan's feature,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plan to the Long Hong's(容?) proposal to Taiping Heavenly Kingdom, the Sun yatsen's(孫文) suggestion to Lee Hong-Chang(李鴻章), the Jeon Bong-Jun's(全琫準) reforming politics plan in the Dong Hak movement, and the reformists' 14 suggestions of the Military Revolution (the Kapshin coup) in 1884. The eight-point plan of Sakamoto Ryoma was suggested right before Meiji Restoration(1868). It was a representative plan for nation building in the era of Modern Japan. Sakamoto's proposal broadly included the system of government, judicature, administration, assembly, diplomacy, constitution, and troops, etc. Although the plan was concern with the domestic affairs of Japan, it had the international judgment, and was most distinctively beyond the boundary of the country. In the Sakamoto's plan, there was a remarkable effort to receive the Westem civilization of the times. Comparing with the cases of Long Hong's, Sun yatsen's, and Jeon Bong-Jun's, Sakamoto's recognition about the era and the circumstance around his country was very spacious and very deep. In conclusion, Sakamoto Ryoma seemed to have a clear grasp of the essence of nation building movement of Western Countries, and his eight-point plan for Modern Japan showed his country the correct way of the new times.

      • KCI등재

        태평천국의 민족주의 사상

        임태홍(Lim Tai Ho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08 정치사상연구 Vol.14 No.2

        태평천국의 대표적인 지도자들이라고 할 수 있는 홍수전, 양수청, 홍인간의 '중국' 인식을 분석하여 태평천국의 민족주의 사상을 살펴보았다. 홍수전의 문장 속에 보이는 '중국'은 대략 3가지 측면에서 검토가 가능하다. 첫째는 '번국(審國)'과 대응되는 '중국'개념이며, 둘째는 만주족에 침략을 당한 '중국'개념이다. 그리고 셋째는 최고 신 천부(天父, 하느님아버지)가 직접 통치를 하는 '중국'이다. 이러한 홍수전의 중국 인식은 태평천국 시기 내내 태평천국인들의 민족주의 사상을 규정하고 그 운동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였다. 홍수전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태평천국을 이끌었던 양수청이나 홍인간도 그러한 사상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다만 양수청의 경우는 홍수전의 첫 번째 '중국'개념과 세 번째 '중국'개념을 결합하여, 모든 '번국'들, 즉 천하만국은 '천조(天祖)'인 중국의 권위에 귀순해야하며 통치를 받이야 한다는 개념으로 발전시키고 이를 청나라 만주족에 대항하는 태평천국 운동의 이념으로 삼았다. 나아가 홍수전의 두 번째 '중국'개념, 즉 만주족의 침략을 당한 '중국'개념을 더욱강화시켜, 혁명운동의 전면에 내걸었다. 홍인간의 경우는 앞의 두 사람 보다는 좀 더 근대적인 인식을 보여준다. '번국'이란 하나의 집단적인 '주변' 이 아니라 다양한 나라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그러한 나라들의 사회체제와 정치문화, 그리고 법률과 제도 과학기술 및 산업 등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태평천국은 서구의 프랑스나 영국처럼 한 지역과 한 종족을 기반으로 강력한 근대적 국민국가를 지향할 수도 있는 조건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태평천국'의 타자로서 내부적으로는 청나라 만주족을 상정하고, 외부적으로는 '번국'을 주목하였다. 또 '태평천국'을 '중국'과는 별개의 나라 혹은 '중국'의 일부분으로 여긴 것이 아니라 '중국'을 대신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였다. '천국'은 바로 '중국'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그것은 동시에 전통중국에서 사용된 '천하'를 대신할 수 있는 단어이기도 했다. 또 태평천국 내부에서 '천왕' 홍수전은 최고신 천부의 아들로 자처하였기 때문에 전통적인 '천자'와 전혀 다르지 않은 존재이기도 했다. 이렇게 '전통'과 '근대'가 교묘하게 조합된 민족주의가 바로 태평천국의 민족주의였다. 전통시대 '천하국가'의 외형적인 기반, 즉 그 '사람'과 '영역'이 '국민국가'의 '국민'과'영토'로 재해석되었다. 태평천국의 민족주의 사상은 바로 전통의 '천하국가가 그 외형적인 모습을 바꾸지 않고 근대적인 '국민국가'로 전환하는 사상이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nationalism of Taiping Tianguo, Heavenly Kingdom of Peace, through by analyzing the conception on 'Central Country(中國)' or 'China' of Hong Xiuquan, Yang Xiuqing and Hong Rengan, the representative leaders of the Taiping Rebellion. At first, the writer analyzes the word 'Central Country' in the documents written by Hong Xiuquan, the founder of the Kingdom, from three aspects: (ⅰ) the concept of the central country corresponded to the uncivilized surrounding countries(審國); (ⅱ) the concept of the country invaded and occupied by Manchus of Qing dynasty and (ⅲ) the concept of the holly nation which God the Father himself rules. These concepts of Hong Xiuquan had a broad and deep effect to the peoples of Taiping Tianguo during the rebellious period. Yang Xiuqing and Hong Rengan also received the powerful influence by the conception. In the case of Yang Xiuqing, however, strengthened the conception of the invaded China, and made it the main slogan to overthrow the Qing dynasty in the rebellious movement. Hong Rengan, unlike the other Hong and Yang, presented the more modernized suggestions in his document written in 1859. In his suggestions, he explained the nations of Europe or Asia which had been considered as the uncivilized and barbarous countries as the nations having pride in the sovereignty, civilization and history. Also he introduced the social systems and political culture, law and regime, technology and industry, etc, of the countries. Taiping Tianguo, such as France or England in Europe, might have become a powerful modern nation-state based on a people and a province of China. The leaders, however, considered Manchus of Qing dynasty as the enemy, and regarded their own country not as a small part of China but as the China itself. Moreover, in Taiping Tianguo, Hong Xiuquan called himself as the Son of God like as the Kings of Ancient China. To conclude, the nationalism of Taiping Heavenly Kingdom was the dexterously mixed one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concep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한중일 삼국 지식인 "사(士)"의 이상 -배상제교,동학,천리교의 종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임태홍 ( Tai Hong L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한국 철학논집 Vol.0 No.31

