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중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된 무기력」 매개요인 분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

        이제옥,안양 한국학교체육학회 1999 한국학교 체육학회지 Vol.9 No.1

        본 고의 목적은 체육수업에서 기인하는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요인 분석 및 중재기법의 개발을 위해 현재까지 전개되어온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연구의 역사와 선행 연구를 탐색해 보고, Martinek (1996)의 연구모형을 중심으로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연구는 Ritcher(1957)가 고전적 조건형성 실험으로 동물을 대상으로 한 것이 시초였다. 인간에 대한 '학습된 무기력'의 연구는 1971년부터 후속적으로 이루어졌다. Donald Hiroto(1974)는 Seligman의 동물실험과 비슷한 고전적 조건형성 실험을 인간에게 적용하여 비슷한 결과를 얻어내었다. 학습된 무기력의 교실환경에서의 연구는Nolen-Hokesma Girgus와 Seligman(1986)에 의하여 1986년에야 이루어졌다. 체육환경에서의 연구는 1990년대부터 Martinek(1998)을 중심으로한 일련의 학자들에 의해서 추진되었는데 대부분의 연구는 '학습된 무기력'의 현상을 살펴보는 연구와 '학습된 무기력’과 서투른 수행이 관련이 있다는 연구에 국한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개체가 어떤 시도에서 실패를 거듭하거나 상황을 통제할 능력을 결여했다는 것을 알면 유사한 상황이 왔을 때 시도를 포기한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Martinek(1996)는 학습된 무기력의 해석모형을 제안하였으며 해석모형의 요소로서 결과에 대한 통제 획득의 필요성, 통제력의 매개요인, 해석적 유형을 꼽았다.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이론을 탐색한 결과 현재까지 체육수업에서의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며 학습된 무기력의 현상을 파악하는데 국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의 이 방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체육수업에서의 학습된 무기력의 현상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요인분석' 및 '학습된 무기력의 중재기법'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ory on 'Leamed Helplessness' which has been built up to this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s of control and the analysis of mediator of 'Leamed helplessness' caused in physical education. To serve this purpose, this study made a search for the history of other studies on 'Leamed Helplessness" and focused on establishing a theory on 'Leamed helplessnes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of Martinet(1996). The beginning of the study on 'Leamed Helplessness' is when Ritcher tested animals a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in his classical conditioning experiment. The study of 'Leamed Helplessness' on human has been continued subsequently since 1971. Donald Hiroto(1974) got similar results by applying the classical conditioning of experiment which was similar to Seligman's animal experiment to humans. The study of 'Leamed Helplessness' at a class-environment was not achieved until 1986 by Nolen-Hokesma, Girgus, and Seligman(1986). The study at the physical ac tivity environment was carried on by a series of scholars with Martinet as the central figure, but the most of the studies were limited in observing the phenomena of 'Leamed Helplessness' and the research which shows the relation between 'Leamed Helplessness' and poor performance. These studes indicate that when and individual keeps failing or learn that he is lack of controling ability, he gives up even to give it a try when in a similar situation. Martinek(1996) suggested a explanation model on 'Leamed helplessness' and he listed the necessity of acquiring control, the mediator of controling ability, and explaining pattern as the factors of the explanation model. As a result from investigating the theories of 'Leamed Helplessness' we can find out that the studies on 'Leamed Helplessness' in Physical Education are very few and they are limited in understanding the phenomena of 'Leamed helplessness'. The fact is that no study has been done previously in Korea. Therefore no only the study on the phenomena of 'Leamed Helplessness' but also the studies on analyzing the mediators of' Leamed Helplessnss' and the methods of control in 'Leamed Helplessness' are in ne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 학습된 무기력 」 의 매개요인 분석

