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참여자 주체적 연극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연기와 나의 이야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임주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공동체 사회에서 사람들은 구성원이며 객체이지만, 개인의 삶에서는 주체이다. 다양한 개인으로 구성된 공동체는 보다 살기 좋은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한 정책의 한 갈래로 문화예술교육이 등장하며, 사회 구성원들에게 예술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선사한다. 오늘날의 문화예술교육은 그 목적과 주체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됨에 따라 예술향유 뿐 아니라 예술체험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 단순한 기술 습득의 수준에서 나아가 직접적인 삶의 적용과 변화를 목표로 한다. 존 듀이(John Dewey)에 따르면 예술작품은 예술가의 ‘하나의 경험(an Experience)’의 결과이다. 예술 향유자들은 예술가에 의해 재구성된 예술가 본인의 경험을 감상하며, 향유자 본인의 ‘경험’을 떠올린다. 듀이는 특별히 이 과정에서 향유자 본인이 갖는 ‘경험’에 주목하며, 누구나 예술적 사고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연극의 다양한 방법 또는 요소들이 응용된 교육연극, 사회적 연극, 연극 치료 등에 반영되며, 이를 포함하는 우산용어로 어플라이드 씨어터(applied theatre)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단어의 사전적 의미인 응용연극이라는 개념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어플라이드 씨어터를 ‘시민연극’이라는 함의적 용어로 규명하는 것은, 관객이 더 이상 연극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 수동적 위치의 관객에게 직접적으로 참여와 행동할 수 있는 계기 마련은 물론 다양한 연극체험의 기회를 통한 ‘변화’를 목적으로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은 참여자들이 전문예술가가 되기 위한 교육은 아니다. 문화예술교육과정은 참여자 예술은 삶을 바라보고, 살아가는 관점을 ‘변화’시켜줄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참여자들이 타인을 모방해보고, 예술체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자신이 주체가 되어 자신에 대한 객관적 시각을 확보하며, 나아가 직접적인 자신의 삶에 대한 변화를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배우 교육과정에 있어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시스템을 제시한 스타니슬랍스키(Stanislavski)는 당시 예술교육 패러다임에 있어 혁신을 선사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누구나 교육을 통해 연기예술을 습득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배우는 작가와 연출가가 제시하는 것을 무조건적이고, 수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닌, 작품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자신이 주체가 되어 능동적인 연기예술가로서 자신의 인물을 창조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배우 교육의 기초과정에서 자연인이 배우가 되기 위한 ‘자신에 대한 배우의 작업(An Actor Prepares)’과 배우가 역할이 되기 위한 ‘역할에 대한 배우의 작업(Creating a Role)’으로 구분한다. 배우가 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자신에 대한 배우의 작업’ 중, 일상의 자신을 돌이켜보고, 배우로서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쮸드(Etude)가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자기 경험의 일부를 재현 또는 재구성하며, 행동의 원리와 인물로서의 ‘나’를 발견한다. 이는 무대와 작품 속의 일부이자, 객체인 배우가 자신의 삶과 예술에 있어 주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배우의 이중기능(Actor’s Double Function)’을 습득한다. 배우를 위한 기초훈련 과정을 응용한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삶의 일부분을 장면화 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주체적 의식을 확립하고, 능동적 사고와 행동을 발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오늘 날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해외 문화예술교육의 경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를 배경으로 부상한 ‘시민연극’의 특성과 핵심원리를 이론적 연구로 살펴본다. 이에 대한 실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참여자 주체적’ 연극 프로그램인 2019 ‘연기와 나의 이야기’ 프로그램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는 자기 대면과 발견, 자기 점검과 성찰의 치유적 효과, 대상(자아 또는 타인)에 대한 이해, 공동체와의 관계성 확인 등의 유형으로 그 양상이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여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의 설계 및 실행을 위해 대학교육기관의 예술교육패러다임 및 관점의 변화가 요구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예술향유자 또는 수혜자의 공헌 또는 기여자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염두해야 한다. 셋째, 단발적이고 결과물 중심의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장기적이고 계획적인 과정 중심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참여자가 주체가 되는 프로그램을 위한 사전조사 및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제언들을 기반으로 후속 연구들이 지속되길 바라며, 참여자 주체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통해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성숙한 시민 문화 구축을 기대해본다. In a community society, people are members and objects. but in individual lives they are subjects. In the process of living in harmony with different peopl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s being emphasized in order to form a good livable community culture. In order for this, Arts and Culture Education appears as a branch of policy and provides various experiences through art to members of society. Today's Arts and Culture Education aims to directly apply and change its life from the level of simple skill acquisition by presenting various programs such as art experience as well as art enjoyment as the paradigm of its purpose and subject changes. According to John Dewey, works of art are the result of an artist's ‘an Experience’. An art enthusiasts appreciate the artist's own experience reconstructed by the artist, and think of the enjoyer's own