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세구조물 금형가공을 위한 총형공구에 관한 연구

        이희관,김연술,김도형,노상흡,양균의,Lee, Hi-Koan,Kim, Yeun-Sul,Kim, Do-Hyung,Roh, Sang-Heup,Yang, Gyun-Eui 한국기계가공학회 2003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 No.4

        This paper presents the formed tool to machine a milli-structure mold. The formed tool is used to machine the geometrical shape of bearing rubber seal for precision machining. The bearing rubber seal has milli-sized complex geometry.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chine the unique shape exactly by the conventional tool, the formed tool is used in machining die of the bearing seal. In this paper, it is performed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the formed tool; tool wear, cutting force and machined surface roughness. Tool wear increases rapidly with clearance angle Increase. Thus, the dimension accuracy is affected by the clearance angle.

      • KCI등재

        汝窯와 휘종 ― 북송 여요의 성립과 그 의의

        이희관 한국문화유산협회 2015 야외고고학 Vol.0 No.23

        『坦齋筆衡』과 『老學庵筆記』에서는 여요 성립의 계기로 정요백자의 “有芒”을 꼽았다. “有芒”의 “芒”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것이 芒口를 가리킨다는 견해와 光芒을 가리킨다는 견해가 있는데, 두 문헌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해본 결과 전자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적지 않은 연구자들이 芒口가 여요 성립의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그다지 타당성이 높지 않다고 생각된다. 즉여요 성립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은 정요백자의 芒口였다. 여요의 성립시기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었지만, 문헌 기록과 고고학적자료에 의거하여 판단하면, 徽宗 大觀年間(1107~1110)에서 政和年間의 전반기(1111~1114)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여요의 성립으로 어용자기의 주류가 정요백자에서 여요자기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그 주요 조달방식도 購買의 방식에서 注文制 의 일종인 製樣須索의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여요의 성립은 휘종대의 禮制改革의 큰 틀 안에서 이루어졌다. 여요가 성립되기 전에는 황실이나 신료 및 민간인들이 동일한 요장의 자기를 共有하였지만, 여요의 성립을 계기로 그러한 시대는 막을 내리기 시작하였다. 즉 황실과 신료·민간인 사이에 瓷 質 器皿의 사용에 있어서 명확한 境界가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여요의 성립은 적어도 어용자기의 전개과정에서 볼 때 空前의 개혁이었다. 이 개혁을 주도한 사람은 휘종이었으며, 그는 강력한 정치권력을 바탕으로 그러한 개혁을 성공적으로마무리하였다. Tan Zhai Bi Heng (『坦齋筆衡』) and Lao Xue Yan Bi Ji (『老學庵筆記』) picked ‘You Mang(有芒)’ of Ding wares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Ru kiln. ‘Mang(芒)’means ‘Mang Kou (芒口)’. it was ‘Mang Kou (芒口)’ of Ding wares that directl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Ru kiln. Ru kiln was highly likely to be established between the era of Daguan (1107~1110) to the first half of the ear of Zhenghe (1111~1114) under the reign of Emperor Huizong. Not only the mainstream of imperial wares changed from Ding wares to Ru ware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Ru kiln, but also the key procurement method altered from purchasing to preparation in request (製樣須索), a kind of on-demand supply. Ru kiln was established within the huge framework of reformation of manners (禮 制改革) under the reign of Emperor Huizong. Ru kiln started to make a clear boundary between the ceramic wares used by the imperial family, courtiers and commoners. In this sense, the establishment of Ru kiln was an unprecedented reform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imperial ware. Emperor Huizong led the reform and successfully completed it based on his mighty political power.

