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大統領候補 TV討論 映像構成의 커뮤니케이션 機能에 關한 比較文化 硏究 : 야콥슨(Roman Jakobson)의 構造機能主義 모델을 中心으로

        이호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title of this study is “A Cross-Cultural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Picture Composition in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The subtitle of this paper is ‘Focusing on Roman Jakobson’s Structural Function Model.”) In order to compare among different cultures, the presidential debates previously televised in South Korea, America, and Japa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Specifically, the sample includes three Korean presidential debates televised in 2007,three American presidential debates televised in 2008,and Japanese debate among candidates for Premier televised in 2005. A televised debate is the most direct tool for the political candidates to communicate with the voters with lest restriction from the media. The televised debate also provides voters with an opportunity to compare among candidates and make right choices based on accurate and diverse information. Hence, the voters watching televised debates enable participatory democracy, which also contributes to rational decision making by delivering the policy and vision of the candidates directly to the viewers, instead of using indirect message from publication or spokes persons. A notable feature of televised debate is that a television carries the specific reality of debate in this communication behavior. As a result, the voters obtain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candidates through the mass media broadcasting before they choose candidates. As the media began to broadcast debates, new questions and opinions emerge regarding the “debated delivered by television.” Hence, it is important to explore and deliberate on the picture language of television that delivers debates among candidates. This study has its aim at examin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visual factors in televised debates. Previous studies regarding televised debates usually depend on linear communication model focusing on persuasion and imp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televised debates using a structural functional communication model developed by Jakobson who is a structural linguist and symbolist. Jakobson’s model explains the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communication situation by investigating the weight of language constructs, which serve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focuses on picture language. Prior to the study, several preliminary steps were premised. First, theoretical performance was examined by looking at previous literature on the televised debate. In America, research on the televised debat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1970, while South Korea has recent literature on the televised debate in political communication field. However, studies that examine the televised debate focus in gona non-lingual image were extremely scarce. As a next step, studies on the media production and media aesthetics were analyzed in order to prepare a framework for image research, from which I could find the picture composition factors used by image communication scholars in their previous image analysis research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ose factors that compose image frame are systematically categorized into several factors, including size of shot, number of persons, movement of camera, candidates’ sight line, reaction, etc. Finally, results from the image structure analysis are applied to the Jakobson’s communication model. Based on his linguistic background, Jakobson suggests six elements that constitute communication and explains communication function of each element. His model is evaluated as a comprehensive model that contains both the delivery procedure and the structural symbolic concept of meaning share. Even though Jakobson’s functional model is understood from linguistic background, its potential as a functional model for visual communication was also sufficiently mentioned. The six factors are as follows: ① addresser, ② address, ③ code, ④ message, ⑤ channel/contact, and ⑥ context. In Jakobson’s communication functional model, diversity of communication is created according to which functions are dominant and which are not, rather than determined by one specific function. That is, it results from the diversity of order of the functions, while the order is determined by dominant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 Diversity shown in each element is a result from the formation of hierarchy among various functions instead of a single dominant function. Hence, it changes according to what is emphasized. Based on what was found so far,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composition in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in South Korea, America, and Japan and how do they differ?