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수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기에 교사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규명은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 변인(성별, 학력, 교육 경력, 혁신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은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초등교사 230명이 응답한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관계 분석과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개인별 배경 변인인 성별, 학력, 교육 경력, 혁신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정보공유가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에 따라 석·박사가 학사보다 교사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교과지식 이해력과 교수설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경력에 따라서는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대체로 1~10년 경력의 교사보다 11~20년 경력의 교사와 21년 이상의 경력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혁신학교에서 근무했던 교사들이 일반학교에서 근무했던 교사들보다 학교 조직문화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분석을 시행한 결과, 대체로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의 관계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특히 직무 만족도는 모든 연구 변인과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 조직문화(β=.528)와 교사 효능감(β=.376)이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를 45.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근무환경 만족도와 교직 만족도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각각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46.9%로 나타났으며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30.9%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설명하는 데 있어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이해서는 교사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을 높이고 학교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개인별 배경 변인에 따른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사의 직무 만족도가 학생의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역량 등 교육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ffe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s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important, we need to underst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Identifying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problem was set up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education, educational career, and whether to work in innovative school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ird, how do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ffect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survey data from 2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in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AMOS 23.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academic background, educational career, and whether or not working at an innovative school. According to gender, femal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sharing, which is a sub-factor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lso,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the understanding of subject knowledge, which is a sub-factor of teacher expertise, and the design of teach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are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teachers depending on whether they worked in innovative schools.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general.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especially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tudy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β=.528) and teacher efficacy(β=.376)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more positively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s recognized and the higher the teacher's efficacy,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Four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45.9% of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s the subordinate variables,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was found to be 46.9%, and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as 30.9%.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have a great influence on explaining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nd improve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empirical basic data by examining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inuous research o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follow-up studies on how teacher job satisfaction affects student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mpetence in general education are required.

      •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임수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광고를 활용한 환경 교육 활동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을 대상으로 L어린이집의 만 5세 12명(실험집단)과 A어린이집의 만5세 12명(비교집단), 총 24명이다. 연구도구는 환경 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Musser 와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 Preschool version)을 허윤정(2001)이 수정‧제작한 환경 친화적 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고, 유아의 환경보전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환경처(1994)와 윤기영과 조경희(1993), 윤애희와 박정민(1998)의 연구를 토대로 한 한태현(2001)이 제작한 환경보전지식 검사 도구를 사용한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2014년 9월 3일부터 2014년 10월 10일까지 이루어 졌으며, 실험집단에는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을 전개하여 실시하고, 비교집단에서는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생활 주제에 따른 환경교육’을 주 2회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총 12회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집단 간의 동질 집단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전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두 집단의 사후 검사결과에 대해 t-test로 처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을 실시한 집단에서 환경 친화적 태도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을 실시한 집단에서 환경보전지식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환경교육에 적용되며, 그 타당성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본 활동을 적용해 보길 기대한다.

