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랑수련활동과 국제성취포상제 및 수련활동인증제와의 연계 가능성 모색

        이채식 대구한의대학교 청소년문제연구소 2010 청소년행동연구 Vol.- No.15

        청소년기는 변화의 시기이다. 청소년은 급격한 성장을 경험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독립성과 존재감을 높여가면서 책임있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자라나게 된다. 청소년은 기존 사회규범안에서 사회화를 이루기도 하지만, 제한된 사회규범에 맞서 새로운 도전과 욕망을 꿈꾸기도 한다. 청소년의 존재와 도전은 특정사회가 지닌 맥락(context)과 변화요구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지게 된다. 안정을 지향하는 사회에서는 청소년을 결핍적이나 위험한 존재로 설정되는 반면 새로운 변화를 지향하는 사회에서는 청소년은 가능성과 대안적 존재로 이해되어진다. 산업사회를 거쳐 지식기반사회로 변화하는 우리 사회는 청소년에 대한 문제중심접근(problem based)에서 벗어나 청소년의 긍정적 성장을 지원하고 사회적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더 높이기 위한 청소년개발접근(development approach)으로 전환과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이채식ㆍ김상욱 2010; Lerner, 2005; Pittman et al. 2003). 이제 청소년의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된 역량을 발전시켜 조화로운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기반의 조성과 기회제공은 우리 사회의 중대한 과제이다(한상철, 2009).

      • KCI등재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 연구

        이채식,이성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0 재활복지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황동보조인의 소진과 직무만족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 활동보조인 보수교육 대상자 243명을 대상으로 소진 변인(정서적 탈진, 비인격적 대우, 개인적 성취감 감소)과 직문만족 변인(직무자체, 보수, 이직의사) 간에 미치는 관련성과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활동보조인의 소진과 직무만족 수준은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소진과 직무만족 간에는 황동보조인의 소진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소진과 직무만족을 동일개념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소진 변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적 탈진과 개인적 성취감 감소가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활동보조인의 소진을 예방하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활동보조인에 대한 정서적 지지체계가 필요하고, 활동보조인 양성 교육과정이 개편되어야 하며, 활동보조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o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nou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activity assistan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3 complimentary education trainee of activity assistants in Daejeon. The relationship and the effect was analyzed between burnout variables (emotional burnout, depersonalization of us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decrease in personal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variables (job itself, pay, willingness of job change). As a result, the burnout level and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activity assistants was in the middle level. The job satisfaction of activity assistants was lower as their burnout was higher;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y in the point that the burnout and the job satisfaction can be regarded as the same concept. In addition, in the effect of the burnout variables on the job satisfaction, the emotional burnout and the decrease in personal achievement were the important predictive factor affecting negatively on the job satisfaction. From these result, in order to prevent burnout of activity assistants and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we suggested the need of emotional support system for the activity assistants, the restructuring of training curriculum of activity assistants, and the raising the social perception on the activity assistants.

      • KCI등재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이 자기결정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채식,이성규,김명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1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ocioeconomic attributes of the disabled,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influenced the right of self-decision of them(the control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he nature and ability of the assisstants, the assessing the assisstants' importanc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Education background, sex, monthly income of the disabled, and whether there are the disabled in the family of them, influenced the perceived control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the socioeconomic attributes influenced nothing in the perceived nature and ability of the assisstants. Assessing the assisstants' importance was influenced by their marital status. And the perceived right of self-decision of them was approximately to normal level. It was found the understanding of the assisstants about the disorders and the caring service were very important. Its main results and implication will be meaningfully used as basic and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system and developing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assisstants and the related policies for the disabled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본 연구는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용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들이 자기결정권(활동보조서비스 통제, 활동보조인 자질 및 역량 평가, 활동보조인 역할의 중요성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이 ‘활동보조서비스 통제’에서 학력, 성별, 월평균 소득, 직계가족 중 장애유무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보조인 자질 및 역량 평가’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보조인 역할의 중요성 평가’에서는 결혼상태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 대상 장애인이 반응한 자기결정권 정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 이상으로 자기결정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보조인이 장애에 대한 이해와 장애인 입장에서의 서비스 제공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활동보조서비스 제도의 올바른 방향성 모색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장애인복지 실천에서 활동보조인의 역할 및 교육,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장애인의 교육과 관련 된 정책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 자립생활의 구성요인 중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공동체관계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이채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4