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picture composition in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in South Korea, America, and Japan? As for the research question 1, the picture composition elements in televised debates were coded for individual country to obtain frequency, whose significance was tested using Chi-square 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items revealed significance. Especially, the frequency of the number of persons differs among South Korea, America, and Japan, while the size of figure was very diverse in case of Japan. On the other hand,South Korea showed limited type. Even if this can result from the debate type, it certainly was related to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society that perceives television. The research question 2 examines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from research 1by applying it to the communication functional model.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turns out that what is chosen in the picture and how they are aligned to compose language depend on the culture or ideology of the society. Here, Jakobson’s functional structural model explains well the communication function reflect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culture or country. An emotive function that emphasizes addressor’s role is observed picture composition. The figure size that imp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ndidates and viewer(voters) was measured by the bust shot(BS) which implies personal or friendly (or uncomfortable).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ve function was emphasized in South Korea compared to America. Televised debates in South Korea are broadcasted in limited images emphasizing impartiality and the debate is more focused on the candidates than on the viewer. Especially, the images in case of South Korea are usually one-shot(1S),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e emotive function by focus in the expression of the addresser as the first person. A conative function, which can be explained by demand, persuasion, and direction of the message on the address, is often used in advertisement. This function is well shown in picture composition in the case of South Korea with it‘s persuasive image centered at candidates and the first and third American debates, where the candidates do eye contact with viewer. Especially in case of South Korea,the sight line of candidates, i.e., staring at camera, shows a typical feature of the conative function. A referencial function which emphasizes communication subject, which distinguishes it from emotive function or conative function, was seen in the second American debate which was town hall type. As is observed in media analysis, we can see that the candidates focus on the message of the debate without paying much attention to the presence of camera. The media expression is such that diverse images follow the message and debater. A poetic function centered at expression and the aesthetical function that determines the message and its expression are observed in Japanese Premier debates which showed aesthetical images of relatively liberal media without special regulation of picture composition. The Japanese televised debate images are expressed in a way similar to how unpredicted contexts are expressed in entertainment programs and they do not consider balance among the candidates.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image size and the number of people were also open to changes. In American and Japanese cases, a metalinguistique function is observed, which increases accuracy (reliability) of the message that the televised debate attempt to deliver through diverse suggestions of information. In case of South Korea,the viewers’media exposure is limited due to the limited image. A phatic function, which emphasizes contacts, puts great weight on channel. It regards the participants’ contact as an important factor, instead of emphasizing the contents of the message themselves. In televised debates in South Korea, candidates focus on contacting voters, i.e., through the channel. Especially, this can be seen from the sight line,size, and number of people that are observed in imag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 televised debate was taking a new form in Asian countries where debate culture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yet. This is represented by South Korea and Japan where the debate has become abroad casting program. Especially, in case of South Korea,the televised debate functions as a