      • KCI등재
      • KCI등재

        汝窯와 이른바 汝官窯 - 여요의 성격과 관련된 논의의 역정

        이희관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8 야외고고학 Vol.0 No.32

        The Ru ware is a representative and renowned Chinese porcelain. Some people call this Ru ware Ruguan ware. The Ruguan ware probably means the official ware made in Ruzhou (汝州). It was Percival David who originally presented the view that Ru ware had the nature of an official ware. His assertion was suggested in his thesis, “A Commentary on Ju Ware” published in 1937. What he presented as core base material was a roundshaped test piece (輪形火照) with the letters “Da Guan Yuan Nian (大觀元年).” However, he did not call the Ru ware Ruguan ware. It wan was Koyama Fujio (小山富士夫) who made the name of Ruguan ware. Koyama Fujio perceived Northern celadon as Ru ware, but he admitted that he was wrong after he read the thesis of Percival David. Nonetheless, instead of discarding his view, he gave the new name of “Ruguan ware” to the ware which Percival David had designated as Ru ware. However, the name of Ruguan ware lost the ground for its existence, as the roundshaped test piece with the letters “Da Guan Yuan Nian” was revealed as an imitation. And thus, the name of Ruguan ware used until Ru kiln site at Qingliangsi was discovered was just nominal. As Ru kiln site at Qingliangsi was found in 1986, the theory of the official ware emerged again, centered on the view that the Ru kiln is Northern Song official kiln.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gard it as granting objective validity to the name of Ruguan ware. The reason is that many researchers hold an opposition to the theory of official ware. My basic view is that the emergence of the name of Ruguan ware rather have caused just some confusion to the research of Ru ware. Since the Ru kiln was established at the end of Northern Song, the name of the kiln site was Ru kiln. After the name of Ruguan ware appeared with a doubtful reason in the 20th century, confusion surrounding the concept and name of the Ru ware began. I think there is a need to return the name of Ru ware, which is the original name, abolishing the name of Ruguan ware whose objective validity was not secured. 汝窯는 중국의 대표적인 名窯이다. 적지 않은 사람들은 이 여요를 가리켜汝官窯로 칭한다. 여관요는 汝州에 위치한 官窯라는 의미일 것이다. 여요가 관요의성격을 띠고 있었다는 견해를 처음 제출한 사람은 Percival David이다. 그의 주장은1937년에 발표된 논문 “A Commentary on Ju Ware”에 담겨 있다. 그가 핵심적인근거 자료로 제시한 것은 “大觀元年”銘輪形火照였다. 그렇지만 그는 여요를 여관요로칭하지 않았다. 여관요라는 명칭을 만들어낸 사람은 小山富士夫였다. 당시 그는 이른바北方靑瓷를 여요자기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Percival David의 논문을 접한 후 사실상자신의 견해가 틀렸음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견해를 폐기하는 대신 Percival David가 여요자기로 지목한 자기에 여관요자기라는 명칭을 부여한 것이다. 그러나 그 후 “大觀元年”銘輪形火照가 위조품으로 밝혀짐으로써 사실상 “여관요”라는명칭은 그 존재 이유를 상실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때부터 淸凉寺汝窯址가 발견될무렵까지 사용된 “여관요”라는 명칭은 사실상 形骸化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986년에청량사여요지가 발견되면서 여요가 곧 北宋官窯라는 견해를 중심으로 官窯說이다시 부상하였지만, 그것이 “여관요”라는 명칭에 객관적 타당성을 부여해 주었다고보기는 힘들다. 많은 연구자들이 관요설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관요”라는 명칭의 출현이 오히려 여요 연구상에 혼란을 야기했을 뿐이라는 것이 필자의기본적인 생각이다. 북송말기에 여요가 성립되고부터 줄곧 이 窯場의 명칭은 “여요”였다. 20세기에접어들어 석연치 않은 계기로 “여관요”라는 명칭이 출현한 이후 여요의 개념과 명칭을둘러싼 혼란이 시작되었다. 이제 객관적 타당성이 담보되지 않은 “여관요”라는 명칭을버리고, 아울러 여요에게 본래의 명칭, 즉 “여요”라는 명칭을 되돌려줄 필요가 있다고생각한다.

