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안 피서리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특성

        이헌종,정철환,박성탄,Lee, Heon-Jong,Chung, Chull-Hwan,Park, Sung-Tan 한국제4기학회 2010 제사기학회지 Vol.24 No.2

        무안 피서리유적은 최근 서남해안 일대에서 확인되고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들에 대한 의미 있는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무안 피서리유적에 대한 층위 및 지질학적 분석결과는 토양쐐기의 특성이 토양의 굳기나 토양내부의 성분 함량 및 고지표면의 기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해주고 있다. 피서리유적에서 중기 구석기 늦은 단계 또는 후기 구석기 이른 단계의 석기들이 함께 출토되었는데 이는 이들 석기가 산출되는 문화층이 최대 빙하 발달시기 이후에 형성되었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활발한 침식과 재퇴적에 의해 여러 시기의 유물이 함께 재퇴적된 결과일 가능성을 지시해 주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구석기 유물의 분포와 토양쐐기와 같은 토양층의 특성은 고지표면의 기복 및 기후환경과 같은 자연환경적 조건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The Piseo-ri site in Muan provides significant data in investigation on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Stratigraphic and geological analysis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soil wedge can vary in accordance with soil property and relief of paleo-surface. Considering that the cultural layer was deposited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co-occurrence of the late Middle to early Upper Paleolithic stone tools suggests a possibility of redeposition of different ages resulted from active ero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Paleolithic tools and the property of soil wedge could be controll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relief of paleo-surface and climate.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현생인류의 석기제작 복합인지체계 연구

        이헌종(Lee, Heonjong),장대훈(Jang, Daehoon) 한국상고사학회 2010 한국상고사학보 Vol.67 No.-

        정장리유적의 석기제작기술은 현생인류가 자신들의 유전적 반응을 구현하기 위해 복합적인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진 인지체계의 산물로 볼 수 있다. 그들이 속한 환경, 즉 기후, 식생대와 같은 거시환경과 점거한 지점의 여건, 석재환경 등과 같은 미시환경에 의해 석기제작체계와 인지개념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거나 통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지체계 속에 기획되어 있는 다양한 기술적 경험들을 구현하는 데에는 미시환경에 의한 제한이 컸다. 이것은 마치 유전체의 촉수가 반응하기는 하지만 그 반응에 대한 총체적 인자들의 대응이 제한을 받았던 것과 유사하다. 정장리 현생인류는 그들의 인지체계 속에 축적된 행동 패턴을 표출하기 위해 석기들을 제작하였다. 그것은 기존의 격지석기를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체계와 더불어 돌날석기문화와 연계되어 나타난다. 후기구석기 시대의 지표가 되는 석기군들은 제한된 범주에서만 나타나지 않고 몸돌, 돌날, 돌날격지, 몸돌석기, 격지석기, 돌날석기 등 전반적인 석기제작체계에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들은 정장리유적의 현생인류가 후기구석기시대 석기제작과정에 대한 풍부한 이해와 경험들을 이미 축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복합적인 기술인지가 마치 유전자가 적응을 위해 유전체들을 반응시키듯 그들의 적응력을 기술체계에 적용함으로써 반응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technique of making tools in the Jeomgjangri Site is ot be analyzed by the technical feature of tools to be examined now. Therefore, we could know that, at that time, the Paleolithic people made many efforts to realize this genetic reaction of their own but they are controlled by the situation, that is, a macro-environment and a micro-environment. A block of stone became the most positive control method. There was an environmental limitation in order realize various technical experiences to be planned within a cognitive system. It seemed like that the tentacles of organisms reacted but the correspondence of the whole factors was restricted. The environment of stone materials to be suitable to apply the existed traditional technique handled the realization of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season and the restrictive livelihood natural resource when Jeongjangri Paleolithic people lived in the same made the environment of tool making recognition limited. This means that the site is just an unit to record a limited time and space and can't be an absolute index to explain a macro culture. Nevertheless, the Jeongjangri Paleolithic people made necessary tools to their behavior patterns to be related with the accumulated experience in their cognitive system. The cluster of tools to be an index of the Upper Paleolithic does not appear only in the restrictive category to be formed in the process of making stone tools, but appear in every filed like blade core, blades, and blade tools even through the number of the tools is not many. A series of aspect to be seen in the process of making tools shows that the Paleolithic people had already learned various experiences and techniques to the method of making tools, and, moreover, the complex recognition of stone tool making technique made their techniques reacted as a gene makes organisms reacted for an adaptation. The results of these complex cognitive systems seem like to be mixed by very complicated technique system, but actually have some technique branches. It is the result to react genetenetly. These act genetebranches are to appear in a multiple type with being interlocked with each other like a flexible organism. In other words, It is conversed to a making method for large-sized tools, a set of coys for making loyer tools, an enough understanding of the making method for stone blades, a making stone tools for a reproduction, and a technique for making a representative tool(the advent of the composite tool to be understood by tanged poi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시대 초기 현생인류의 등장과 확산기의 문화적 역동성 연구

