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구만의 교유인물과 『약천집』 「시」의 편집성향

        이황진(李黃振)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남구만의 『약천집』 「시」(권1과 권2)는 초고에 있던 900여수의 시 중에서 약 1/3인 276수만 선별되어 수록된 것이다. 따라서 그 편집과정에는 편집자의 특별한 편집의도나 편집성향이 적잖게 개입되었을 것이다. 본고는 남구만의 교유인물을 살펴보고 그 인물과 관련된 시가 『약천집』 「시」에 선별되어 편차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지 유추해 봄으로써 그 편집성향을 고찰한 글이다. 남구만은 효종․현종․숙종 삼조에 걸쳐 활동한 대신으로, 요직을 두루 거쳐 영의정에까지 올랐으며 83세까지 장수한 인물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 그와 교유를 나누었던 인물은 헤아리기 힘들만큼 많을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우선 그 범위를 『약천집』 「시」로 제한하여 남구만이 누군가에게 준 시나 누군가를 추억하며 지은 시를 대상으로 하여 그 교유인물을 前輩(연장자)와 同輩(동년배) 위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 남구만의 글을 통해 남구만과 그들의 실질적인 交分정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前輩의 경우는 남구만이 스승으로 모셨거나 평소 인품을 존경해 온 인물(송준길 · 이경석 · 조윤석 등) 그리고 紀群之交를 맺어온 인물(정두경․김시진․최후량 등)들 위주로 선별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同輩의 경우는 벼슬을 하기 전부터 사귀어오며 지위나 정치적 입장 따위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정도의 知友나 布衣之交(이민적 · 이민서 · 이준 등) 그리고 관직에 있으면서 친해진 동료(이훤 · 박태상 · 여성제 등)나 연행이나 유배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 친밀해진 인물(이세화 · 이화진 등) 위주로 선별된 것으로 보인다. 남구만은 서인계열의 문인이며, 특히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기되면서 소론의 영수로 지목된 만큼 『약천집』 「시」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는 교유인물도 자연스레 서인계열과 소론계열의 인물들이 주를 이루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것은 정치적 계열이나 당파가 우선시되어 선별된 결과라기보다는 그 인물과의 交分과 情誼에 초점이 맞춰져 선별된 결과로 보아야 한다. 이는 『약천집』에는 시 말고도 그 인물들과의 교분을 확인할 수 있는 글(묘도문자, 서신 등) 역시 수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데서도 그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약천집』 「시」는 정치적 색채보다는 남구만과 실제로 교분이 깊었던 인물들과 관련한 시를 우선적으로 선별하였다는 편집성향을 보인다. This study considers editing tendencies by examining those with whom Nam Gu-man associated and postulating the reasons poems about those individuals were selected and compiled in 「Poetry」 (Vol. 1 & 2) of 『Yakcheon-jip』. This author first limits the range of research as 「Poetry」 in 『Yakcheon-jip』 and examines poems that Nam Gu-man wrote to give to another person or to remember someone. The people are categorized here into those who were older and those who are contemporary. This categorization seems to reveal the editing tendencies of 「Poetry」 in 『Yakcheon-jip』 nicely. With regard to those who were older, it seems that he selected individuals who were his masters or individuals he respected (Song Jun-gil ․ Lee Gyeong-seok · Jo Yun-seok, etc.) and with whom he associated over the course of several decades (Jeong Du-gyeong · Kim Si-jin · Choi Hu-ryang, etc.). Also, regarding his contemporaries, it seems that he selected very close friends whose status or political position he did not care about as they had always been his friends, even before he became involved in public service (Lee Min-jeok · Lee Min-seo · Lee Jun, etc.), colleagues he befriended while he was in government service (Lee Hwon ․ Pak Tae-sang · Yeo Seong-je, etc.), and those with whom he became intimate in particular situations, for example, through travel or while in exile (Lee Seo-hwa · Lee Hwa-jin, etc.). Nam Gu-man was a Seoin-line literary person. Particularly after Seoin was divided into Noron and Soron, he was designated as the head of Soron. That is why the individuals found in 「Poetry」 of 『Yakcheon-jip』, too, were from the Seoin or Soron lineages. However, in examining his 「Poetry」 in 『Yakcheonjip』 overall, we can see that the editor was trying to select works for those individuals who were actually very close with Nam Gu-man, while revealing his political orientation as little as possible. This is the very editing tendencies we can find in 「Poetry」 of 『Yakcheon-jip』.

