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특성과 제조원가명세서의 자발적 공시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희영(Heeyeong Lee),김유라(Yura Kim) 글로벌경영학회 2018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5 No.2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industry competition characteristics and voluntary disclosure behavior of the schedule of manufacturing costs of a firm. We utilize the effects of industry characteristic using four proxies : 1) market competition 2) industrial concentration 3) industrial gross margin 4) entrance barrier in order to measur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market competition on voluntary disclosure. We find that industry with lower market competition, higher concentration, higher margin, and higher entry cost tends to voluntarily disclose the schedule of manufacturing cos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dustry with lower competition discloses the schedule of manufacturing costs consistent with proprietary cost theory. Additionally, the relation between the nature of industry characteristics and voluntary disclosure of the schedule of manufacturing costs can be influenced by firm characteristics. Therefore, we examined how foreign investors’ ownership and ownership structure are related to voluntary disclosure of the manufacturing cost schedule. We find that a firm’s voluntary disclosure increases as the firm‘s foreign holdings increase and whe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are separated. This paper finds that understanding of the industry characteristics as well as a firm characteristics help explain the firm’s voluntary disclosure of the schedule of manufacturing costs. In addition,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amining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industry competition and their effects on the voluntary disclosure behavior. 본 연구는 산업특성에 따라 제조원가명세서의 자발적 공시가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검증한 다. 추가적으로 기업특성에 따라 표본을 재설정하여, 기업특성이 산업특성과 제조원가명세서의 자발적 공시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는 산업특성을 네 가지 요소(시장경쟁 도, 산업집중도, 수익성, 진입장벽)로 세분화하여 산업특성이 제조원가명세서의 자발적 공시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경쟁도가 낮을 수록, 산업집중도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높을수록, 진입장벽이 높을수록 제조원가명세서를 자발적 으로 공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산적 비용이론에 따라 산업 내 경쟁도가 낮을수록 제조원 가명세서를 자발적으로 공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산업특성이 유사하더라도 각 기업의 특성에 따라 제조원가명세서의 자발적 공시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외국인투자자비중과 소유구조가 산업특성과 자발적 공시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외국인투자자비중이 높은 경우 그리고 소유와 경영이 분리 된 경우에 산업경쟁이 낮을수록 제조원가명세서의 자발적 공시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발적 공시 가능성이 높은 산업에 속한 기업이라도 각 기업의 특성에 따라 자발적 공시는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 정서조절력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언어적 통제유형의 조절효과

        이희영(Lee, Heeyeong),임희수(Im, Heesoo),조준오(Jo, Jun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는 유아 정서조절력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언어적 통제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3, 4, 5세 유아 240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력과 유치원 적응을 측정하였고, 유아교사 48명을 대상으로 언어적 통제 유형을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회귀조절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유아교사의 언어적 통제 유형은 유아의 정서조절이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언어적 통제유형 중에서 인성적 태도의 값이 커질수록 적응적 정서조절이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적응적 조절력(+)의 영향을 약하게 하고, 부정적 정서조절이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적응적 조절력(-)의 영향을 강하게 한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언어적 통제유형 중에서 명령적 태도의 값이 커질 수록 부정적 정서조절이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적응적 조절력(-)의 영향을 약하게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verbal control typ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regulation and kindergarten adjustment. The emotional regulation and kindergarten adjustment of 240 selected young children who were at the western ages of 3, 4 and 5 were measured, and the verbal control types of 48 selected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measured as we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23.0,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verbal control typ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moderated the influence that the emotional regulation of the preschoolers exercised on their own kindergarten adjustment. To be specific, the impact of adaptive regulation(+) that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on kindergarten adjustment became weaker wh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cored higher in personal attitude among verbal control types, and the impact of adaptive regulation that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on kindergarten adjustment became stronger in the same case. Wh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cored higher in imperative attitude among verbal control groups, the influence of adaptive regulation that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exerted on kindergarten adjustment became weaker

      • KCI등재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유아 자기조절력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상대적 영향력

        한수희(Han Suhee)이희영(Lee Heeyeong),이지경(Lee Jiky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유아 자기조절력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와 K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297명의 유아와 이들의 어머니 및 교사였다. 이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적응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이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하위 변인에 따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영향력은 달리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유아의 개인변인, 부모변인, 교사변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고, 상대적 영향력을 검토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s very important to preschoolers’ development. It is not easy task to them. In fact preschoolers who have difficulty in adjusting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ecome increasing.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factors that influence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bility,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on preschoolers’ adaptation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97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who live in B city and K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Major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reschoolers’ adaptation to educational institutions,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bility,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Seco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bility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preschoolers’ adaptation to educational institutions. Third, influence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on preschoolers’ adaptation to educational institution was differ depending upon sub variables of preschoolers’ adaptation to educational institu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sidering preschoolers’ personal variable, parent variable and teacher variable comprehensively and investigat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ose variables.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 효과