        이 글은 근대 동아시아 삼국의 대표적인 신종교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배상제교, 조선의 동학, 그리고 일본의 천리교를 선택하여 각 종교 교리 가운데 내포되어 있는 지식인 ``사(士)``의 이상적인 이미지와 사상적인 경향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각 종교교단의 교조 즉 배상제회의 홍수전(洪秀全, 훙시우취엔, 1814-1864), 동학의 최제우(崔濟愚, 1824-1864), 그리고 일본 천리교의 나카야마 미키(中山みき, 1798-1887)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폈는데, 이들 세 사람이 추구했던 이상은 각자가 어려운 환경에서 겪은 종교체험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홍수전은 하늘이 보낸 관리로서 신으로부터 칼과 도장을 받았으며, 최제우는 주문과 부적을 받아 그것으로 사람들을 가르쳐 신을 위하도록 하였다. 미키는 자기 자신이 하늘의 ``쇼군(將軍)``이 되기도 하고, 또 그러한 쇼군을 섬기는 자가 되기도 하였다. 쇼군은 무사가운데 가장 높은 무사이다. 그녀는 스스로 인간을 구제할 수 있는 실용적이며, 현세이익적인 다양한 징표들을 만들어 제공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신분적으로도 이상적으로도 신사·선비·무사였던 세 사람은 각자가 만든 종교에 어떠한 사상을 담았을까? 홍수전은 끊임없이 중국 내부로 관심을 돌리고 거기에 들어가 있는 악마적인 존재를 제거하고 평화를 이루는데 관심을 가졌다. 태평천국의 혁명 논리는 여기에서 나왔다. 최제우는 교인들을 가르치고 수양시키는데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새로운 시대가 개벽되었다고 선언하였다. 현실적으로 보이는 이익보다는 추상적인 사상에 집착하였다. 반면에 미키는 ``인간``을 위한 구제를 선언하고 현실적인 이익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그러한 이익은 오직 ``우리 편`` 혹은 ``일본``에만 한정된 것으로 ``타자``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입장을 취했다. 아울러 그녀의 관심은 끊임없이 ``외부``로 향했는데 그 외부는 정복하고 극복해야할 대상이었다. The paper investigates the ideal image and the ideological tendency of the traditional intellectuals in the East Asian Societies by analyzing the religious thoughts of Donghak, Tenrikyo and the Society of God Worshippers, which were the representative religious bodies in Korea, Japan and China.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founders` thoughts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s, such as Choi Jewoo(崔濟愚, 1824-1864) of Donghak, Nakayama Miki(中山みき, 1798-1887) of Tenrikyo and Hong xiuquan(洪秀全, 1814-1864) of the Society of God Worshipp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Choi Jewoo`s father was a teacher in a rural village, and so Choi Jewoo also wanted to be a teacher. Afterward when he had religious experiences, in the trance state, he became a teacher. Consequently, his religious thoughts were based on the ideal teacher`s stance. Nakayama Miki respected her father, who was a low-ranking warrior or bushi(武士). And when she experienced strange experiences, she became a high-ranking warrior or shogun(將軍). On this account, many of her religious thoughts were based on the ideal bushi`s position. Hong xiuquan`s father was a low-ranking local official, therefore Hong xiuquan wanted to be a high-ranking official since childhood. Later, he took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only to failed. And so when he had religious experiences, he became an official appointed by God. And his religious thoughts, in many cases, depended on the ideal official`s stance.