      • KCI등재

        『계원필경집』권20 소재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

        이황진(李黃振)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본고는 필자가 『계원필경집』 소재 시, 특히 권20에 수록되어 있는 30수를 보며 갖게 된 여러 가지 의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계원필경집』권20에 수록된 30수의 시는 전체적으로 보아 그 창작시간 순서에 따라 편집된 듯한 느낌을 준다. 하지만 첫번째로 편차된 ?진정상태위시?의 창작시기가 논자들마다 다르다. 이에 필자는 ?진정상태위시?가 최치원이 고변의 중용을 받기 시작한 이후에 창작된 것임을 논증하였다. 『계원필경집』권20 소재 시는 ?진정상태위시?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귀국을 결정하고 난 이후의 시로 편집되었다. 이는 최치원이 귀국을 결정하기 전의 막부 생활상이나 마음 상태 등을 문장을 통해 충분히 표현해 내었다고 생각했기에 당시에 창작한 시들을 누락시켰을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최치원이 당에서 돌아와 자신이 맡게 된 직책이 한림학사였기에 자신이 문장에 능하다는 사실을 더 부각시키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진정상태위시?를 수록한 이유는, 이 시가 자신이 당에서 보낸 시간과 내용을 모두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며, 동시에 이 시의 내용이 헌강왕에게 자신이 전하고 싶은 마음을 그대로 담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계원필경집』에는 오직 칠언시만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만당 시기 문단의 유행을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치원은 한국한문학의 개산비조답게 신라에 칠언시를 좀 더 광범위하게 전파하고 칠언시의 유행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계원필경집』권20에 여러 편의 송별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뜻밖에도 절친한 친구로 알려진 고운顧雲과의 송별시가 없다. 이는 최치원이 고변막부에 들어간 후 모종의 이유로 둘의 사이가 소원해지게 된 탓에, 최치원이 귀국할 때 서로 나눈 송별시가 애초부터 없었기 때문인 것이다. This study considers various doubts that the author comes to have while looking into the 30 pieces contained in 『Gyewonpilgyeongjip』, particularly in Volume 20. It seems that the 30 pieces contained in Volume 20 of 『Gyewonpilgyeongjip』may have been compiled according to the order of creation when examined from an overall view. However, it is controversial about the period of creating ?Jinjeongsangtaewisi? firstly compiled. Thereupon, this author demonstrates that ?Jinjeongsangtaewisi? was created after Choi Chi Won started to get important post from Gaopian. Except for ?Jinjeongsangtaewisi?, the poems contained in Volume 20 of 『Gyewonpilgyeongjip』were compiled as the ones written after all decided to return to homeland. The poems written then may have been omitted because perhaps Choi Chi Won thought he had expressed fully his life in the shogunate and also his emotional status with his writing before deciding to go back to homeland. And because the position Choi Chi Won came to be in charge of after coming back from Tang was Hanrimhaksa, he may have wanted to highlight the fact that he was competent about writing. And the reason why ?Jinjeongsangtaewisi? was included in it is that the poem implied all of the time and life he spent in Tang and also the contents of that poem had all he wanted to say to King Heongang. 『Gyewonpilgyeongjip』includes only the chileonsi(a poem with seven characters to a line). It is because this reflects the trends of the literary circles during late Tang Dynasty period. And maybe Choi Chi Won did transmit chileonsi to Shilla more widely as the gaesanbijo (the progenitor who started a thing first through pioneering) of Korean Chinese-written literature and play leading roles in making chileonsi more prevalent there. Volume 20 of 『Gyewonpilgyeongjip』contains several pieces of farewell poems, but oddly, there are no farewell poems exchanged with Goun known as one of his closest friends. This may be because they became estranged for some reason after Choi Chi Won went to the Gaopian"s shogunate and there were no farewell poems exchanged between them from the first place when he returned.

