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혐오발언, 혐오감, 타자로서 이웃

        임옥희 ( Im Ok-h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6 도시인문학연구 Vol.8 No.2

        언어가 우리에게 상처입힐 수 있는가? 혐오발언이 우리에게 상처줄 수 있는가? 혐오발언이 곧 혐오폭력인가? 인종차별, 여성차별, 동성애차별 발언은 곧 차별행동인가? 주디스 버틀러는 그녀의 저서 『혐오 발언』(Excitable Speech)에서 이런질문을 통해 혐오발언이 어떻게 주체를 생산하는지에 집중한다. 하지만 버틀러의 분석은 J. L. 오스틴의 언어이론을 차용한 수사학적인 접근에 한정되어 있다. 버틀러는 혐오발언에 앞서는 혐오 감정은 어디서 기인하는지 언급하지 않는다. 반면 마사 너스바움은 원초적 혐오감이 인간의 취약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주장한다. 하지만 혐오발언이 어떻게 하면 주체에게 마법적인 주권적 주체로서의 힘을 부여하는지 버틀러는 설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혐오발언의 수사학적 한계를 지적하면서 그것에 선행하는 상상계적인 혐오감에 주목하고자 한다. 대상관계이론에 따르면, 주체는 자신의 정체성과 자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취약성을 타자에게 투사한다. 주체의 환상 속에서 타자들은 주체가 상실한 쾌락을 은밀하게 누리는 혐오스런 존재가 된다. 이렇게 본다면 혐오감으로 인해 주체와 이웃과의 경계가 그어진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혐오감으로 형성되는 경계선으로서 타자로서의 이웃에 관해 주목해보고자 한다. Could language injure us? Could hateful speech give wound against us? Do they instantly become violent behaviors? Are they equal to be disgusting action? Are hateful racist, misogynist, and homophobia speech discriminating acts? Judith Butler raises these questions at her book, Excitable Speech. She focuses on how subjects are produced by means of hate speeches. But she uses only rhetorical approaches on the basis of J. L. Austin``s language theories to grasp them. She does not mention from where those disgusting emotions prior to hate speeches are derived. She cannot theorize the psychical process how the magical power of hate speeches makes the individual as a sovereign-subject. According to the object-relation theory, to keep his/her autonomy and identity, subject projects her/his fragility to others. Therefore Martha Nussbaum argues that disgusting emotions are derived from the fragility of human beings. In his/her fantasies, neighbors secretly enjoy their jouissance behind his/her back. This paper focuses on how neighbor as other invented by disgusting emotions and draw borderline between the im/possible coexistence with coercive subjects.

      • 고성능 무중단 TCAP의 설계 및 구현

        임옥희(Ok-Hi Im),박희숙(Hee-Suk Park),이남석(Nam-Suk Lee),이상호(Sang-Ho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오늘날 우리는 많은 발전을 거듭한 지능망 서비스를 일상 생활에서 직간접적으로 접하고 있으며, 서비스가 다양화 되고 그 품질이 중요시 되면서 TCAP(Transaction Capability Application Part)의 높은 성능과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고성능 무중단 TCAP 모델은 원격지에 위치한 다중 TCU(Transaction Capability User)에게 TCP/IP 소켓을 제공하고 폴링(Polling)을 수행하여 TCU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네트워크 장애나 하위 스택 프로세스 문제로 서비스가 지속될 수 없는 경우 이중화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서비스의 중단을 최소화 한다. TCU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를 위해 이중화에 대한 고려 없이 TCAP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하여 실제 서비스 적용에 범용성과 편리성을 제공한다.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TCAP보다 메시지 처리 및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프로세스 구조와 무중단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중화 모델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설계 및 구현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ITU-T에서 권고하는 적합성 시험을 실시하고, 테스트 베드를 구축 해 성능 시험을 수행한다.

