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강 영월지역의 떼꾼에 관한 연구

        이한길 ( Han Kil Lee ),이승철 ( Seung Cheol Lee ) 한국도서학회 2013 韓國島嶼硏究 Vol.25 No.3

        The existence of raft carrier (dde-ggu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ife style in Yeoungwol region, the south of Han River waterway, were studied. Until now, the different definitions of raft men were not unified. Thus terms related to raft men were arranged and unified. The raft men`s route of south Han River starts from Yeoungwol and Joungsun, passing through Danyang and Choongju, Yangpyoung, Yeoju, Paldang and duckso, finally arriving in Seoul. Thus the work and life style of raft men in the Yeoungwol region would contain characteristics of all the regions throughout the moving route. The felling operation ritual ceremony, waterway pattern, method of raft making and everything related to the water route of raft are likely to differ from the North. In this sense, our work has limitations in that it only discovers the characteristics involved in south Han River waterway. Thus if both the south and north Han River raft men are observed and analyzed, the complete story of raft men in Gangwon province will be known.

      • 경포(鏡浦) 고찰

        이한길(Lee, Han-kil)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1 아시아강원민속 Vol.36 No.-

        강릉의 유명한 호수 경호가 있다. 그런데 그동안 경호가 아니라 경포호라고 잘못 읽혀져 왔다. 그 원인을 찾아보니 1940년대 이후로 추측된다. 본시호는 호수이지만, 포는 바닷가 항포구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와 호를 같이 사용하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이런 논리로서 호수는 경호가 맞고, 바닷가는 경포가 맞다고 밝혔다. 이 개념이 서면 한송정곡의 해석도 달라진다. 한송정곡 기존 해석은 호수를 생각하고 해석했다. 그러나 필자의 생각으로는 호수가 아닌 바닷가를 염두에 두고 해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포대의 위치를 비정해 보았다. 그동안 방해정 뒷산에 최초의 경포대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강릉시에서는 그곳에 표지판까지 세워놓았다. 그러나 필자의 생각으로는 그곳은 아닐 것으로 추측한다. 그리고 대안으로 지금 씨마크호텔이 있는 곳이 최초의 경포대 정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론한다. There is a famous lake, which was once called Gyung-ho(mirror lake) but is well known as Gyung-po-ho(mirror inlet lake) recently in Gangneung city. With thorough literature study, this article finds out that the name of the lake, Gyung-po-ho has been used just after 1940’s, and argues that we should reclaim its original name, Gyung-ho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s of letters, “ho” (湖) referring to lake, and “po”(浦) to inlet or small harbor respectively. Given meanings of the letters, it seems awkward to use both letters in a word like Gyung-po-ho.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to designate Gyung-ho for the lake and Gyung-po for the inlet. This argument can give new insights to interpret Han-song-jung-gok and to estimate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Gyung-po-dae(pavilion). First of all, it rather suggests that the poetic narrator of Han-song-jung-gok might look at around and express his mind from inlet than the lake, which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have usually presumed. Furthermore, this argument gives a theoretical basis to challenge previous estimation of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Gyung-po-dae. The previous thoughts have assumed the location of it near the Banghae-jung and the municipal authority made tourist information on that. However, if we consider Gyung-po as inlet, an alternative estimation of its original location can be around the Seamarq hotel.

      • 강원도민속학회의 전통과 전망

        이한길(Lee, Han-kil)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9 아시아강원민속 Vol.32 No.-