one-way delivery of a person’s message, rather than a debate among candidates. This feature was observed in other elements as well. For Japanese, a televised debate has a poetic function that delivers or expresses context rather than contents. Diverse camera skills draw viewers’ attention and interest. It does phatic function as well. Meanwhile, in case of South Korea, somewhat obsessive attitude was observed that tries to maintain balance and impartiality of the debate. It eventually has a referencial function delivering information,while fulfilling conative function as well. In case of America, the recently held televised debates followed three different types. Especially, the town hall type produced a new viewpoint by letting the viewers to participate in the debate. The new concept of voters’participation and its dynamic feature resulted in new picture composition in the image expression. In South Korea, the televised debate has referencial function that honestly delivers fixed message in a regulated frame work. In South Korea, a view point that regards TV as enlightening and educational tool lies in the background. This study showed that each country has realized the televised debate in its own way according to its culture. Different picture expression style can open a new debate according to the context. As a result, the communication function was also implemented in a different way. All in all, we could see that the image is also one aspect of cultures and it is indeed an important communication activity that reflects culture of the members.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의 대통령 후보 TV토론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시기적으로는 한국은 2007년 대통령 TV토론 3회, 미국의 경우는 2008년 대통령 선거 TV토론을 3회, 일본의 경우는 2005년 당수 토론회를 분석하였다. TV토론은 미디어의 통제가 적은 상태에서 정치후보자들이 유권자와 소통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수단이다. 그리고 TV토론은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유권자가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후보자들을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유권자들의 TV토론 시청은 참여 민주주의를 가능케 하고 언론이나 선거 대변인을 통한 간접적 메시지보다 후보자들의 정책과 비전을 유권자들이 직접 접함으로써 합리적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TV토론이 커뮤니케이션 행위에서 주목되는 특징은 ‘토론’이라는 구체적 현실을 ‘TV’가 매개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유권자는 후보를 선택하기에 앞서서 후보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매스미디어의 중계를 통해 학습하게 된다. 미디어가 토론을 중계하게 되면서 ‘TV가 제공하는 토론’에 대한 새로운 질문과 시선이 등장하게 된다. 즉 후보자의 토론을 전달하는 텔레비전의 영상언어에 대한 탐색과 성찰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TV토론을 구성하는 영상요소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전의 TV토론에 관한 연구는 주로 설득과 영향력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배경도 선형적인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집중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들과 차별적으로 러시아의 구조주의 언어학자 이면서 기호학자인 로만 야콥슨의 구조기능주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통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야콥슨의 모델은 언어 구성요소의 비중을 통하여 입체적이고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설명하는 모델이다. 특히 영상언어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는 매우 적합한 모델이라고 생각되었다. 연구는 몇 단계의 사전 조사가 전제 되었다. 우선 TV토론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그간의 이론적 성과를 조사하였다. 미국의 경우 TV토론에 관한 연구는 1970년부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한국의 경우도 2000년대에 정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TV토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TV토론에 관한 연구에서 비언어적인 영상에 관한 연구는 그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다음단계로 영상연구를 위한 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영상 제작과 영상 미학에 관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상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의 영상분석에서 사용하는 영상구성의 요소들을 확인하였다. 이전의 연구들에서 영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샷의 크기, 인물 수, 카메라의 움직임, 후보자의 시선, 리엑션 등을 체계적으로 분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상구조 분석의 결과를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야콥슨은 그의 언어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을 구성하는 여섯 개의 요소들을 제시하고, 이들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이 각각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의 커뮤니케이션 기능들은 전달적 중심의 과정과 의미공유의 구조주의적 기호개념의 성격을 함축하는 통합적 시각의 모델로 평가받는다. 특히 야곱슨의 기능모델은 언어학적 배경으로 이해되지만,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기능모델로서의 가능성도 충분히 언급되었다. 여섯 가지 요소는 ①말하는 사람(발신자, addresser), ② 듣는 사람(수신자, address), ③ 부호(code, 약호) ④ 메시지(message), ⑤채널(channel, 접촉(contact)), ⑥상황(문맥, 장면 context)으로 설명되어 진다.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모델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다양성은 특정한 한 가지 기능이 작용하는데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어떠한 기능이 지배적이고, 부수적인가에 따라 만들어 진다. 즉 기능들이 수행하는 순위질서가 갖는 다양성에 놓여있는 것이고 배열구조는 그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지배적 기능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달라진다. 