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안 피서리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특성

        이헌종,정철환,박성탄,Lee, Heon-Jong,Chung, Chull-Hwan,Park, Sung-Tan 한국제4기학회 2010 제사기학회지 Vol.24 No.2

        무안 피서리유적은 최근 서남해안 일대에서 확인되고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들에 대한 의미 있는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무안 피서리유적에 대한 층위 및 지질학적 분석결과는 토양쐐기의 특성이 토양의 굳기나 토양내부의 성분 함량 및 고지표면의 기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해주고 있다. 피서리유적에서 중기 구석기 늦은 단계 또는 후기 구석기 이른 단계의 석기들이 함께 출토되었는데 이는 이들 석기가 산출되는 문화층이 최대 빙하 발달시기 이후에 형성되었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활발한 침식과 재퇴적에 의해 여러 시기의 유물이 함께 재퇴적된 결과일 가능성을 지시해 주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구석기 유물의 분포와 토양쐐기와 같은 토양층의 특성은 고지표면의 기복 및 기후환경과 같은 자연환경적 조건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The Piseo-ri site in Muan provides significant data in investigation on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Stratigraphic and geological analysis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soil wedge can vary in accordance with soil property and relief of paleo-surface. Considering that the cultural layer was deposited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co-occurrence of the late Middle to early Upper Paleolithic stone tools suggests a possibility of redeposition of different ages resulted from active ero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Paleolithic tools and the property of soil wedge could be controll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relief of paleo-surface and climate.

      • KCI등재
      • KCI등재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시대 초기 현생인류의 등장과 확산기의 문화적 역동성 연구

        이헌종(Heon-Jong LEE) 한국구석기학회 2018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8

        최근 동북아시아와 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후기구석기시대 초기(IUP) 현생인류의 증거는 다양한 연구와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원지 논쟁에서 시베리아를 IUP 집단 확산의 출발점으로는 보는 견해와 IUP의 기원지는 중앙아시아로 볼 수 있으며, 인류의 장거리 이동의 결과물이라고 보는 견해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알타이 지역의 르발루아 기술이 포함된 돌날석기제작기술의 초기의 특징은 ‘기원지 효과(origin effect)’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알타이지역에만 국한된 특징이라고 확정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이 지역에는 돌날문화의 기원지에서 나타나는 석기제작과정과 적응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만일 다른 지역을 IUP의 기원지로서의 특징을 규정하려면 그 일대에서 복합적인 기술체계가 나타나는지의 여부를 검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IUP의 특징은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각 지역의 석재와 생계자원의 특징에 따라 강한 지역성을 갖고 정착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중기-후기 전환기에 자갈돌석기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석기문화와 한반도로 이주한 돌날석기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인류가 공존하였다. 그리고 자갈돌석기전통의 유적의 일부에서는 돌날석기문화의 기술체계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동북아시아의 일부 지역에 서는 현생인류의 이주에 앞서 각 지역에 점거하고 있던 인류의 석기문화는 르발루아기술과 돌날석기제작기술의 융합된 형태 와는 전혀 연관이 없는 지역적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 석기문화는 시간적으로 전통적인 IUP 시기를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문화상은 전통적인 IUP 개념으로 모두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시아적 시각으로 이 시기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중기-후기의 전환기와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문화상을 1) 유형 I: 전통적인 IUP지역, 2) 유형 II: IUP 융합지역, 3) 유형 III: 보수적 지역으로 나눈 ‘세 후기구석기초기 유형 모델(Three IUP Variants Model)’을 활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모델은 중기-후기 과도기에서 후기구석기시대의 시작 시기를 IUP로 설정하고 그 이후 현생인류의 문화상을 편년하는 것이 인류의 등장, 석기제작체계의 다양성과 융합과정 등을 체계적 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studies and argument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odern men from the IUP spread in many regions in North and Northeast Asia. Among them, here are two major opinions; One is to define Siberia as the starting point of dispersal. The other is to define the origin of IUP as Central Asia, and the dispersal occurred as a result of long distance movement. The earl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lade tool making skills found in Altai show the features of “origin effect” very well. Though it may be too early to conclude that these features are limited to Altai region, there is no objection in such findings. To suggest other region as the origin of IUP, the technical complex of that region must be verified. Different industries of IUP was dispersed widely through Northeast Asia and each of them could be settled based on the local stone and resources for living. Meanwhile, the stone tool industry of previous humans before modern men in Northeast Asia had some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have no relation to the fusion of Levallois technique and blade tool producing technique but went through the traditional period of IUP. These several regions in Asian continent have abundant characteristics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raditional IUP concepts any longer. Therefore, new IUP concepts should include the migration of humans and all formation process of regional industry of Upper Paleolithic through the transition of Middle to Upper Paleolithic and then be divided into different cultural areas and variants. If IUP concepts are defined from this perspective as a Three IUP Variants Model , it will be much easier to understand the hybridization and division of various technological systems of stone tool making and their settlement process, which appeared in each region in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and in the EUP.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과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성의 상관성 연구