experience. Dewey particularl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experience of the enjoyer himself in this process, and insists that anyone can think artistically. Thi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paradigm shif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is paradigm shift is reflected in educational theatre, social theatre, and theater therapy in which various methods or elements of play are applied, and the ‘applied theater’ has emerged as an umbrella term that includes them. Taking a step further from the dictionary meaning of the word application and theater, the implication of “Applied Theatre” is that the audience is no longer an object of the play, but a subject of the play, and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audience to participate and act directly.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participants are not intended to become professional artists. For them, art acts as a ‘catalyst’ that can look at life and 'change' the viewpoint of living. Therefore, participants are not limited to imitating others and experiencing art, but through art experience, they become the subject and secure an objective view of themselves, and furthermore, it is an opportunity to prepare a program that is required to directly change in their own lif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tanislavskii, who presented a concrete and scientific system in the actor's curriculum, provided innovation to the paradigm of arts education at the time. He suggested that anyone can learn acting art through education, and emphasized that the actors should create their own characters as an active acting artist in the process of the work, not unconditionally and passively expressing what the writer and the director present. For this, in the process of basic course actor education, he divides 'An Actor Prepares' for natural people to become actors and 'Creating a Role' for actors to become roles. Among the ‘Actor's work on themselves’ for those who want to become actors, there is Etude, who can reflect on themselves in everyday life and secure objectivity as an actor. Through this process, some of the experiences are reproduced or reconstructed, discovering the principles of action and discovering ‘I’ as a person. This is an opportunity for an actor who is part of the stage and work, who is an object, to establish his or her identity in life and art, and to acquire ‘Actor's Double Function’. In this way, the basic training course for actors can be used to view scenes and parts of life with a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can be applied to ordinary peopl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ir active thoughts and actions. This study examines today's Arts and Culture Education paradigm shifts, overseas trend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re principles of the Applied Theater that emerged from these changes as a background. Therefore, proposing an example of the 2019 ‘Acting and My Story’ program where participant as being the subject, utilized their own ‘one’s experience’. In this process, participants aspects will appear in the form of self-confrontation and discovery; healing effects of self-examination and reflection; understanding of the object (self or others); confirm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This study proposes a practical methodology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shif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propos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change in the paradigm and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at university education institutions are required. Second, through Arts and Cultu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art enjoyers and beneficiary will be developed as a benefactor contributor. Third, a program that is short-term, outcome-oriented should be avoided, and long-term, planned process-orient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urth, in-depth research and preliminary research for programs in which participants become the subject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se suggestions, follow-up studies will hopefully continue, and expecting to build a subjective and active mature citizen culture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participant's independent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 역기능 완벽주의 : 인지세트, 대처방식 및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Relation to cognitive set, coping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임주현 가톨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 사이에 매개변인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매개변인은 사회지지 지각, 자기 지각을 포함한 인지세트와 대처방식으로, Lazarus와 Folkman(1984)의 적응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 모델(Stress and coping model of adjustment)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완벽주의 경향이 있는 231명(남자 92명, 여자139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질문지, 자기 지각 척도, 대인관계지지 평가척도, 대처방식척도, 심리적 부적응인 우울, 불안, 강박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최종모형은 기본 경로모형 중 부합도가 충분하지 않은 모형을 단계적으로 수정하여 수정 경로모형을 채택하는 과정을 거쳤는데 그 결과 우울, 불안, 강박증상 모두 수정 경로모형을 채택하였다. 