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한국감리교의 초기역사경관에 관한 고찰 2 : 서울특별시 중구 및 종로구와 서해안 지역의 아펜젤러 선교사 발자취를 중심으로

        이충범 한국사진지리학회 201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2 No.3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 최초의 선교사이자 감리교 초대 선교사인 헨리 게어하르트 아펜젤러 선교사의 선교 영역인 서울특별시 중구와 종로구 일대의 역사경관을 고찰하고 있다. 아펜젤러는 인천의 제물포를 통해 1885년 입국하여 1902년 군산 앞바다에서 순직할 때까지 정동을 선교 본거지로 한국의 종교, 문화, 교육에 커다란 공헌을 한 미국감리교 선교사이다. 그가 활동했던 서울 중구와 종로구엔 여전히 그의 흔적들이 남아 있으며 그가 설립한 교회와 문화시설들의 자취들이 남아 있다. 본 논문은 그가 설립하고 공헌했던 배재학당을 비롯하여 한국최초의 교회인 정동감리교회, 그가 활동했던 출판, 문화, 번역사업 등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문화유적 및 역사경관을 고찰한다. 나아가서 본 논문은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개신교의 역사적 경관들을 조명하고 이를 통하여 소중한 한국의 근대문화유산의 보호, 활용, 나아가서 구도심 개발의 건전한 방법론을 모색하고 있다. Henry Gerhard Appenzeller, the first Methodist missionary, arrived at Chemulpo in 1885 but the most of his missionary works in Korea has executed in Seoul, in particular, Jeongdong and Jongro. With the successful works, he died in 1902 during his sailing toward Mokpo. Thu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vestige of Appenzeller and his contribution in these areas. First of all, the article dealt with "Pai chai Hakdaing" which was funded by Appenzeller and became the first modernized educational institution in Korea. In particular, King Gojoung issued a state edict of approbation of this place, naming it "Pai chai Hakdaing" in 1886. Secondly, this paper elaborates to find the history and historic site of the First Methodist Church in Jeongdong, Also, Appenzeller's contribution in Christian publishing and Bible translation were researched with the historic sites in the middle of Seoul. Finally, this work followed Appenzeller's final moment in Gunsan which is the west coast of Korea. By doing so, the article would demonstrate the historicity and spatiality of the methodist history and culture.

      • KCI등재후보

        자기 배려, 영성신학, 그리고 인격교육론

        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7 인격교육 Vol.11 No.3

        Since Michel Foucault has developed his notion of the care of the self, called the aesthetics of existence, he has given insight to scholars such as theologians. Provided with the creative mode of the formation of self, Foucault has demonstrated structural autopsy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discipline. Furthermore, by doing so, he has shown the possibility of an ethical autonomous self which enabled the self to escape from the modern subjectivity, that is, Cartesian rational subjectivity. Even though it is different from Foucault’s theory of the care of the self in detail, Christianity has developed its own economy of the principles of self formation in terms of spiritual disciplines. The fruits of these endeavors have also emerged in the name of spiritual theology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Similarly, based on Asian traditions, Dr. Keay-Hark Lee has alluded that saramdaum education was a type of discipline of self formation. In this paper, Foucault’s concept of the care of the self is examined in comparison both with the Christian spiritual discipline and with the saramdaum education. These three have several commonalities in that, first, they embrace bodily cultivation in philosophy. Second, these theories have shared some hierarchical steps of the soul during the evolution of self. Last, these three commonly developed the principles of self cultiva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unremitting subjectivation. 영성에 대한 개념정의와 의미에 대한 물음이 지난해진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미셸 푸코에 의해 개진된 자기 배려와 실존의 미학은 영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주기에 충분하다. 푸코는 자기 배려라는 새로운 양태의 자기 구성 원리를 제공함으로써 영성 및 영성훈련에 대한 구조적인 해부학을 보여주었고 나아가서 스스로 구성하는 자기에 대한 희망적 원리를 제공하였다. 동시에 근대적 주체로부터 탈주할 수 있는 자율적 자아의 가능성을 드러냈다. 비록 푸코는 자기 배려의 원천을 고대 그리스적 전통에서 찾고 있지만 그리스도교 전통 속에 있는 영성신학 혹은 영성훈련 역시 일종의 자기 배려의 방식 중의 하나이다. 그리스도교는 오랫동안 영적인 성장과 자기 구성에 대하여 정치한 신학을 발전시켜왔고 이 신학은 20세기 초 영성신학이라는 모습으로 현시되었다. 유사하게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 역시 동양의 전통에 기반을 둔 자기 배려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푸코의 자기 배려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자기 배려를 이해하면서 이를 전통적인 영성신학과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론의 시각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이 논문의 부수적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자기 배려를 영성 및 인격교육론을 통해 이해하려는 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삶과 교육은 이론적이거나 지적인 유산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 훈련을 포괄한다는 것이다. 둘째 자기 배려, 영성신학 및 인격교육론은 실천의 목적성과 완성 혹은 완전을 위한 단계를 가진다는 것이며 셋째 이들 모두 정교하거나 혹은 거칠거나 수행법을 제공하거나 암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인격수양의 계기로서 전향, 회심, 대오에 관한 일 고찰: 미셸 푸코, 초기 그리스도교, 인격교육을 중심으로

