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 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도서 선정 도구 활용도 평가 연구

        이찬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identify and evaluate book selection tools utilized when staff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selects books, and then to study about how useful the selected books are. In this regard, this thesis was to present the problems and to suggest how the currently used book selection tools will become improved. To do it, this research thesis reviewed tools and standards utilized and set when select books to read, and explored how they are available, in the first place. In order to identify the ongoing situations of book selection tools selected in school libraries,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of 86 staff(teacher librarians and librarian staff) who has worked in libraries in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regions, according to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reported i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the second place. Lastly, this thesis suggested how school libraries must become improved to select and develop book selection tools to be utilized usefully in the course of developing books in these libraries. Based on the analytic research analysis, this research thesis drew the specific results, This is summarized as the follows: First, book selection tools that staff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most frequently selects and uses are book categories recommended by insitutions and agencies in relation to books. A great deal of staff trusts and prefers the authenticity of such insitutions and agencies, much enough to depend on book categories recommended and issued by social civic organizations. Meanwhile, these book categories are raised as the problems in that they don't exactly describe bibliography, namely facts or events and they fail to update the newest information, ASAP. Given the bitter reality, it is counseled to gather the newest information and offer the perfect bibliography. Second, staff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perceive that the span of severe deviation between the given fields cause some problem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book selection tools. The book fields that book selection tools used for the selection of books cover should vary. But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standards that are defined clearly. In particular, these fields place much stress on literary books. Thus, it needs to select and use book selection tools, according to multidisciplinary genres and themes. Also these tools must reinforce practicality and professionalism based on experiences by staff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Third, the absence of objective evaluation standards set in school libraries breeds such libraries to show a subjective and inconsistent attitude in the process of selecting books. Against this backdrop, it makes sense to establish reading evaluation standards to be applied into school libraries in common, and at the same time, to adjus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at such libraries have.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o set flexible reading evaluation standards. Book selection tools must make a clear definition of book selection standards. It needs to secure the objectivity and fairness that reading gives, through the report system of reading selection processes. Fourth, staff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has some difficulties identifying and linking good books with the interests in reading that users have, when engage in works related to selecting books. It is found that the staff lacks information on curriculum and has hard times communicating smoothly with general teachers. In response to this, it needs to select and use book selection tools related to curriculum. Most of all, major institutions or agencies in relation to books, including the National Children and Adolescent Library and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and mainly each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need to commonly issue book selection tools. Also it needs that key institutions or agencies in relation to libraries should make a regular check on new books for children; should support learning activities in collaboration with staff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academic subject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should develop books to be recommended, according to each textbook; should devise categories to link textbooks. Fifth, it is desirable that staff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should directly engage in selecting and developing book selection tool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school libraries possess extensive information on requests and responses of books that users, mainly children make, developing book categories to be recommended, in collaboration with teacher librarians and staff with experiences and know-how on reading education, will enable such categories to serve as the book selection tools to select more useful books. At the same time, this will encourage readers to have a high interest in reading, and will settle the gap between good books and interests in reading, to somewhat degree. Lastly, it needs to obligate school libraries to hire regular teacher librarians, in order to undertake works in relation to selecting and using book selection tools. On top of this, taking legal grounds is needed to enforce school libraries to hire regular teacher librarians and to lure the maximum number of teacher librarians. By doing so, it needs to help school libraries carry faithfully out their duty to develop books. If teacher librarians are guaranteed their autonomy and rights in the course