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에 나타난 유학의 검토

        이종우(Yi JongWo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교육연구 Vol.44 No.-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에 나타난 유학에서 그 용어를 엄밀하게 써야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점이 있다. 예를 들면 유학의 인, 성리학 등이 그러하다. 유학이란 공자, 맹자, 순자 그리고 후대의 주희까지도 포함한다. 성리학도 마찬가지로 주희 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정호와 정이 그리고 후대의 학자인 이황과 이이의 이론까지도 포함한다. 그 내용에 있어서도 정확한 표현에서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 나타나고 있다. 인을 ‘어짐’, ‘사랑’이라고 표현한 것을 비롯하여 ‘天命之謂性’을 ‘천성은 인성과 같다는 것이다.’라고 표현한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황의 理發而氣隨之와 氣發而理乘之, 이이의 氣發而理乘之는 사단칠정설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언급이 없다는 것은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 현행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에서 과거의 유학을 현대의 고등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위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용어로 설명하는 것은 어쩔 수 없으나 그것이 정확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High school ethics textbook not strict on Confucianism conception. It is example humanity〔仁〕and New Confucianism. Confucianism include Confucius and Mencius and Xunzi and Zhuxi. New Confucianism include not only theory of Zhuxi but also Cheng Hao and Cheng Yi and Yi Hwang and Yi Yi. High school ethics textbook not strict on Confucianism contents. It was write that humanity〔仁〕translate benevolence or love. It was write that god an order equal human nature translate nature of god equal nature of human. It is not strict that mutual revelation of Yi Hwang and one side revelation Yi Yi of theory principle〔理〕and vigor〔氣〕. It is theory of four virtue and seven emotion of Yi Hwang and Yi Yi. High school ethic textbook not write on theory of four virtue and seven emotion of Yi Hwang and Yi Yi. High school ethics textbook not strict on Confucianism conception and theory.

      • KCI등재

        자식이 부모를 봉양하기 위하여 도둑질을 한 것이 선인가 악인가에 관한 마테오 리치와 유교선비의 논쟁

        이종우 ( Yi¸ Jongwo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1 No.1

        자식의 부모에 대한 효도는 동서고금의 공통적인 윤리이다. 만약 자식이 부모를 봉양하기 위하여 훔쳤다면 그것은 선인가? 악인가? 이에 대하여 중국에서 활동했던 카톨릭 신부 마테오 리치와 유교의 선비는 논쟁을 벌였다.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없으므로 본고는 이것을 연구할 것이다. 중국의 유교 선비는 부모를 봉양하기 위하여 훔친 것은 선을 행하려는 의지로 인한 행동이기 때문에 선이라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마테오 리치는 그것은 선의 의지도 아니고 선행도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선행은 선의지에 근거된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절도란 선이 아니라 악이기 때문에 그 의지도 역시 악이라고 여겼다. 왜냐하면 선이란 전혀 결점이 없는 완벽한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부모를 봉양하려는 것은 선이지만 절도는 악이기 때문에 자식의 그러한 행동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선이라고 할 수 없다고 마테오 리치는 여겼던 것이다. 당시 명나라 법전인 『대명률』에 따르면 자식의 그러한 행동은 처벌받았다. 이 때문에 유교선비의 주장은 당시 법률의 위반이었다. 마테오 리치의 선행의 뿌리로서 선의지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향을 받았고,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에 근거하였으므로 르네상스의 도덕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러한 마테오 리치의 개념은 카톨릭이라기 보다 르네상스의 도덕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마테오 리치와 유교선비의 논쟁은 서양과 동양윤리의 대표적인 논쟁이라고 할 수 있다. A child's filial duty to his parents across is ethics in all the ages and countries of the world. If he has stolen to support his parents, is it good or evil? In this respect, Matteo Ricci, a Catholic missionary in China, had a debate with a Confucian scholar of China. This topic has not been researched until now, so I research on this. A Confucian regarded it as the will of goodness based on Confucian ethics, but Matteo Ricci argued it neither good will nor good deed. Because he regarded good act as based on good will. His argument was that a child's theft is evil, even if a will of child to support his parents, filial piety, is good, this is evil after all. That goodness is perfect. A child's support for his parents is good, while his theft evil. Because of this, that child's act is not perfect, so this is not good but evil. At the time, this was punished by Daiminglu (大明律, the Great Laws of Ming Dynasty) of China. Therefore, that Confucian ethics was not suitable for the laws of times but ideal family ethics only. According to Matteo Ricci, that child's act is evil because a theft is evil. By contrast, a filial piety is good, so child's act is good, according to the Confucian. According to Matteo Ricci, the root of Good act is good will. This was the influence of Thomas Aquinas based on Aristotle. Therefore, that of Matteo Ricci implies rather moral philosophy of Renaissance than Catholicism because Renaissance means the rediscovery of classical Greek philosophy, including Aristotle. Because of this, their debate is a representative debate between West and East.