각 요소들에서 보이는 다양성은 기능 중의 어느 하나만의 독점적인 기능을 발휘해서가 아니라 이들이 서로 다른 위계순위(位階順位, hierarchical)를 형성하는데서 비롯되며 그 강조점이 어디에 있는가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두 개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 > 한·미·일 대통령후보 TV토론에서 나타나는 영상구성의 특성과 차이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2.> 한·미·일 대통령후보 TV토론에서 나타나는 영상구성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1>의 결과를 위하여 나라별로 TV토론의 영상의 구성요소를 코딩하여 빈도수를 확인하였고, 이를 카이스퀘어 검증을 통하여 유의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유의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인물 수의 빈도에서는 한국과 미국, 일본이 차이를 보였고, 인물의 크기(사이즈)에 있어서는 일본의 경우가 매우 다양함을 보였다. 반면 한국은 제한된 유형을 보였다. 이는 토론 형식에서 오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 사회가 텔레비전을 인식하는 문화적 토양에서 오는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2>는 <연구 문제1>에서 도출된 결과를 커뮤니케이션 기능 모델에 적용하여 그 함의를 살피는 것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영상에서 무엇을 선택하고 배열하여 언어를 구성하는지는 그 사회의 문화 혹은 이데올로기에 의존함을 살펴보게 되었다. 특히 야콥슨의 구조적 기능주의 모델은 각 문화권 별로 혹은 국가 별로 차이를 보이면서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해주고 있었다. 송신자의 비중이 강조되는 정서적 기능이 각 나라의 TV토론 영상구성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후보자와 시청자(유권자)의 관계를 의미하는 인물사이즈는 개인적이거나 친근함(혹은 부담스러움)을 의미하는 바스트 샷(BS)의 비중으로 확인되었다. 정서적 기능은 한국의 경우가 미국에 비하여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TV토론은 제한된 영상을 기계적 공정성을 근거로 방송하고 있었다. 즉 시청자 보다는 후보자 중심으로 영상이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원샷(1S)이 중심인 한국의 영상은 정서적 기능이 1인칭 중심으로 <말하는 사람>의 표현에 집중하는 기능을 잘 설명해 준다. 수신자에 대한 메시지의 요청, 설득, 지시를 중심으로 설명되는 지시적 기능은 선전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영상구성의 요소 중 후보자 중심의 설득적 영상을 보이는 한국의 경우와 미국의 1,3차 토론에서 시청자에게 시선을 맞추는 경우가 이를 설명해 준다. 특히 한국의 경우 토론이라고 보기 어려운 카메라를 보는 후보자의 시선은 지시적 기능의 전형적인 모습을 영상에서 보여주고 있다. 감성적 기능이나 지시적 기능과 차별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대상에 초점을 맞추는 정보 공유의 기능은 미국의 2차 토론인 타운홀 방식에서 볼 수 있다. 영상 분석에서 볼 수 있듯이 카메라를 의식하지 않고 토론의 메시지(주제)에 집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양한 영상을 통하여 메시지와 토론자를 뒤쫓는 영상 표현을 보이고 있다. 표현 중심의 시적기능, 즉 메시지와 그것의 표현을 정하는 미학적 기능은 영상구성의 특별한 규제가 없이 미디어의 자율적인 미학적 영상을 보인 일본의 당수 토론회에서 발견 되었다. 일본의 TV토론 영상은 후보자의 기계적 균형성에 대한 고려가 없고, 예능프로그램의 돌발적 영상과 같이 다양한 영상 표현을 구현하고 있다. 영상의 사이즈와 출연자의 수 등에서도 대부분의 표현을 열어놓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보의 다양한 제시를 통하여 TV토론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정확성(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메타 언어적 기능이 미국과 일본에서 발견된다. 한국의 경우는 제한된 영상으로 인하여 시청자의 미디어 노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접촉을 중요하게 보는 교감적 기능은 채널의 비중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메시지의 내용보다 참여자들의 접속 자체에 의미를 두는데, 한국의 TV토론은 후보자가 시청자인 유권자에게 채널을 통하여 접촉하는데 집중하는 모습을 영상구성에서도 보여준다. 특히 영상에서 발견되는 시선, 사이즈, 인물 수 등에서 발견된다. 연구 결과에서 TV토론은 토론문화가 발전하지 못하였던 동양에서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한국과 일본은 토론을 방송 프로그램화하면서 재구성하고 있었는데, 특히 한국의 경우는 토론이라기보다는 토론자의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TV토론에서 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다른 요소에서도 발견되었다. 일본인에게 있어서 TV토론은 내용보다는 상황을 전달하거나 표현하는 시적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다양한 카메라 기법을 통하여 시청자의 흥미를 이끌어 내는 기능을 한다. 교감적 기능을 한다. 한국의 경우는 균형성과 공정성을 지키려는 강박적 모습을 보인다. 결국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공유기능을 수행하고자 한다. 한편으로 지시적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경우는 최근 개최된 TV토론에서 세 번 모두 다른 방식으로 TV토론을 이끌었다. 특히 타운 홀 방식은 시청자를 토론에 참가시킴으로써 새로운 관점을 생산해 냈다. 유권자의 참여라는 새로운 개념과 역동성은 영상표현에서도 새로운 영상구성을 선보였다. 한국의 TV토론은 정해진 틀 속에서 정해진 메시지를 충실하게 전달하려는 정보고유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결국 TV를 계도적이고 교육적으로 보는 관점이 바탕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각 나라는 TV토론을 문화적 통양에 근거해서 새롭게 실현하고 있었다. 영상의 다른 표현 양식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새로운 담론을 생산한다. 그래서 커뮤니케이션 기능도 다르게 실현되고 있었다. 결국 영상도 문화의 한 단면임을 볼 수 있었고, 또한 구성원의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고3 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MBTI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이호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ntended to examine an effect on school adaptation of entrance examination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of high school seniors. Also it intended to confirm differences of an effect of entrance examination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on school adaptation by genders, 4 preference indexes of MBTI and 8 MBTI character types.