of developing books, the budgets of libraries can be effectively spent and books can maintain their good qu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담당자가 도서를 선정할 때 활용하고 있는 도서 선정 도구를 파악하고 평가함으로써 유용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도서 선정 도구의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도서 선정 도구, 도서 평가 기준, 도서 선정 도구의 활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학교도서관의 도서 선정 도구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자 문화체육관광부의 국가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인천 지역 초등학교 도서관 담당자(사서교사, 사서직원)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도서 선정 도구 개발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사 및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조사 결과와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 담당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서 선정 도구는 도서 관련 단체 및 기관의 권장도서목록으로 도서 관련 단체 및 기관의 권위성을 신뢰하여 사회시민단체에서 발행하는 권장도서목록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서지사항이 정확히 기재되지 않은 점과 정보 갱신이 빠르지 못한 점을 문제점으로 의식하고 있다. 따라서 도서 선정 도구는 정보의 최신성을 확보하며 완전한 서지사항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교도서관 담당자는 주제 분야에 따라 심한 편차를 도서 선정 도구의 문제점으로 의식하고 있다. 도서 선정 도구가 다루는 도서의 범위는 각 분야별로 고루 선정하려고 하나 확실한 선정 기준은 찾아보기 어렵고 특히 문학 도서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주제별 도서 선정 도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도서 선정 도구는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용성 및 전문성을 보강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은 객관적인 도서 평가 기준이 부재함에 따라 도서를 선정하는 과정이 주관적이며 일관성을 지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학교도서관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면서도 자관의 성격에 맞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융통성을 지닌 도서 평가 기준이 확립되어야 한다. 도서 선정 도구 또한 도서 선정 기준을 명확하게 확립해야 하며 도서 선정 과정을 공개함으로써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학교도서관 담당자는 도서 선정 업무 시 이용자의 독서 흥미와 양서와의 거리감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파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학교도서관 담당자는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일반교사와 소통이 잘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육과정과 관련된 도서 선정 도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나 한국도서관협회를 비롯한 도서관 관련 핵심기관과 각 지방의 교육청이 주축이 되어 도서 선정 도구를 발행하는 것이 일상화될 필요가 있다. 도서관 관련 핵심기관에서 정기적으로 어린이용 신간도서를 점검하고, 학교도서관 담당자와 교과교사, 일반교사의 협력을 통해 교수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교과별 추천도서, 교과연계목록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도서관 담당자가 직접 도서 선정 도구 개발에 참여해야 한다. 특히 학교도서관은 이용자인 어린이의 책에 대한 요구 및 반응과 관련한 정보들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곳이다. 어린이에 대한 독서교육 서비스의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사서교사, 사서직원이 협력하여 권장도서목록을 개발한다면 보다 유용한 도서 선정 도구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이용자의 독서 흥미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양서와의 거리감도 다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서 선정 도구가 유용하게 활용되고 도서 선정 업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정규직 사서교사 배치를 의무화해야 한다. 정규직 사서교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사서교사 임용의 정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하여 장서를 통한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서개발 과정에서 사서교사의 자율성과 권한이 보장된다면 효율적으로 도서관 예산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서의 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 심리운동이 거주시설 중증장애인의 사회성 및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찬미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거주시설 중증 장애인 중에서 의사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심리운동’이 사회성 과 관계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의사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거주시설 이용자 남. 여 각 5명 총 10명을 대상으로 2그룹 주1회 30회기 심리운동 프로그램 실시 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매 회기 수집된 영상과 강사의 진행일지, 지원자의 관찰일지를 특정 항목으로 계량화 하여 각 개인별 변화 정도를 질적 사례 분석과 함께 계량적 분석을 병행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이 거주시설 중증 장애인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사회성에서 과제 수행 태도, 집단 활동 참여 정도, 전반적인 참여 태도는 증가하였지만, 이탈횟수는 감소했다. 둘째, 심리운동이 거주시설 중증 장애인의 관계 형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용자 간의 관계 형성, 지원자와의 관계 형성은 증가했으며, 정서적으로 즐거움은 증가했고, 분노, 눈물, 두려움, 우울, 표정 없음은 감소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거주시설 중증 장애인에게 사회성, 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인식 제고와 심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관계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찬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수행 과정 중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특히 업무 고유의 영역과 고객서비스를 함께 수행해야 하는 서비스업의 특수한 상황은 일반기업의 직원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보다 더 큰 업무 부담감을 유발할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종사원의 정서적 문제는 업무회피, 지연, 업무의 수행 및 생산성의 저하, 직무 불만족 등 조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효율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오늘날 서비스 종업원의 심리적 건강은 관리자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1급 호텔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조적 관계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더불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에 있는 특1급 호텔에서 근무하고 있는 조리부, 식·음료부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 총 269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 그리고 적합도를 검토하여 총 4개의 주 가설 및 10개의 하위가설을 검증하였으며 표본의 특성을 보기 위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인 특1급 호텔에 근무 중인 종사원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 구성요소 네 가지에 대하여 고객갈등, 역할갈등, 역할과다, 역할모호의 순으로 직무환경에서의 스트레스를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소 중 역할과다를 제외한 모든 요소가 종사원의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소인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소인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 모두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에 따른 부분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회복탄력성이 낮은 종사원은 높은 종사원에 비해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안녕감의 손실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호텔서비스 분야에서 미비하였던 심리적 안녕감 관련 초기 탐색적 연구로서 향후 연구와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안녕감을 저해하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별 관리를 위한 정책 마련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개인 심리적 변수인 심리적 안녕감, 직무 태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직무만족, 이직의도 개념을 모형으로 구성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종사원의 심리적 안녕감, 직무태도와 관련된 연구모형의 틀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직무스트레스의 경험으로 인한 심리적 안녕감의 저하는 종사원의 직무에 대한 만족의 저하와 이직의도의 증가로 이어지므로 호텔기업의 인사 관리자는 종사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실태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종사원의 심리적 안녕감 회복 및 회복탄력성의 강화를 위한 심리상담 프로그램 등의 도입을 통해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노력을 우선적으로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 수학과 과학과 교과간의 융합 교수.