      • 나의 욕망탐구를 통한 '엄마성'의 발견

        임수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나는 성공적인 커리어우먼이라는 삶의 목표를 가지고 살아왔다. 열심히 일해서 인정받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가치라고 생각했고, 그러기 위해서 결혼이나 출산은 부차적인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기니 개인으로서의 나의 자아실현의 욕망도 중요하지만 아이를 향한 엄마로서의 욕망 역시 커다란 것임을 느꼈다. 그러나 두 가지 일을 하면서 무엇 하나 제대로 성에 차도록 못하며 분열되어 가는 나를 느끼던 중,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아이의 사회성 문제를 계기로 일을 그만두고 전업맘이 되었다. 그러나 전업맘이 되기를 망설이고, 전업맘이 된 후에도 워킹맘에 비해 스스로 위축되는 나를 돌아보며 나 스스로가 전업맘의 가치를 비하하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왜 나는 성공적인 커리어우먼이 되길 욕망했고, 엄마의 존재를 비하했는지 나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보면서 성찰하게 된다. 자기내러티브를 통해 나의 욕망을 탐구한 결과 나를 비롯한 이 시대의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을 통해 되는 엄마라는 존재보다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시대의 인간상인 경제적 잉여가치를 생산하는 인간이 되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것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면서 이를 갈망하도록 사회화되어 자라왔다는 사실과 우리 사회 역시 그러한 인간상이 되도록 부추기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나의 경우 어린 시절부터 대타자의 욕망을 적극 수용하면서 외부의 기준에 나를 맞추고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면서 결핍증에 시달려왔음을 깨닫게 되었다. - - 나를 둘러싼 대타자와 그들의 욕망이 나를 억압하고 있었음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주체로서의 한걸음을 내딛을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내 감정을 돌아보면, 내가 구속되어 있는 타자의 욕망의 세계와는 다른 인간의 존재적 근원인 보편의 세 - - 계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프로이트, 융, 라캉 등의 정신분석학자들이 이미 유아기적 기억상실 너머의 상실의 세계, 집단무의식의 세계로 개념화한 바 있고, 불교, 성리학 등 인류의 오랜 철학적 사고의 내용이 그러한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보편을 확인한 나는 보편과 특수의 교차적 존재, ‘중간자’로서의 나를 인식한다. 중간자인 나는 특수의 세계, 현실 속에서 살면서 여러 가지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이리저리 흔들리지만 결국은 보편의 세계에서 우러나는 내 몸과 감정의 소리에 따라 교차적인 모습, 나다운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나다운 나’가 되면 역시 ‘나다운 엄마’가 될 수 있다. 현실 속에 주어진 다양한 엄마의 욕망들이 진정한 ‘엄마로서의 나의 욕망’과 합치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엄마성’의 출발이다. 기존의 모성이데올로기는 거부하지만, 정작 어떻게, 어떤 엄마가 되어야 하는지 모르는 이 시대의 엄마들은 자신이 배운대로 엄마로서의 ‘효율적인 생산성’을 드러내기 위해 아이의 학업성취를 지표로 활용한다. 그리고 이는 과도한 사교육과 학업부담 등으로 아이의 심리적 문제 및 아이와 엄마간의 관계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정말 그것이 자신의 아이를 사랑하는 엄마로서 해야 할 일이고 가져야 할 욕망인지 다시 생각해 본다면, 아이는 물론 엄마인 자신도 타자의 욕망으로 인한 결핍증과 소진, 우울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 나는 내 것인 줄 착각했던 타자의 욕망을 인식하고 그것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중간자’로서의 내 주체를 확인함으로써, 타자의 욕망에서 자유로운 나만의 엄마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 시대의 모든 엄마들이 자신의 감정과 욕망을 지키고, 아이의 감정과 욕망도 함께 지키면서 자신만의 ‘엄마성’으로 행복한 개인, 그리고 엄마가 되길 기원하는 바이다. I had valued the achievement and recognition from my work rather than getting married and being a mother as I had always wanted to be a successful woman in my career. However, I realized that I also have a desire to be a good mother for my daughter after having a childbirth. I was not happy with my life as a working-mother since I felt myself divided into two identities and I was not doing good enough in both area, as a working woman and a mother. I, moreover, was tempted to quit my work and be a full-time mother as the psychological unstability of my daughter who is about to enter elementary school. Aftr all, I quit my job even though it was not an easy decision because it was kind of giving up my longtime dream to be a successful career woman and even more I have devalued being full-time mothers. I found myself depressed and unsatisfactory after I became a full-time mother and the feeling goes worse when I compared myself to working-moms. I was distressed with this feeling and it was the momentum that I started to think of my feeling, emotion and desires. As a result of this ‘Self-narrative’ study on my desires from past through present, I found that women including me of this era, of ‘neo-liberalistic capitalism’, have been educated and encouraged to value and aspire to become the human being who is producing the best economic surplus value rather than to become a mother through marriage and childbirth. I was the one who eagerly accepts and pursues this value through my life from childhood to be recognized by Others such as parents, schools and companies that I worked for. That was the reason why I always had the feeling of