      • KCI등재

        젠더이주로 읽어본 버지니아 울프의 『올란도』

        임옥희 ( Im Ok-h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2

        1928년 런던에서 버지니아 울프의 『올란도』와 레드클리프 홀의 『고독의 우물』이 출판되었다. 두 소설 모두 동성애를 다뤘다. 전자는 가볍고 유머러스하게, 후자는 진지하고 우울하게. 다같이 동성애 다뤘지만 『올란도』는 상업적으로 성공했고, 『고독의 우물』은 금서가 되었다. 두 작품 모두 당대 비평가들로부터 형편없다는 혹평을 받았다. 시간이 흘러가면서 이들 작품에 대한 해석은 부침을 거듭했다. 1920년대 메트로폴리스 런던에서 벌어졌던 성전쟁 이후 한동안 잊혀졌던 두 작품은 21세기에 이르러 문학적 주가가 급부상한다.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수행 이론으로 이후 무수히 생산된 새로운 젠더 연구로 인해, 두 작품은 열광적인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페미니즘, 레즈비어니즘, 퀴어연구, 트랜스섹슈얼, 트랜스젠더, 젠더퀴어, 트랜스베스티즘 등 다양한 이론들이 두 작품을 사이에서 두고 경계분쟁과 영역다툼turf war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텍스트들은 새로운 시대적 맥락에 따라 갈등하는 독법들 사이에서 해석의 권력투쟁을 통해 새로운 의미로 재생산되고 재평가된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트랜스이론들을 비교분석한 다음 젠더이주라는 포괄적인 관점에서 울프의 『올란도』에 국한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오늘날의 ‘트랜스’ 연구를 매개로 이 작품을 다시 읽어봄으로써 이 작품이 갖고 있는 현재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젠더이주라는 관점을 통해서 볼 때 『올란도』가 지니는 다성적인 의미와 현재성이 무엇보다 잘 드러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In 1928, Two novels were published at the same time in London: Virginia Woolf's Orland and Radcliff Hall's The Well of Loneliness. Lesbian themes were described in both of them: the former dealt with it humorously, the latter melancholically. Woolf's Orlando was successful in the publishing market, but Hall's The Well of Loneliness was banned and ridiculed. Literary critics devaluated both of them. As time has gone by, fortunes of them have been up and down. After the war of lesbian sexuality in 1920s in metropolitan London, two books were almost forgotten. However at the beginning of 21 century, all of sudden the literary value of them has been uprising. After un/doing gender performance of Judith Butler, multiple genders were produced: transgender, transsexual, queer, genderqueer, transvestism etcs. Various gender studies have been interested in them. They focus on them and are struggling to get the position of hegemonic interpretation. they are under the way of "turf war" and border war among multi-trans theories. In the new contexts conflicting readings struggle to get to power in the arena of interpretations. The purpose of this essay tries to grasp the productivities and meanings of Orlando's trans(sexual-gender-queer) experiment, When reading it by means of the broad concept of gender-migration, they come out productivel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신자유주의 시대와 젠더무의식

        임옥희(Ok Hee Im)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1 젠더와 문화 Vol.4 No.2

        신자유주의 시대에 이르러, 개인이 누리는 자유는 자본주의 시장에서 누리는 자유다. 개인적인 선택의 자유가 확장되면, 선택에 대한 책임 또한 개인의 몫이 된다. 사회 영역이 축소될수록, 사회안정망은 위축되고, 불확실한 삶이 지배하게 된다. 불확실한 삶은 인식론적인 불확실성을 동반하게 된다. 가족, 모성, 가정마저 더 이상 안정된 공간이 아니다. 이처럼 젠더 이해관계가 달려 있는 문제와 대면하게 됨으로써, 젠더들이 느끼는 불안, 분노, 두려움 등은 타자의 담론으로서 젠더/무의식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젠더무의식은 젠더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충돌할 때면 어김없이 돌아오는 것이다. 젠더무의식은 다양한 모습으로 전이된다. 남성의 응시 아래 위협적인 여성은 팜프 파탈이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신자유주의 시대 젊은 여성들의 무의식적인 생존전략은 귀염떨기 전략이다. 이 글의 목적은 신자유주의 시대 젠더무의식의 구조를 조명하고 여성들의 생존전략인 귀염떨기(유혹, 가장무도회) 수행을 분석하는 것이다. In the era of neoliberalism, the freedom of individuals is only exercised as freedom in a capitalist market. Personal freedom in this sense is not different from the free competition of the market. As the freedom of personal choice expands, responsibility for the choices is transferred entirely over to the individual. With the reduction of the power of the social sphere, it has been impossible to prevent the curtailment of the social safety net. Because people are losing their safe havens from the vagaries of the market, uncertainty has become the chief characteristic and governing principle of people's lives. The uncertainty of everyday life is accompanied by epistemological uncertainty. In this neoliberal era, the market itself has been determining the shape of what is sometimes thought of as "raditional gendered roles." Family, motherhood and the home are no longer stable spaces. The anxiety, anger and fear experienced by gendered subjects in this age of neoliberalism construct gender/unconsciousness as the discourse of the other. Our received concepts of patriarchal ideology have lost their explanatory power on account of these changing circumstances. As the new wine must be contained in a new bottle, feminism in this neoliberal era also needs to be conceptualized in a new way. To this end, this paper suggests a new term, gender/unconsciousness. The gender/unconsciousness tries to return to the surface of consciousness at the critical moment of gender struggle. The gender/unconsciousness is manifested in diverse forms. The threatening female under the gaze of males becomes a femme fatal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 femme fatale resist against the male's desire to know what women want. In contrast, the unconscious survival strategy used among young women of the neoliberal period is "playing cute." Superficially, cute women seem quite different from the threatening femme fatale. However, they are two sides of a coin.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hed light on the structure of gender/unconsciousness and to analyze the so called "playing cute" (seduction, masquerade) as a survival strategy employed by women in this neoliberal period.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 여성의 이미지와 본다는 것의 정치적 의미에 대하여