      • KCI등재

        Thermal Characteristics of InP-based Mid-infrared Quantum Cascade Lasers at λ ∼ 8.8 μm

        이희관,유재수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0 No.10

        We have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double-channel ridge-waveguide InGaAs/AlInAs quantum cascade lasers (QCLs) emitting at λ ∼ 8.8 µm in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Based on the measured data, the thermal parameters were obtained with heat source densities using a two-dimensional anisotropic heat dissipation model. For 21 µm × 4 mm QCLs, the thermal conductance (Gth) value was 215.5W/K-cm2 at 298 K in continuous-wave (CW) operation. The Gth val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using a buried heterostructure (BH) via the regrowth of undoped InP layer around the laser ridge. Also, an additional improvement in the Gth was made by the use of a diamond submount, and the temperature dependency of the devices was largely decreased. The Gth value was improved to 306.7 W/K-cm2 at 298 K in the CW mode for epilayer-down bonded BH QCLs with an InP embedded layer on a diamond submount.

      • KCI등재

        中國 汝州 張公巷窯의 運營時期와 性格 問題

        李喜寬 한국문화유산협회 2012 야외고고학 Vol.0 No.15

        汝州 張公巷窯는 금세기에 접어든 후 연구자들의 가장 큰 관심을 끌어온 窯場 가 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 장공항요의 年代와 性格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고 에서는 장공항요지의 출토유물을 宋·金·元代의 요지, 窖藏 및 무덤 등에서 출토된 다른 요장의 瓷器 및 銀器 등과 비교·검토하여 장공항요의 연대와 성격을 추적하였는 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장공항요지의 발굴보고자에 따르면, 이 요지에서 장공항요와 관련된 유물이 가장 다 양하고 많은 유물이 출토된 T4의 경우, 모두 10개의 퇴적층이 확인되었는데, 이 가운 데 장공항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들은 4~6층이다. 제6층이 장공항요지의 가장 이 른 시기에 형성된 것이고 제4층이 가장 늦은 시기에 형성된 것이다. 특히 제6층을 파 서 만든 H101은 장공항요 초기의 청자표본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어 장공항요의 설립시 기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H101에서는 장공항요의 후기 층위에서는 출토되지 않는 여러 기종이 출토되었는 데, 敞口折沿碗·葵口板沿盤·紙槌甁·鵝頸甁·撇口圓壺 등이 그것들이다. 이 기종 들의 기형을 자세히 관찰한 결과, 四川彭州宋金銀器窖藏 출토 銀器들과 가장 흡사하 다. 이 銀器들은 1180~1210년경에 제작되었으므로, 장공항요는 金代後期에 설립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窯址의 가장 늦은 시기의 퇴적층인 제4층과 H88 등에 서 출토된 기종들의 조형적 특징을 통하여 볼 때, 장공항요는 金의 멸망과 함께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장공항요에서 생산한 청자는 汝窯瓷器에 버금갈 정도로 품질이 높다. 그리고 품질 이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한 殘次品은 모두 깨뜨려버렸다. 이러한 현상들은 당시 어 용자기를 생산하던 요장에서 흔히 관찰된다. 이 시기에 어용자기를 생산한 대표적인 요 장으로 북송의 여요와 남송관요를 꼽을 수 있는데, 장공항요의 설립과정 및 어용자기의 제작양상은 여요보다는 남송관요와 훨씬 더 유사하다. 이상의 검토를 통하여 볼 때, 장 공항요는 금대 후기에 설립된 金代官窯라고 판단된다. Zhanggongxiang kiln in Ruzhou is one of the kiln sites that have received serious scholarly attention since the turn of the twenty first century. However, its period and nature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analyzes the celadon pieces from Zhanggongxiang kiln by comparing them with the porcelains and silverwares from the other kilns, storage pits and tombs of the Song (960-1279), Jin (1115-1234) and Yuan (1272-1368) dynasties. According to the excavators of Zhanggongxiang kiln, T4 where the most numerous and various artifacts from the kiln were unearthed consists of ten sedimentary strata. Of the ten strata, the fourth through sixth layer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kiln, and the sixth and the fourth layers were formed in the earliest and latest phases of the kiln, respectively. H101 in the sixth layer requires special attention since it presents critical evidence in determining when the kiln was established, with its large quantity of celadon samples from the early phase of the kiln. Excavated from H101 were the types of celadon which have not been observed in the later layers of the kiln, such as oblique-belly bowls, dishes of lobbed rim, vases with dish-shaped mouth, goose-neck vases and vases with constricted neck. The shapes of these celadon types closely resemble those of the silverwares from the gold and silver object storage pit of Pengzhou City in Sichuan. Considering that these silverwares were produced between 1180 and 1210, Zhanggongxiang kiln must have been set up during the late Jin period. Furthermore, the kiln ceased to be in use around the fall of the Jin dynasty based on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celadon from the fourth layer and H88 that represent the last phase of the kiln. Zhanggongxiang celadon displays quality as excellent as that of the famous imperial ware of the Song dynasty, Ru celadon. Moreover, all the defective products from the kiln were smashed to maintain the quality. This kind of quality control was often conducted in the kilns that produced imperial wares, of which the Ru kiln of the Northern Song and the Guan kiln of the Southern Song were most representative in 中國 汝州 張公巷窯의 運營時期와 性格 問題301 this period. The way in which Zhanggongxiang kiln was established and produced imperial wares displays a closer affinity with the Guan kiln than with the Ru kiln. Thus Zhanggongxiang kiln must have been the Guan kiln of the Jin dynasty established during the late Jin perio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高麗靑瓷 出現의 수수께끼

