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중심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학습정보를 중심으로

        임규연,은주희,정윤주,박하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3

        Online dashboard is designed to support learners' self-regulation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activities to promote learner-centered learning. Given the dashboard usually provides information within a limited space, it is important to define which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online learners. We analyzed relevant literature, existing dashboards, and learners' dashboard experiences, and identified a list of information that should be provided by the dashboard. As a result, four categories including learning preparation, learning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and eleven sub-categories of dashboard information were extracted. Th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online dashboard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에서 온라인 대시보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활동을 점검, 재구성하는 학습자 중심의 과정을 지원한다. 이때 대시보드 상의 학습정보는 집약적인 형태로 제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학습자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춤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시보드가 어떠한 핵심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대시보드 사례 그리고 학습자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보의 공통적인 속성을 중심으로 범주화한 결과, 학습준비, 학습참여, 상호작용, 학습성과의 4가지 정보유형 및 11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에서의 온라인 대시보드 설계 및 구조화에 있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HCI 이론에 기반한 학습자 대시보드의 평가준거 개발 연구

        임규연,임지영,김영주,진명화,박민정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develop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learner dashboard. A learner dashboard is a personalized educational service which provides visualized information on learning progress. Given the dashboard focuses on facilitating learning by monitoring learning progress and outcome,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dashboard should differ from the ones designed for learning contents. In this study,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approach is suggested as a major framework for the dashboard evaluation. First of all, researchers derived three evaluation areas-educational usefulness, interface usability, and visual appealing- from literatures on HCI, quality assurance of online learning, and learning design principles. Second, the first draft of evaluation criteria was developed for the learner dashboard context. Third, the draft was revised and validated based on expert review, resulting in final criteria-13 items for educational usefulness, 18 items for interface usability, and 15 items for visual appealing. Forth, researchers tried to validate the criteria by applying it to the existing dashboard service. The suggested criteria would be used for heuristic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online dashboard, and eventually, it should be used as a guidance at the stage of dashboard design, given the design and evaluation is an iterative as well as congruent process. 학습자 대시보드는 학습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맞춤형 교육서비스이다. 이러한 학습자 대시보드는 학습과정과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내용지식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교육콘텐츠와 차별화되며, 시각화된 다양한 학습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서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HCI 이론에 기반하여 학습자 대시보드를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문헌검토를 통해 평가영역을 교육적 유용성, 인터페이스 사용성, 시각적 매력성으로 도출하고, 학습자 대시보드가 갖추어야 하는 속성,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교육 콘텐츠 평가준거, HCI 이론에 따른 설계원리를 반영하여 평가준거 초안을 제작하였다. 이후 전문가 검토를 바탕으로 평가준거를 수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교육적 유용성 13개 항목, 인터페이스 사용성 18개 항목, 시각적 매력성 15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도출된 평가준거를 Kahn Academy 학습자 대시보드 평가에 적용하여 실제 평가준거로 사용되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평가준거는 단기적으로 향후 대시보드의 설계를 위해 기존 대시보드를 보다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는 준거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교육서비스로써의 학습자 대시보드 품질관리에 대한 고려가 아직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평가준거는 궁극적으로 학습자 대시보드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설계와 개발, 평가의 순환적이고 자기교정적인 과정과 연계성(alignment)을 고려하면, 본 연구의 평가준거는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간접적으로 제시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조절의 관계 : 집단 응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규연,박하나,김시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2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group cohe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regulation and co-regulation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Seventy thre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mall group based collaborative project, and the data from sixty one were used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ported that self regulation predicted co-regulation, and task cohesive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regulation and co-regulation, while social cohesiveness did not. This study investigated a relatively new construct, co-regulation, in a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 and reported the importance of group cohesiveness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co-regulation.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significant role of instructors who should facilitate group cohesiveness in terms of task by providing meaningful collaborative tasks as well as opportunities to establish shared goals and procedures within teams. 본 연구는 협력학습 상황에서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조절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집단응집성이 그 과정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협력적 자기조절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개인의 자기조절이 어떻게 변화하고 정교화 되는지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개인의 자기조절 스킬을 집단 맥락으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이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조명을 받고 있는 구인으로서, 본 연구를 통해 협력적 자기조절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협력학습 환경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61명을 대상으로 소집단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관련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자의 자기조절은 협력적 자기조절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응집성은 학습자의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조절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업 응집성은 학습자의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조절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협력에 있어서 집단의 구성원보다는 과업에 대한 긍정적 몰입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과업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집단의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기업의 e-Learning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연구