      • KCI등재

        남구만의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

        이황진(李黃振)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본고는 남구만의 『약천집』, 그 중에서도 권1과 권2의 「시」가 편집상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된 연구이다. 먼저 『약천집』의 간행 배경과 경과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었다. 남구만은 당대 4대 소차가疏箚家라고 불릴 만큼 문장에 뛰어났기 때문에 『약천집』은 일차적으로는 시보다는 문에 초점이 맞춰진 편집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필자는 「시」 부분이 그 편집 특징을 보다 더 잘 드러내준다고 판단하여 본고에서는 『약천집』 「시」 부분을 중심으로 편집 특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약천집』 「시」는 첫째, 후손에 의해 간행된 일반문집이지만 남구만 자신이 자편한 듯한 자편문집의 특징을 함께 가진다. 둘째, 『약천집』의 초고를 아들 남학명과 손자 남극관이 산정하였는데 「시」부분은 남학명의 시세계가 더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그것이 남구만의 시를 선별하는데 적잖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유추된다. 셋째, 「시」는 저작연대순으로 편차되었는데, 이 편차체제는 시가 31세 이후 〈효종대왕만사〉부터 편차되었다는 사실에서는 ‘충’을, 부모님의 삼년상을 모시던 그 기간에는 단 1수의 시도 편차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는 ‘효’를 드러내는 효과를 낸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of “Yakcheonjip”(published in 1723) by Nam Gu-man(1629~1711) especially with focus on the poems in Book 1 and Book 2. For this, I have reviewe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publication of “Yakcheonjip” and identified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of Poems in “Yakcheonjip”. Nam Gu-man was one of the most talented writers of his time and was also known as one of the four key petition writers during his contemporary period so Yakcheonjip features extra focus on proses rather than on poems. However, I found the portion of poems better revealing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and sought a deeper understanding of his poems in Yekcheonjip.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in Yakcheonjip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are a general literary collection published by his descendants but also feature a self-editing collection as if they were compiled by Nam Gu-man himself. Second, Yakcheonjip was edited and compiled by his son Nam Hak-myeong and his grandson Nam Geuk-gwan and the poems seem to have reflected more of the poetic world of Nam Hak-myeong, which hints on the possibility of serving as the criteria of selecting and compiling the Nam Gu-man’ poems. Third, the poems are compiled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this compilation system demonstrates ‘loyalty’ in that the literary works started to be compiled from the 〈Eulogies for King Hyojong〉 when he was aged 31 and also discloses ‘filial piety’ in that no single poem was written during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for his parents.

      • KCI등재

        남구만의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2)