수정 경로모형에서 사회지지 지각과 대처방식은 매개변인의 효과를 나타냈으나, 자기 지각은 사회지지 지각과만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고 매개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로 역기능 완벽주의와 우울 모형에서 한 가지 직접경로와 두 가지 간접경로를 볼 수 있다. 1) 역기능 완벽주의자들은 우울을 직접 경험하기도 하고(직접경로), 2)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함으로 우울을 경험하기도 한다(간접경로i). 3) 그들은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하므로 소극적 대처(정서중심 대처와 소망적 사고)를 하게 되어 우울을 경험하기도 한다(간접경로ii). 둘째, 역기능 완벽주의와 불안 모형에서도 우울 모형과 마찬가지로 한 가지 직접경로와 두 가지 간접경로를 볼 수 있었는데, 1) 역기능 완벽주의자들이 불안을 직접 경험하는 경우다(직접경로). 2)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함으로 불안을 경험하는 경우이고(간접경로i), 3) 그들은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하므로 소극적 대처를 하게 되고 그로 인해 불안을 경험하는 경우가 나타났다(간접경로ii). 셋째, 역기능 완벽주의와 강박 모형에서는 직접경로와 간접경로가 각각 한 가지씩 나타났다. 1) 역기능 완벽주의자들은 강박증상을 직접 경험하기도 하고(직접경로), 2) 그들이 자기 주변의 지지정도를 낮게 지각함으로 소극적 대처를 하게 되어 강박증상을 경험하기도 한다(간접경로).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집단 미술치료가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임주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난임으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들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M 난임 병원에서 난임으로 진단받고 치료 중에 있거나 치료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 중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30~40대 여성 10명의 자발적 신청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기간은 2014년 5월 13일~7월 1일까지로, 8주간에 걸쳐 주 1회, 100분씩 총 8회기의 구조적 프로그램을 M 난임 병원에서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 난임 스트레스(ISS), 불안(BAI), 우울(BDI) 척도 질문지와 집-나무-사람(HTP), 그림 이야기(DAS) 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의 부정적 정서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척도 하위요인 중 가치감과 집착적 사고 요인, 불안 척도의 하위요인 중 주관적 불안과 자율신경학적 불안 요인, 우울 척도의 하위요인 모두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난임 여성들이 억눌러왔던 정서를 탐색하고 이해하여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시각을 회복하였으며, 집단원간의 지지를 통해 공통의 어려움을 나누고 서로를 위로하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심리적인 고통이 완화되어 희망을 되찾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이 임신에만 집중해 있던 것에서 벗어나 자신을 바라보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이들의 심리적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사용하는데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made in order to examine what effect a group art treatment had 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f women who had psychological health difficulties due to infertility. The subjects of study were composed of 10 30~40-year-old women who spontaneously applied for and hoped to participated in art treatment program among women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infertility problem and were being treated or had been treated in M infertility clinic. With regard to the duration of study, the study has been made from 13 May 2014 to 1 July 2014. And 8-session structured program was operated in total, 100 minutes per session, once per week for 8 weeks. And in order to re-evaluate the study, infertility stress scale(ISS), Beck Anxiety Inventory(BAI),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questionnaire, House-Tree-Person, and Draw-A-Story test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ir chang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through the group art treatment, the negative affect of the infertile women's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a positive effect was produced on the sense of worth and obsessive thought factor in stress scale sub-factors, subjective anxiety and autonomic neurological anxiety factor in the sub-factors of anxiety inventory, and all sub-factors of depression inventory.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infertile women could recover positive viewpoint through getting out of negative perception by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their repressed affect through the group art treatment as mentioned above, and they regained hope because psychological distress was relieved as they experienced the process of sharing common difficulties and mutual consolation through support among the members of group.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help infertile women see themselves and grow by getting out of concentration on pregnancy only, and could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 Development of Nanofiber-based Conjunctival Stroma for 3D Reconstructed Human Conjunctiva