        임규연,임영택,조일현 한국기업교육학회 200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4 No.1

        급격한 기술혁신의 결과로 인해 창출된 교육 기회의 확산으로 인해 한국의 기업체는 인터넷을 활용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해오고 있다. 교수설계 분야에서 늘 강조해왔듯이 효과적인 설계는 니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야 하며, 이는 WBT 설계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버 과정 개발 분야에서는 니즈 조사와 관련된 경험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이버 과정 개발과 관련된 사회적, 조직적, 개인적 니즈를 분석하기 위해 일대일 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의 교육 전문가 및 교육 담당자, 학습자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한국의 기업교육을 대표하는 5인의 교육전문가와 국내 대기업의 교육담당자 15인이 인터뷰에 참여하였으며, 1,913명의 학습자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과정 특성별 차별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영관리 과정에서는 학습목표의 진술과 교수설계전략 측면에서의 차별화 전략을 통한 고품질 과정의 개발이 강조되었다. 외국어 및 컴퓨터/정보화 과정에서는 컨텐츠의 다양성 및 기본 품질이 중요한 요소로 파악되었다. 둘째, 전통적인 강사주도 교육훈련과 e-Learning 솔루션의 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경영전략 기획능력 또는 현장과 유사한 경영환경 하에서의 문제해결력과 같은 복합적인 학습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담당자와 개별 학습자 간의 교육니즈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경영상의 요구를 반영하는 교육담당자는 리더십, 직무/직능 관련 과정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한 반면, 개별 학습자들은 외국어 과정에 대한 니즈를 강조하였다.

      • KCI등재

        자동화된 피드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2013-2022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임규연,차수민,이다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2

        Feedback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ac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feedback automatically generated and delivered to learners. In this study, automated feedback refers to any kind of feedback provided by a technology-enhanced learning environment to help learners progress toward desired outcomes, includ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ir current learning status and performance,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the correctness of their respons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automated feedback in Korea by systematically reviewing domestic studies on automated feedback for the past decade. Sixty-four empirical studies on automated feedback published between 2013 and 2022 were selected, with keywords chosen from both the micro and macro perspectives. First of all, based on the framework for automated feedback systems proposed by Deeva and colleagues (2021), it was found that non-adaptive feedback was more frequently provided than adaptive feedback. In addition, feedback was more often provided after task completion or immediately rather than at the learner’s request. Corrective feedback was the most commonly provided, and learners had no or less control over feedback. Secondly, based on the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automated feedback at both micro and macro levels was discussed in domestic studies, with fully automated feedback accounting for 75 percent, more than partially automated feedback.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 implications for future automated feedback design.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드백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자동화된 피드백 관련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 다루어진 자동화된 피드백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자동화된 피드백 연구의 교육적 기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동화된 피드백이란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 환경에서 생성되고 전달되는 피드백으로, 학습자 반응의 옳고 그름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미시적 관점의 자동화된 피드백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성취로의 진행을 돕기 위해 제공되는 학습자의 현재 학습 상태 및 수행에 대한 정보인 거시적 관점의 자동화된 피드백까지 포함한다. 이를 위해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에서 각각 도출한 키워드로 2013년에서 2022년 사이에 출판된 문헌을 수집하여 자동화된 피드백 관련 실증연구 64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Deeva와 동료들(2021)이 제안한 자동화된 피드백 시스템 프레임워크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교정적 피드백 및 학습자가 피드백에 대해 통제권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주를 이뤘으며, 적응적 피드백 보다는 비적응적 피드백이, 학습자 요청 시 보다는 과제 완료 후 또는 즉각적으로 제공되는 피드백이 빈번하게 제공되었음을 파악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자동화 수준 관련 분석 틀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미시적 차원(68.75%)과 거시적 차원(31.25%)의 자동화된 피드백이 모두 나타났고, 일부 자동화된 피드백(25%)보다 완전 자동화된 피드백(75%)이 더 빈번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자동화된 피드백의 설계 시에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탐색