deficiency that drives me not only to be more conductive and efficient but also to achieve more. It is possible to take one step ahead toward being a subject just by recognizing that I was being caught by Other’s desire unconsciously. From that perception, I can perceive the ‘structure of Universality’ which is the origin of ‘Human Nature’ and different from the world that we see and live in physically. Psychoanalysts such as Freud, Jung and Lacan have already conceptualized it as a forgotten world beyond consciousness with ‘infant amnesia’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Philosophies such as Buddhism and Confucianism have asserted it’s existence for long time. With this notion, I can identify me as ‘Glocal Being’ which is an Xological being existing across both structures of Universality and Uniqueness. As a ‘Glocal Being’, I live in the world of Uniqueness experiencing various emotions and feelings which shakes myself goes up and down by incidents, however, I am also living on the way I am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Universality at the same time. Thus, I am an Xological being. I can be conscious of it by only understanding my feeling, emotion and desires since those are the sensible presence of Human Nature originated from the Universality. ‘The way I am’ forms ‘the way I am as a mother.’ It is the beginning of ‘Mother Nature’ to examine and decide whether those given desires are in accord with ‘my true emotions and desires as a Mom.’ As current mothers, we don’t know how to be a good mothr and what mother should be since we haven’t given it a thought. We just refuse to follow the traditional model of Mom, which is called ‘Maternal Ideology,’ and try to prove ourselves as ‘efficient human being with productivity’ as we are educated and encouraged by socialization. That’s why Moms are so eager to force their children to get academic achievements as the indicator of Mom’s efficiency. And it results in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overflowing of private education expense, excessive studies of students, which cause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chil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and mother. Thus, I think, we can be free from the feeling of deficiencies, burnout and depression caused by the pressure of pursuing those embedded desires from Others as long as we reconsider whether it is really something that we want to desire as a mother who loves own child. I can have my own ‘Mother Nature’ which is free from the Other’s desire by recognizing myself as a subject, ‘Glocal Being.’ I hope all the mothers to be relieved and happy being a mother whether she is a full-time mother or a working-mother as a individual subject who is aware of her own ‘Mother Nature’ which can be achieved by respecting emotions, feeling and desires of herselves and their children.

      • 유아 인성교육 방향 탐구 - 다산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

        임수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우리 사회는 고도의 전문화와 분업화를 바탕으로 집단보다는 개인의 역량이나 역할을 강조하게 되었고 국가나 사회보다는 그것을 구성하는 개인의 의의와 존재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개인주의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개인주의로 인해 공동체의 유대를 강조했던 전통적 사회가치는 진부한 것으로 취급되어졌고 사람간의 유대관계는 약화되었다. 또한 지나친 개인주의는 자신만을 생각하는 이기주의를 양산하였고 사회 곳곳에서 많은 비인간적 문제들을 돌출시켰다. 이로 인해 다른 사람과 공존하기 위한 친사회적 인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사회적 유대를 강조한 전통교육에 대한 회고는 인성교육에 대해 커다란 의의를 제공한다. 특히 인륜의 실현을 지향하는 다산의 교육사상은 오늘과 같이 더불어 사는 것을 강조하고 있어 그 교육적 가치가 더욱 크게 부각된다. 다산의 교육사상은 크게 명명덕(明明德: 밝은 덕을 밝힘)으로 정리된다. 다산은 덕을 인간 내면에 내재한 것이 아닌 타인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덕으로 해석했다. 즉 선행은 덕이 되고, 덕이 타인에게 전해지면 명덕이 되며, 명덕이 사회, 국가, 천하로 확대되면 명명덕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명명덕은 매우 강한 실천지향적인 성격을 가지고 인륜의 실현을 추구한다. 다산은 인륜 실현을 위한 명명덕의 실천윤리로 효도·공손·자애를 제시하고 주요 교육내용으로 삼아 사람이 나아갈 길과 도리를 가르치고자 하였다. 또한 실천지침으로 사물, 사람, 상황 등의 헤아림을 의미하는 서(恕)와 정성과 마음을 다하는 행위로써 성의(誠意)를 제시하여 실질적 행위를 통한 덕의 실천을 피력하였다. 