        이헌종(Heon-Jong LEE) 한국구석기학회 2018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8

        최근 동북아시아와 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후기구석기시대 초기(IUP) 현생인류의 증거는 다양한 연구와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원지 논쟁에서 시베리아를 IUP 집단 확산의 출발점으로는 보는 견해와 IUP의 기원지는 중앙아시아로 볼 수 있으며, 인류의 장거리 이동의 결과물이라고 보는 견해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알타이 지역의 르발루아 기술이 포함된 돌날석기제작기술의 초기의 특징은 ‘기원지 효과(origin effect)’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알타이지역에만 국한된 특징이라고 확정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이 지역에는 돌날문화의 기원지에서 나타나는 석기제작과정과 적응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만일 다른 지역을 IUP의 기원지로서의 특징을 규정하려면 그 일대에서 복합적인 기술체계가 나타나는지의 여부를 검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IUP의 특징은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각 지역의 석재와 생계자원의 특징에 따라 강한 지역성을 갖고 정착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중기-후기 전환기에 자갈돌석기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석기문화와 한반도로 이주한 돌날석기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인류가 공존하였다. 그리고 자갈돌석기전통의 유적의 일부에서는 돌날석기문화의 기술체계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동북아시아의 일부 지역에 서는 현생인류의 이주에 앞서 각 지역에 점거하고 있던 인류의 석기문화는 르발루아기술과 돌날석기제작기술의 융합된 형태 와는 전혀 연관이 없는 지역적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 석기문화는 시간적으로 전통적인 IUP 시기를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문화상은 전통적인 IUP 개념으로 모두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시아적 시각으로 이 시기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중기-후기의 전환기와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문화상을 1) 유형 I: 전통적인 IUP지역, 2) 유형 II: IUP 융합지역, 3) 유형 III: 보수적 지역으로 나눈 ‘세 후기구석기초기 유형 모델(Three IUP Variants Model)’을 활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모델은 중기-후기 과도기에서 후기구석기시대의 시작 시기를 IUP로 설정하고 그 이후 현생인류의 문화상을 편년하는 것이 인류의 등장, 석기제작체계의 다양성과 융합과정 등을 체계적 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studies and argument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odern men from the IUP spread in many regions in North and Northeast Asia. Among them, here are two major opinions; One is to define Siberia as the starting point of dispersal. The other is to define the origin of IUP as Central Asia, and the dispersal occurred as a result of long distance movement. The earl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lade tool making skills found in Altai show the features of “origin effect” very well. Though it may be too early to conclude that these features are limited to Altai region, there is no objection in such findings. To suggest other region as the origin of IUP, the technical complex of that region must be verified. Different industries of IUP was dispersed widely through Northeast Asia and each of them could be settled based on the local stone and resources for living. Meanwhile, the stone tool industry of previous humans before modern men in Northeast Asia had some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have no relation to the fusion of Levallois technique and blade tool producing technique but went through the traditional period of IUP. These several regions in Asian continent have abundant characteristics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raditional IUP concepts any longer. Therefore, new IUP concepts should include the migration of humans and all formation process of regional industry of Upper Paleolithic through the transition of Middle to Upper Paleolithic and then be divided into different cultural areas and variants. If IUP concepts are defined from this perspective as a Three IUP Variants Model , it will be much easier to understand the hybridization and division of various technological systems of stone tool making and their settlement process, which appeared in each region in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and in the EUP.