      • KCI등재

        홍수전의 종교적 성공과 그 사상적 배경 -그의 종교체험에 나타난 도장과 칼의 의미-

        임태홍 ( Tai Hong Lim ) 한국신종교학회 2006 신종교연구 Vol.14 No.-

        The thought of Hong Xiuquan, the leader of the Taiping Rebellion(1850-64) in China, has been usually approached from social and political point of view. The religious aspect of his thought, in many case, has been neglected. This paper examines his religious thought and its background from the religious point of view. Expecially focusing on the mystical experience of Hong Xiuquan, the writer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revelation, the seal and the sword which he received from God in his experience. This paper approaches to the personal life of Hong Xiuquan, observes the occupation of his father, a village chief, and the Hong Xiuquan`s hope to be a government official which he after all failed to b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aper concludes the sword and the seal received from God meant that Hong Xiuquan himself would become a God`s official, and that also he would be an emperor, that is a son of Heaven. The seal meant the emperor`s seal, and the sword also signified the emperor`s sword. For this reason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God`s revelation, Exterminate the demons!, Slay the demons! could be said that it was the emperor`s duty and mission to rule all the people of the world.

      • KCI등재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구조적 특징 : 중국과 일본의 신화를 통해서 본

        임태홍 ( Tai Hong Lim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2 No.-

        중국의 황제신화, 요순신화, 하, 은, 주의 건국신화와 일본의 기기신화 등과 비교해보면, 단군신화, 동명신화, 추모신화, 주몽신화, 온조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 등 우리나라 건국신화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이야기가 시작되는 장소가 대개 다른 외부의 `국가`다. 그 `국가`들은 북쪽에 있으며 문화가 먼저 발달된 선진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건국 자들은 대개, 문화가 발달된 나라에서 태어나 성장한 뒤, 그곳을 벗어나 남쪽으로 내려가 새로운 나라를 세운다는 것이 특징이다. 2) 신화로 각색된 우리나라 고대 건국자들의 조상은 대개 하늘에 있는 최고신, 즉 천신(天神)과 관련되어 있다. 3) 중국이나 일본의 신화에 비하여, 곰, 호랑이, 자라, 거북이 등 동물들이 이야기의 중요한 대목에서 등장한다. 특히 건국세력에게 적극적이고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4) 한국 건국신화는 건국세력이 이동하는 모습이 중요하게 부각되어 있다. 하늘에서 지상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강을 건너, 역동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특징적이다. 5) 한국의 건국 신화들은 건국자의 통치행위에 관해 서술이 많지 않다. 중국의『사기』나 일본의 『일본서기』 가 건국시조들의 통치에 관한 신화적인 서술을 많이 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6) 우리나라 건국 신화는, 거의 모두 어디에 어떤 이름의 국가를 세웠는가 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건국신화이기에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내용이 애매하게 처리된 중국이나 일본의 신화와 비교해 보면 매우 독특하다. 7) 타계(他界)에 갔다 오는 이야기, 혹은 하늘에 오르내리는 이야기가 매우 드물다. 샤먼에게 빙령의 체험이 많고, 탈혼의 체험이 거의 나타나지 않은 우리나라 신화에서는 사람이 천상이나 타계를 간다고 하는 것은 대부분 `죽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nalyze the features of the national foundation myths of ancient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East Asian myths such as Huang-di(黃帝) myth, Yao-Shun(堯舜) myth, the foundation myths of Xia-Yin-Zhou(夏殷周), and Japanese Kiki(記紀) myth. The myths of ancient Korea analyzed by this paper, are the Dan-gun(檀君) myth, Dong-myeong(東明) myth, Chu-mo(鄒牟) myth, Ju-mong(朱蒙) myth, On-jo(溫祚) myth, Hyeok-geo-se(赫居世) myth and Su-ro(首露) myth.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 1) The myths` stories are usually started at the north country where the culture has advanced. 2) The ancestors or themselves of the countries` founders, in most cases, are concerned with the Heavenly God, the supreme God in Heaven. 3) Comparing with the Chinese myths or the Japanese ones, in the national foundation myths of Korea, animals such as bear and turtle make an important role through helping the founders. 4) In the Korean myths, the moving scenes of the foundation groups are importantly described. The dynamic scenes of moving from heaven to earth and from north to south are most unique compared to the myths of China and Japan. 5) There are few depictions about the acts of the founders` government in the Korean myths. It is contrasted with the myths of Shi-ji(史記) of China or Ni-hon-syo-ki(日本事紀) of Japan, which have many stories about the governmental acts. 6) In many cases, the country`s foundation myths tells us what is the new country`s name, and where the capital has been located. There are few explanation about them in the myths of the other East Asian countries. 7) There are few stories about the travels to the other world in Korean myths In many cases the hero`s travel to the heaven or the other world means death.