        This study made an exploratory verification targeting severely-disabled persons on how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of the factors organizing independent living affect community relation and productivity of the disabled.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ollected data for about 2months from May through July 2012 targeting the disabled using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and the Center for Human Right of the Disabled.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revealed First,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right of the disabled differed meaningfully depending on the variables such as age, academic ability, existence of spouse, receiving pension, monthly income, residential type, time of occurrenc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rating, and in the level of empowerment,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ctors like academic ability and disability rating. Second, the level of formation of community relation differed meaningfully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age, academic ability, existence of spouse, residential type, time of occurrence of disability, disability rating etc., and the level of productivity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academic ability, existence of spouse, receiving pension, monthly income, multiple disabilities, disability rating etc.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of the disabled on their community relation, both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turned out to have a meaningful and positive (+) effect on the community relation of the disabled.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of the disabled on their productivity, this study found that only the variable of empowerment exercises a meaningful and positive (+) influence on the productivity of the disabled. Therefore,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are considered an important variable for enabling them to enjoy independent living in the future by strengthening community relation and productivity of the disabled. For this, it is required to fulfill social welfare and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and develop as well as revitalize a variety of programs related to the above.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자립생활의 구성요인 중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공동체 관계 및 생산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약2개월에 걸쳐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인권센터 이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수준은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수급 여부, 월소득 유무, 거주형태, 장애 발생시기,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역량강화 수준에서는 학력과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공동체관계 형성 수준은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거주형태, 장애 발생시기,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산성 수준에서는 학력, 배우자 유무, 수급 여부, 월소득 유무, 중복장애 여부,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공동체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권, 역량강화 변인 모두 장애인들의 공동체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역량강화 변인만이 장애인들의 생산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장애인의 공동체관계 및 생산성을 높여 자립생활을 영위해나가기 위해서는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실천 및 재활과정에서 자기결정권 및 역량강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 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신지체인의 적응행동 요인이 직업유지기간과 이직경험횟수에 미치는 영향

        이채식,이성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5 사회복지정책 Vol.21 No.-

        본 연구는 정신지체인의 적응행동(개념적·사회적·직업적 기술 및 사회적 지지) 요인이 직업유지기간과 이직경험횟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직업유지기간에 유의한 영양을 주는 변인들은 일반적 특성 중에서 직종, 종업원수, 장애인수, 작업지도원 배치, 사회적 기술요인 중에서 안전능력, 금전관리능력, 직업적 기술 요인 중에서 직업생활태도, 작업도구수행능력, 직업적 행동특성, 그리고 사회적 지지요인 중에서 전문가 지지 등으로 나타났으며, 요인간의 상대적 크기는 직업적 기술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직경험횟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들은 일반적 특성 중에서 월평균 임금, 복리후생시설수, 직종, 개념적 기술요인 중에서 수개념, 직업적 기술요인 중에서 직업생활태도, 직업적 행동특성 등으로 나타났으며, 요인간의 상대적 크기는 직업적 기술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기간을 높이는데 있어서 개념적, 사회적 기술보다는 사업체 현장에서 작업자에게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작업기술과 관련된 직업적 기술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신지체인에 대안 직업재활은 작업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직업기술과 관련된 제도와 서비스 체계가 중요하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practically the effects of adaptation behavior factors (conceptual skills, social skills, occupational skills and social support)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on the duration of job tenure and the number of separation. To summary the result of analysis, firstly,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duration of job tenure significantly are the number of employees,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xistence of work guide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s; safety managing abilities and money managing abilities from social skills factors; job attitude, tool handling skills and job-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rom occupational skills factors; and professional support from social support factors. The occupational skills factors have relatively highest influence among other factors. Secondly,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number of separation significantly are average monthly wage, the number of welfare facilities and the type of occupation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s; number concept from conceptual skills factors; and job attitude, and job-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rom occupational skills factors. The occupational skill factors have relatively highest influence among other factors. These results show that in extending the duration of job tenure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the occupational skills, which is related to the work skill required practically to the worker in the work field,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onceptual skills and social skills. Consequently, it is proved that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the organization and the service system is important, which is related to the work skill applicable practically to the work field.

