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로마요법이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피로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이하나LEE, Ha-Na,강승자(Kang, Seung-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아로마요법이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피로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실험군(n=29)은 2주간의 임상실습 기간 중 아로마 에센셜오일이 든 목걸이를 착용하였고, 대조군(n=30)은 2주간의 임상실습 기간 중 생리식염수가 든 목걸이를 착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4월 22일부터 6월 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동질성 검증은 t-test와 χ²-test로, 가설검증은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 피로 및 심박변이도에 있어서 두 군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아로마요법은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관리방법 뿐만 아니라 임상실습향상에 도움이 될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stress, fatigue and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training. The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2 weeks. The experimental group(n=29) wore aroma necklaces containing essential oils and the control group(n=30) wore necklaces containing Normal salin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22 to June 7, 2019.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by using SPSS 23.0 program to calculate real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ubject s characteristics, t-test and χ²-test for homogeneity test, and Independent t-test for hypothesis test. As a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tress, fatigue and heart rate variability. Therefore, aromatherapy may be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help improve clinical training aswell as management method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training.

      • KCI등재

        강판벽이 설치된 건물의 연쇄붕괴 저항성능

        이하나,권광호,김진구,Lee, Ha-Na,Kwon, Kwang-Ho,Kim, Jin-Koo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2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5 No.1

        본 논문에서는 강판벽이 설치된 골조 구조물의 연쇄붕괴 거동을 비선형 정적 pushdown 해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해석모델은 중력하중에 대해서 설계된 2층 2경간 철골구조물이며, 중앙 기둥을 제거하고 하중을 서서히 증가시키며 하중-변위 관계를 구하였다. 구조물의 전체적인 거동뿐만 아니라 부분적인 응력과 변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ABAQUS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을 통해서 구조물의 경간 길이 및 설치된 강판의 두께의 변화에 따른 연쇄붕괴 거동을 평가하였으며, 샛기둥을 이용하여 강판을 분할하고 분할된 강판의 위치에 따른 연쇄붕괴 성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해석결과에 따르면 경간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연쇄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강판의 두께 또한 증가하며, 분할된 강판의 수가 증가할수록 연쇄붕괴에 대한 저항성능이 약간 증가하지만 그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구부로 인하여 일부 경간에만 강판이 설치된 경우에도 연쇄붕괴 저항성능이 어느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progressive collapse behavior of a moment frame with infill steel panels is evaluated using nonlinear static pushdown analysis. The analysis model is a two story two span structure designed only for gravity load, and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is obtained with the center column removed. To obtain local stress and strain as well as the global structural behavior, finite element analysis is conducted using ABACUS. Through the analysis the effect of the span length and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on the progressive collapse behavior of the structure is investigated, and the effect of the dividing the infill panel using stud columns is also stud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thickness of the panels required to prevent progressive collapse increases as the span length increases, and as the number of panel division increases the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increases slightly but the effect is not significant. It is also observed that when the infill panel is installed in only a part of the span the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is somewhat increased.

      • KCI등재

        게임 중독 치료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이하나,한선관,Lee, Ha-Na,Han, Seon-Kwan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2

        이 연구는 게임중독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기존 연구와 게임 중독 관련 연수프로그램의 실태 그리고 게임 중독 예방 및 중독 치료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게임중독 치료 연수를 정상학생을 위한 예방프로그램, 잠재적위험군 학생을 위한 치료프로그램I, 고위험군 학생을 위한 치료프로그램II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예방프로그램은 기존의 연구와 연수프로그램에서 공통 내용을 추출하여 설계하였다. 치료프로그램은 게임중독 클리닉 자료와 선행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다양한 내용과 전략을 추출하였다. 최종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해당교사와 전문가를 통하여 타당도 검사를 한 결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수 프로그램이 현장학교와 게임 중독 아동의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prevent and treat of game addiction. First, we analyzed the existing training programs concerning game addiction and searched for various strategies applicable to game addic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education programs. On this ground, training programs were divided into three courses that were the prevention program for normal students, the treatment program I for students in the potential-risk group, and the treatment program II for those in the high-risk group. For the prevention program, commonalities were drawn and developed from the existing studies and training programs; and for treatment programs, game addiction clinic centers were analyzed to draw various useful strategies and contents. We also developed the details of those programs in consultation with experts. As a result of content validity about the developed teacher training program to prevent and treat of game addiction, this program was generally appropriate and acceptable. We expect that the developed programs help to treat a student who has game addiction effectively.

