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요무형문화재의 기록과 기록물의 활용: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임장혁 ( Jang Hyunk Im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8 무용역사기록학 Vol.15 No.-

        이 연구는 중요무형문화재의 개념을 정립하고, 중요무형문화재 중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기록하는데 있어서 법적 근거와 기록의 방법과 내용 등을 검토하였다. 한편 기록물을 접하는 연구자와 전승자들은 어떠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문화재보호법에 의하면 무형문화재는 음악·연극·무용·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정의된다. 무형문화재는 종목과 기·예능으로 구분되는데 무형문화재는 기·예능이 문화재에 해당된다. 따라서무형문화재를 보호한다는 것은 기·예능을 전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무형문화재에서 원형보존이란 기·예능의 전통성과 전승성을 의미한다. 무형문화재에서 ‘원형’이란 용어의 사용은 1960-70년대 민속학의 학문적 경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학자들은원형에 대해 ‘역사적 원형’론과 ‘심성적 원형’론으로 이해하려는 입장이 대응되고 있다. 근년 유네스코는 무형유산을 ‘살아있는 문화전통’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무형문화재의 원형보존이라는 기본 방향에서 벗어나 변해가는 무형문화재라는 전재에서 무형문화재를 이해하려는 입장이 확산되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의 기록은 문화재보호법을 근거로 추진되고 있다. 기록의 목적은 지정된 무형문화재가 훼손되어 버리거나 전승이 단절되더라도 복원할 수 있도록 추진되어온 작업이다. 즉 기록물은 리커버리 포인트로서 작용하게 된다. 기존의 기록물은문자와 기호 그리고 녹음과 촬영의 방법을 활용해왔다. 문자의 기록은 전승계보와기·예능의 형성과정 등을 기록하였으며 기호에 의한 악보와 무보 등은 예능분야의실현내용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이미 제작된 기록물은 보존의 한계성이라는 문제점을갖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방식의 기록방법이 필요하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모션캡쳐의 방법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기록물의 활용은 이용자의 목적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 전승자들은 원형시비의 근거자료 또는 전수교육으로 활용하기위해 기록물을 활용한다. 한편 전문가나 학자들은 신체기법이나 변용되는 무형문화재의 과정 등을 달성하기위해 기록물을 활용하고 있다. 기록의 방법은 기록물의 활용에 따라 결정된다. 기존의 무형문화재의 기록 목적이 원형보존이 아닌 연구와 교육적 목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기록방법과 내용에 대한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arious effective recording methodologie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response, three subjects will be examined as follow: First, the concept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s value; Second, the appropriate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 and recording methodology for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rd,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ing material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eans intangible cultural products of great historical, artistic or academic value, such as drama, music, dance and craftsmanship. Normal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craft skills and arts. In this contex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ing refers to documentation the actual performance process of practitioners in video record or text forms as a measure to preserve the prototype of craft skills and arts. The basic principl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ing should be to preserve them as their original form. However, the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roadened its domains, in response to adopting UNESCO’s new concept that also acknowledges modification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refore, the recording project should promote new recording methodology with a broaden concept, and study constantly to transmi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the future generation. For the utilization of recording materials,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on building archive structure and collecting data which have relied on the practitioners’ longtime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