        임옥희 ( Ok Hee Im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0 여성학연구 Vol.20 No.-

        이 글은 신자유주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시대에 이르러 성별이분법에 근거한 ‘상투적’ 여성 이미지가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가에 주목하고 그런 이미지를 페미니즘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이미지라고 하면 이미지 이전의 무엇을 상상케 함으로써 그에 앞선 실체를 전제하게 된다. 하지만 후기근대에 이르러 이미지 이전의 실체를 상정하는 이론이 본질주의라는 비판을 받게 되면서, 원본과 기원을 설정하지 않게 되었다. 그로 인해 재현으로서의 여성이 그 나름의 자율성을 갖게 되면서 여성들이 자기 이미지를 자율적으로 엔지니어링 하는 행위주체로서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이제 여성들은 자기 이미지를 제작함으로써 끊임없는 변신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가면, 혹은 여성 이미지가 곧 여성의 정체성으로 등치되는 시대가 열리게 된다.문제는 그런 자기 이미지 엔지니어링이 신자유주의에 바탕한 자본시장의 논리에 부합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가부장제적 자본주의에 저항하려는 페미니즘의 정치적 관점에서는 하나의 딜레마이다. 이제 여성의 몸, 여성의 이미지, 여성의 자기정체성 등, 어느 것 하나 자본의 회로 속에 포획되지 않는 것이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 이런 상황에서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주의의 정치성을 어디서 찾아야 하는가라는 고민과 대면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본질 대 비본질주의와 같은 철학적 논쟁에 토대하여 본질로서 주어진 여성 대 현실에서 경험하는 여성 이미지 같은 소모적인 논쟁에 주목하기보다, 이 글은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여성 이미지를 어떻게 정치적으로 재/해석할 것인가에 주목한 것이다. 이미지는 본다는 행위와 분리될 수 없으므로 이 글에서는 또한 ‘보는 것’의 정치적 의미와 재현의 철학을 조명해보고자 한 것이다.마지막으로 신자유주의 시대 본다는 것의 의미가 어떻게 정치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한나 아렌트의 월드스펙테이트라는 개념을 차용하여 여성주의적인 정치적 지평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The radical feminist wave has criticized the stereotyped female images derived from the patriarchal ideologies. Traditionally they are polarized between good mother and bad mother, lily and rose, saint and whore, chastity and femme fatale etc. Feminists have attempted to re/interpret or dy-mythify these images. However, the criteria for such interpretations are themselves far from being transparent or natural; instead, they are constantly reconceptualized or reinvented.Since the rise of neo-liberalism, the female images have been changed. It has transformed almost everything into exchange values or money value. In other words, there is close link between the fragmentations of the consumer-capitalist societies and the representations of female images. These days, young women pay their great attention to apparent images(as opposed to the inner self or feelings) They bear heavy burden of unbearable lightness and superficiality of post modern societies; incessantly they endeavor to produce self-engineering images, or even enjoy their multiple selves. These tendencies are based on imagecentered cultural industry. They are willing to program their own images according to the demands of consumer capitalism.There is not much alternative against the grain of the process of spectacular societies resulting from the dominance of the visual image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gender awareness can find its moment of action. According to Hanna Arent, what makes wo/man a political being is her/his faculty of action. Human beings are responsible for what they have seen. All the more because her concept of 'world spectatorship' draws our attention to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seeing. It calls forth female subject ethically awakened and politically commit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