        이헌종(Lee, Heon-Jong) 한국상고사학회 2004 한국상고사학보 Vol.44 No.-

        본 연구에서는 서구에서 대체로 후기구석기시대로 보고 있는 40,000년 전 전후의 절대연대를 낸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유적들의 석기문화를 기준으로 그러한 석기문화가 언제부터 나타나서 언제까지 지속되며 특히 후기구석기시대로 규정할 만한 어떤 기술형태적인 변화가 있는가 하는 점을 보고자 하였다. 절대연대를 통해서 자갈돌석기전통이 연속되고 있다는 증거들이 그동안 불충분하였으나 최근 자료들을 통해서 보다 분명한 문화적인 현상이었음을 밝혀 낼 수 있었다. 후기구석기시대에 접어들면서 중기구석기시대의 자갈돌석기전통이 약 25,000년 전까지 동일한 석재와 대표적인 중량석기들을 유지하며 새로운 격지석기들을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에 따른 기술형태적 특성이 격지를 얻는 단계로부터 변화가 일어났다고 생각된다. 한편 그러한 변화에 따라 중기구석기시대의 마지막단계에서 시도되어온 새로운 석재에 대한 탐구도 지속되었다. 격지석기들 가운데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환경에 적응된 지표석기인 슴베찌르개와 같은 석기들도 활용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New C-14 dating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understand cultural character and chronology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On the resul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chronology and techno-typological character Upper Paleolithic started and developed to base on the pebble tool traditional from 40ka to 25ka B. P. Paleolithic sites dated by the 40ka-50ka are Bongmyungdong site, Hahwagaeri site and Dangga site. Absolute dating data on paleolithic sites dated by 40ka-25ka are getting more increase. Typical sites are Nobong site, Gigok site, Jeongjangri site, Yonghodong site and Hopyongding site. On the techno-typological research of these sites, Paleolithic people used typical heavy weight tools with flake tool kits. So they made regionalized standard stone artifacts(specially tanged point) which were adapted in paleoenvironmental system in Korean Peninsul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주 하모리 유적 응회질 모래층의 연대 설정과 그 고고학적 의미

        이헌종(Heon-Jong Lee),정철환(Chull-Hwan Chung),김정빈(Cheong-Bin Kim),김종찬(Jong-Chan Kim) 한국상고사학회 2007 한국상고사학보 Vol.56 No.-

        고고학적 유물에 대한 올바른 분석과 이해를 위해서는 유물을 포함하고 있는 퇴적층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유적에 대한 객관적인 편년 설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물이 어떻게 매몰되었고 퇴적층 내에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를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하모리 유적 퇴적층을 대상으로 연대를 설정하고 응회질 모래층(화산재층)를 중심으로 퇴적층 특성 고찰을 통하여 고고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하모리 유적의 퇴적층은 크게 점토층과 응회질 모래층, 모래층, 사질점토층으로 이루어졌다. 신석기시대 유물은 하부의 점토층에서 출토되고 있다. 8개의 토양시료에 대한 탄소연대측정 결과, 퇴적층의 연대는 10,130 ± 60에서 2,330 ± 50 14C yt B.P.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석기 유물이 출토된 문화층은 5150 ± 50부터 6450 ± 60 14C yr B.P.에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석기시대 문화층 상부에 협재되어 있는 응회질 모래층은 약 5,000년전에서 3,000년전 사이에 재퇴적된 지층으로 판단된다. 제주도와 같이 제4기 동안 화산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에서 고고학적 발굴·조사 시 고화도가 높은 응회질 지층이 기반암으로 오인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응회질 지층이나 용암류와 같은 화산 기원 지층이 나타날 경우 그 아래에 문화층을 포함한 퇴적층의 존재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10,000년전 퇴적층의 확인은 제주도에서의 구석기 문화층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또한 신석기시대 문화층의 연대가 5,000년전으로 판명된 것은 기존 제주도의 고고학 연구에서 상대편년으로 논의되어 온 토기의 양상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해 주고 있다. For the authorized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materials, it is required to comprehend the sedimentary deposits containing artifacts. This leads the reliable chronological control, the burial process and the recognition of distribution of relic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hronology of the Hamo-ri archaeological site in Jeju Island, and investigated tuffaceous deposits and its archaeological significance. The sedimentary deposits of the Hamo-ri archaeological site are composed of clay, tuffaceous sand, sand and sandy clay. The Neolithic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the lower clay layer. 8 radiocarbon dating indicates that the full sequence of the Hamo-ri archaeological site was deposited from 10,130 ± 60 to 2,330 ± 50 14C yt B.P., and that the Neolithic cultural layer was formed from 6450 ± 60 to 5150 ± 50 14C yr B.P.. Tuffaceous deposits overlying the Neolithic cultural layer is interpreted to have been resedimented volcanic ash during 5,000 to 3,000 yr BP.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in Jeju Island experienced active volcanic eruption during the Quaternary premise that cultural later be present under tuffaceous deposits because volcanic ash(tuffaceous) deposits tend to consolidate easily and may be misunderstood as basal rocks. The presence of 10,000 year-old deposits suggests a possibility of the Paleolithic and/or Neolithic cultural layer in Jeju Island. The Neolithic cultural layer dated to 5,000 yr BP requires a new approach about pottery phase based on relative chronology in Jeju Is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