이와 같은 다산의 교육사상은 인륜의 실현으로서 결국 인륜교육으로 귀결 되며 인성교육에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인간은 스스로 선악에 대한 가치 판단을 하고 도덕적 자율성을 실현하기 때문에 도덕적 선택 대한 책임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인간은 사람과 사람의 관계적 상호작용을 통해 성품을 형성하므로 더불어 사는 방법을 가르치는 관계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도덕적 가치는 행위로 발현 되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도덕적 성품을 기르기 위해서 세심히 헤아려 성의 있게 행하는 것을 가르치는 실천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아 인성교육의 목적은 타인과 더불어 사는 관계형성능력 배양이 되고, 그 교육의 방향은 도덕적 선택 의지 배양, 도덕적 관계형성 능력 배양, 도덕적 실천의 습관 형성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 유아 인성교육내용으로는 자율선택에 따른 책임교육, 효도·공손·자애의 관계교육, 헤아리는 조망교육, 성의 있는 실천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다산의 교육사상은 현재 유아 인성교육의 방향과 그 내용에 대해 일정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다산 교육사상의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Dasan’s educational thought and on the meaning of his idea applying to the personality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mphasized these days in order to establish the well-organized society with positive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and to gain proper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ecause of psychological burnout, inner emptiness, dehumanization, and so on. Dasan’s viewpoint on education would be useful today for personality education due to his intention and idea on caring for the people in Chosun Dynasty. To carry on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 a series of interpretation of Dasan’s several original writings. Dasan’s educational idea is summarized in Myung-Myung-Duck. Duck is virtue and Myung-Duck is the bright virtue, and Myung-Myung-Duck is to clarify the bright virtue. Virtue turns into the bright virtue with the relationship of others, which spreads to the others and turns out to be the Myung-Myung-Duck by expanding to the society, the country, and the world. As a result, Myung-Myung-Duck is a practical ethics concerning filial duty on parents, courteousness, and benevolence, which are the main conten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Dasan’s educational thought on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summarized into three main topics for young children: education on moral choice and responsibility, education on social relationship with persons in routine life, and importance of practical education with moral character. Based on the three topics, the subjec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to form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also the contents of it include education of responsibility, relationship education of filial duty on parents, courteousness, and benevolence, and practical education with sincerity and moral character.

      • 19세기 말-20세기 초 불화와 화승들의 변화하는 정체성 : 혜호·철유·축연과 강원·서울 지방을 중심으로

        임수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Joseon era, Magok Temple (麻谷寺) of Geryong Mountain, Hung-guk temple (興國寺) of Surak Mountain, and Yujeom Temple (楡岾寺) of Geumgang Mountain were referred to as the three prominent places of Buddhist painting. Since Magok Temple and Hungguk temple are currently located in South Korea, the Buddhist painting schools of these two temples were well documented.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on the Buddhist paintings created in Yujeom Temple, which is located in North Korea, had not been carried out despite the temple’s significant role in creating Buddhist paintings in the Joseon era. Recently, however, the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 on the monks whose activity centered on Geumgang Mountain has been published. In spite of the contribution of the recent research, the number of the monks who can be identified via remaining Buddhist paintings and the name left on them is small, which challenges the further study on the monks in Geumgang Mountain. Thus, the study on Buddhist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revolves around Cheol‐yu and Chukyeon whose records are abundant. Jungbongdang Hye-ho, for example, is one of the famous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but the study on him has not been conducted due to the dearth of remaining records and his activities which were geographically restricted to Gangwon area and the capital city.