학습 분석 : 직선의 방정식을 중심으로

        이찬미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과 과학과 교과 간의 융합 교수? 학습 분석 : 직선의 방정식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과학과 교과간의 융합 교수 학습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도구로써,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융합수업 인식에 대한 설문 문항이 담기어져 있는 설문지를 만들고,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융합수업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수업 전후에 각각 실시하여 수학에 대한 태도와 융합수업 인식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직선의 방정식 단원과 과학교과의 물리과목의 음파의 속도에 대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융합수업 지도안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과 과학과 교과간의 융합수업을 진행 하였다. 사전에 학생들의 수학적 자아개념, 태도, 학습습관을 미리 작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융합수업 전에 조사하였다. 또한 융합 수업을 진행한 후에 그 내용의 변화를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고, 융합수업에 대한 인식을 추가로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개발한 “수학과 타교과간의 통합 교수 학습 문헌 ([1])” 을 기반으로 수학과 과학과 교과간의 융합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경기도 평택에 있는 모 고등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융합수업을 실시하였고,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목적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에서 개발한 ’ 수학적 태도 검사지’ 를 활용하였다. 총 91 명의 설문지를 회수 하여 얻어진 설문조사 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nalysis on converg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etween mathematics and sciences In this research, converg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athematics and sciences was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understanding of convergent teaching methods through survey. The study targeted the 1st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In this experiment, the chapter for the equation of straight line was taught in a mathematics class, and the sound velocity in a science class with the targeted students. Mathematical self-concepts, attitudes, and study habits of students were reviewed before the experiment and any change after the experiment was further examined through survey. Also, their understanding of converg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as analyzed. The convergent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s and science were developed, based on an earlier research about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 The 1st grade students from High School in PyeongTaek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Survey of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was used for the questionnaire. Later,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 Francis Poulenc의 <Airs Chantés> 분석 연구

        이찬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의 서양음악은 이 전 시대의 역사적 흐름에서 완전히 벗어나 새로운 음악의 형태를 맞이하게 된다. 17세기 바로크 시대부터 약 3세기 동안 서양음악을 지배해 왔던 전통적인 3화음 조성 체계는 20세기를 맞이하며 급진적으로 붕괴되었고 새로운 작곡기법과, 음색에 대한 실험적 연구로 인해 방대한 양의 음악 양식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는 Claude Debussy를 중심으로 하는 인상주의 음악 양식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이 후 20세기 초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Arnold Schönberg를 중심으로 표현주의 음악이 등장하였으며, 뒤이어 객관적인 음악을 추구하는 신고전주의 음악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신고전주의음악은 러시아의 Igor Stravinsky를 중심으로 시작되었고 Francis Poulenc을 포함하는 프랑스 6인조(Les Six)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Poulenc의 초기 가곡 작품집인 <Airs Chantés>(노래들)는 시인 Jean Moreas의 시집 <Le Stance>(절가)에서 발췌한 총 4개의 시에 의한 가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곡 <Air romantique>(낭만적인노래), 제 2곡 <Air champêtre>(목가), 제 3곡 <Air grave>(엄숙한 노래), 제 4곡 <Air vif>(활기찬 노래)의 총 4곡이다.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후 20세기 초반 서양음악의 흐름과 그 시기의 작곡가에 대해 알아보고, Poulenc의 생애와 작품, 가곡의 특징을 연구한다. 또한 가곡집 <Airs Chantés>의 작품 개요와 시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선율, 리듬, 화성, 형식 등의 분석을 통하여 곡의 이해를 돕는데 목적을 둔다. This study suggests how to play the song cycle <Airs Chantés>, the work of Francis Poulenc (1899-1963), effectively by analyzing and studying music based on the flow of Western music in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Western music after the 20th century was a time when the craving for new things was sought out of the traditional style. More complex and experimental research has been done than ever before. Beginning with Claude Debussy's Impressionism music style, various music styles have emerged. Arnold Schönberg's atonal music, Expressionismus music style including music serialism, and Igor Stravinsky's Neo-Classicism music style are the examples. Poulenc expresses the French neoclassical tendencies and he is noted as one of the most typical neoclassical composers of Les Six. He continued to keep the tradition of French music by using his own musical phrases, such as the harmony of poetry and music, beautiful melodic and balanced forms. He gave melodies to four poems from the poem <Le Stance> by poet Jean Moreas and composed the song cycle <Airs Chantés>, one of his representative works. Second, this piece explains how