        임규연,안상란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교수역량에 대한 교수자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조사하여 교수효과성 향상을 위한 교육요구도를 도출하고 그 우선순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9개 역량(기본소양, 사이버교육에 대한 이해, 수업계획 및 조직, 전이설계, 강의 및 콘텐츠 개발, 자료탐색 및 활용, 학습환경 조성, 강의실 운영, 학습자 수행지원) 51개 지표를 도출, 타당화 하였으며, A 사이버대학 교수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수자들이 자가진단한 교수역량 중요도와 실행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먼저 종속표본 t 검정을 통해 각 역량과 세부 지표별로 중요도와 실행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공식과 초점의 소재(the locus for focus) 모형을 통해 각 역량과 세부 지표별 요구도 점수를 도출하고 어떤 지표의 우선순위가 높은지,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역량은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역량별 중요도와 실행도는 모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지표별로는 2개를 제외한 모든 지표들에서 실행도가 중요도보다 낮았다. 또한 교수역량 요구도의 우선순위가 높게 도출된 역량은 기본소양, 수업계획 및 조직 역량이었다. 강의 및 콘텐츠개발, 자료 탐색 및 활용, 강의실 운영 역량 등은 요구도 점수 자체는 낮지만 초점의 소재에서 4사분면에 위치하여 요구도 판단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항목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수역량의 효과적인 개발과 질적 향상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역량이 무엇인지를 제안하며, 교수역량의 우선순위 산정 시 다양한 요구조사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ap between perceived level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in order to prioritiz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instructors in a cyber university in South Korea. Responses from one hundred eleven instructors were analysed using t-test, Borich's needs assessmen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reported that performance levels were perceived higher than importance levels in most teaching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needs analysis results, teaching fundamentals and instructional design were the most prioritized competencies. Development of lectures and contents, searching and using of materials for teaching, classroom management were also reported as importan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faculty development, which would contribute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effectiveness in cyber universities

      • KCI등재

        티칭 스타일(Teaching Style) 진단 도구 개발 및 활용 사례 연구

        임규연,조현국,김영수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10 敎員敎育 Vol.26 No.1

        교수(teaching)의 질적 향상, 특히 교수자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의 성찰을 통한 교수 효과 향상의 일환으로서 티칭 스타일 진단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Grasha(1996)의 티칭 스타일 진단 도구를 번역, 도입한 후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국내 대학 교원 167명 을 대상으로 진단을 실시, 요인분석을 함으로서 40개의 진단 문항 가운데 최종적으로 총 33개의 진단 문항을 확정지었으며, 동시에 진단 결과를 기술적으로 분석하여 대학 교원의 티칭 스타일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티칭 스타일 진단을 도입, 실시한 과정 및 진단에 참여한 교원의 티칭 스타일 진단 결과를 공유하고, 나아가 티칭 스타일 진단이 교수(teaching)의 질적 제고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e, since teaching effectiveness has become a key issue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teaching style diagnosis as a tool to promote self-reflection, which will eventually facilitate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actice. After literature review, the teaching style diagnosis developed by Anthony Grasha (1996)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nalyzed. Participants were 167 faculty from multiple universitie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33 out of original 40 items were finalized as a teaching style diagnosis. Descriptive analysis of the teaching styles of the participants were also examined. This study illustrated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e development as well as validation of the teaching style diagnosis, and also discu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teaching style diagnosis as a self-reflection tool.

      • KCI등재

        국내외 협력학습분석학(Collaboarative Learning Analytics)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임규연,진명화,정유진,김혜준,이다혜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4

        Collaborative learning analytics, which integrates collaborative learning and learning analytics to understand and support collaborative processes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CSCL), has emerged in recent year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publications from 2014 to April 2023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collaborative learning analytics. To achieve this goal, 60 documents were selected and examined in terms of the research objectives, research contexts, types of collected data, and analysis methods. The findings were aligned with CSCL constructs, collected data, and analysis methods, following the clicks-to-constructs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 an overall increasing trend in collaborative learning analytics research. The research objectives focused on behavior modeling, and the primary type of collected data was log data. The principle approach to data analysis involved a process-oriented analysis. An examination of the alignment between CSCL constructs, data, and methods revealed a high proportion of CSCL constructs in the categories of engagement. Data types and analysis methods exhibited diversity depending on the CSCL construct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including the need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alytics with an actionable purpose and the advancement toward theory-driven collaborative learning analytics in the future.