      • KCI등재

        배달앱의 사용성 개선을 위한 사용성 평가 연구 -맥딜리버리앱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하나(Lee, Ha Na)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편의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밀레니얼 세대의 생활패턴은 배달 음식 시장의 전성시대를 열었다. 배달서비스는 도시락과 가정간편식과 같은 먹거리 위주에서 최근 생활용품까지 배달의 분야는 다양해지고 주문과 결제 방식뿐만 아니라 로봇배달이나 드론 배달과 같이 배달방법도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배달음식이 다양해지면서 그동안 즐겨먹던 간편식의 대명사인 치킨이나 햄버거와 같은 프랜차이드 업계의 매출은 전반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교촌 치킨이나 맘스터치 같은 국내 체인 업체들이 자체 배달앱을 개발하여 고객들의 충성도를 높이고 전문 배달앱에 지급되는 수수료를 줄여 가맹점 수익성 개선에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맥도날드는 브랜드웹사이트, 맥딜리버리 모바일웹, 맥딜리버리 네이티브앱으로 나누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다보니 맥딜리버리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기존의 맥딜리버리의 사용성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명세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평가항목들을 통한 사용성 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첫 번째로 자사 분석과 타사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여 사용성의 부특성인 이해성, 학습성, 운영성, 선호도를 중심으로 SO/IEC 9126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과 척도에 관한 표준 지침을 활용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거쳤다. 사용성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적인 맥딜리버리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써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가 자체 온라인 딜리버리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ood deliveries are becoming more popular than ever in South Korea, fueled by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lifestyle of Korean millennials who prefer convenience. Delivery service is diversified in terms of kinds of items, methods of payment, and modes of transport; it goes beyond meals to deliver household items; various methods of ordering and payment are applied; many players are revving up to test their robot or drone delivery service. However, as more diverse delivered food options are presented, sales of traditional delivery items such as chicken and hamburger are generally on the decline. To catch up with the trend, Korean franchise brands like Kyochon Chicken and Mom’s Touch are developing their own delivery apps to boost customer loyalty and bringing down fees to help franchisees improve profitability. But the current delivery service of McDonal’s confuses customers because it operates three different online services: its brand website, McDelivery mobile web, and McDelivery native app.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cDelivery through the indicators that will provide an objective basis for quantitatively specifying and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he existing platform.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problems were derived from internal and external analyses and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for understandability, learnability, operability, and preference (usability’s sub-characteristics) based on the guidelines for ISO/IEC 9126 software quality standards. A comprehensive McDelivery service will b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franchise companies build on their delivery service platforms.

      • KCI등재

        TV 및 광고 시청동기가 TV PPL 이용의도와 회피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하나(Ha Na Lee),장병희(Byeng Hee Chang),이선희(Sun Hee Lee),구지혜(Ji Hae Goo),이양환(Yang Hwa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3 No.3