Poulenc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importantly. He composed a lot of songs inspired by literary lyrics, as he says, 'To compose poetry musically is never compromise, it must be an act of love.' He treated the content of the poem as important as the structure that appears in poetry,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evident in the song cycle <Airs Chantés>. All four songs in <Airs Chantés> are composed of through-composed songs, and they are the story of nature, life, and love. He distinguished the music form of the second song <Air champêtre> and the fourth song <Air vif>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poem’s each verse. A portion has a time of one year, a portion B has a time of two years, and a portion of A 'has a time of one year. The first verse of the poem is used for the part A, the second verse is used for the part B, and the first verse is repeated for the part A '. Third, the song <Airs Chantés> belongs to the first type "Songs with a popular" among the 6 types of songs of Poulenc classified by D. Keith. This type has a beautiful vocal rhythm and a short phrase melody, and is mostly a waltz-like tunes. All four songs of <Airs Chantés> have a fast tempo, light and bright atmosphere except for the third song <Air grave> with slow tempo and heavy atmosphere. The first song <Air romantique> and the fourth song <Air vif> start with 2/4, the second song <Air champêtre> and the third song <Air grave> start with 4/4 beats and have a cheerful atmosphere with frequent irregular time. It also starts with dynamics of f or mf, and leads to a rhythmical and dynamical atmosphere with irregular use of syncopations and accents. All four pieces have a lot of modulation, however, they are all finished with the same tonality at the beginning of the pieces. It is the musical feature of neoclassicism that does not deviate much from the traditional harmonic progression. The chromatic harmonic progression is shown in the diatonic scales, and the 7th and 9th chords are frequently used in the piece. The chromatic melody also naturally appears in the flow of the dynamical system. The accompaniment section tends to be in counterpoint to the melody of vocal section. The accompaniment pa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ximizing the atmosphere of the song, showing a simple arpeggio or harmonic progression. The accompaniment section has the same importance as the vocal section, and it has its own musical value by itself. As a result, Poulenc composed <Airs Chantés> based on Moreas's poem, and it is known to be loved by many musicians to date due to its beautiful melody and an excellent musical flow.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the understanding of Poulenc’s song cycle will be enhanced and it will be practical references for many performers who study his works.

      •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문장구성하기 능력 비교 연구

        이찬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re is difference in performance to compose sentences according to sentence type and number of phrase with these three groups such as child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and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above three groups was examined. The subjects were 12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t 2-3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12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and 12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 in total of 36. 54 sentences were used, the sentences consisted of 4, 5, and 6 phrases, and the sentences consisted of simple sentences and complex sentences according to sentence structure.(connected sentence, double sentence) The connected sentences consisted of sentences with coordination conjunction and ones with subordinate conjunction. The double sentences consisted of sentences with adnominal clause, predicate clause, and noun clause. The experimental task of this study was word-order-task : to make a right sentence in meaning and structure by combining given phr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overall performance to conduct the task,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ly low performance compared to not only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but also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In sentence type, the score for connected sentence was most high, next was simple sentence, and double sentence showed the lowest score. Second, in the performance to compose simple sentenc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ly low performance compared to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but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As the number of phrase increased, the performance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number of phrase and groups. Third, in the performance to compose complex sentences,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ly low performance compared to not only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but also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as for sentence type, performance for double sentence was significantly low compared to connected sentenc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ntence type and groups was observed. For connected sente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For double sente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the groups. As the number of phrase increased, the performance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between number of phrase and groups. In the sentences with 4 phras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betwee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In the sentences with 5 and 6 phras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the groups. Fourth, in the performance to compose