      • KCI등재

        신종교와 여성 일본 신종교에 있어서 여성 지도자의 위상 -역사, 문화적인 배경을 중심으로-

        임태홍 ( Tai Hong Lim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1 No.-

        In the Japanese new religious bodies, there has been many women leaders, who has founded the religious body or has acquired their authority in their religious congregations through the mystical experience and others. This paper, in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Miyamoto Mitsu of Myochikai and Naganuma Myoko of Risshokoseikai. The women founded the new religious bodies in the 20th century. In the 2nd chapter, the writer presents Nakayama Miki of Tenrikyo and Deguchi Nao of Omotokyo. These two women established the 19th century`s representative religious organizations in the country. The writer expecially focuses on the two-top-system in a society, which has one woman leader and the other support man who help the holy woman leader to manage her society. This two-top-system is also founded in the ancient Japan history, for example Himiko and her younger brother of Yamatai-koku, Suiko Tenno and Syotokutaisi of the Asuka era, and so forth. In conclusion, in the Japanese society, there seems to be the cultural climate in which a woman who has a special religious ability is apt to be easily able to acquire the charisma as a religious leader. The cultural climate is, so to speak, the cultural tradition from the ancient matrilineal society, which has an very profound effect on the Japanese society for a woma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igious congreg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샤머니즘을 통해서 본 동학 경전의 구조와 사상

        임태홍 ( Lim Tai-hong ) 동양철학연구회 2022 東洋哲學硏究 Vol.110 No.-

        이 연구는 샤머니즘의 관점에서 동학경전의 서술구조와 그 사상을 고찰한다. 특히 『동경대전』과 『용담유사』의 주요 문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그 안에 담긴 주요 사상 개념의 형성 시기와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에서 논한 몇 가지 사항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이후 학계에서는 최제우 자신이 샤먼의 트랜스 체험을 한 바 있으며 그의 여러 가지 종교 활동을 샤먼의 활동으로 볼 수 있다는 주장이 주류를 형성하게 되었다. 즉 동학 경전 안에 담긴 샤머니즘적인 관념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무속문화의 반영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아지게 되었다. 둘째, 최제우의 대표적인 문장 예를 들면 「용담가」(1860년), 「포덕문」(1861년), 「안심가」(1861년), 「교훈가」(1861년), 「수덕문」(1862년), 「몽중노소문답가」(1862년)에는 최제우 자신이 1860년 4월 5일에 경험한 신비체험(득도체험)이 묘사되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체험의 준비 → 신과 만남 → 신과의 영적인 교류(대화) → 체험의 마무리 과정이 상세하게 혹은 간략하게 그려져 있다. 셋째, 최제우 동학사상을 형성하는 주요 개념은 신과의 영적인 교류와 마무리 과정 중에 주로 등장한다. 이는 그의 사상이 신비체험을 통해 신과의 만남으로써 형성된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그러한 만남을 통해서 그는 스스로를 이 세상의 중심적 존재로 여기게 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이 사회적, 국가적으로 확대됨으로써 동학사상의 모습이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ideas of the Donghak scriptures through shamanism. Specifically, the main texts of Donggyeong-Daejeon and Yongdam-Yusa are structurally analyzed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eriod of their main concepts and the meaning behind its formation. Several issues are discussed in this work. First, since the 1980s, the academic world have witnessed the mainstreaming of the idea that Choi Jae-woo entered a trance state like a shaman and his various religious activities can be regarded as a shaman's activities. In other words, many have emphasized that the shamanistic idea in the Donghak scriptures is not intentionally made but is a reflection of natural shamanism. Second, take for example Choi Je-woo's representative works, such as “Yongdamga” (1860), “Podeokmun” (1861), “Anshimga” (1861), “Kyohunga” (1861), “Sudeokmun” (1862), and “Mongjungnosomundapga” (1862); these works depict the mystical experience experienced by Choi Je-woo himself on April 5, 1860. Essentially, they describe the process of 1) preparing for a mystical experience, 2) meeting with God, 3) engaging in a spiritual exchange (dialogue) with God, and 4) completing the experience. However, the experiences detailed in these works are described differently in each sentence. Third, as shown in the seven works of Choi Je-woo, the main concept of the Donghak thought was formed during his spiritual exchange with God and upon the conclusion of his mystical experience. Therefore, his ideas were formed by meeting with God through a shamanic experience. However,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shaman's trance experience, the concepts of. This characteristic is attributable to Choi Jae-woo’s experience being closer to an emotional state than to an intellectual one. In this study, I analyze "Yongdamga" that was written by Choi Jae-woo at an early stage and explain that such an emotional state originated from being recognized by Hanulnim, the supreme god. Thus, self-esteem and the confidence to recognize himself as the central being of this world are the core of the revelations received by Choi Jae-woo. Such revelations expanded socially, forming the base of the Donghak thought that we speak of today.