        임주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Bioengineered 3D tissue models have become valuable tools for medical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In vitro biomimetic human conjunctival model might be helpful to determine drug delivery and safety of novel ophthalmic drugs, but 3D culture models based on human conjunctiva-derived cells have not yet been developed. With the aims of development of the 3D human reconstructed conjunctiva, 3D culture of human primary conjunctival fibroblasts using micro/nanofibrous scaffold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proper stroma for growth and maturation of human conjunctival epithelial cells. A primary culture of human conjunctival fibroblasts and epithelial cells was prepared form surplus tissue obtained from surgical resection using the explant culture technique. Cells were cultured either on the traditional polystyrene plastic surface (2D) or electrospun poly(ε-caprolactone) macro/nanofibrous scaffold (3D) up to 7 days. Confocal immunofluorescence analysis revealed that human conjunctival fibroblasts grown in micro/nanofibrous scaffold exhibited fewer, thinner and more peripherally located stress fibers and vimentin aggregates and bundle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conventional 2D culture. In addition, focal adhesions were sparse in density and located at the cell surface in contact with fibers in 3D culture. Hydroxyproline assay revealed that collagen level in the culture supernatants from 3D cultured human conjunctival fibroblasts was higher than that of 2D culture. qRT-PCR and confocal immunofluorescence analysis demonstrated a striking increase in expression of collagen I, Fibronectin and CTGF, but a decrease in TGF-β expression in 3 D culture. Cell adhesion assay exhibited that the culture supernatants from 3 D cultured fibroblasts had a greater stimulating effect on adhesion and growth of conjunctival epithelial cells. Taken together, 3D culture of human primary conjunctival fibroblasts using PCL micro/nanofibrous scaffold provide physiological relevant microenvironments for conjunctival epithelial cells to reconstruct 3D human conjunctiva. 생체공학으로 제작된 3차원 인체조직은 여러 의학적 연구 및 임상적 응용에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생체 외에서 생체환경을 재현하는 인공 인체결막 조직 모델이 확립되면 안과영역의 신약 개발에 있어서 약물의 안정성 및 약물 전달체제 결정에 유용하게 응용될 것으로 추측되나 아직 사람세포를 이용한 3차원 인공결막조직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인공 인체결막 조직 재건을 목표로 하여 인체 결막상피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적합한 기질을 확립하고자 마이크로/나노섬유 지지체를 기반으로 3차원 인체 결막 섬유모세포를 배양하였다. 인체 결막 섬유모세포와 상피세포는 수술 절제 후 잉여조직을 이용하여 explant 방법으로 일차 배양하였다. 인체 결막 섬유모세포는 일반적 조직배양 플리스틱 용기에 2차원으로 배양하거나 polycaprolactone(PCL) 마이크로/나노섬유 지지체 안에서 3차원으로 배양하여 비교 관찰하였다. 공촛점 면역형광분석 결과, 마이크로/나노섬유 지지체 안에서 3차원 배양된 인체 결막 섬유모세포는 2차원 배양된 세포에 비해 스트레스 섬유가 거의 형성되지 않았으며, vimentin 및 focal adhesion이 세포 중심부보다는 지지체 섬유와 접촉하는 세포 주변부에 분포하였다. Hydroxyproline 분석 결과, 3차원 배양된 결막 섬유모세포의 배양액 내 교원질의 농도가 2차원 배양된 세포에 비해 높았으며,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분석 결과, 3차원 배양된 결막 섬유모세포에서 교원질, 섬유결합소, CTGF의 발현이 월등히 증가되었으나 TGF-β의 발현은 오히려 감소되었다. 세포 부착능 분석 결과, 3차원 배양된 결막 섬유모세포의 배양액으로 용기 표면을 코팅하였을 때 2차원 세포 배양액으로 한 경우 보다 인체 결막 상피세포의 부착 및 성장이 촉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CL 마이크로/나노섬유 지지체를 기반으로 인체 결막 섬유모세포의 3차원 배양은 인공 인체결막 조직 재건 시 결막 상피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위해 생체적합성 기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발레동작과 음악의 상관관계 : 센터웍(center works)을 중심으로

        임주현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과 무용은 확실히 다른 장르이지만 고대부터 음악이 있는 곳에 움직임이 있었고 움직임이 있는 곳에는 음악이 공존해 왔다. 본 논문은 그러한 움직임과 음악의 발달에서부터 지금의 발레라는 장르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배경을 정리해 보았고, 발레와 음악의 상호 작용 이라는 관점에서 현재 각 무용 수업에서 행해지고 있는 발레반주가 무엇인지의 그리고 반주자의 역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발레반주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음악적 요소를 정리하였고, 그 요소들을 바탕으로 각 동작마다의 적절한 음악적 형태들을 연구하였다. 무용의 움직임과 음악은 분리된 것이 아니고, 무용에서의 움직임에 나타나는 시간 선상에 발생하는 각 동작들이 음악에서의 박자, 악센트, 프레이즈와 조합되어 일치함으로써 무용과 음악이 하나가 되는 것이다. Dance and music are surely two different genres. However, since the ancient times where there was music, there were movements and where there were movements, there was music as well. I have arranged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such music and movements, as well as today's so-called genre of 'ballet'. Also, I have included general description of ballet accompaniment which is practiced in studios and dance classes in the perspective of interaction between ballet and music, and also reviewed the role of an accompanist. I organized and researched the essential musical elements to ballet accompaniment and from the basis of these essential elements, the adequate musical structures to each movements. Gestures in music and dance are not separated. Rather it becomes one through unison by mixing movements, which is generated along the timeline of the dance, and the beats, accents, phrases in music. The role of a ballet accompanist can be concluded as following. 