connected sentences,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ly low performance compared to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but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In meaning type, performance for connected sentence with subordinate conjunction was significantly low compared to sentence with coordination conjunction. As the number of phrase increased, the performance significantly decreased. Also, interaction effect between number of phrase and groups was observed. In the sentences with 4 phras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In the sentences with 5 phras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the groups. In the sentences with 6 phrase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the groups. Interaction effect between number of phrase and meaning type was observed. In the sentences with coordination conjunc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etween 4 phrases and 6 phrases. In the sentences with subordinate conjunc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the phrases. Fifth, in the performance to compose double sentenc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ly low performance compared to not only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but also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As for type of double clause, the performance showed this order in adnominal clause which is the highest, predicate clause, and noun clause. As the number of phrase increased, performanc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observed for all the types. Based on this study, it was known that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as low in composition ability compared to not only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but also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This study also showed that performance for composition is affected by length and complexity of sentence.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record between gener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languner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which proves that the ability of composition for children continuously develops during the age of six to 20.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언어연령 및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문장의 종류와 어절수에 따른 문장구성하기 수행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세 집단을 비교하여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3학년 단순언어장애 아동 12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으로 총 36명이었다. 검사문장은 총 54개로 단문 18개, 복문 36개(이어진문장 18개, 안은문장 18개)였다. 단문, 이어진문장, 안은문장은 각각 어절수에 따라서 4, 5, 6어절 문장을 6문항씩 구성하였다. 복문 중 이어진문장은 다시 의미유형에 따라서 대등관계로 이어진문장과 종속관계로 이어진문장을 각 9문항씩 구성하였고, 안은문장은 안긴절의 종류에 따라서 관형절, 서술절, 명사절을 안은문장을 각 6문항씩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과제는 주어진 어절들을 조합해서 의미와 구조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문장구성하기 과제(word-order-task)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구성하기 과제의 전체 수행력에 있어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뿐만 아니라 언어연령일치 아동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문장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어진문장의 수행점수가 가장 높았고, 단문, 안은문장의 순서로 수행력이 낮아졌다. 둘째, 단문구성하기 수행력에 있어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보다는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언어연령일치 아동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절수의 증가에 따라서 수행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어절수와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전체 복문구성하기 수행력에 있어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뿐만 아니라 언어연령일치 아동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문장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어진문장에 비해 안은문장의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다. 문장종류와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이어진문장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일치아동 집단 간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안은문장에서는 모든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절수의 증가에 따라 수행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어절수와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도 관찰되었는데 4어절 문장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언어연령일치아동,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일치 아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5어절과 6어절 문장에서는 모든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문장종류와 어절수, 문장종류와 어절수와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복문 중 이어진문장 구성하기 수행력에 있어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보다는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언어연령일치 아동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의미유형에 따라서는 종속관계로 이어진문장의 수행이 대등관계로 이어진문장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았고, 어절수의 증가에 따라서 수행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어절수와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4어절 문장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일치 아동 간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5어절 문장에서는 모든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그리고 6어절 문장에서는 세 집단 간의 차이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의미유형과 어절수의 상호작용 효과도 관찰되었는데 대등관계로 이어진 문장에서는 4어절과 6어절 간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종속관계로 이어진 문장에서는 모든 어절들 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다섯째, 복문 중 안은문장 구성하기 수행력에 있어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뿐만 아니라 언어연령일치 아동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안긴절의 종류에 따라서는 관형절, 서술절, 명사절을 안은문장의 순서로 수행력이 높아졌고 어절수의 증가에 따라서 수행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상호작용 효과는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학령기 초기의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능력이 생활연령일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지체되어 있으며, 안은문장의 경우에는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에 비해서도 지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문장구성하기 수행력은 문장의 길이와 구문의 복잡성에 따라 영향을 받아서 어절수가 많아질수록 수행력이 감소하였고, 단문보다는 복문에서 더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언어연령일치아동과 생활연령일치 아동 간에도 수행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를 통해 아동의 구문능력이 학령기 동안에도 계속해서 발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코로나19 돌파감염에서 면역반응의 지연과 중증도의 연관성