      • KCI등재

        동북아시아 중기 구석기문화 연구

        이헌종(Lee, Heon-jong) 한국상고사학회 2000 한국상고사학보 Vol.33 No.-

        According to recent researches on the Paleolithic period. Middle Paleolithic culture with Levallois technology does not appear to be an universal phenomenon. They show much differences in chronology and cultural conception. Recent data on the Paleolithic culture in the Northeast Asia can be a good example. They are very important data demanding a change of the cognitive framework in order to find distinctive aspects of the Northeast Asian cultural tradition differing from that of the Europe during the Middle Paleolithic period. In some archaeological sites in the Northeast Asia a few Levallois points and flakes have been found. However, the complex technical system producing Levallois points and flakes have not been discovered yet. Some Levallois cores are reported to have been found by Korean archaeologists. In the absence of any Levallois flakes, we think it more reasonable to view them as accidental byproducts in the process of radial flaking on the raw material. In a nutshell, we believe that Middle Paleolithic culture with distinctive regional characteristics existed in Northeast Asia. Many Paleolithic sites with stone tools of pebble tool tradition(chopper, chopping tool, polyhedral, large flakes, flake tools rarely point and hand axe etc), flake tool tradition, have been excavated throughout the Northeast Asia. Based on the analytical geological studies using the oxygen isotope curve, absolute datings, fauna and flora analysis, physical anthropological reaearch, middle paleolithic is dated between the and of middle paleolithic is dated between the end of middle pleistocene or early upper pleistocene and 35-30kyr. All of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exist two groups of technical system: Pebble Tool Tradition and Flake Tool Tradition in Northeast Asia. Although it is difficult to make a final conclusion based on a very limited number of sites and stone tools excavated, we believe that large flake tool tradition is one of important technical systems are not differentiated from each but mutually supplementary. It means that Middle Paleolithic man tried and accumulated new technological skills with carious raw materials. We need to pay a special attention to these cultural phenomena to have a full understanding of the Middle Paleolithic in this region. Pebble tool tradition in Northeast Asia carry both successive and conservative aspects. This has to do with the raw material. Noting that Pebble Tool tradition persisted for long time with little technical change, some scholars insist that the Paleolithic be divided into only two periods, that is, Early and Upper periods. However, we feel that it is a rather hasty generalization made without more detailed analysis of various technical changes in the Paleolithic Period. If we concentrate on technical changes, we can see that it is wrong to treat the appearance of large flake tool and increase of flake tool kits as a universal phenomenon. Second treatment and elavorated retouch can be interpreted as technological adaptation to different properties of various raw materials. Flake tool tradition does not represent a big change in the lithic technology as the type of debitage known as "Levallois".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and noteworthy in that it marks a "change of cognitive framework". If the Middle Paleolithic man did not have any interest in the use of flakes to make tools, more advanced stone tool culture of the Upper Paleolithic coming from the flake tool tradition might not have developed These technical changes could have been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new type human fossils, 早期知人 Early Homo sapiens, such as archaic Homo sapiens and Homo Neandertalensis in Korea and China. It is difficult to give a definite date of the origin of the Middle Paleolithic.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transition to the Middle Paleolithic in North China and Japan was made around 150-130ka. It is supported by absolute datings and geological researches conducted 동북아시아 중기구석기 문화의 편년의 폭은 지금까지의 자료로 정확히 설정할 수는 없지만 대략 중기갱신세 말기에서 후기갱신세 초기로부터 시작되고 30,000-35,000년 전까지 지속된다고 보여진다. 석기문화는 지역적인 특징에 따라 다양한데 기술적 측면에서 전기구석기 시대의 석기문화를 기초로 격지석기전통으로 전환되어 동북아시아적 기술체계의 변화가 시작되었다. 예측형태성은 떨어지지만 격지를 떼어내어 다양한 형태의 석기를 제작하는 것은 동북아시아 중기구석기인들에게 있어서 분명한 인식체계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석기들은 질적인 향상과 일정한 석기들의 규칙성이 찾아진다. 물론 기존의 자갈돌석기전통은 계승되며, 양면박리를 원칙으로 하는 주먹도끼석기군이 유럽과 아프리카의 그것과 시간적으로 기술형태적으로 차별화된 지역성을 가진 하나의 석기전통으로 확산된다. 이 지역에서는 전통성 계승이 문화의 전파 혹은 이동보다 더 근원적인 것이다. 석재 사용에 있어서도 다양해지는데 그것은 역시 격지석기제작을 위한 인식변화에 따른 전략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후기구석기로의 전환기에도 격지석기전통은 유지되며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돌날석기전통으로 정착하기까지 상당기간 기술적 접촉 및 적응기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여전히 돌날석기의 정착은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동북아시아에는 이러한 격지석기전통의 정착으로 시베리아와 몽고일대에 확대되어 있던 르발루아기법을 바탕으로 한 석기문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것은 양 지역간 석기문화의 연속과정에서 기술적 배경이 달랐다는 것을 말해준다. 석재의 차이로 르발루아 기술이 본격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식의 논의로 유럽의 기술이 동북아시아에 덜 적응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은 예전 동북아시아 격지석기전통에 대한 인식부족에 기인하는 것이다. 몸돌석기들이 주류를 이루던 석기문화에서 격지석기들이 중요한 석기문화의 근간을 차지한다는 점은 기술적으로 큰 발전이며 중요한 인식의 변화와 기술체계가 정착되어간 것이다. 단지 그것이 너무 보편적인 전개과정이라고 인식하는 것이 문제일 뿐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후기구석기문화 ‘공존모델’의 특징과 문화복잡성 연구