1. Ballet accompanists inspire dancers to perform well by stimulating the auditory sense through music; therefore, the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allet techniques. 2. In ballet class, a ballet accompanist with a good knowledge and confidence in music leads the class amicably; it allows not only ordinary dancers to boost their competence, also to make a clear in combination rhythms. 3. A ballet accompanist who encounters dancers with different age groups encourages them to advance in knowledge and interest in music. Even though music and ballet are separate genre of arts, which are based on different sense organs of hearing and sight, a joint of these creates a harmonious art; futhermore, they become a united body. It is desirable for a ballet accompanist to have an aesthetic appreciation for ballet as well as to take priority over continuous self-development so that improvement on ballet clas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can be achieved The increasing number of ballet accompanists is facing a difficulty in studying ballet accompaniment for lack of precedent materials; it is expected for this thesis to be a good help to ballet accompanists.

      • 플라즈마 스프레이 텅스텐계 성형체의 특성

        임주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lasma spray forming is recently explored as a near-net-shape fabrication route for ultra-high temperature metals and ceramics. In this study, monolithic tungsten and its composites have been produced using an atmospheric plasma spraying and subsequent high temperature sintering. The sprayformed tungsten-based preforms from different processing parameters have been evaluated for their metallurgical aspects, such as density, oxygen content and hardness. A well-defined lamellae structure was formed in the deposit by spreading of completely molten droplets, with incorporating small amounts of unmelted/partially-melted particles. Plasma sprayed tungsten deposit had 84-87% theoretical density and 0.2-0.3wt.% oxygen content. Subsequent sintering at elevated temperatures promoted the formation of equiaxed grain structure and the production of dense preform up to 98% theoretical density. The feedstock powder of W-ZrC was synthesized by spray drying. The W-ZrC coating with high microhardness and low porosity could be produced by APS. The decomposition of ZrC during the plasma spraying would result in the formation of the various phases even metallic Zr. ZrC coarse particles in W-ZrC granules caused a deterioration effects on deposition yield, it remained a high fraction of ZrC in the coating. Subsequent heat treatment at elevated temperatures above 2000℃greatly increased the density of W-ZrC. The ZrC particles effectively prevented W grain coarsening by pinning effect.

      • 모낭 주기 및 모발 증식 과정에서 AQP3의 역할

        임주현 동아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낭 주기 및 모발 증식 과정에서 AQP3의 역할 A Role of AQP3 in Hair Growth and Cycling 의 학 과 임 주 현 지 도 교 수 배 혜 란 Aquaporin(AQP)은 삼투농도경사에 따라 수분을 선택적으로 수송시키는 통합막단백군이다. AQP3은 수분뿐 아니라 글리세롤도 수송시키는 aquaglyceroporin으로 피부 보습 및 탄력 등 피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낭은 표피 각질세포에서 유래되며 각질세포와 같이 AQP3을 발현하고 있으나, 모발생물학에서 AQP3의 생리학적 중요성은 아직 모른다. 본 연구는 AQP3 유전자결핍생쥐에서 모낭 주기 및 모발 성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 및 면역형광염색 결과 AQP3는 모낭주기에 따라 변하지 않는 모낭 상부에서는 외모근초세포에서, 모낭주기에 따라 변하는 모낭 하부에서는 내모근초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이중면역형광염색 결과 AQP3는 모낭 팽대부 CD34 발현 세포 및 label-retaining cells(LRC)에서도 발현되었다. AQP3 유전자결핍생쥐는 야생형생쥐에 비해 모낭주기의 형태발생과 성장기에 도달하는 시간이 지연되었고 퇴화기 시작이 이르게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짧은 성장기와 긴 휴지기를 가졌다. BrdU 주입 실험에서 AQP3 유전자결핍생쥐 모낭의 세포증식 속도가 현저히 감소되어 있었다. AQP3 유전자결핍생쥐에서 휴지기 제모 후 모발 재성장 속도가 야생형생쥐보다 더 지연되었다. 성장기 모낭 내 글리세롤 함량이 AQP3 유전자결핍생쥐에서 야생형생쥐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QP3가 모낭 내로 글리세롤 이동과 세포증식을 촉진시킴으로써 모발 증식과 모낭 주기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 Aquaporin-3(AQP3), 모낭 주기, 모발 증식, 유전자결핍생쥐, 글리세롤

      • 도시재생 관련 법제 정비 방안