        허아림(Hoe Arim),이희영(Lee Heeye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유치원 교사는 직무특성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로 인해 정신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유치원 교사의 정신건강 문제는 교사 자신은 물론 유아들의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유치원 교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와 이들 두 변인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 유치원의 교사 30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Hayes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지지중심 대처전략과는 부적 상관을 회피중심 대처전략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문제해결 중심 대처전략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은 정적 상관, 문제해결 중심 대처전략과 정신건강은 상관이 없었으며, 지지추구 중심 대처전략과 정신건강은 부적 상관, 회피중심 대처와 정신건강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지지추구 중심 대처전략과 회피 중심 대처전략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문제해결 중심 대처전략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또한 만약 현실적인 이유로 이것이 불가능하거나 어렵다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점검해 보고 필요한 경우 이들의 대처 전략에 대한 상담이나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이들의 정신건강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는 이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충분히 검토하지 못했던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Because of job characteristics,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d a great deal of stress and therefore mental health problems. Mental health problems of kindergarten teachers have negativ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s well as teacher themselves. For this reason, many researchers have persistently investigated variables that influence mental health of kindergarten teachers. Along the same line,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kindergarten teachers. Three hundred kindergarten teachers in P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ayes’ PORCESS Macro.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support pursuit centered coping strategy, positively related to avoidance centered coping strategy and not related to problem solving centered coping strategy. Job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mental health. Mental health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roblem solving centered coping strategy, negatively related to support pursuit centered coping strategy and positively related to avoidance centered coping strategy. Second, support pursuit centered coping strategy and avoidance centered coping strateg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but problem centered coping strategy did no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investigating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kindergarten teachers which has been remained unclear.

      • KCI등재

        가정의 소득수준과 부모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최영미 ( Choi Youngmi ),이희영 ( Lee Heeye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부모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에서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최종 207부를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소득수준과 부모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정의 소득수준은 지지적 훈육, 행동통제적 훈육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정서조절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심리통제적 훈육은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행동조절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지지적 훈육은 행동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정서조절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아울러 행동통제적 훈육과도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행동통제적 훈육은 행동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지지적 훈육방식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었고, 부모의 심리통제적 훈육방식과 행동통제적 훈육방식이 유아의 행동조절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는 없었고, 부모의 훈육방식 중 행동통제적 훈육방식과 유아의 행동조절 간의 관계에서는 소득수준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저소득가정의 정서지원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sciplinary style on self-regulation ability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vel of income between parental disciplinary style and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7 parents with 3-5 year old children.. The PDI(The Parenting Dimension Inventory) developed by Judith and Christopher(1979)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developed by Lee Jung-Ran(2003) were used to collect data.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 level of income, parental discipline and self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Specifically, the level of incom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supportive discipline and behavioral controlling discipline, but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 Psychological controlling disciplin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motional regulation, but negatively related to behavioral regulation. Supportive disciplin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 but positively related to behavioral regulation. Also supportive disciplin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behavioral controlling discipline. Behavioral controlling disciplin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behavioral regulation. Second, parental supportive discipline influenced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ling and behavioral controlling discipline influenced behavior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Third, the level of income wa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come and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but the level of incom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controlling discipline and behavior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 for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emotional support of low-income families.

      • KCI등재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윤진(Choi Yunjin),이희영(Lee Heeye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문제행동지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김성현과 이종향(2019)의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직장 내 사회적 지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임진형(2000)이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회복탄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우열 등(2009)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류슬기(2020)가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5.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변인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방법 중에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은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이 문제행동지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물질적 지지만이 문제행동지도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 영향력은 7%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문제행동지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능력은 23%, 긍정성은 2%로 나타나 자기조절력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 특히 물질적 지지와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켜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in the workpla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ectivenes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31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a Gyeongsangnam-do., a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Park Ji-won (1985)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Im Jin-hyeong (2000) was used to examine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Lastly, in order to examine resilience, the measuring tool developed by Shin Woo-yeol et al. (2009)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Ryu Seul-gi (2020) targeting kindergarten teacher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for Windows. First, the general tend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were examined throug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Pearson 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mo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 sub-variable of teachers workplace social suppor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only material support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had an effec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the influence was 7%.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eachers resilienc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ectiveness, among the sub-variables of resilience, self-regulation ability was 23% and positivity was 2%, indicating that th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was greater.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it is necessary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at work, especially material support and self-regulation abil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한 문제행동지도 자신감과 그릿 및 소진감의 영향