        이 연구는 수용자들을 세분화하는 방식으로 TV 및 광고의 시청동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기존 광고효과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광고 회피의도와 함께 광고 이용의도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특히 PPL에 대한 태도를 TV 및 광고 시청동기와 PPL 이용의도 혹은 회피의도 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여 이론적 정교화를 추구하였다.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TV 시청동기와 광고 시청 동기가 PPL에 대한 태도, PPL 이용의도, PPL 회피의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TV 시청동기 중 정보획득 및 여가 동기가 PPL에 대한 태도에, 그리고 정보획득, 즐거움, 여가, 관계유지 동기들이 PPL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PL 회피의도에 대해서는 즐거움, 여가, 관계유지 동기들이 유의미하였다. 광고 시청동기들의 경우 PPL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는 적절한 설명력을 보였지만 이용의도 및 회피의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은 상당히 제약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V and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in order to segment audience. Also, this study incorporated the intention to use advertisements as well as the intention to avoid advertisements into research models. Especially,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elaborations by assuming attitude toward PPL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V or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and intentions to use or avoid PP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of survey data from 500 individuals showed that TV and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were useful in explaining attitude toward PPL, intention to use PPL, and intention to avoid PPL. Specifically, among TV viewing motivations, information acquisition and leisure were related with attitude toward PPL information acquisition, enjoyment, leisure,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with intention to use PPL, and enjoyment, leisure,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with intention to avoid PPL.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appropriately explained attitude toward PPL, but their direct effects on intentions to use or avoid PPL were strictly restricted.

      • KCI등재

        유신체제 성립기 `반공` 논리의 변화와 냉전의 감각

        이하나 ( Lee Ha Na ) 역사문제연구소 2014 역사문제연구 Vol.18 No.2

        This paper tracks how change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from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70s shaped the logic of anti-communism and cultural sensitivities of Cold War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Yusin period anti- communism propaganda. When viewing anti-communism as a social sensitivity of het-erogeneously combined elements of various discourses and contradicting emotions, we see that the Yusin Period`s anti-communism experienced a process of shakeups and recon-stitution in the later 1960s` prominent anti-North Korea ideology and from in responses to the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in the early 1970s. Anti-communism during this period ― under pressure from demands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from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e South-North Korea peaceful unification plan, and the popular desire for uni-fication ― seemed to change proactively. It sought a new direction when the regime rol-led back freedoms to escape the political crisis, adopting a new strategy of “knowing com-munism( 知共, jikong)” and “defeating communism(勝共, seongkong)” with a conscious-ness to properly know communism. Yet the accumul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had the opposite of the intended effect in familiarizing the population with communism. Basic knowledge of liberal democratic theory, which was spread in order to emphasize its superiority, was ironically applied to criticize the Yusin regime. In this context, anti-com- munism education and propaganda rested on a description of North Korean society, war, and spies accompanied by true stories and personal accounts. Novels, dramas, and movies based on these accounts were hugely influential in popular culture. The strengthening of anti-North Korean ideology in the 1970s seemed to bring about the successful internaliz-ing of anti-communism as “tactile Anti-communism”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propagated through media began to be imbedded deep in the minds and senses of the populace. Yet the existence of emotions discordant with anti-communism discourse shows that the internal contradiction of anti-communism brought about a paradoxical but fore-seeable situation where the strengthening of the state`s anti-communist discourse did not necessarily internalize anti-communism for the populace nor completely strengthen it throughout the society. Thus, the changes and strengthening of 1970s anti-communism discourse on the emotional and cultural level depict a multifaceted appearance.