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for seniors (127 male students, 113 female students) in 4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Incheon district. As a measurement tool of a survey, MBTI character type test is MBTI test (94 questionnaires) of Korean version which is used currently. Also GS type which is self-grading type was used in MBTI entrance examination stress scale developed by Lee Miri and Jung Hyunsook(1997) revised and complemented by Lee Heeja (2007)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it was utilized in entrance examination stress. The scale developed by Folkman and Lazarus(1984) was revised by Kim Eunjung (1999) and it was used in stress coping method. Finally, the scale of school adaptation was made by Kim Yongrae (1993) and it was used in school adaptation.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bstracted as follows. First, entrance examination stress, stress coping method and school adaptation were analyzed by gender. As a result, male students cognized entrance examination stres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parents pressure and examination tension/ poor grades. In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male students coped with stress better than fe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in school adaptation. It means that male students cognized entrance examination stres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nd coped with stress better than female students. Second, an effect of entrance examination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on school adapt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examination tension/ poor grades made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and social support coping method made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Third, entrance examination stress, stress coping method and school adaptation were analyzed by 4 MBTI preference indexes. As a result, Extraversion recognized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more highly than Introversion in Extraversion-Introversion type index and recognized higher in school teacher adaptation. In Sensing-Intuitive type index, Intuitive type recognized more highly than Sensing type in social support coping method and emotional relief coping method. In Thinking-Feeling type index, Thinking type recognized more highly than Feeling type in pressure of parents. Feeling type recognized more highly than Thinking type in hopeful coping method. Judging-Perceiving type index, Perceiving type recognized more highly than Judging type in insufficiency of leisure life and Judging type recognized more highly than Perceiving type in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and Perceiving type recognized more highly than Judging type in social support coping method and emotional relief coping method. Also Judging type recognized more highly than Perceiving type in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school teacher adaptation, school class adaptation, school friend adapt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an effect of entrance examination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on school adaptation was analyzed by 8 MBTI character types. Extraversion type and Feeling type made a negative effect of examination tension/ poor grades on school adaptation. Also Extraversion type showed a positive effect of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and social support coping method on school adaptation, but emotion relief coping method made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Feeling type showed a positive effect of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and social support coping method on school adaptation. In addition, Introversion type, iNtuitive type and Judging type showed a positive effect of problem-focused coping problem on school adaptation. Sensing type and Perceiving type showed a positive effect of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and social support coping method on school adaptation. Finally, Thinking type showed a positive effect of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on school adaptation. But emotion relief coping method showe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In conclusion,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Extraversion type and Feeling type students have lots of examination stress in examination tension and poor grades. And students were well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by utilizing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and social support coping method which is active coping methods. This research results imply that students must recognize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accurately so as to help effectively on school adaptation. Also this thesis studied an effect of entrance examination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on school adaptation through the MBTI character type of high school seniors. 