      • KCI등재

        사상 : 근대 전환시기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의 학문관 비교

        임태홍 ( Tai Hong Lim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2 No.-

        이 연구는 최한기가 주자학과 실학적인 전통위에 자신의 학문세계를 구축한 점을 주목하고 니시 아마네의 경우는 일본 고문사학파의 학문, 즉 소라이학적인 전통 위에 학문을 구축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여 두 사람의 학문세계를 비교, 고찰하였다. 조선의 실학과 일본 에도시대의 소라이학은 모두 주자학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학문으로, 실학은 주자학의 큰 틀과 사상체계를 거부하지 않았으나, 소라이학은 주자학의 패러다임을 정면으로 부정하면서 등장한 사상이다. 즉, 실학은 리와 태극을 중심으로 한 주자학의 형이상학적 담론을 거부하고 실증적이며 현실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실과 현상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면 소라이학은 통일적인 원리를 부정하고, 하나의 절대적인 대명제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귀납적인 진리의 추구와는 거리가 멀다. 고대에 사용된 어떤 단어의 진정한 개념을 찾아내 그것을 다른 문장을 읽는데 활용하는 일이나, 고대의 진실한 도(道), 즉 선왕의 가르침을 찾아내 그것을 현실의 여러 상황에 대응시켜나가는 일은 연역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최한기와 니시가 각각 실학과 소라이학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그 내용보다는 이러한 방법론상의 영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최한기의 기학은 실용적인 여러 학문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자 한 성격이 강하다. 중국의 이학(理學)과 심학(心學)이 거대한 사상 체계를 구축하였듯이 그의 기학도 하나의 대명제를 중심으로 거대한 학문 체계를 조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니시의 양학은 새로운 학문 체계의 구축보다는 서구 문명의 사상과 학문을 있는 그대로 순수하게 수용, 전달하고자하는 경향이 강했다. 니시가 서양어의 번역에 특히 힘을 썼던 것은 일본사회에 서구 문명의 참모습을 그대로 전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기 때문이다. This paper compares between Choi, Hangi``s view and Nishi Amane``s view on learning. Choi, Hangi structured his world of learning upon the academic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and Silhak, whereas Nishi Amane built his scholarship on the tradition of Kobunjigaku founded by Ogy Sorai. Both Silhak of Joseon and Soraigaku of Japan were created in the course of overcoming the problems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ols. One did not refused the paradigm or the system of the Confucian philosophy of Song times, but the other aggressively controverted it. Scholars of the Silhak school disapproved of the metaphysical discourse of Neo-Confucianism, and had interests in the realistic problems. They also were concerned about the concrete facts and phenomena. This tendency might be similar to the inductive approach to the truth, or first principles. Those who belong to Sorai school, however, disclaimed a unified principle for the universe, or all creation. Their approach for true principles was a long way from inductive method. It was near the deductive reasoning. The effects to the thoughts of Choi and Nishi from the Silhak and Soraigaku was the method of learning, not the contents. Kihak of Choi, Hangi was a compilation of the various practical studies of East and West. His Kihak aimed a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 ideal system focusing on the great principle, as if the Lixue and Xinxue of China did. Yougaku, the western learning, of Nishi Amane, however, intended to grasp the genuine thought and learning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o convey to the society of Meiji Japan just as it was. Consequentially, Nishi gave his best to the translation of Western cultur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