      • KCI등재

        권상하와 이현익 인물성 논쟁 : 한원진과 관련하여

        이종우 ( Yi Jongwoo ) 온지학회 2020 溫知論叢 Vol.0 No.63

        낙학의 이현익과 어유봉은 인물성에 관한 논쟁을 벌였는데 당시 낙학의 종장 김창흡은 어유봉을 지지하면서 이현익을 인물성이론이라고 단정하여 호학의 종장 권상하로부터 나왔다고 비판하였다. 즉 이현익과 권상하를 같은 인물성이론이라고 간주하여 비판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현익은 어유봉과 논쟁을 벌이기 이전에 이미 권상하와 인물성 논쟁을 벌였고, 그 후 권상하의 문인 한원진도 이현익을 비판하였다. 이현익은 인간과 동물의 성의 본체 즉 본연지성은 같지만 그 작용으로서 기질지성은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성을 본체와 작용으로 구분하였다. 반면에 권상하는 성이란 리만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기 속의 리를 가리키기도 한다고 여겼기 때문에 전자는 인물의 본성이 같지만 후자는 다르다고 보았다. 그는 성을 이현익 처럼 본체와 작용으로 구분하지 않았다. 한원진의 이현익 비판도 그의 스승 권상하와 같다. 한원진의 인물성론이 이간과의 논쟁에서 이미 정립되었고, 권상하도 그를 지지하였으므로 그 관점은 같았다. 권상하와 한원진은 리와 기 속의 리 모두 본연지성이라고 여긴 것이 이현익과 다르다. 이 때문에 권상하와 한원진의 관점에서 이현익은 이간과 비슷한 인물성동론자였다. 권상하·한원진과 이현익의 공통점은 리만을 가리켰을 때 그 본연지성은 인간과 동물이 같다고 여긴 점이다. 이처럼 이현익의 본연지성에 대한 관점이 권상하·한원진과 다르기 때문에 김창흡이 생각한 것처럼 이현익의 인물성론이 권상하로부터 나온것이 아니었다. In the Rak group, Yi Hyeonik and Eo Yubong, also had a debate like Ho group. Their representative Kim Changheup, argument that the natures of humans and animals are the same, was supporting Eo Yubong, criticizing Yi Hyeonik because he regarded Yi Hyeonik’s argument was from Gwon Sangha. However, Yi Hyeonik had a debate with Gwon Sangha about it before that and Han Wonjin criticized Yi Hyeonik’s agument after the debate. Yi Hyeonik argued that the original natures of humans and animals are the same but the physical natures are different. However, Gwonsangha argued that the nature means not only li(理) but also li inside gi(氣). This is like Han Wonjin’s criticism of Yi Hyeonik. Han Wonjin also argued that the original nature means not only li but also li inside gi. The former means that the natures are the same but the latter means that the natures are the different. Gwon Sangha and Han Wonjin’s view on Yi Hyeonik is similar to their view on Yi Gan. Judging from that, Yi Hyeonik’s argument did not create from Gwon Sangha and was not similar to him. Therefore, Kim Changheup’s view on Yi Hyeonik was in the wrong.