해마다 우리나라 고3 학생은 ‘수학능력시험’이라는 대학입시관문을 앞두고 입시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스트레스는 모든 병의 근원이 되는 만큼 제대로 대처를 하지 않으면 부적응, 우울, 자살이라는 위험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입 시험 준비를 열심히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 시기에 입시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인식하고 적용한다면 청소년들에게 나타나는 위험요인들이 줄어들 것이다. 따라서 현재 성격유형검사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MBTI 성격유형검사를 통해 자신의 성격을 바로알고, 더 나아가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인식하고 적용한다면 고3 학생의 학교적응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고3 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입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 MBTI 4가지 선호지표, MBTI 8가지 성격유형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경기도와 인천광역시 외곽에 위치한 4개교의 고3(남학생 127명, 여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에 사용한 측정도구로 MBTI 성격유형검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MBTI 한국어판 검사(94문항)이며 자기채점식인 GS형을 사용하였고, 입시스트레스는 이미리와 정현숙(1997)이 개발한 입시스트레스 척도를 이희자(2007)가 수정하고 보완한 도구를 활용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Folkman과 Lazarus(1984)가 개발한 척도를 김은정(1999)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적응 척도는 김용래(1993)가 제작한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MBTI 선호지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둘째, 변인간의 성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입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입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정적 혹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변인간의 MBTI 4가지 선호지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t-test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MBTI 8가지 성격유형(E, I, S, N, T, F, J, P)에 따라 입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정적 혹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입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적응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님 압력과 시험 긴장/성적부진에서 입시스트레스를 더 높게 인식하며, 문제 중심 대처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적응에서는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입시스트레스를 더 높게 인식하며, 적극적 대처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입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시험 긴장/성적부진이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문제 중심 대처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BTI 4가지 선호지표에 따라서 입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적응을 분석한 결과 외향-내향(EI) 지표의 경우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 문제 중심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학교 교사에 대한 적응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각-직관(SN) 지표의 경우 직관형(N)이 감각형(S)보다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와 감정완화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고-감정(TF) 지표의 경우 사고형(T)이 감정형(F)보다 부모님 압력에서 입시스트레스가 높았지만, 감정형(F)은 사고형(T)보다 소망적사고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판단-인식(JP) 지표의 경우 판단형(J)은 인식형(P)보다 문제 중심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학교 교사, 학교수업, 학교친구, 학교생활에 대한 학교적응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인식형(P)은 판단형(J)에 비해 여가생활 부족에서 입시스트레스가 높았고,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와 감정완화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입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MBTI 8가지 성격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외향형(E)과 감정형(F)의 경우 시험 긴장/ 성적부진에서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향형(E)의 경우 문제 중심 대처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감정완화 대처는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정형(F)의 경우 문제 중심 대처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내향형(I), 직관형(N), 판단형(J)의 경우 문제 중심 대처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각형(S), 인식형(P)의 경우 문제 중심 대처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고형(T)의 경우 문제 중심 대처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감정완화 대처는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외향형(E)과 감정형(F) 학생이 시험과 성적에서 입시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적극적 대처방식인 문제 중심 대처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를 활용함으로써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정확히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고3 학생의 MBTI 성격유형을 통해 입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자아 표현적 소비성향이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팝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중심으로