      • KCI등재

        광고 매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하나(Ha Na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적인 광고시장에서 4대 매체를 통한 광고 점유율은 하락하는 반면 뉴미디어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뉴미디어 분야에서도 인터넷 네트워크의 유비쿼터스화로 광고매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트랜드가 옥외광고 산업에서 전통 옥외매체를 대처해나가며 옥외 광고시장을 새롭게 재편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란 공공장소와 상업공간에 LCD, PDP, LED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다양한 정보와 광고 등의 콘텐츠를 표출하는 미디어로서 하드웨어 측면을 강조한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와는 달리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콘텐츠, 네트워크 등 다양한 IT 기술의 복합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등장하는 광고 플랫폼에 따른 맞춤형 광고 기법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디스플레이 개념에 머물러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콘텐츠, 네트워크의 총체적인 측면에서의 새로운 광고매체로서 활용하는데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주에는 광고매체의 정의와 디지털사이니지의 개념에 관한 문헌연구와 집행되어진 디지털 사이니지 활용 광고사례의 비교연구로 이루어진다. 문헌 조사에서는 선행연구물을 대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의 개념과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고 비교 연구에서는 키오스크 기반, 미디어파사드 형식, 미디어 컨버전스 형식의 세 가지로 크게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를 광고매체로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 광고가 소비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형태로 가공되어야만 가치를 지니게 되는 환경에서 디지털 사이니지가 새로운 차세대 광고매체로서 우리의 디지털 삶의 패턴에 영향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advertising share of the big 4 media in the advertising market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Korea is reclining but it shows a continuous growth in the trend of new media. Even in the new media field, the digital signage is being utilize as an advertising medium with the help of the ubiquitous trend of the Internet network. In addition, the trend of digital signage has shown the aspects of reorganization greenly the new market of outdoor advertising and replaced the traditional outdoor advertising media. Digital signage is a media which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nd advertising on public and commercial area over the different types of display panels, LCD, PDP and LED. It shows characters in various forms of technology as software, hardware, contents and network however unlikely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emphasized the side of hardware. In connection, this study is going to proceed with research plan of digital signage activation as an advertising medium by an advertising skill in compliance with the advertising platform newly appearing along with diversification utilizing online. It is going to suggest a plan of advertising marketing activation utilizing the digital signag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executed digital signage advertising cases as well as literature study of the advertising media and advertising digital signage in the research category. The main focus of the study is on the definition of media advertising, a documentary survey regarding digital signage concept and comparative study of executed advertising cases applied in digital signage. Documentary survey based on previous study which has been targeted as the concept and potential of digital signage, and on the side of comparative study, there are 3 kinds of cases which were collected from kiosk base, media facade type and media convergence type. These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method of revitalizing of advertising media by using Digital signage advertising. Based on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it is going to help provide our life patterns with influence from the digital signage as a new generation advertising medium in the environment with a value which should be processed as a type of information required to consumers.

      • KCI등재

        韓國 <문묘제례(文廟祭禮)>의 特殊性과 受容의 意味

        이하나(Lee, Ha-na)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문묘제례(文廟祭禮)>란 문묘(文廟)에서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선성선사(先聖先師)에게 제사지내는 의식을 뜻하며 석전제(釋奠祭)라고도 불린다. 한국은 동아시아의 유교문화권 국가 중에서도 대표격인 나라로 여전히 방대한 유교문화의 전통을 지키고 있다. 무형문화유산에 속하는 <문묘제례>는 유교문화의 요체로서 악(樂)·가(歌)·무(舞)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은 물론, 의례의 절차와 의식면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한국에서 <문묘제례>와 관련한 연구는 크게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의 두 영역에서 진행되었다. 하지만 각 학문 분야는 <문묘제례>의 다양한 구성요소 중 해당 학문 영역이 관심을 갖는 연구에만 집중한 나머지 <문묘제례>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진행될 <문묘제례> 연구가 제례의 모든 구성 요소를 아우를 수 있도록 보다 총체적인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 문제는 학문 통합적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극복이 가능할 것이다. 한국의 <문묘제례>는 수입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나 동국 18현의 문묘 종사, 천자의례로의 승격, 오랜 시간 단절 없는 계승과 보존의 노력 등으로 한국만의 특수성을 유지한 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는 아시아 전역에서 한국의 <문묘제례>가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논의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에서는 한국형 <문묘제례>의 보존과 계승, 현대적 수용 방안에 대해서 계속해서 연구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문묘제례>는 교육적, 사회적, 외교적, 문화적 측면에서 그 수용의 의미를 내재하고 있는데, 21세기에는 특히 ‘문화적 측면의 의미’가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동아시아 유교문화의 보편성을 토대로 한국 문화의 특수성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한국<문묘제례>의 문화적 의미의 부각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유교문화의 긍정적인 측면을 알릴 수 있는 방편이 되는 것은 물론, 이 시대에 한국 <문묘제례>가 존재하는 참의미를 발견하는 통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북한 전쟁영화의 기억법과 소구법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남한 전쟁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북한 전쟁영화-