        이찬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Since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was declared, various types of vaccines against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have been developed and rapidly rolled out. Although there have been reports of breakthrough COVID-19 in individuals vaccinated against SARS-CoV-2, the clinical features of COVID-19 patients in the COVID-19 vaccination era are unclear and need to be clarified. Moreo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immune determinants for breakthrough COVID-19 and risk factors for severe breakthrough COVID-19. We aimed to determine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vaccination status during the COVID-19 vaccination era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between patients with non-severe and severe breakthrough COVID-19. Methods: To analyze clinical features of COVID-19 patients, we retrospectively collected and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hospitalized COVID-19 patients during a Delta variant-dominant period 6 months after the national COVID-19 vaccination rollou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severe progression were assessed according to vaccination status. To analyze immunologic features of breakthrough COVID-19, we prospectively enrolled hospitalized patients with breakthrough COVID-19 (severe and non-severe groups) who were admitt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r Boramae Medical Center from May 2021 to January 2022. Breakthrough COVID-19 was defined by the presence of symptoms and diagnosis of COVID-19 more than 14 days after at least one vaccine dose. The uninfected individuals who were vaccinated at a similar time were enrolled as controls. Severe cases were defined as those who required oxygen therapy while hospitalized.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anti-S1 subunit immunoglobulin G (IgG) was used to evaluate humoral immune response. Following stimulation by wild-type and Delta variant antigens, the flow cytometry assessing SARS-CoV-2-reactive T cells and cytokine-producing T cells were performed to evaluate cellular immune response. The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were compared in controls and patients with breakthrough COVID-19 (severe and non-severe groups). Results: For the retrospective study, a total of 438 COVID-19 patients were included; the numbers of patients in the unvaccinated, partially vaccinated and fully vaccinated groups were 188 (42.9%), 117 (26.7%) and 133 (30.4%), respectively. The vaccinated group was older, less symptomatic and had a higher Charlson Comorbidity Index at presentation. The proportions of patients who experienced severe progression in the unvaccinated and fully vaccinated groups were 20.3% (31/153) and 10.8% (13/120), respectively. Older age, diabetes mellitus, solid cancer, elevated levels of lactate dehydrogenase and chest X-ray abnormalities were associated with severe progression, and the vaccination at least once was the only protective factor for severe progression. Chest X-ray abnormalities were the only predictor for severe progression among fully vaccinated patients. For the prospective study, a total of 108 breakthrough COVID-19 cases admitted within 1 week of the onset of symptoms were enrolled. The non-severe group included 79 patients and the severe group included 29 patients. The control group included 22 uninfected individuals who were vaccinated. Anti-S1 IgG titers were higher in both severe and non-severe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anti-S1 IgG titers within 1 week after symptom onse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evere group than in the non-severe group (median [interquartile range], 4.99 [1.38—9.02] vs. 8.28 [5.17—10.25], P = 0.007). Antibody kinetics assessed with serial samples revealed that antibody responses were delayed in the severe group. The cellular immune responses were assessed in 10 non-severe breakthrough cases, 5 severe breakthrough cases, and 10 uninfected vaccinated individual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cellular immune response was diminished in breakthrough cases, particularly in the severe group. In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ying risk factors for severe breakthrough COVID-19, old age (adjusted odds ratio [aOR] 1.0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12, P = 0.014) and a low anti-S1 IgG titer in early phase (aOR 0.88, 95% CI 0.77—0.99, P = 0.037) were associated with severe breakthrough COVID-19. Conclusions: Although significant proportions of both the vaccinated and unvaccinated groups progressed to severe COVID-1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features and proportions of severe progression depending on the vaccination. As the vaccination status is an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severe progression in COVID-19 patients, vaccination needs to be assessed as an initial checkpoint, and chest X-ray may be helpful for predicting severe progression in vaccinated patients. Severe breakthrough COVID-19 was associated with low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in the early phase of infection. In the vaccinated population, delayed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may contribute to severe breakthrough COVID-19. 서론: 코로나19 대유행이 선언되고 다양한 종류의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백신이 개발되어 접종이 이루어졌다.