        이황진(李黃振)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5

        본고는 『약천집』과 당대의 다른 문인들의 문집에서 찾아낸 남구만과 관련된 시들을 통해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남구만의 현존시를 재검토하며,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서 『약천집』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남구만의 시 13수와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다른 문인들의 시 20여 수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남구만의 현존시는 총 294수이다. 3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1과 권2는 남구만이 처음 유배를 갔던 1679년을 기점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편집자(아들 남학명)가 이 시점을 부친(남구만)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약천집』 「시」에는 남구만의 시 외에 다른 사람의 시가 ‘부원운附元韻’(14번) 혹은 ‘부차附次’(1번)라 하여 덧붙여 지기도 했는데, 단 한번 ‘부차’가 된 것은 남구만이 두 번째 유배를 받아 경흥으로 갔을 때 지은 시에 차운한 관찰사 박태상의 시이다. 여기에는 남구만의 함경도 관찰사 시절의 업적을 되새기며 남구만의 애국심과 민족의식과 문학적 성취 등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깃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경향을 살펴보았다. 『약천집』 「시」에서는 남구만의 31세(1659년) 이전의 시작기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적잖은 만시가 산삭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데, 이는 편집자가 『약천집』에 수록할 시를 균형 있게 배분하며 선별하였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ems related to Nam Gu-man and listed in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s well as in Yakcheonjip and thereby to identify the compiling intent and compiling pattern for the part 「Poems」 in Yakcheonjip. Chapter 2 examined surviving poems by Nam Gu-man, and discovered from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presented, 13 poems by Nam Gu-man not contained in Yakcheonjip and 20 or so poems written by other writers by using the same rhymes as those of Nam Gu-man’s poems. The total number of remaining poems by Nam Gu-man, as verified by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294. Chapter 3 examined the compiling intent for 「Poems」 in Yakcheonjip. In the 「Poems」, “Book 1” and “Book 2” are divided, in terms of when the poems were written, by the year 1679 when Nam Gu-man was exiled for the first time, which may be because the compiler Nam Hak-myeong (son of Nam Gu-man), recognized that year as the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his father. Also, 「Poems」 in Yakcheonjip contains other people’s poems in addition to those by Nam Gu-man, as ‘adding the original poem whose rhyme is used in another poem)’ (No. 14) or ‘adding a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the original poem’ (No. 1), and the single example of the latter was Provincial Governor Park Tae-Sang’s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Nam Gu-man’s poem written when the latter was exiled for the second time to Gyeongheung. The intent here seems to be to remember Nam Gu-man’s accomplishments as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and to emphasize his patriotism, national awareness and literary achievements. Chapter 4 examined the compiling pattern for 「Poems」 in Yakcheonjip. All poems written by Nam Gu-man on or before 1659, when he was 31 years old, were deleted from 「Poems」 in Yakcheonjip, and due to political situations of his time, poems related to certain figures were excluded from the same. Also, one can see that quite a few poems mourning the dead were deleted, which implies that the compiler maintain balance in selecting poems to be listed in Yakcheonjip.

      • KCI등재

        최치원의 귀국 후 한시 작품 연구

        이황진(李黃振)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1 No.-

        본고는 최치원이 신라로 돌아온 이후에 창작한 시의 변화와 특징을 그의 귀국 후 생애와 관련지어 살펴본 것이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최치원의 현존시는 모두 126수로, 그 중 37수가 최치원이 귀국한 후에 지은 시이다. 귀국 후 첫 번째 시기는 최치원이 귀국한 헌강왕 11년(885) 3월부터 정강왕이 서거한 887년 7월까지이다. 이 시기는 최치원이 헌강왕의 환대를 받으며 귀국 한 후 자신의 정치적 이상과 포부를 펼칠 준비를 하던 희망 가득했던 시기이다. 하지만 헌강왕과 정강왕의 죽음으로 그들의 지지가 사라진데다가 자신을 견제하고 배척하는 귀족들이 많아지자 결국 외직으로 나가게 되며 그 희망과 포부는 점차 좌절로 바뀌게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37수의 중 이 시기에 창작된 시는 2 수이다. 귀국 후 두 번째 시기는 진성여왕이 즉위한 이후(887년 7월)부터 최치원이 아찬에서 물러난 효공왕 2년(898년 11월)까지가 이 시기에 해당된다. 이 시기는 신라가 점차 파국을 향해 치달으며 지방각지에서 민란과 반란이 끊이지 않았던 시절로 최치원은 외직을 전전하였다. 이 시기에 지어진시는 모두 20수이며, 그 시들에는 최치원의 애국ㆍ애민정신이 담겨져 있거나,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자신의 정치적 이상과 포부를 접으며 체념하게 되는 양상을 띤다. 귀국 후 세 번째 시기는 최치원이 아찬직에서 물러난 이후부터 908년까지이다. 이 기간 동안 최치원은 은거에 들어가긴 했지만 그렇다고 세간과 완전히 격리되었던 것은 아니므로 ‘소극적 은거시기’라 칭한다. 이 시기에 지은 시는 모두 6수로, 대부분 속세와의 연을 완전히 끊지 못하는 자신을 탓하거나, 온전히 탈속하고자 하는 열망과 결단을 담고 있으며, 그것이 청각적 이미지를 통해 좀 더 절실히 표출되었다. 909년부터 최치원은 속세에서 좀 더 멀리 벗어나 점차 달관의 경지, 탈속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데 이 시기를 귀국 후 네 번째 시기인 ‘적극적 은 거시기’라 칭한다. 이 시기에 지어진 시는 모두 9수이다. 이 9수의 둔세시에는 속세를 온전히 벗어나 자연을 즐기는 모습이 잘 드러나 있어, 한국 전원시의 영역을 개척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논문]최치원의 재당생애 재고찰