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Buddhist monk painters whose activities were centered around Geumgang Mountai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ith the following geographical boundary: Gangwon (江原), Geumgang (金剛山), the capital city Seoul and Kyeong-gi (京畿). Gangwon is the region where Buddhist monk painters from the temple in Geumgang Mountain spent most of their time and their paintings remain. On top of Gangwon, the capital city Seoul and Kyeong-gi area are the place where the tradition and its variation coexisted: Seoul had been the capital of Joseon Dynasty for five hundred years and represented the tradition of the royal house and Kyeong-gi area, surrounding Seoul, was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royal house. After the opening of ports to foreign traders, Seoul and Kyeong-gi became the center of commerce in Korean peninsula due to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the geographical advantage. The monk painters from Geumgang Mountain are known to have engaged in active exchange with other monk painters in Seoul and Kyeong-gi area. Although Gangwon and the capital area were in the vicinity, I argue that this active exchange is attributed to the families in Gangwon and Geumgang area. In Particular, the Hwadam/Hwa-ak family had an outstanding influence in Gangwo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as the transition period from Joseon Dynasty to The Great Han Empire and the Buddhist monk painters experienced a change in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 as well. The monk painters borrowed iconography from non-Buddhist paintings and introduced the shading technique that was different from the typical style of Buddhist paintings. This new shading technique which was influenced by Western paintings developed furthe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fter Cheol‐yu and Chukyeon, in the 1930s, the advanced version of shading technique was found in the paintings of Bo-Eung Mun-seong, Eunho Kim, Yongshin Chae. That is, around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new style of Buddhist paintings with the elements of non-Buddhist paintings were created. The Buddhist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led this transition, the incorporation of the new elements into the tradition, in producing Buddhist paintings. It implies that studying the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helps understand the transition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modern era. Before, producing Buddhist paintings means praying to the Buddha, but the meaning altered in the modern era. By studying the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such as Cheol‐yu and Chukyeon, one is expected to comprehend the transition period of Buddhist paintings. Currently, only the monk painters of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re identified and classified as the School of Geumgang Mountain.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the later generation of the school has not been completed yet. For this reason, later monk painters who cannot be regarded as the school are conventionally referred to as the School of Geumgang Mountain in a few cases. In this study, starting from the cases of Cheol‐yu, Chukyeon and Hye-ho, whose records demonstrate them as the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the monk painters who collaborated with the school will be identified. Based on this identification, the features of the Buddhist monk painters in Geumgang Mountai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ould be illustrated. Furthermore, based on their paintings produced in Gangwon, Seoul and Kyeong-ki,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sixty years of transition period of Buddhist paintings ranging from the late Joseon era to the modern era and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of the monk painters. keywords : Buddhist paintings of the Geumgang Mountain, Monk Painters of Geumgang Mountain, Hye-ho, Cheol-yu, Chukyeon, Status of monk painter. Student Number : 2015-22466 조선시대에는 3대 화소라고 일컬어지는 계룡산의 마곡사(麻谷寺), 수락산의 흥국사(興國寺), 금강산의 유점사(楡岾寺)가 있었다. 마곡사와 흥국사는 38선 이남에 위치해 있어 화승의 유파에 대한 정리가 비교적 잘 되어있으나, 유점사는 현재 북한 지역에 자리하고 있어 조선시대 불교 회화 제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부족으로 마곡사와 흥국사에 비해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금강산에서 활동했던 승려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근래의 연구 성과 역시 금강산에서 활동했던 소수의 승려들에 관한 것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금강산의 사찰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승려들 중 남아 있는 불화와 화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승려의 수가 극히 적기 때문이다. 