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이루어진 이후 돌파감염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나, 예방접종이 상당히 이루어진 상황에서 코로나19 환자의 임상상과 중증 진행의 위험인자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바가 없다. 특히 예방접종 후 발병한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면역반응 및 중증 진행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방접종이 상당히 이루어진 시기에 코로나19 환자의 임상경과 및 중증 진행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예방접종의 임상적 의미를 확인하고, 비중증과 중증 코로나19 돌파감염 간의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임상적 특성의 분석을 위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후 6개월 이상 경과하고 델타 변이가 우세한 2021년 9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보라매병원에 입원한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대상자에서 예방접종 여부를 확인하고 예방접종 여부에 따른 임상적 특징과 중증으로의 진행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면역학적 특성의 분석을 위하여 2021년 5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과 보라매병원에 입원한 코로나19 환자 중 1회 이상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백신을 접종하고 14일 이상 경과한 뒤 코로나19에 확진된 환자를 환자군으로, 같은 기간에 예방접종을 하였으나 감염이 되지 않은 대상자를 대조군으로 전향적으로 모집하였다. 격리 입원 기간 중 산소치료가 필요한 경우를 중증 코로나19 돌파감염으로 정의하였다. 효소면역정량법을 이용하여 항S1-immunoglobulin G(IgG) 역가를 측정함으로써 체액성 면역반응을 평가하였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야생형 및 델타 변이 항원으로 자극 후 활성화 지표인 CD69와 CD137이 모두 양성인 세포의 분율, CD137 및 사이토카인이 양성인 세포의 분율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특이적인 림프구 반응을 평가하였다.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대조군, 돌파감염 비중증군, 돌파감염 중증군에서 비교하였다. 결과: 후향적 임상자료 분석연구에 총 438명의 코로나19 환자가 포함되었고, 백신미접종군(188례, 42.9%), 백신부분접종군(117례, 26.7%), 백신완전접종군(133례, 30.4%)으로 분류하였다. 백신접종군이 백신미접종군에 비해 더 고령이었고, 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가 더 높았다. 백신미접종군과 백신완전접종군에서 중증 진행 비율은 각각 20.3% (31/153), 10.8% (13/120)였다. 고령, 당뇨병, 고형암, 젖산탈수소효소 수치 상승, 흉부 X선 이상이 중증 진행과 관련이 있었고, 1회 이상의 백신 접종이 중증 진행에 대한 유일한 보호 요인이었다. 백신완전접종군에서 흉부 X선 이상이 중증 진행의 유일한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 전향적 면역학적 특성 분석연구에 총 108명의 코로나19 돌파감염 환자가 포함되었고, 분석을 위한 혈액검체는 증상 발생 1주 이내에 채취하였다. 그 중 79명이 돌파감염 비중증군, 29명이 돌파감염 중증군이었다. 예방접종을 하였으나 감염되지 않은 대조군은 22명이 모집되었다. 항S1-IgG 역가는 대조군보다 돌파감염 비중증군과 중증군에서 더 높았고, 증상 발생 1주 이내에 돌파감염 중증군의 항S1-IgG 역가가 비중증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돌파감염 중증군 대 돌파감염 비중증군, 중위수 [사분범위], 4.99 [1.38—9.02] 대 8.28 [5.17—10.25], P = 0.007). 연속으로 얻은 검체로 항체 역가 변화를 보았을 때 중증 코로나19 돌파감염 환자에서 체액성 면역반응이 더 지연되어 있었다. 10명의 비중증 코로나19 돌파감염 환자, 5명의 중증 코로나19 돌파감염 환자, 10명의 예방접종 후 비감염자에서 세포성 면역반응을 분석하였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비감염 대조군보다 돌파감염 비중증군과 중증군에서 더 낮았고, 특히 돌파감염 중증군에서 더 낮았다. 중증 코로나19 돌파감염과 연관된 인자를 보는 다변량분석에서 고령(조정된 승산비 1.07, 95% 신뢰구간 1.01—1.12, P = 0.014)과 낮은 초기 항S1-IgG 역가(조정된 승산비 0.88, 95% 신뢰구간 0.77—0.99, P = 0.037)가 중증 코로나19 돌파감염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백신접종군과 백신미접종군 모두 코로나19 감염 후 적지 않은 비율에서 중증으로 악화되었으나 예방접종 여부에 따라 임상 양상과 중증 진행 비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코로나19 환자 진료에서 예방접종 여부가 중증 진행 예측에 있어 중요한 인자이므로 초기 확인이 필요하고, 돌파감염자에서도 초기 흉부 X선 폐렴소견이 중증 진행을 예측하는 인자였다. 실험실적으로 돌파감염자에서 중증으로 악화되는 것은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이 낮은 것과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돌파감염자에서 해당 면역반응의 지연 여부를 확인하면 중증 감염 발생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 영아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이찬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bout ‘the recognition and status of teacher’s about infant art education childhood education’. The based on survey of questionnaire, it has researched by 250 teachers who are teaching children on 57 kindergartens in Iksan, Jeon-Ju, Gun-San in Jeollabuk-do. In order to get information for study, it has sent mail or taking interview 7th Dec. 2015 to 11th Dec. 2015. All respondent’s answer have collected on 30th of Dec.2015. The information of survey has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To analysis answer of respondents about the recognition and inquires of infant art education, it has checked the percentage of answers each question. It used to prove by analysis of intersection (x2) and F(t), that is to know the background of teacher affect to result To get the purpose of study, it set up the below sentence. 1. What is affect for infant art education by background (Carrier, Education Background) and other factors (type of institution, type of class in age) on recognition of teacher? 2. What is affect for infant art education by background (Carrier, Education Background) and other factors ( type of institution, type of classin age) on status of activity? It get result by following sentences First, the art education is recognized as highl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early children education in classes. For the reason to do infant art education, most of teachers have answer, it will be helpful to develop to creative thinking. Also, main purpose of infant education is to provide the experience of sensual to students. Background of teachers (Carrier, Education Background) and factors (type of institution, type of class in age) do not relate with result for the necessary of art education. To get the effective of education, most of teachers want to have many different kinds of text books and materials. Also they want to work in better environments. Some of teachers hope to get the classroom only for infant art education. About the extra training course of infant art education, it need to set up the different classes by age group. Especially, 40s ages group of teachers need to take more extra training course compare as 30s and 20s age of group age. For the 20s age group need to take more classes than 30s age group. The most efficient way of extra courses is workshop. 