        이황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2 No.-

        최치원의 재당생애에 대한 연구는 한중 양국에서 상당히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논자들의 결론은 각양각색인데, 특히 최치원이 동도 유랑을 했던 이유와 그 기간, 율수현위로 부임한 시기, 율수현위직에서 물러난 시기와 임기만료 여부, 고변막부로의 입막 시기 등에 대한 견해차가 심한 편이다. 이에 필자는 한중 양국의 견해들을 토대로 이를 종합 분석하였으며, 그 바탕 위에 그간 연구자들이 최치원의 재당행적을 살필 때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당의 과거제도 중 전선제도를 그 근거로 삼아 최치원의 재당생애를 재고찰하였다. 874년 과거에 급제한 최치원은 전선제도의 규정에 따라 3년 동안 ‘수선’(관직을 받기까지 기다림)을 해야 했기에, 그 기간동안 동도유랑을 하였으며, 그 기한을 마친 후 877년 율수현위로 부임하였다. 그리고 만당시기 종구품의 임기 기한인 3년을 다 채운 후 879년 겨울 율수현위직에서 물러난 후 다음 관직을 받기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곧바로 벼슬길에 나아갈 수 있는 지름길인 박학굉사과에 응시하고자 준비하였다. 하지만 황소의 난 등으로 인해 당시 정국이 혼란해지면서 그것마저 시행이 취소 혹은 무기한 중단되자 다른 출로인 막부로의 입막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880년 여름 즈음 고변막부로 입막하였다. 对于崔致远的在唐事迹, 中韩两国都进行了较为活跃的研究。但是在一些问题上-特别是崔致远浪迹东都的原因和时间, 赴任栗水县尉的时间, 卸任栗水县尉的时间, 是否为期满卸任, 入高骈幕府的时间等, 论者们得出的结论多种多样, 看法上存在着不小的差异。为此, 笔者以中韩两国的见解为基础, 对其进行综合分析,并在此基础上, 以唐代科举制度中的铨选制度-特别是“守选”这一规定为根据, 对崔致远的在唐事迹进行再考察, 这项制度在以往研究者对崔致远的研究中是不甚受重视的。崔致远于874年科举及第, 按照铨选制度的规定, 必须“守选”三年, 因此他便在这期间浪迹东都, 并在此后于877年赴任栗水县尉。晚唐时期, 从九品的任期期限为三年, 崔致远在三年期满后卸任溧水县尉一职, 并开始为应考无须“守选”便可登上仕途的捷径—博学宏词科而做准备。但因“黄巢之乱”等原因, 当时的政局陷入混乱, 博学宏词科的考试也不得不取消或无期限中止了。崔致远在摸索中找到了入幕府这一出路, 并于880年夏进入了高骈幕府。