현재까지의 금강산의 화승 연구는 남아있는 자료가 많은 철유(喆侑)와 축연(竺衍)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중봉당 혜호(慧皓)의 경우, 대표적인 금강산의 화승이지만 앞서 말한 두 화승보다 남아있는 자료가 적고 활동 범위도 강원과 도성 인근에 국한되어 있어 아직까지 단독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본고에서는 철유와 축연, 그리고 혜호를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금강산을 기반으로 활동한 화승들의 특징을 강원·금강 그리고 도성과 그 인근인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해보려고 한다. 강원도는 금강산의 사찰에서 활동했던 화승들이 활동했던 지역이며, 금강산의 화승들이 남긴 작품들을 확인할 수 있다. 강원도 외에 도성과 그 인근 지역인 서울과 경기 지역에 주목하는 이유는 전통과 변화의 공존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서울은 오백년간 조선의 수도로서 기능하며 왕실의 정통성을 의미하는 공간이었으며, 경기 지역 역시 서울 인근에 위치해 있어 왕실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위치해 있었다. 그리고 왕실과 조선의 전통을 수호하던 서울과 경기 지역은 개항 이후 인구의 증가와 지리적 이점으로 한반도 상업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또한 화승들의 교류에 있어서도 금강 지역의 승려들이 특히 서울·경기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했던 것이 파악된다. 인접한 지역에 있었던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당시 강원·금강 지역의 문중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19세기 후반은 조선이 대한제국이라는 이름으로 이행하는 시기로서 불화를 제작하는 화승들에게도 변화의 바람이 부는 시기이다. 19세기 후반의 화승들은 불화 이외의 그림에서 새로운 도상을 차용해 불화에 도입했고, 기존 불화에서 사용하는 화법과는 다른 음영법을 사용했다. 흔히 서양화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 이 음영법은 20세기 전반에 들어서며 더욱 발전하였다. 철유와 축연 이후 1930년대에는 보응 문성을 비롯한 김은호, 채용신이 그린 불화들에서는 고도로 향상된 음영법을 엿볼 수 있다. 즉, 19세기 후반을 전후로 불화를 제작하는 데에 있어 불화 이외의 요소가 개입되어 새로운 유형의 불화들이 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화를 제작하는 화승에게서 보이는 전통과 변화의 양상은 금강산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한 화승들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근대기 금강산의 화승들이 이와 같은 변화를 주도하는 물결의 선두에 서 있다는 것은 금강산 지역에서 활동했던 화승들에게서 근대기 불화의 변화 경향을 간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화승들에게 불화를 제작하는 것이 불공(佛供)을 닦기 위한 목적이었다면 근대기에 접어들면서 화승들의 불화 제작은 그 궤를 달리 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흐름을 대표하는 승려들 중 일부는 철유와 축연을 위시로 한 금강산 사찰의 승려들이다. 이들의 자취를 파악한다면 불화의 과도기적 양상 또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재 금강산 승려들의 화맥 정리는 19세기 초반에 그쳐있고, 그 이후의 화맥은 정리되지 않았다. 때문에 실제로는 금강산화문이라고 부를 수 없는 경우에도 관습적으로 금강산화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금강산의 화승이라는 기록이 분명하게 남아있는 축연, 철유 그리고 혜호를 중심으로 함께 작업한 화승들을 파악한 이후, 19세기 후반 금강산의 화승들의 특징을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이 강원도와 서울·경기 지역에서 그렸던 그림을 중심으로 조선후기에서 근대기에 이르는 약 60년간의 과도기 불화의 변화 과정과 화승들의 정체성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 Study on solving discrete logarithm problem using function field sieve

        임수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cryptography, the hardness of discrete logarithm problem (DLP) is closely related to security issues. Especially the mathematical hardness of DLP over finite fields is important since there is a reduction from DLP over elliptic curves (ECDLP) to DLP over finite fields and lots of current cryptosystems relies on the hardness of ECDLP. To investigate the security of DLP over finite fields, we study variations of the function field sieve (FFS) method which is a subexponential algorithm to solve DLP over finite fields. In this thesis, we focus on the FFS over finite fields with medium-sized base field. To observe the main differences among those variations, we review the classical FFS and organize it into four steps in an algorithmic form which allows us to compare the variations easily. With that, we reorganize the medium-sized variations and find the main differences which impact on the complexity. 암호학에서 이산대수문제(DLP)는 암호 시스템의 보안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다. 타원곡선에서의 이산대수문제가 수학적으로 어렵다는 가정 하에 ECDSA 등 암호 시스템의 안전성이 보장된다. 유한체에서의 이산대수문제는 타원곡선에서의 이산대수문제보다 어렵다는 것이 pairing을 통해 증명되었기 때문에 유한체에서의 이산대수문제를 푸는 것 또한 중요한 주제라 할 수 있다. 유한체에서의 이산대수문제의 hardness를 알아보기 위해 우리는 subexponential 알고리즘인 function field sieve (FFS) 방법을 공부했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조건 하의 FFS 방법들, 특히 medium-size의 유한체를 base field로 가지는 유한체에서의 FFS 방법들에 초점을 맞췄다. 각 알고리즘들의 주요한 변화와 그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우리는 초기 버전의 FFS를 review하고 네 가지 단계로 나누어 detail들을 살펴본 뒤 알고리즘 형태로 정리했다. 그 후 앞에서 조직한 네 단계를 이용하여 우리의 주된 목표인 FFS 알고리즘들을 살펴보고 어떤 단계가 complexity에 큰 영향을 미쳤는지 재정리했다.