        강원도민속학회가 2018년 2월 정기총회를 거쳐 아시아강원민속학회로 개명하였다. 개명을 하면 학회지의 내용에 있어서도 정체성의 변화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강원도민속학회가 아시아강원민속학회로 변모한 이유는 하루아침에 된 것이 아니다. 내부적으로 아시아민속에 대한 자양분을 꾸준히 공급하여 왔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차제에 강원도민속학회의 지난 역사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명칭 논란이다. 처음 시작할 당시에는 강원도민속학회였다. 그러나 후대에 신입회원들이 들어오면서 ‘강원도’가 어색하다 여겼는지 강원민속학회로 발음하는 회원들이 많아졌다. 이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여 강원도민속학회가 올바른 명칭이었음을 밝혔다. 두 번째로 학회지 『강원민속학』의 서지사항에 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창간호(1983)가 나온 이래 제29집(2015)을 마지막으로 『강원민속학』은 마무리되고, 이어 2018년부터는 『아시아강원민속』으로 제호를 변경하여 출간되었다. 개명과 더불어 학회지의 생명이 연장된 것이다. 세 번째로 살펴본 것은 1983년부터 시작하여 2018년까지 이어진 강원도민속학회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초창기 재원 마련을 위해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였는지, 또 추후 편집권이 생성되었던 과정, 학회지를 찍어낸 출판사 문제, 휘보 소식 의 개념과 명칭 변경 건 등을 다루었다. 네 번째로 회원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단체와 학회가 직면한 문제인데, 설립 초기 회원 명단은 부풀려 있는 경우가 많았다. 강원도민속학회의 회원 명단 상의 오류를 바로잡고 실질적으로 활동했던 회원분들을 살펴보았다. 다섯 번째로 학회지의 내용을 고찰해보았다. 강릉무형문화연구소에서 주관했던 시대의 학회지 내용과 본격적으로 학회가 출범하면서 게재된 내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더불어 밀레니엄이 시작되면서 장정룡 교수가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아시아 민속에 대한 본격적인 소개가 시작되었다. 여섯 번째로 새롭게 출범한 아시아강원민속학회를 소개하였다. 이창식교수가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한층 더 발전을 기약할 수 있게 되었다. ‘The Society of Kangwon Province Forklore’ changed its name, ‘The Society of Asia Gangwon Forkart’, whereby the main theme of our journal and the identity of our society need to be amended. Due to the constant concern for Asian Forklore, our society can expand our horizon and deepen academic discussion of the topics. Through reflecting society’s history, we can open new vision and promising future. First, there was confusion of the name of our society. The original name was ‘Kangwondo(Kangwon Province) Forklore’ Society for the first time. As many people have gathered and joined in society, however, they just called it ‘The Society of Kangwon Forklore’. So, its original name was ‘The Society of Kangwon Province Forklore’. Next, there was discusstion about the journal continuity. The previous journal, The Kangwon province Forklore, had published from 1983(1st) to 2015(29th). The new journal, The Asia Kangwon Forklore, just started in 2018. So, the new journal, The Asia Kangwon Forklore is just succeeding to the previous one, The Kangwon province Forklore. The third, we discussed of society’s management through its history from 1983 to 2018. How to raise funds, edit and publish the journals, make bulletin and change its name are main agenda. The fourth, we reorganized membership. There were many changes on membership. At this time, we figured out the real members who are actively engaging our society. The fifth, there were 3 big stages in society’s history and the main themes of the journals were so various from the stages, Kangneu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stitute, after establishing the society, and Asia forklore stage by Prof. Jang, Jeong-ryong in 2000. The sixth, we introduced new ‘The Society of Asia Gangwon Forkart’ to the public. The first chairman, Prof. Lee, Chang-sik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our society into global level.

      • KCI등재
      • KCI등재
      • 〈강릉농악〉연구사 검토와 진단

        이한길(Han Kil Lee)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9 아시아강원민속 Vol.23 No.-

        강릉농악은 국가가 지정한 중요무형문화재이다. 주요한 민속예술로서 국가가 공인한 작품이므로, 강릉시민은 이 작품을 잘 갈고 다듬어 후세에 전승 할 책무가 있다. 강릉단오제 또한 국가가 지정한 중요무형문화재로서 2005년에는 세계가 인정한 무형문화유산으로 성장했다. 강릉농악은 자체적으로도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지만, 강릉단오제가 열리는 기간 중에는 특히 활발하게 활동을 하여 강릉농악 없는 강릉단오제는 생각할 수 조차 없게 만들었다. 그런데 그 실상을 천착해보면 문제점들이 드러난다. 강릉단오제는 그 위상에 걸맞게 수많은 학술조사보고를 통하여 그 전승의 기반을 탄탄하게 다져가고 있는 반면에 강릉단오제와 함께 발 맞추어 가야 할 강릉농악은 기예의 연마에만 치우친 나머지 학술적인 발전을 등한시 해오고 있음을 이번 연구사 검토를 통하여 찾을 수 있었다. 이제 강릉농악은 스스로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라도 학술적인 연구를 등한시하여서는 아니 된다. 전통은 시대의 정신을 먹고사는 유기체이다. 오늘날 시대의 정신을 잘 생각하여 과거의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새롭게 나아가기 위해서는 관계자들의 분발이 촉구된다. Kangnung Nongak i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In consideration of its significance as a major folk art to this extent, Kangnung citizens might have the responsibility to refine and polish it before handing it down to their next generation. The Dana Festival of Kangnung, which is also a primary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uthorized by the government, has grown to world recognized historic asset. Independently and widely performed by many people, Kangnung Nongak is loved by even more people especially during the Dana Festival period to the extent that Kangnung Dano Festival without Kangnung Nongak is unimaginable. However, its behind story reveals somewhat different aspects. The Dano Festival in Kangnung has been grown on a strong foundation for transmission to its reputation through a countless number of academic survey reports but Kangnung Nongak, of which principles have been inclined to only the practicing of its arts, has been ignored in term of its academic development, as this study shows. As far as Kangnung Nongak concerned, we must get out this kind of attitude to ignore its academic significance, at least in order to reestablish its standing and secure its identity. Tradition can probably be defined as an organism that lives on the sprit of an era. The officers concerned with this matter of tradition might have to make more of an effort in leading Kangnung Nongak to a new era based on the past traditions, by taking deep consideration of today’s messages it deliv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