        이헌종(Lee, Heon-jong)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2

        The flake tool industry with heavy weight tools, based on the Pebble Tool tradition from the Middle Paleolithic and the blade tool industry co-existed around 40ka. Main artifacts are persisted such as pebble tools. However technological features had changed more delicate flaking and retouching for making not only heavy weight tools but flake tools. Preparation of cores are also more advanced such as preparation of striking platform, rejuvenating process on the frontal part and corner of striking platform of cores for the more elongated flakes. On the technological contexts, it is suggested that the blade technology had given strong influence on the technological choices of the pebble-tool makers. And, flake tool industry characterized by the various flake tool assemblage which adopted the new lithic raw material and flaking technique has appeared. Around 40ka the blade tool industry was settled in Korea, and this made it spread into the Korean Peninsula until 15ka. and Microblade Culture had been gradually started from 25,000 B.P. and continued to the beginning of Neolithic. After the 15ka bifacial leaf shaped spear head and arrow head were an important stone tools to designate its time. Otherwise microlizational cognition of microblade industry has an effect to appear unique type small flake tool industry such as Hwajeongdong site. Therefore four Culture Lines shows the complexity react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from around 45ka B.C. to the end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Especially There are three cultural lines during 40ka-25ka B.C. and whole lines co-existed during 25-15ka B.C. According to this situation Korean Upper Paleolithic should not interpreted by unilinear evolutionism. Four culture line was coexisted each time ranges and partially there are possible to exist technological hybridization between the industries. Korean Upper Paleolithic has variation through the concept coexistence model based on the period and cultural complexity system.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시대에는 중기구석기시대 이래로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40ka 전후에 돌날석기를 기반한 후기구석기시대 문화가 공존하기 시작하였다. 돌날석기문화는 2단계를 거쳐 후기구석기시대의 최말기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한편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의 유적들의 일부는 돌날석기문화의 영향을 받아 또 다른 형태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의 한 유형을 만들어 내었다. 자갈 돌석기전통의 석기문화에 종장격지를 생산하는 몸돌의 등장과 그 기술체계를 예로 들 수 있다. 돌날석기문화가 우리나라에 정착이 가능했던 것은 돌날의 기술체계의 적용이 가능한 석재 산지의 발견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수양개 VI지구는 그 대표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돌날석기문화는 석재의 안정적 지원을 받는 곳에서는 다른 석기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 석기제작체계를 유지하였다. 한편 새로운 석재에 대한 인식은 격지석기 전통에도 영향을 주어 기존의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의 또 다른 갈래로 나타나게 되었다. 새로운 석재의 범위에는 항상 좋은 석재 뿐 아니라 육성암계 맥석영을 활용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돌날석기문화가 후기 구석기시대 최말기까지 지속되고 있을 때 세형돌날문화의 한반도로의 이주가 25ka 전후에 있었고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를 넘어 초기 신석기시대까지 그 문화적 속성을 이어갔다. 한편 세형돌날문화의 소형화 인식은 격지석기를 다루는 인식에도 영향을 주어 화정동유적과 같은 독특한 유형의 격지석기들을 제작하는 경우도 나타 났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문화는 단선적으로 해석할 수 없으며 네 문화갈래가 한반도 내에 공존 하며 석기문화 사이의 기술적 융합이 부분적이라도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 문화는 위의 시간적 공존모델과 문화복잡성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는 다양성을 갖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