      • KCI등재

        학습자 대시보드의 사용성 평가: 상호작용 정보의 시각화에 대한 학습자 인식 탐색

        임규연,김혜준,최지수,김윤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ashboard design providing multi-dimensional interaction information between learner-learner, learner-instructor and learner-contents, and explore learners’ perception on the dashboard. The dashboard developed for this study adopted social network analysis visualization techniques to intuitively represent three types of interaction information, providing learners with control over the amount and type of information. In order to evaluate how learners perceive and utilize the given dashboard, eight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and then asked to use the dashboard, followed by one-on-one interviews. As a result,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use of the dashboard was relatively easy and intuitive, and that they were willing to change their behavior after using them. Some learners put together various interaction information to make in-depth reasoning, while others had a superficial understanding, which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uch as interest in peer learners’ activity and prior experience in using digital devices.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dashboard that integrates various and complicated interaction information to promote monitoring learning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visualization method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designing the learner dashboard.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맥락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상호작용 현상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표상할 수 있는 대시보드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연구를 위하여 개발된 대시보드는 학습자-학습자료, 학습자-교수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정보를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회연결망분석 시각화 기법을 적용하였고, 제시되는 정보의 유형과 양에대하여 학습자의 통제권을 부여하였다. 학습자가 실제로 대시보드를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가를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8명을 모집하여 대시보드를 사용하도록 한 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시각적 매력성, 사용성, 정보 이해도, 정보 유용성, 행동변화 의향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은 대시보드 사용법이 비교적 쉽고 직관적이며, 대시보드 사용 후 행동변화 의향이 생겼다고 응답하였다. 다양한 상호작용 정보를 종합하여 심층적으로 추론하는 학습자도 있었으나 피상적으로 이해하는 학습자도 있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동료 학습자의 활동에 대한 관심, 디지털 기기 사용 경험과 같은 참여자의 특성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상호작용 정보를 제공하는 대시보드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대시보드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시각화 방법과 학습자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업 및 공공조직 실천공동체(CoP) 국내 연구동향 분석: C4P모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임규연,김영주,은주희 한국기업교육학회 201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기업 및 공공조직 실천공동체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테크놀로지 기반의 C4P 모델을 적용하여 국내 기업 및 공공조직 실천공동체의 구성 요소와 그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실천공동체 연구가 시작된 2000년 이후의 관련 논문 31편을 선정하였으며, 발표년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학문분야별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중 실천공동체 구성요소를 명시하고 있는 기업 및 공공조직 맥락 연구 16편을 선정하여 C4P 요소인 목적(purpose), 주제(content), 소통(conversation), 연결(connection), 정보 맥락(information context)을 적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업 및 공공조직 실천공동체 연구는 2000년 기업에서 시작되어 중반 이후 공공조직에서 활성화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기업은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경영학에서, 공공조직은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행정학에서 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기업과 공공조직의 구성요소 중 목적(purpose)과 소통(conversation)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기업에서는 지식공유와 아이디어 창출을 위해, 공공조직에서는 공공서비스 품질 향상과 같은 업무성과 개발을 위해 실천공동체가 형성되고 있었다. 또한 기업은 온라인 실천공동체 중심인 반면, 공공조직의 실천공동체는 여전히 오프라인 실천공동체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최근 업무 환경 변화 및 기술 발전에 따라 기업 및 공공조직에 적합한 실천공동체 구축전략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ommunities of practice (CoP) in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The C4P model was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the CoP components of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First, thirty-one articles on CoP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since 2000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xt. Second, sixteen out of the thirty-one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he C4P model approach, focusing on purpose, contents, conversation, connection, and information context. The results showed that CoP research began in the early 2000s in private organizations, while the research in public organizations increased since the mid-2000s. Additionally, the research in private organizations adopted quantitative methods in business administration, but the research in public organizations frequently used qualitative methods in public administration domain. Regarding C4P, the results indicated differences between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purpose and conversation aspects. This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P in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