        임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and Support (abbreviated as the 'Urban Regeneration Act') in relation to law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to contribute to urban regeneration. The Urban Regeneration Act was enact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urban decline, which is difficult to solve with existing redevelopment-oriented urban development and maintenance methods, such as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urban ordinary people. Among the laws that should be linked to urban regeneration, the Act on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aimed at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some or all of the declining and aging existing urban areas is a representative law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differences between urban maintenance projects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uch as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Maintenance Act and the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of Urban Renewal, were examined.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policies and laws of such nations as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Japan, it was inferred that public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determine basic policies and initiate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and private capital participation is important. The problems derived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urban improvement projects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overseas cases are as follows. ⅰ) The main concepts that first emerged in this Act, such as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somewhat abstract and unclear, which may lead to overlapping with existing urban improvement-related laws and confus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law. ⅱ) The system with other laws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ⅲ) The legal nature and status of urban regeneration organizations are not clear, and the regulations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mplementers are also complicated. ⅳ) The provision that the basic policy for urban regeneration takes precedence over the national land plan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plan has an aspect that contradicts the planning system of the Land Public Act. ⅴ) Local governments with low financial independence cannot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r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thout the payment of continuous and stable funds or subsidi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ⅵ)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s only a formal procedure, with the participation of a small number of residents. ⅶ) Projects implemented under the Urban Regeneration Act have limitations, such as lack of relevance to urban regeneration goals or similar projects being promoted at urban regeneration sites across the country. Improvement measures are as follows. ⅰ) The Urban Regeneration Act should be reviewed in relation to law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ⅱ) The issues of consistency and systematicity between administrative plans under the Urban Regeneration Act and related plans under other laws should be reviewed. ⅲ) In terms of housing welfare, the public should actively intervene, bu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induce private participation and support it. ⅳ)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and authority. ⅴ)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realize residents' participation. ⅵ)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t urban level and merge the various projects that have been promoted until now by ministries and departments. ⅶ) The regeneration of the decline in the current cities shall seek sustainable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for future generation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sidential stabili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current generation. 본 연구는 도시재생 관련법 들 과의 관계에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약칭 ‘도시재생법’)」이 가진 문제점을 파악하여 도시재생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서민층의 주거환경 개선 등 기존의 재개발 위주의 도시개발과 정비 방식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도시쇠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재생법」이 제정되었다. 도시재생을 위하여 연계되어야 하는 법들 중 쇠퇴하고 노후한 기존 시가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도시재개발 사업 관련법이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된 대표적 법이라 볼 수 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등 도시정비사업과 도시재생사업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영국, 미국, 프랑스, 일본 등 외국의 도시재생 정책과 법제를 통해 도시재생을 위한 기본 정책의 결정과 사업의 개시를 위해서는 공공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고, 지방정부나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민간자본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해냈다. 