        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8 인격교육 Vol.12 No.3

        Michel Foucault has demonstrated that both science and spirituality depended upon not only on the recognition but also on the body by means of his notion of the care of the self. The care of the self is called as the aesthetics of existence in that he/she is able to transform himself/herself. During the process of transforming himself/herself, M. Foucault claims, there should be a type of rite of passage in the beginning. It is momentary experience when the individual drastically changes his/her mind and direction of life. Foucault has called it as epistrophe which has been found in ancient Greek tradition. Thereafter, the Christian world has accepted epistrophe in their spiritual and theological tradition. In late antiquity, Christianity has developed this tradition in the name of metanoia which could be translated as conversion in modern terminology. On the other hand, Dr. Keay-Hark Lee has mentioned very similar concept as epistrophe or metanoia in his writings. Lee has called it as great awakening or rebirth. The concept of epistrophe, metanoia, and great awakening has in common in that they surely denoted a moment of opportunity when the individuals started to transform themselves. This essay has demonstrat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se three concepts.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자기 배려는 학문과 영성이 의식이나 인식의 문제가 아니라 몸의 문제라는 것을 명백히 밝혀 주었다. 따라서 자기 배려를 한다는 것은 그 어떤 삶의 태도를 신체화한다는 말과 동일하다. 자기 배려를 하고자 하는 개인에게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단계가 있는데 푸코는 이것을 전향이라고 명명했다. 그리고 이러한 전향의 메커니즘은 그리스도교에 있어서 회심 혹은 회개라는 개념으로 발전한다. 동일하게 인격교육학에서는 큰 깨달음, 중생, 가치관의 전도 등으로 표현된다. 본 논문은 이 세 단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푸코의 전향은 그리스도교와 매우 다른 양상을 보여주는데 단적으로 전향은 과거의 자기와 단절을 의미하고 있지 않다. 이에 비하여 그리스도교의 회심은 전적으로 과거의 자아와 현재의 자아의 단절을 경험한다. 인격교육학의 큰 깨달음은 이 둘 사이에 중간위치를 갖고 있는데 인식적인 측면이나 세계관에 있어서는 과거와 단절이 되지만 몸공부에 있어서는 과거 자아의 발전 내지는 교정의 측면이 강하다. 결론적으로 전향, 회심, 깨달음 이 셋은 학문과 교육에 있어서 몸공부가 주가 된다는 것, 그리고 교육은 지식의 축적이나 이해가 아니라 삶과 세계관에 대한 급격한 전도와 자기가 자기를 꾸미는 삶의 미학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이 공통점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자살에 대한 서구적 이해와 인격교육학적 제언

        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3

        The person who commits suicide has been considered a murderer in the Christian world for a long time. However, it is embarrassing to witness the fact that the rate of suicide of Christians has been much higher than those of other religions. This paper aims to, first of all, study the Christians’ perspective on suicide both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West and in the biblical background. Surprisingl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Christianity has a neutral or affirmative concept as well as formal abhorrence regarding suicide. Second, this paper deals with the typology of suicide and death. Recently, the definition of suicide and death has been very problematic sophisticated. Considering traditional typology such as that of Emile Durkheim, this essay suggests eight types of death defined as suicide. Finally,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cept of death and suicide in saramdaum education. As a result, Dr. K. Lee and saramdaum education provide boundless affirmation on life and suggest that death is not only the end of eschatology but also a birth of other dimensional lives. Thus, it is found that saramdaum could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suicide in the Korean society and the Church.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적게 출산을 하고 가장 많은 수가 자살을 한다. 이미 10년 전부터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심각한 상태이다. 종교인이 국민의 1/3 이상 차지하는데도 자살률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그리스도교는 오랜 동안 자살을 살해라고 여겼다. 자살에 대하여 극단적인 혐오를 드러내며 자살을 방지하고자 노력해왔다. 그러나 무종교인이나 타종교인은 차치하고서라도 그리스도인들의 자살률조차 매우 높은 실정이다. 이 글은 자살에 대한 신학·교학·윤리적 판단이 아닌 종교·교육·인문학적 성찰을 담고 있다. 우선 역사 속에서 그리스도교가 자살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탐색하고 그 시각들을 알아본다. 그리고 그리스도교의 자살 혐오와 터부의 역사적인 분석 결과, 그리스도교가 갖고 있는 자살에 대한 양가적인 특성을 드러낸다. 그리스도교는 자살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인 것 같지만 사실 순교나 금욕주의처럼 스스로 가하는 고통과 생명의 헌신을 대한 칭송도 공존한다. 두 번째 자살이라는 죽음의 구조적 분석과 그 유형에 대하여 검토한다. 외견 상 자살 혹은 타살로 보이는 다수의 죽음들이 사실은 해석의 과정을 거친 판단들이었음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죽음과 자살에 대한 사람다움 교육(인격교육)의 태도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 거두는 목숨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교정해본다. 또한 사람다움 교육론을 활용하여 자살 방지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