      • KCI등재

        Fugacity Analysi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etween Microplastics and Seawater

        이황,장세인,김승규,권정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7 Ocean science journal Vol.52 No.1

        Recently, the accumulation of plastic debris in the marine environment has become a great concern worldwide. Although plastics are biologically and chemically inert, plastic debris has been suspected of causing adverse effects on ecosystems due to the increase in reactivity by size reduction and/or micropollutants associated with plastics. Because of the high sorption capacity of microplastics toward organic micropollutants, it is suspected that microplastics may play roles in the distribution and fate of micropollutants.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net flow” of environmental contaminants in water-plastic-organism systems, a fugac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ncentration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open oceans and in polyethylene as a representative material of plastic debris. Ratio of fugacity in polyethylene to that in seawater showed a decreasing trend with increasing partition coefficient between polyethylene and seawater (KPE/sw). This indicates that phase equilibrium between polyethylene and seawater is not attained for higher molecular weight PAHs. Disequilibrium of high molecular weight PAHs suggests that transfer from seawater to plastic debris is thermodynamically driven and the role of plastic debris as a vector to transfer them to living organisms would be minimal. However, additives may slowly migrate from plastics into the environment causing potentially serious effects on ecosystems.

      • KCI등재

        Desorption of Hydrophobic Organic Chemicals from Fragment-Type Microplastics

        이황,변다은,김주민,권정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8 Ocean science journal Vol.53 No.4

        Microplastics provide an important medium for hydrophobic organic chemicals (HOCs), and the desorption of HOCs from microplastics is an important process for the dynamics of HOCs associated with microplastics. Although desorption kinetics has been studied for microplastics with ideal geometries, most of the microplastics isolated from the environment are irregular fragment-type microplastic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orption of six model HOCs from polyethylene (PE) and polypropylene (PP) fragments to artificial seawater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predicted assuming ideal geometries (e.g., sphere and infinitely flat sheet) of microplastics. The experimental desorption was explained well by the model predictions with the characteristic radius for a sphere and the thickness for a plate estimated from visual imaging. The mass fraction remaining at the later stage of desorption was higher than the model simulation assuming a single characteristic length, likely due to the heterogeneity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lthough there are inevitable uncertainties, it would be useful to assign a single length dimension in desorption modeling for even fragment-type microplastics, especially for the estimation of desorption half-life.

      • KCI등재

        수동형 Stainless Steel, Nickel-Titanium 및 엔진 구동형 Nickel-Titanium File의 근관형성 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이황,임미경,이건일,이용근 大韓齒科保存學會 199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3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haping ability of stainless-steel K file (S-S K file), nickel-titanium K file (Ni-Ti K file) and engine driven nickel-titanium file (Quantec file) in resin simulated root canal. Computed tomography was used to evaluate the change of the root canal morphology. Thirty nine resin simulated root canal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12, B:12, C:12, D:3). Resin simulated canals were scanned by computed tomography before instrumentation (1st C-T scan). Canals were instrumented using step back preparation technique with S-S K file in group A and Ni-Ti K file in group B. Group C was prepared with engine driven Ni-Ti file. Group D was uninstrumented to compare the 1st C-T scan images with 2nd C-T scan images of root canal. Instrumented canals were again scanned using computed tomography (2nd C-T scan), and reformated images of the uninstrumented canals were compared with images of the instrumented canals. In the sections of 2mm and 6mm from the apex, Quantec file caused significantly less canal transportation than S-S K file and Ni-Ti K file (p<0.05). Quantec file produced more centered than S-S- K file and Ni-Ti K file in the sections of 2mm and 4mm from the apex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moved volume of canals among the each groups (p>0.05). However the removed canal volume from the apex to 5m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m from 5mm to 1mm (p<0.05) in each groups. Under the conditions of this study, preparation with Quantec file was more effective and produce more appropriate canal shapes than S-S K file and Ni-Ti K fi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