        이하나 ( Ha Na Lee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5 통일연구 Vol.19 No.1

        북한에서 영화는 프로파간다적 성격을 빼놓고는 논하기 어려우며, 더구나 명확한 적을 상정하고 아군의 사기를 진작시킴으로써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는 전쟁영화라면 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일반적인 전쟁영화들에서 논의될 수 있는 교양적이고 오락적인 측면들은 북한영화 연구에서는 쉽게 간과되거나 부차적으로 취급되곤 한다. 이 글은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남한 전쟁영화와 북한 전쟁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추출한 북한 전쟁영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입장에서는 패배의 기억이라 할 수 있는 인천상륙작전에 대해 북한이 유독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패배의 기억을 승리의 기억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인민의 역사 기억과 각성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이 영화들은 인천이라는 잃어버린 공간과 풍경에 대한 기억을 되살림으로써 전쟁에 대한 기억을 소환하며 끊임없이 전쟁의 의미를 학습시키고 있다. 곧 전쟁의 비장미를 숭고미로 승화시켜, 전쟁을 비극이 아닌 영웅적 행위로 기억하고자 하는 것이다. 셋째, 이 영화들은 적은 미국이지 남한이 아니라는 것을 끊임없이 상기시키고 있다. 이는 종래의 스탈린주의적 민족관에서 벗어나 향후 남한을 한 민족으로 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 과도기적 성격을 보여준다. 넷째, 이 영화들은 드라마적 감동 뿐만 아니라 스펙터클한 공중전과 액션장면, 거기에 뮤지컬적 요소 등을 선사함으로써 오락적으로도 만족감을 준다. 이는 인민성의 강조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인민성은 대중성과 인민다움이 합해진 개념으로서, 인민성의 강조는 북한영화에서도 대중성과 오락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역사를 기억하는 방식이자 오락성이 극대화된 하나의 예로서 북한 전쟁영화는 북한을 보편성에 입각하여 이해하는 데에 기여한다. It is difficult to discuss North Korean cinema without its propagandistic nature, and this is even more so for war cinema which strengthens communal solidarity by boosting morale and clearly defining the enemy. However, the refined and entertaining aspects that can be discussed in normal war cinema are deemed peripheral or easily overlooked in North Korean cinema studies. This study has extrac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ar cinema by comparing the depiction of the Inchon Landing Oper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n war films: First, the operation, which North Korea takes particular interest in and could be remembered as a defeat, is remembered as a victory in order to induce historical memory and the masses’ consciousness. Second, recalling the memory of the lost space that is Inchon summons memories of the Korean War while reiterating the war’s significance. That is, the films sublimate the tragic beauty of war in order to remember itnot as a tragedy, but a heroic endeavor. Third, the films always remind the audience that the enemy is not South Korea, but the United States. Diverging from traditional Stalinist notions of the ethnic-nation, this shows the transitional nature of North Korea’s views which allowed the possibility of embracing South Korea as part of the same ethnic-nation. Fourth, these movies are not only emotionally touching, but feature spectacular dogfights and action scenes, along with musical elements, for entertainment.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the films emphasizing inminsong(popularity). Inminsong as a concept combines mass appeal and peoplehood, and its emphasis shows that North Korean films, like any other film, cannot overlook mass appeal and entertainment. As a method of remembering history and maximizing entertainment, North Korean war cinema universalizes the North Korean context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country.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스파이영화의 지역적 계보