      • 다중인식 펩타이드 고분자를 이용한 퇴행성 신경질환 조기 진단

        임수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해마다 퇴행성 신경질환자 및 노인성 질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한 노후의 삶과 고품질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타 선진국에 비해 치매를 비롯한 퇴행성 신경질환 관련 환자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아직 미약한 수준이다. 따라서 치매와 퇴행성 신경질환 조기진단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통해 국가 의료비의 전체 비용을 감소시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퇴행성 신경질환인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과 전측두엽성 치매 (Frontotemporal Lobar Dementia; FTLD)의 대표적 바이오마커인 비정상 TAR DNA binding protein-43(TDP-43), 그리고 대표적 퇴행성 뇌신경질환인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의 대표적 바이오마커인 Amyloid beta 42(Aβ42)의 효과적이고 정확한 진단 방법을 제시한다. 현재 퇴행성 신경질환의 대부분은 발병원인을 비롯한 명확한 진단법이나 치료법이 명시되지 않아 원인 규명 및 조기 진단법에 대한 과학적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병의 임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전구증상 (Pre-Symptomatic) 단계부터 극미량의 바이오마커도 검역할 수 있는 초민감도의 진단법을 사용한다면 조기 진단과 질병 예방이 가능할 것이다. 현존하는 TDP-43나 Aβ42의 연구동향은 항체를 기반으로 하는 진단법으로 항체 개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항체의 안정성이 진단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정적인 진단용 탐침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항체 인식 방식에서 벗어나 페이지 디스플레이 (Phage Display) 기법을 통한 항체보다 면역원이 낮고, 생체 내(in vivo)에서 더 안정적이며, 합성비용이 적게 드는 펩타이드를 스크리닝 한 후 이 펩타이드로 다중 인식 펩타이드 고분자(Polyvalent directed peptide polymer)를 제작하여 현행 항체를 기반으로 하는 진단법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퇴행성 신경질환 진단법을 선보인다. 항체 중심의 진단법을 대체할 PDPP를 이용한 차세대 기술로 극미량의 질병지표물질 검출에 따른 질병의 조기 진단을 가능케 함으로써 TDP-43과 같이 아직은 많은 정보가 밝혀지지 않은 단백질이나 Aβ42과 같은 뇌척수액이나 혈청 속 극미량의 질병지표물질의 misfolding 응집과 응집체 이상의 생체 분석 가능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민감도와 특이성을 극대화시킨 펩타이드를 이용한 진단체 개발은 병을 조기에 모니터링하여 치료적 접근의 다양화 및 질병 발생을 예방하거나 전파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 Bacterial Cellulose를 이용한 의류용 소재 개발

        임수민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optimize the culture conditions of bacterial cellulose (BC) for clothing materials. BC is composed of high purity cellulose, about 90~100%, and it does not contain impurities. However, natural cellulose from plant contained large amount of impurities, about 50~60%. Thus, in plant cellulose fabrics, desizing and scouring processes are very important to remove impurities. Compared to plant cellulose fibers, the process for BC fabrics can minimize the processes from production to disposal. Moreover, BC is produced fabrics from bacteria in a shorter time about 7-21 days than plant cellulose fibers. Considering the main trend themes in fashion trends, eco-friendly and sustainability, the BC meets the demand for fashion trends as the next generation clothing materials. However, the production of BC has been studied and used only in the fields of medical and food industries because of its superior biocompatibility. The applications of BC in those fields are used only in wet or gel forms, and the studies for the use in dry conditions have not been reported. In order to use BC for clothing materials, it has to produce as fabric forms, dried planar substrates, and maintain the shape and properties in dry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ditions of producing and manufacturing of BC fabrics. The source to produce BC is used tea fungus. The culture conditions of tea fungus are influenced by nitrogen, carbon sources, initial pH, incubation time, and temperature. The optimum condition was determined by the production yield, such as dry weight, whiteness, thickness, and the evenness of shape.