기존 도시정비사업과 도시재생사업의 관계 및 해외사례 등을 살펴본 후 도출한 문제점은 ⅰ) 도시재생이나 도시재생사업 등 이 법에서 처음 등장한 주요 개념이 다소 추상적이고 불분명하여 기존 도시정비 관련 법률과의 중복 및 법 적용상의 혼란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ⅱ) 다른 법들과의 체계가 명확히 정립되지 않았으며, ⅲ) 도시재생기구의 법적 성격과 지위 등이 명확하지 않고, 도시재생사업 시행자에 관한 규정 역시 복잡하게 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ⅳ) 도시재생기본방침이 공간계획에 해당하는 국토계획에 우선한다는 규정은 토지공법의 계획체계에 모순되는 측면이 있으며, ⅴ)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방자치단체는 중앙정부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기금이나 보조금의 지급이 없이는 도시재생사업의 실효성이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고, ⅵ) 지역주민의 참여가 소수 주민의 참여에 그치는 등 형식적인 절차에 그치고 있다. 게다가 ⅶ) 「도시재생법」에 따라 시행된 사업들이 도시재생의 목표와의 관련성이 부족하거나 전국 각지의 도시재생 현장에서 비슷한 사업이 추진되는 등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사업성이 낮아 민간참여가 어렵고 소규모로 행해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개선방안으로는 ⅰ) 「도시재생법」은 도시재생과 관련된 법들과의 관계에서 법체계가 재검토되어야 하고, ⅱ) 「도시재생법」 상의 행정계획과 다른 법률상의 관련 계획과의 정합성과 체계성 문제를 재검토하여야 한다. ⅲ) 주거복지의 차원에서 공공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되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고 이를 지원할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ⅳ)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권한을 높이는 도시재생 전략이 필요하다. ⅴ) 주민참여를 실질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ⅵ) 지금까지 부처별, 부서별로 추진되던 여러 사업을 도시 차원의 재생전략으로 융·복합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ⅶ) 쇠퇴한 도시의 재생은 현재 세대의 주거안정과 삶의 질을 고려하면서도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과의 지속가능한 조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ETUDE를 활용한 배우의 인물구축에 관한 연구 : 안톤 체홉의 <바냐 아저씨>를 중심으로

        임주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우는 연극에서 매우 중요한 존재로, 연습기간 동안 준비해온 자신의 역할을 무대를 통해 관객에게 보여주게 된다. 따라서 배우는 무대에서 관객에게 보일 자신의 역할을 창조하기 위하여 역할을 분석하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 단계에서 배우는 작품에 나타나는 상황과 자료 등을 조합하여, 자신의 인물 구축에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배우는 작가에 의해 작품에 제시된 내용들과 직접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발견하고, 추측해내야만 한다.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K. S. Stanislavski)는 '신체적 행위법(The Method of Physical Action)'을 통해 배우가 심리-신체적인 행동을 의식적으로 이끌어내어 무의식적인 창조 세계에 도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것의 실질적 활용을 위한 방법으로 에쮸드(Etude)가 등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에쮸드의 다양한 활용 중 인물이 등장하기 전의 상황과 작품에 드러나지 않는 상황을 에쮸드로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에쮸드가 배우의 인물 구축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실질적인 방법을 위해, 안톤 체홉(Anton Chekhov)의 작품인 <바냐 아저씨(Uncle Vanya)>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의 인물 구축에 적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에쮸드의 활용을 통해 이성(sensitivity), 감성(emotionality), 신체(sound and the body)로 분리되어 훈련된 배우는 스스로 그것을 혼합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익히게 되며, 작가가 제시한 인물을 자신만의 관점과 분석을 통해 구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신만의 인물로 재창조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에쮸드를 배우의 인물구축에 활용하고, 배우가 역할의 실질적인 행동을 발견하기까지의 내용을 문서화하여 이론으로 정립함으로써 배우 수업을 하는 학생들과 지도자들에게 모형을 제시하여, 연기 교육과 연기 예술의 전문화에 이바지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actor is very important presentational medium on theater, who meets audience by character on the stage. Then actor shows his character that he prepared at rehearsal period. The actor must pass the phase of analyzed character for creating his character. He synthesizes situations and materials, that presented at the play. So he applies his building of the character. Accordingly, the actor must find and guess presented contents by playwriter and hidden parts in the play. Through 'The Method of Physical Action', K. S. Stanislayski presented how to approach the unconsciousness creative world. The method leads to material of psycho-physical action consciously. It presented the Etude with substantial method. Its practical method is Etude. On this thesis, one of all method in Etude, we take the Etude method that situation before the entrance of character and hidden parts in the play. Then we find that how to use the Etude for building of character. So, for the practical method, I present that the Etude method through the <Uncle Vanya> written by Anton Chekhov.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Etude, actor who is constituted with emotionality, sensitivity, sound and the body, realizes method of mixture and application. Also he has his purposes and analysis of character, made by playwriter. So It is possible that actor creates actively and concretely his character. That is only his one. Therefore, on this thesis, I make the practical method of Etude in written form. So I present immediate method for actors and masters of acting. That is my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