        이호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는 감성 문화의 시대로서 소비자의 감성과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중심의 시대이다. 이러한 현대 소비자들의 지적, 감성적 욕구는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예술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예술의 특징을 상업적 제품과 결합한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은 일반 제품이 제공하는 가치에 부가하여 특별한 의미 혹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현대의 개성적 소비자들에게 관심과 흥미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자아 표현적 소비성향의 주요 특성인 물질주의 과시적 성향, 독특성 욕구, 체면의식 성향들이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 및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물질주의 과시적 성향, 독특성 욕구 및 체면의식은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태도는 제품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있는 소비자가 타인에게 이 제품을 추천 하려는 의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자아 표현적 소비성향의 세 가지 주요 특성은 모두 아트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후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세 가지 특성을 고려한 제품의 구성 및 판매 전략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을 구매할 의도가 있는 소비자는 타인에게 추천하지 않는 등 자신을 위한 독특한 소비성향을 나타내므로 이를 고려한 접근법의 적용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 자아 표현적 소비성향, 아트 콜라보레이션, 구조방정식, 소비자 문화예술 Recently, it is an era of emotional culture that are consumer-oriented which emphasizes on consumer’s emotions and personality. In the modern consumers, intellectual and emotional need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the main means to satisfy these desires is through art. Characteristic of arts when combined as art collaboration with commercial products can provide special meaning or value to general products that arouses the interest of modern consumer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odern self - expressive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unique desires, attitude of consumers’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art collaboration products towards both product purchase and recommendation of product are analyzed. As a result, the self-expressive consumption propensity tendency characteristic ,unique desires and the conspicuous consumption attitude towards art collaboration products in the intention to purchase and to recommend the product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consumers that have the intention to purchase art collaboration products do not have the intention to recommend to others. The study implicates that all three main characteristics of self-expressive consumption propensity has a significant effect towards art collaboration product purchase and post purchase behavior. It is necessary to apply strategies and configuration for sales by considering these three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ws that consumers with unique consumption propensity for oneself that have the intention to purchase but not recommending it to others will need to be approach through other application Keywords : self-expressive, art collaboration, structural equation, consumer, cultural art,

      • 상이한 비례대표제 운용의 정치적 효과 비교연구 : 한국과 일본의 선거제도개혁을 중심으로

        이호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과 일본은 큰 그림에서 볼 때,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라는 동일한 유형의 선거제도 운용 국가로서 분류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미시적 차원에서는 커다란 상이성이 존재한다. 비례대표제의 운용을 살펴보면, 일본의 비례대표제를 통한 의원 선출의 비율이 한국의 두 배 이상으로 그 격차가 매우 크다는 점과 한국과 달리 일본은 비례대표제에 중복입후보제를 허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양국의 상이한 비례대표제 운용을 고려했을 때, 전반적으로 일본이 한국보다 비례대표제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개혁 이후 두 국가의 정당체계는 양당체계에 가까운 유사한 정치적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례대표제 운용의 상이성을 지닌 병립제의 도입이 왜 궁극적으로 다당체계를 유인하지 못하고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도 양당체계로 수렴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선거제도 개혁을 중심으로 두 국가의 상이한 비례대표제 운용이 가져온 유사한 정치적 결과의 원인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한국의 선거제도 개혁은 1인 2표제하의 비례대표제 도입을 통해 비례성의 신장과 군소정당의 약진을 가져왔지만, 18% 안팎의 낮은 비례대표제 비율은 선거제도 전반의 비례성을 높이기에는 역부족으로서 개혁의 효과를 제한적으로 만들어 기존의 양당체계적 경향을 그대로 지속시켰다. 일본의 선거제도 개혁은 일본의 선거정치 환경을 개인 후보자 중심에서 정당과 정책 중심으로의 변화를 가져왔으나, 높은 비례적 선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한국과 상이한 비례대표제의 운용은 양당체계를 유도하는 소선거구제의 압력을 억제하는 정치적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일본의 비례대표제 운용에 대한 분석을 정리하면, ‘권역구’ 단위 시행으로 인한 비례대표제 효과의 상쇄 및 중복입후보제가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미미함 등으로 인하여 양당체계적 경향이라는 한국과 유사한 정치적 결과의 도출로 귀결되었다고 요약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은 각각의 정치적 대표성과 안정성이라는 대의제 민주주의의 원리?원칙을 더 높은 수준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선거제도 개혁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두 국가 모두 소선거구제의 비율이 더 높은 소선거구제에 경사된 혼합형 선거제도를 기본 틀로 유지하고, 일본의 경우 더 높은 비례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한국과 상이한 비례대표제의 운용은 여러 요인에 의해 그 정치적 효과가 상쇄되면서 소선거구제의 영향력을 억제하지 못했다. 그 결과 비례대표제 운용의 상이성을 지닌 한국과 일본의 선거제도 개혁은 양당체계적 성격을 띠는 정당체계의 형성이라는 유사한 정치적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 기독교 생태운동에 관한 선교학적 연구