      • 청소년지도사의 디지털활용과 디지털역량에 관한 연구

        이채식 대구한의대학교 청소년문제연구소 2022 청소년행동연구 Vol.- No.27

        디지털 대전환기를 맞이하여 청소년지도사의 디지털역량개발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사의 디지털활용을 파악하고 디지털역량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영남권에 소재한 청소년시설에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로, 설문조사를 위해 비확률표집 방법인 편의표본추출을 적용하였다.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디지털활용실태와 디지털역량의 도구를 마련하였으며, SPSS23.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평균분석, 대응분석 및 중요-성취분석(IPA)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수행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청소년지도사의 디지털활용실태에 있어 청소년지도사와 청소년간의 SNS상호작용에 있어 성별, 경력, 업무담당기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청소년지도사와 청소년지도사간의 SNS상호작용에 있어 성별, 업무담당, 지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지도사의 디지털역량의 차이를 보면 업무담당, 지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청소년지도사의 디지털역량에 관한 중요-성취분석(IPA)을 적용한 결과, 중요도가 높으며 성취도는 낮은 집중영역(2사분면)에는 자체기획, 자료계획, 영상편집지식이 해당하며, 중요도가 높으며 성취도가 높은 유지영역(1사분면)에는 영상 자료 활용, 영상저작권, 새로운 프로그램학습, 업무성찰평가, 새로운 프로그램적응, 자료/정보검색, 자료평가, 자료분석 등이 해당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요약해보면 청소년지도사들의 디지털활용실태와 디지털역량이 성별, 담당업무, 및 지위 등의 주요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청소년지도사의 특성과 디지털역량요소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디지털역량강화프로그램개발과 실행을 통해 청소년지도사의 디지털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도장애인의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특성과 종단적 변화에 관한 연구

        이채식,김명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2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의 취업 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구축한 최근 5년간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14)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일반적 특성 및 장애관련 특성요인에서 중도장애인은 남성이고 연령이 젊고 배우자가 있으며, 취업관련 자격증이 있고 국민기초생활보장이 없으며, 주 장애 발생연령이 비교적 젊고 장애유형이 감각장애이며 장애등급이 경증일수록 취업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사회적인 특성요인에서는 현재 건강상태가 좋고 장애수용과 자존감이 높고, 구직활동에서 차별경험이 적고,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을수록 취업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된 변인을 최근 5년간의 변화 상태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결과 노후준비여부, 국민기초생활보장 탈피의향, 주관적 경제사회적 지위(SES)에서 매년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도장애인의 취업의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정책적 · 실천적 함의를 논의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uesd employing disabled people panel data of 5 years(2009-2013) established by KEAD(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investigate employment determining factor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M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general and disability attributes - male, young, married, having certificate for employment, no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earlier onset of disability, disturbance of sense, mild level of dis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employment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Second, the psychosocial attributes - good health, higher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steem, less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obtaining jobs, no need of others' help - positively influenced it. Third, critical factors, later life preparation, intent resigning from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an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SES), influencing employment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have somewhat increased for 5 years. The policies and practices for enhancing employment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were suggested. The limit and future task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지역사회주민의 여성인권 인식과 개선방안

        이채식 한국인권법학회 2018 인권이론과 실천 Vol.5 No.-

        여성인권은 인권담론의 주요한 영역이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주민의 여성인권 인식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내용은 일상 생활영역, 인권친화환경, 인권활동참여 등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18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평균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일상생활에서 여성인권영역의 차별위험은 소득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인권친화환경의 인식에 있어 여자에 비해 남자가 높았으며, 저소득에 비해 중간이상소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주민의 인권참여를 보면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았으며 중간소득이상인 주민이 저소득에 비해 높았다. 넷째, 지역사회주민들이 인권관심, 인권조례의 이해, 및 인권참여활동의향은 지역사회의 인권친화적 정책인식인 약자지원 및 여성인권정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여성의 인권증진을 위해 지역자치단체의 인권기본계획수립 및 사업추진에 있어 지역사회주민의 참여를 촉진하고 집단집단을 반영한 여성인권 증진방안이 마련되고 추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