      • KCI등재

        주희의 미발공부 유무와 호락논쟁

        이종우 ( Yi Jongwoo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7

        주희는 미발시 공부로서 계구가 필요하다고 말하면서도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이 문제이다. 이것은 훗날 조선후기 호락논쟁의 쟁점이 되었다. 호학의 한원진은 낙학인 이현익의 미발시 공부가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을 비판하면서 김창흡을 지지하였다. 당시 김창흡은 낙학에서 이현익과 박필주가 논쟁을 벌인 것에 대하여 이현익을 비판하면서 박필주를 지지하였다. 그는 미발시에도 함양공부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현익은 미발이란 희노애락의 감정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일 뿐만 아니라 허황된 생각도 생기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그러한 공부가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하였고, 주희의 미발무공부에 근거하였다. 반면에 김창흡은 그러한 상태일지라도 그것을 보존해야 하기 때문에 함양으로서 계신공구 공부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고, 주희의 미발공부에 근거하였다. 김창흡은 미발이란 본연지성만 있으므로 순선하다고 여긴 반면에 한원진은 기질지성도 있기 때문에 선악이 함께 있다고 여긴 것이 다른 점이다. 이간은 미발을 본연지성만 있으므로 순선하다고 주장하였는데 그것이 김창흡과 공통점이다. 이 때문에 『정조실록』에서 이간을 김창흡과 같은 낙학으로 분류하였으나 미발시 공부설도 같은 것은 아니었다. 이간은 미발을 중과 부중으로 구분하여 부중의 미발은 공부가 필요하지만 중의 미발은 공부가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였는데 그것은 주희의 미발공부의 유무에 근거하였다. 이간의 미발시 무공부는 이현익과 공통점을 갖는 반면에 김창흡과 다르다. 그러므로 『정조실록』에서 이간과 김창흡을 낙학으로 분류한 것은 미발시 본연지성만 있다는 주장이 같았기 때문일 뿐 공부설이 같아서 분류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그들의 미발시 공부에 관한 논쟁은 성리학의 목적에 해당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그것은 호락논쟁의 결론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In the Works of Zhu Xi, self-cultivation at the Not-Yet Aroused State of mind-and-heart needs or not. Because of this, the scholars in the Ho and Rak group had a debate. Han Wonjin in Ho group was criticizing the argument of Yi Hyeonik in Rak group, not to be needed self-cultivation at the Not-Yet Aroused State of the mind, with Kim Changheup supporting. The argument of Yi based on Zhu Xi’s not being in need of self-cultivation. In Rak group, Kim was criticizing Yi, with Park Pilju supporting a debate between Yi and Park at the time. Kim argued to be needed preserving the mind and nurturing nature, caution and apprehension, at the Not-Yet Aroused State of the mind, while Yi argued not to be needed the cultivation because the Not-Yet Aroused State of the mind is not aroused emotions as well as bad thinkings. The arguments of Kim and Park was based on Zhu Xi’s being in need of self-culitivation. Although is the state, man should have self-cultivation because can arise bad thinkings according to Kim’s argument. Han was crticizing Yi, with Kim supporting. Therefore, Han’s, Ho group’s representative, supporting Kim, Rak group’s representative, was not to keep their own claims. Kim and Han is not the same the definition of the Not-Yet Aroused State of the mind. That of Kim means it having original nature, while that of Han means it having original as well as physical nature. Kim and Yi Gan have a common point. Therefore, the Veritable Records during King Jeongjo’s Regime recorded both Kim and Yi Gan to belong to Rak group. However, their self-cultivation at Not-Yet Aroused State of the mind is not the same. That of Yi Gan means a perfect Not-Yet Aroused State of the mind not to be needed self-cultivation, while that of Kim means it to be need. According to that,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Jeongjo was suitable for their concept, the Not-Yet Aroused State of the mind, but not suitable for their self-cultivation. Their debate has necessity because the goal of neo-Confucianism aims self-cultivation. Therefore, Han’s comment on their debate has necessity. According to that, this is the conclusion of Horak debate. Their debate was developed due to Zhu Xi’s duality of a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the Not-Yet Aroused State of the mind, but they had precisely established their own theories based on those of Zhu Xi.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