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라북도 장례요의 유형과 음악적 특징

        임미선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6 No.-

        In this paper, I have analysed various types of funeral songs in Jeollabuk--do Province to identity the mode type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m. Those song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aet Sori, Unsang Sori and Dalgu Sori. This study includes as many types as possible to draw the comprehensive conclusion of the funeral songs’s characteristics in this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In the categories of funeral songs in this area, there are only few Daet sori, which is are usually sung at a night before carrying the coffin out of the house. Instead, Balin sori and Dalgu sori types of songs are usually sung in this area. When compared to the funeral songs in Kyunggi province, the funeral songs in this area are not diverse. Kyunggi province’s funeral songs can even be divided into more various types and categories. The diversity of the funeral songs in Kyunggi area has been emerged based on the convention that agricultural folksongs were absorbed in the frame of the funeral ritual process. For example, a kind of bird song is included while a funeral song, the Dalgu sori was singing. Whereas various different folksongs are absorbed with various texts in the funeral songs of the Kyunggi area, such features are not common in the case of Jeollabuk-do area. The musical mode of the funeral songs in Jeollabuk-do province is almost based on the Namdo (Southwestern) folksong’s mode, which is called Gyemyeon-jo mode. However, not only the genuine Namdo folksongs’ Gyemyeon-jo mode but also the mixed shape of Namdo and Dongbu (Eastern)’s modes can be found in the funeral songs of Jeollabuk-do province. The falling tone which slides from do to si is also more gentle than usual. In addition to this, rare use of the deep vibration and the falling tone, and the gentle slide from re to do or from do to si ar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funeral songs in this area. The mixed shape of Namdo (Southwestern) and Dongbu (Eastern) modes is usually Mi-(Sol)-La-do-re scale and it includes minor third interval between la and do, the falling tone from re to do, and passing process of La-Sol-Mi. The musical mode of the funeral songs in the Jeollabuk-do province is somewhat similar to that of Namdo Gyemyeon-jo mode since this mode is able to express the sorrow of the funeral situation. The funeral songs in the Jeollabuk-do province usually start with the tone, do, and end with the tone, mi, or start with the tone, la, and end with the tone, mi. However, few songs start with mi and end with do or la. Thes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Kyunggi area’s funeral songs. 본고에서는 전북지역 장례요를 상여어르는소리, 상여소리, 달구소리로 구분하여 그에 속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소리들을 대상으로 선율구조, 선법적 유형, 리듬구조 등을 분석하였다. 전북지역 장례요는 출상 전날 밤에 부르는 <댓소리>는 많지 않고, 상여소리(발인소리, 운상소리)와 달구소리가 주를 이루며 가창지역도 넓다. 경기 장례요와 비교할 때, 전북은 경기에 비해 장례요가 다양하게 발달하지 않은 편이다. 전북 장례요는 들노래에 비해 남도민요 선법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전형적인 남도민요 선법 외에도 남도민요 선법이 약화된 형태 그리고 남도민요 선법과 동부민요 선법이 혼합된 형태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그러나 들노래와 달리 전북 장례요에는 경기민요 선법이 거의 쓰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남도민요 선법이 약화된 형태는 요성이 약하거나, do-Si의 꺾는 음이 완만한 형태를 띠며, Mi와 La 두 음으로 구성되기도 하는데, 주로 <관암소리>에 많다. 남도민요 선법과 동부민요 선법이 혼합된 형태는 대체로 Mi-(Sol)-La-Si-do-re의 구조가 많다. do-Si의 꺾는 음의 사용과 re에서 do로 흘러내리는 창법이 공존하며, La-do의 단3도 진행, La에서 Mi로 하행시 Sol이 경과적으로 쓰이는 La-Sol-Mi 진행이 많다. 전북지역 장례요의 받는 소리는 대부분 Mi로 종지한다. 시작음은 Mi 또는 La가 가장 많고, re가 그 다음으로 많다. 그 밖에 do로 시작해서 Mi로 종지하는 형태, La로 시작해서 La로 종지하는 형태가 있으나 많지 않고, Sol로 시작해서 Sol로 종지하는 형태는 매우 적다. 경기지역 장례요의 받는 소리가 do로 시작해서 Mi로 종지하거나 La로 시작해서 Mi로 종지하는 형태가 일반적인 것과 다른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장례요의 선법적 양상과 관련이 있다. 전북지역에서 상여소리의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의 사설은 길이가 같은 형태, 메기는 소리가 받는 소리보다 긴 형태, 받는 소리가 메기는 소리보다 긴 형태 세 가지로 나뉜다. 각각의 형태는 일정한 장단을 단위로 구성되는 것과 자유리듬으로 부르는 것으로 대별된다. 일정한 장단을 단위로 부르는 소리는 3소박 4박자가 주를 이루며, 중모리 장단에 맞는 것은 많지 않다.

      • KCI등재
      • KCI등재
      • 압전 폴리머 센서를 이용한 임피던스 기반의 볼트 풀림 손상 탐지

        임미선,유승재,이인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4

        압전 재료는 외부에서 응력이 가해졌을 때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고, 또한 외부에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는 형상이 변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구조물의 구조 변화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하였을 때, 이에 부착된 압전 재료의 임피던스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변화된 압전 재료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구조물의 손상을 탐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압전 재료를 이용한 임피던스 기반의 손상 탐지 기법을 이용하여 볼트 풀림을 탐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볼트로 체결된 외팔보의 볼트부분에 압전 폴리머인 PVDF 를 부착하여 볼트의 풀림을 탐지하였다. 볼트 풀림을 손상으로 가정하고 몇가지 손상 시나리오에 따라 실험을 수행한 결과, 풀림이 발생한 볼트에서는 임피던스가 감소하고, 어드미턴스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Piezoelectric materials generate an electric charge to applied mechanical stress, and their dimensions change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As a result, as the impedance of structures changes their impedance changes. Therefore impedance-base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s is commonly used to assess the damage of structures such as loose bolts. In this paper, several experiments using impedance-based method was performed to detect the loose bolt causing serious mechanical failures. Specimen consists of two steel beams which are connected each other by bolts. Piezoelectric polymer, PVDF sensors were attached close to bolts to monitor their conditions. Several damage scenarios were assumed as loose bolts and the impedances of piezoelectric sensors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mpedance of damaged structures with healthy structures, the impedance of damaged structures decreased and the admittance of them increased.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들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어려움

        임미선,김현자,서화니 대한아동복지학회 2017 아동복지연구 Vol.15 No.2

        In this study, the researches interviewed 10 trainee teachers on their field teaching practices to examine their experience and difficulties in interacting with the children during the practice program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least twice with each individual participant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open-end questions, over the period from June to October 2016.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practice program, the interaction experiences of the trainee teachers were composed of the interactions, such as the moderating conflicts between children, widening the ideas of the children, helping the children follow the rules, following up with the reaction of the children, and paying attention to the small details of the children. Second, the interactions experienced during the practice programs between the trainee teachers and the children were the interactions of getting familiar with the children, understanding the reactions of the children, and helping the children with their games. On the other hand, the trainee teachers turned out to experience difficulties when there were discrepancies with the homeroom teachers in terms of the student life guidance, mediate between children in conflicts, had insufficient time with the children, and they did not know what they teacher should say in the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