      • 서울지역 일부청소년의 편의점 식사대용식품 이용 및 인지도 실태연구

        임수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의 생활문화가 급변함에 따라 식생활문화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 가장 큰 변화가 편의점의 식사대용식품 이용의 급증이라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식사대용 편의식품의 지나친 이용은 영양불균형과 전통 음식문화의 쇠퇴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는 바, 본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의 편의점식사대용식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용을 돕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점을 이용하는 실태와 편의점 내의 식사대용식품의 인지도 및 섭취실태를 조사하여 편의점 식사대용식품이 청소년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편의점 식사대용식품 이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이용한다가 높았고 앞으로도 지금과 같이 이용할 것이라는 응답이 높았으며, 식사대용식품을 좋아하는 것이 높게 나타났으나 위생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편의점 식사대용 편의식품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용돈을 받는 정도와 간식비사용 정도가 유의적 차이가 있었고 간식비와 편의점 이용과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편의점 식사대용식품 구입 시 고려사항이 학년 군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중학생군은 편의점 식사대용식품 구입 시 고려사항 중 ‘영양표시: 칼로리,지방함량 등’이 76.6%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등학생 군은 ‘성분표시: 원재료 및 첨가물 성분’이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편의점 식사대용식품 섭취빈도 조사결과 삼각 김밥 88.5%,컵라면 86.5%,햄버거 61.5%로 가장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편의점 식사대용식품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향과 식사대용식품의 영양과 품질을 높이고 위생관리 필요성에 관한 요인 및 개선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식생활을 할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Rapid changes in the living culture of the modern day people have also brought great changes in the dietary life and culture. One of the changes in the modern dietary culture is the sharp increase of consuming meal substitution food sold at convenient stores. Excessive consumption of meal substitution convenient food can bring adverse effects such as nutritional imbalance and decline of traditional dietary culture. Hence, this study was intended to help adolescents become informed users of convenient store meal substitution f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venient store meal substitution food on the meal quality of adolescents. To this end,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convenient store use amo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their awareness about meal substitution food in convenient stores and actual consumption of meal substitution foo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consume convenient store meal substitution food out of conveniency and that they will continue to use them at the current level of use. It was found that a lot of students like meal substitution food, but the lower their satisfaction level on cleanliness of the store, the lower they were satisfied with convenient store meal substitution food.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dolescents' meal substitution food consumption depending on the amount of allowance they receive, the amount of money they spend on food, and the degree of using convenient stores. Matters for consideration when purchasing convenient store meal substitution food differed depending on students' grade. The majo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und 'Nutritional label: calorie, fat content, etc.'(76.6%)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when purchasing convenient store meal substitution food. High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rd, viewed 'Ingredients label: components of raw material and additives,' (50.0%)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when purchasing meal substitution food. According to consumption frequency survey on convenient store meal substitution food, it was found that students most frequently consumed Samgak gimbab, with 88.5% of students' response. Cup ramyeon was the second in line at 86.5%, followed by hamburgers at 61.5%.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study proposes ways to rais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f convenient store meal substitution food. In addition, food industry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meal substitution food at convenient store, including quality of nutrition and sanitation etc. Moreover, nutrition and diet eduction for adolescents must be emphasized to build a healthy food habit at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