        李喜寬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3 동국사학 Vol.55 No.-

        본고는 고려청자의 출현을 가능하게 한 요인이 무엇일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여, 그 요인을 자기의 제작과 관련된 기술과 생산(자본) 그리고 수요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려청자가 越窯의 청자제작기술을 토대로 하여 출현하였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시기는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직후인 940년대였으며, 이 시기에 다수의 越窯陶工들이 고려에 이주한 것으로 판단된다. 월요의 청자제작기술이 고려에 “전파”된 것과 관련하여 가장 큰 의문은 이 시기에 하필 월요의 도공들이 고려로 이주하였을까 하는 점인데,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들이 본래 한반도에서 중국의 浙東地方으로 이주하여 월요에서 窯業에 종사하던 사람들이거나 그들의 후예들이었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즉 그들이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직후에 고려에 돌아왔으며, 그들을 통하여 월요의 청자제작기술이 고려에 전해졌다고 여겨지는 것이다. 고려에서 월요의 청자제작기술을 “수용”하여 窯場을 설립하고 청자를 생산한 주체로는 고려정부와 호족들이 거론되어왔다. 하지만 고려정부가 청자의 생산을 주도하였다는 견해를 뒷받침해주는 근거들을 분석해볼 때, 그다지 설득력이 있다고 보기 힘들다. 신라말고려초의 유력자였던 豪族들이 한반도 출신 월요도공들을 받아들여 요장을 설립하고 청자를 생산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더 나아가 고려의 “초기청자”요장들이 중서부지방에 산재해 있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지방의 호족들이 그 주역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중서부지방의 호족들이 곧 생산(자본)의 측면에서 고려청자의 출현을 이끈 주인공이었다는 이야기가 되는 셈이다. 한편, 신라 말기에 禪宗이 유행하면서 승려층이 새로운 飮茶階層으로 등장하고 아울러 고려 건국 직후 태조의 불교정책에 힘입어 승려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들은 고려청자의 최대의 잠재적 수요층으로서, 누구보다도 이들이 수요(소비)의 측면에서 고려청자의 출현을 견인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초기청자의 생산품이 완 등 음다와 관련된 것들에 집중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