        이호은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 생태문제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그 동안 세계 교회들은 WCC를 중심으로 생태위기에 대한 신학적 반성과 성찰을 시도해 왔고 한국교회들도 각 교단별로 또는 연합체를 통한 생태운동들을 전개해 왔다. 그리고 기독교 생태운동 단체들도 다양한 생태 운동들도 펼쳐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생태운동에도 불구하고 생태위기의 원인에 근접할 만한 생태운동들을 펼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고에서는 그동안의 기독교 생태운동의 한계를 분석하고 새로운 생태운동에 관한 패러다임을 모색해 보았다. 오늘날 전지구를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도전은 바로 환경파괴와 생태계의 위기라고 말할 수 있다. 오늘날 환경파괴는 우주적 재난을 가져올 만큼 심각해졌다. 세계 곳곳의 기상이변으로 인한 가뭄과 홍수, 폭풍과 폭설 등은 이제 일상적인 뉴스가 되었고 계절의 파괴로 어떠한 재난이 닥쳐올지 누구도 예상할 수 없게 되었다. 이제 계절마다 찾아오는 황사나 엘리뇨같은 현상 등 기상이변에 대한 전문 용어까지도 일상화되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사용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생태위기의 현상을 3가지로 요약하면 크게 대기오염, 토양오염, 수질오염이라고 말할 수 있다. 대기오염은 오존층의 파괴와 지구 온난화, 산성비 등과 같은 현상들로 표출되고 있고, 토양오염은 화학비료와 쓰레기 매립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의 황폐화를 말하며, 수질오염은 산업 폐수등으로 나타나는 강과 하천, 바다의 오염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오염은 개별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그 오염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토양의 오염은 결국 지하수의 오염으로 이어지고 지구 온난화와 같은 대기오염은 결국 토양의 사막화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생태라는 것이 서로의 관계성에 중요한 가치를 두고 있는 것처럼 하나가 무너지면 전지구의 생명들이 모두 위협받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생태위기의 원인들에 대한 분석이 다각적으로 일어나고 있는데 크게 4가지 정도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는 기독교 안의 이원론적인 세계관의 원인이고, 둘째는 현대인의 소비생활양식의 문제, 셋째는 세계 정치·경제·사회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고, 넷째로는 도시화와 환경상품화를 들 수 있다. 오늘날 교회들은 이 문제에 대해서 어떠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가? 이제까지 한국 교회들은 개 교회 성장에 치중한 나머지 이러한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나 환경단체들의 몫으로 돌려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WCC 총회들을 통해서 생태문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한국의 교회들도 생태문제에 조금씩 눈을 뜨기 시작하였다. 세계교회들은 이미 1961년 인도 뉴델리 WCC 3차 총회 때부터 창조세계의 위기와 생태파괴의 문제에 대해서 암시하기 시작하였고 계속되는 총회들을 통해서 생태문제가 오늘날 교회가 감당해야할 일차적 사명으로 인식해 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의 정점에 1990년 서울에서 개최된 JPIC 서울대회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교회는 1990년 JPIC 서울대회 이후로 급속도로 생태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각 교단들 마다 생태문제를 주관하는 기구들을 두기 시작하였고, NCCK(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과거 KNCC)를 중심으로 에큐메니칼 생태운동들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지금 개교회의 차원으로 계속적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교회들의 활동보다 더 일찍이 환경운동을 시작한 기독교 환경운동단체(NGO)들은 교회의 생태운동에 동기부여와 실천에 관한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회들의 환경 운동에는 여러 가지 한계점들이 존재한다. 특별히 앞에서 언급했던 생태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현대인들의 소비생활 방식이나 도시화, 정치·경제·사회적 구조의 원인들에게는 접근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교회에서 진행되는 생태운동이라는 것들이 대부분 프로그램이나 일회적인 행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기독교인들의 실제적인 삶 속으로 스며들어가는 생태운동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근본적인 원인에 접근할 만한 생태대안운동들을 찾아야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대안으로 4가지 생태운동의 대안적 패러다임을 제안하였다. 첫째로는 현대인의 소비생활 양식의 대안으로서 생태공동체 운동이 있다. 이미 10여 년 전부터 이러한 움직임이 활발히 시작되고 있는 중이다. 도시에 살고 있는 현대 그리스도인의 소비적인 삶에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삶을 지향하는 생태공동체의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효율성과 생산성을 최고의 가치로 추구하던 도시의 삶에서 벗어나 생태적인 삶을 통해 직접 땀을 흘리며 느림의 아름다움을 배우는 경험만이 소비중심의 현대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구조에 변화를 꽤할 수 있는 길이라 여긴다. 두 번째 대안으로는 정착형 유기농업 운동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바로 생태위기의 중요한 원인 중에 하나인 도시화의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도시의 삶은 어쩔 수 없이 반 생태적인 삶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동차를 이용해야만 하고, 포장지로 덮여진 물건들을 구입해야만 하며, 대량의 소비를 충족시키기 위해 농약과 유전자 변형을 통한 대량 생산의 농산물들이 공급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독교인들이 도시를 떠나 시골에 정착하여 반생태적인 농업을 지양하고 유기농법을 통한 생산의 길을 실천해 가야 한다. 세 번째 대안으로는 생태 대안학교 운동이 있다. 기독교 생태운동의 또다른 한계는 바로 기독교생태전문가들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생태적 삶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생태적 삶의 가치를 배울 수 있는 대안학교에서 기독교 생태 전문가들이 양성되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생태대안학교를 통해 극복해 갈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한다. 마지막 대안으로서 타종교와의 연대운동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생태위기의 정치·경제·사회의 구조적 원인에 대한 대안이다. 환경문제는 한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가 연결되어 있는 문제이다. 예를 들어, 오염된 대기는 기류를 타고 다른 나라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탄소배출권거래제를 실시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의무를 다하도록 세계가 열을 올리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이미 선진국에 도달한 국가는 환경과 생태문제의 위기를 느끼고 국제적으로 이러한 각종 환경규제법안들을 만들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개발도상국에 속한 나라들은 선진국에 진입하기 위해 계속적인 발전을 위해 이런 환경규제법안들에 반대하는 입장에 서있다. 이러한 세계 정치·경제의 구조적인 한계의 대안은 종교들 간의 연대를 통해 극복할 방법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왜냐하면 종교 안에는 공통적으로 생명사상이 흐르고 있기 때문이며, 국가간의 이권을 초월한 전인류적 차원의 공동선을 추구할 수 있는 기반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대안들을 통해 생태위기의 원인들에 근본적으로 접근한 기독교 생태운동들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