        권연희(Yeonhee Kwon),이희영(Heeyeong Lee),이경화(Kyeonghwa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과 그릿 및 소진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그릿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소진감 변인이 조절 및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B지역의 유치원․어린이집 22곳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α,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해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및 그릿은 정적 상관관계를, 소진감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소진감은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즉, 유아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소진감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그릿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소진감 변인이 부분 매개하였다. 결론: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 및 그릿과 같은 심리적 요인은 문제행동지도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이러한 영향력은 소진감 변인의 조절 및 매개적 역할을 통해 완화된다.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문제행동지도전략 사용을 위해서 이들의 소진감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grit and burnou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in order to underst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burnout in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Methods: Two hundred twenty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burnout moderated th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The positive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was significant only when the level of burnout were low. Finally, burnout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Conclusions: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confidence and grit have positively influenc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nd this influence was alleviated through moderating and mediating role of burnout. This results suggest that every effort needs to be made to reduce burnout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se desirabl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

        염수진(Sujin Yeom),이희영(Heeyeong Lee),최태진(Taejin Cho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현장의 많은 교사들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소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의 차이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68명과 유아 1072명(교사 268명× 4명) 을 대상으로 우편발송, 직접 방문, 구글 폼 설문지,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분석 절차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이들 변인 간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3가지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 3개 집단 간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하위 변인 점수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한 후 Scheffe 사후분석과 개별문항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가진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개별 문항 탐색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간과했던 유아교사가 지닌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관련 행동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생활지도와 관련 교사 교육의 소중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re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many teachers in the field today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y in guiding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his issue, a new concept which is called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and attracted att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the specific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w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1,072 infants (268 teachers × 4)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postal mail, direct visit, Google Form questionnaire, and e-mai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using a preliminary analysis procedure, and the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variables were calculated. Next,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on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the scores of the social ability sub-variables, followed by Scheffe post-hoc analysis and individual questions.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blem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cial abilit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specific problem behaviors and behaviors related to social abiliti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by searching each i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firming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guidance and relate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만 3-5세 자녀를 둔 맞벌이 저소득가정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최영미 ( Choi Youngmi ),이희영 ( Lee Heeye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5세 자녀를 둔 맞벌이 저소득가정 부모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고, 자녀양육 시 실천할 수 있는 체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 맞벌이 부모 18명(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1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Cronbach's α 산출, 만-위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과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 기술통계(평균, 표준 편차), 빈도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참여자의 인터뷰를 함께 전사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만 3-5세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 맞벌이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올바른 훈육방식 형성, 부모-자녀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부모-자녀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부모역할 만족도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 분야의 선행연구와 달리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저소득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dual-earner parents of low-income family with children ages 3-5 and developed systematic and specific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when raising children, and verified the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bility to control the emotions of parents by focusing on emotional support by cultivat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dual-earner parents of low-income family, and to help the parents develop friendly and intimat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dual-earner parents of low-income family with 3-5 year olds(the experiment group, n=8, and the control group, n=1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the SPSS 23.0 Windows program, analyzed using Cronbach's α calculation,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of non-parametric statistics, Descriptive Statistics(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Also interviews of participant were recorded together.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parental disciplinary styl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as parent education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intimate parent - child relationship, cultivat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low-income and dual-earner parents.

      • KCI등재

        보드게임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오혜진(Oh Hye Jin),이희영(Heeyeong Lee),최태진(Choi Tae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보드게임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와 지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P시 소재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40명이 본 연구의 대상이었다. 이들 중 돌봄 교실을 다니는 아동 19명이 실험집단, 나머지 21명은 통제집단에 배치되었다. 보드게임 활동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2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한 회기는 60분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비동등 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선택하였고, 지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사 후 한 달 뒤에 지연 검사를 실시하였다. 보드게임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3학년의 흥미와 인지 발달수준을 고려해 전략적 사고를 요하고 게임 중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나고 경쟁적 요소가 포함되어 정서조절 등이 필요한 10개의 보드게임으로 구성하였다. 보드게임 활동의 효과는 t검증과 공분산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지연효과 분석을 위해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검증 결과 보드게임 활동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지연효과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자기조절력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에게 보드게임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board game activities on self-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ty 3rd grader at U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twenty-one students and control group was compose of nineteen students. The board game activities program was held 12 times in a total of 60 minutes a day for 5 weeks. Experimental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Follow up tests was administered to test delayed effect one month after posttest. Board game was selected considering the level of interest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was composed of 10 games that require emotional control due to competitive factors and have strategic think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variate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 two-way ANOVA.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es showed that board game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elf-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ad a follow-up effect in improving self-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targeting 3rd grader and testing delayed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