        이하나 ( Lee Ha-n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5 No.-

        이 글은 냉전시기 대표적 서사였던 스파이영화가 동서 냉전이 끝난 1990년대 이후에도 살아남아 인기있는 대중서사 장르로 되어 가는 과정과 그것이 각 지역에서 어떠한 의미와 맥락으로 이어지는지 그 계보를 정리한 것이다. 스파이영화는 제1차 세계대전 무렵 제국주의 국가들 사이의 경쟁을 자양분으로 탄생하였으며, 따라서 냉전시기의 스파이영화도 진영의 이익이라기 보다는 국민국가의 이익에 복무하는 방식으로 서사가 형성되었다. 영미권의 문화적 헤게모니를 과시하고 확산하는 역할을 한 007영화 시리즈는 영·미식 자유주의를 전파함으로써, 영·미의 국가 이익이 진영 전체의 이익으로 치환되는 서사를 구현한다. 1990년대 이후 서구 스파이영화에서는 소련이라는 적이 사라진 자리를 자본가나 무기상, 테러 집단 등 다변화된 적이 대체하고 있으며, 스파이 자신의 정체성 혼란과 재정의가 서사의 핵심을 이룬다. 한편 동아시아에서 스파이영화는 2000년대 이후에 주로 국가간 민족간 갈등이 극에 달했던 1920~40년대를 배경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냉전/신냉전이 탈식민의 문제와 결합되어 있는 동아시아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준다. 냉전시기 동아시아에서의 전선은 한국/일본 대 중국이었지만, 신냉전의 시대에 전선은 한국/중국 대 일본이라는 것이 스파이영화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또한, 반공영화의 자장 속에서 만들어진 간첩영화와 007 시리즈를 정전으로 하는 첩보영화를 두 계보로 이어져온 한국 스파이영화는 1990년대 이후 양자의 전통을 통합하는 동시에 비틀고 있으며, 남녀, 혹은 형제로 유비된 남북관계는 남북을 대표하는 캐릭터간의 로맨스와 브로맨스를 통해 갈등을 해소한다. 요컨대, 신 냉전 시기 각 지역의 스파이영화는 냉전의 DNA를 활용하면서도 자신을 재규정함으로써 냉전 이전 질서로의 복귀를 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한국 스파이영화는 탈식민과 탈냉전 논리가 결합된 동아시아 스파이영화의 계보 속에 있으면서도 파트너쉽을 통한 신뢰 구축 서사가 강조된다는 특징이 있다. This paper delineates how the spy film, the representative narratives in the Cold War era, remained a popular narrative genre after the 1990s in the regions and contexts of the East and West.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is genealogy: First, the genre was created to fuel the competition between imperialist powers during World War I, and it was then formulated into a narrative in service for the good of the nation-state rather than that of the entire bloc in the Cold War. Second, as a display of Anglo-American cultural hegemony and by spreading Anglo-American liberalism, the 007 film series pushed the narrative that was what good for the US and UK was good for the entire First World bloc. Third, post-1990 Western spy films replaced the former antagonist of the USSR by diversifying the opponents with capitalists, arms merchants, and terrorist groups, with the spy's confusion and redefining of their own identity forming the core of the narrative. Fourth, post-2000 spy films in East Asia were set in the 1920s~40s, the region's peak era of conflict between nation-states, reflecting how the Cold War/New Cold War is tied to postcolonialism in East Asia. While Korea and Japan faced off against China during the Cold War, the spy films clearly portray Korea and China as allies against Japan in the New Cold War. Fifth, the Korean spy film genre continued its tradition of espionage films made in the sphere of anticommunist films and spy films in the tradition of 007 even in the 1990s. That the most recent spy film The Spy Gone North features a new character of a South Korean spy dispatched to North Korea, while also combining and subverting these two subgenres, speaks to how times have changed. Sixth, Korean spy films which analogize South-North Korea relations as between men and women or brothers resolve conflict through romance or bromance respectively. South and North Korean characters recently have been depicted as partners working together to achieve a shared goal. This focus on building trust through collaboration rather than familial love demonstrates that peace and unific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is no longer merely an issue of a single Korean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