2nd efficient way is to watch the educational video and way of discussion is not popular at all. Most of teachers want to learn from professor who has major in infant education with knowledge of art. Second, to check the operation of infant art education, most of classrooms have art tools and materials. When teachers make the plan for art education class, they are following on standard of education rules and have reference from art teaching materials. The plan made by homeroom teacher. Art education classes have three times per a week and most of activity is drawing. On the 2D imagination activity, most of students use with crayon and the cray use for 3D imagination in class. On the management of art work, it could be bring to home or display in the classroom what students want to keep way of it. As result of study, background of teachers (Carrier, Education Background) and factors (type of institution, type of class in age) would be affect to the result. On the background of teacher, carrier is more powerful than age that affects to the result. Type of institution is more powerful than age to the result. 본 연구에서는 영아미술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영아미술교육활동의 실태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지역 익산, 전주, 군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현재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총 57기관의 보육교사 250명이다. 본 연구의 절차는 2015년 12월 7일부터 12월 11일까지 설문지를 우편이나 직접 방문을 통해 배포하고, 12월 30일까지 우편이나 직접 방문을 통해 회수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영아를 위한 미술교육에 대한 응답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χ2)과 F(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 영아반 미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배경(경력, 학력) 및 관련 변인(기관유형, 반연령)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보육시설 영아반 미술활동에 대한 실태는 교사의 배경(경력, 학력) 및 관련 변인(기관유형, 반연령)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 영아반 미술활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영아반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이유에 대해 ‘창의적인 사고를 발달시키므로’가 가장 많았으며 미술교육의 목적으로는 ‘감각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영아반 미술교육의 필요성 목적 등에서 교사의 배경 및 관련 변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효과적인 영아미술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다양한 교재, 교구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실에 미술영역이 독립적으로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높았다. 한편, 연령에 적합한 미술관련 교육 및 연수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교사의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40대 교사들의 미술관련 교육 및 연수의 필요성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20대와 30대 교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아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워크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시청각 교육이었으며 이론 강의와 분임토의 방법이 가장 낮았다. 영아의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을 누구에게 받기를 원하는지에 대해서는 유아교육전공자 중 미술적 지식을 겸비한 교수가 가장 많았다. 둘째, 보육시설 영아반 미술활동에 대한 구성 및 운영 실태를 알아본 결과 대부분 미술영역이 교실 내에 구성되어 있으며 영아미술활동 계획 시 대부분의 교사가 표준보육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미술교육에 대한 수업계획안을 작성할 때 주로 사용하는 자료로는 미술교육 지도용 자료가 가장 많았으며 영아미술교육에 대한 수업계획안은 담임교사에 의해 작성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교사가 영아 미술활동과 관련된 활동은 주 2-3회 실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가장 많이 실시하는 활동에 있어서는 그리기가 가장 많았다. 평면적 미술활동에서는 크레파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입체적 구성활동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재료로는 밀가루와 점토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미술활동의 작품관리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개별로 영아들이 원할 때 집에 가져가도록 하고 개별 영아의 작품 모음집을 만들어 보관하거나 교사나 영아가 원하는 대로 전시해 주도록 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아반 교사의 배경 및 관련 변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배경변인에서는 연령보다는 학력 요인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연령 보다는 기관 유형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 사회불안과 군 적응의 관계 : :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군 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찬미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군 복무중인 대한민국 육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이 군 생활스트레스를 매개하여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불안이 군 생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 Y시 부대에 군복무 중인 육군 병사 180명을 대상으로 군 생활 스트레스 척도,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척도와 사회적지지 척도와 군 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과 군 적응의 관계에서 군 생활 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사회불안이 군 생활스트레스를 통해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에서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지지는 군 생활 스트레스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사회불안을 겪는 군 병사들이 입대 전․ 후로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게 되면 군 생활 스트레스를 낮게 경험하여 군 생활에 더 잘 적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ried to check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on military adaptation by mediating military life stress on Korean Army soldiers serving in the military, and to check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direct routes between military life stress and military adaption. To that end, 180 Army soldiers serving in the Y city unit in Gyeonggi-do were surveyed using the military life stress scale, social avoidance and discomfort level, social support scale, and military adaptation scal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3.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military life stress, military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military life str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military adaptation. Third,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indirect routes through which social- Anxiety affects military adaptation through military life stress. Specifically, high social support has been shown to reduce the impact of military life stress on military adaptat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ndicate that soldiers suffering from social-anxiety can experience low military life stress and better adapt to military life if they receive a lot of social support before and after enlistment.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