        이제옥(Jei Oak Lee),안양(Yang Ok Ah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활동에서 나타난 학습된 무기력을 가진 한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에서 나타난 행동과 사고과정을 규명함으로써,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요인을 분석하고, 학습된 무기력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완화기법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공립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습된 무기력으로 판명된 5학년 여자 어린이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사례연구를 적용하였다. 자료는 연구대상자와 의미있는 사람들과의 심층면담, 수업관찰 및 문헌조사 등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을 하였으며, 자료는 구성원간 검토, 동료간 협의 및 다각도 분석법에 의하여 진실성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 요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의식 속에 있는 최초의 매개요인은 연구대상자의 수행의 실패에 대한 교우의 부정적 반응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된 무기력을 획득하는데 영향을 받은 사회적 환경에서의 최초의 실패를 인지한 시기는 체육수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에 계속된 교우의 부정적 반응은 연구 대상자가 실패를 반복하도록 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연구 대상자에게 낮은 자아인식을 심어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체육 수업 중 연구대상자에 대한 교사의 자기 충족적 예언과 정체된 기대효과 및 교사자신의 학습된 무기력은 연구대상자가 학습수행을 포기하도록 암시하고 타협하였으며 이중으로 위험에 빠트렸다. 세번째로 영향을 미친 학교의 경쟁적 환경에서, 과제 지향적인 어린이들은 학업성취를 높일 수 있었지만, 자아지향적인 학생들은 실패할 확률을 증가시키거나 운동 수행을 포기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네 번째로 매개요인으로 나타난 높은 수준의 목표 설정과 평가방법은 항상 연구 대상자에게 반복된 실패의 기회만 증가시키고 낮은 자아의식을 강화시킴으로서 「학습된 무기력」 의 특성을 갖게 하였다. 체육활동에서 매개된 학습된 무기력은 교우와 교사라는 중개자를 통하여 교실환경으로 전이되고 학교생활 전체에 만연되었다. 학습된 무기력이 매개되기 쉽게 개체를 특성화하고, 이미 매개된 학습된 무기력을 심화시키고 안정화시키는 요인으로는 교실의 경쟁적 환경, 높은 수준의 교실수업목표, 부모의 언행, 사회적 환경등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자녀의 인격에 관한 욕은 연구대상자로 하여금 자신의 인격을 욕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부모가 자신의 인생을 실패로서 바라보면서 자신의 무능력을 표현한 것은 연구대상자가 자신의 능력을 의심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낮은 문화가 형성된 사회적 환경(학교환경, 가정환경, 학구환경)도 연구대상자를 낮은 자아인식을 갖도록 특성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단일 사례연구이기 때문에 일반화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으나, 비슷한 증후를 가진 학생에게 적용할 경우 전이되는 효과는 있다고 본다. 또한 이 연구 결과가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는 완화기법을 제시할 수는 없으나, 그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는데 일익을 담당하리라고 본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많은 학습된 무기력의 희생자를 위해서 그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완화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ory on `Leamed Helplessness` which has been built up to this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s of control and the analysis of mediator of `Leamed helplessness` caused in physical education. To serve this purpose, this study made a search for the history of other studies on `Leamed Helplessness" and focused on establishing a theory on `Leamed helplessnes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of Martinet(1996). The beginning of the study on `Leamed Helplessness` is when Ritcher tested animals a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in his classical conditioning experiment. The study of `Leamed Helplessness` on human has been continued subsequently since 1971. Donald Hiroto(1974) got similar results by applying the classical conditioning of experiment which was similar to Seligman`s animal experiment to humans. The study of `Leamed Helplessness` at a class-environment was not achieved until 1986 by Nolen-Hokesma, Girgus, and Seligman(1986). The study at the physical ac tivity environment was carried on by a series of scholars with Martinet as the central figure, but the most of the studies were limited in observing the phenomena of `Leamed Helplessness` and the research which shows the relation between `Leamed Helplessness` and poor performance. These studes indicate that when and individual keeps failing or learn that he is lack of controling ability, he gives up even to give it a try when in a similar situation. Martinek(1996) suggested a explanation model on `Leamed helplessness` and he listed the necessity of acquiring control, the mediator of controling ability, and explaining pattern as the factors of the explanation model. As a result from investigating the theories of `Leamed Helplessness` we can find out that the studies on `Leamed Helplessness` in Physical Education are very few and they are limited in understanding the phenomena of `Leamed helplessness`. The fact is that no study has been done previously in Korea. Therefore no only the study on the phenomena of `Leamed Helplessness` but also the studies on analyzing the mediators of` Leamed Helplessnss` and the methods of control in `Leamed Helplessness` are in need.

      • KCI등재

        제왕절개술의 변천과 모아 양측의 예후

        이제옥(JO Lee),안영(YO Ahn),이남희(NH Lee),우복희(BH Woo),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10

        2년간 제왕절개술(1980~81) 936예를 대상으로 관찰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갈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적인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최근 80년대 초에 와서 27.3% 그 중 첫제왕절개술의 빈도는 18.5%로서 10년전(1961~63)에 비하여 각각 2배로 증가된 추세에 있었다. 2.. 첫제 왕절개술의 적응증은 난산을 위한 것이 75% 즉 대부분을 점하였고 그 증 특히 둔위를 위한 제왕절개술이 최근 11% 즉 상당히 증가된 추세로 포함되었다. 3. 제왕절개술후 모체측 합병증은 적었으며 보통 볼 수 있는 자궁내막감염(2.9%) 창상감염(2.2%)등 이었다. 4 모성사망은 자간발작환자 제왕절개술후에 1예(0.075%)있었는데 이것은 비교적 적은 빈도이었다. 5. 분만방법 개선과 신생아사망 감소. 1) 첫둔위분만방법을 과거 1961-63년대의 질실분만 위주 즉 소극적인 제왕절개 분만방법(15%)에서 최근 2년간(1980~81) 둔위제왕절개분만 위주(79%, 140예)로 둔위분만방법을 개선한 결과 둔위분만손상에 의한 태아장애빈도가 1/10로 현저히 감소(29%→1.5%)되었고 둔위 신생아 사망도 0으로 모두 예방되었다. 2) 선택적 진통없는 제왕절개술 338예에 대하여 술전 Oxytocin 자극방법 적용으로서 초자막질환 이환에 의한 사망을 전부 예방할 수 있었다(대조군 596예 중 1예 사망). 전체 주산사망은 평균 1000분만당 22.5였다. 특히 신생아 사망은 전체 제왕절개술의 0.9%로서 과거 10년전 2.4%)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This study was an analysis of 936 cesarean sections done among 4830 cases of deliveries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Seoul during 1980 to 1981. In recent years, the indications for cesarean section has been chang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change of indications for or increased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the end result for both maternal and peri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Overall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was 27.3% or 1319 cases of 4830 deliveries, while primary cesarean section rate was 18.5% or 895 cases of cases of 4830 cases. 2. In 614 cases of primary cesarean section, the dystocia was the most frequent indication (75% or 463 cases). Among the dystocia, primary breech cesarean sections were markedly incerased(11% or 69 cases) in recent 2 years. The other frequent indications were antepartum bleedings (6.5% or 40 cases) .including placenta previa (5.4%) and abruptio placente (1.1%), and fetal distress (5.7% or 35 cases) in order. 3. The maternal complications in cesarean sections in this series were relatively low. There was only 2% or 27 cases of 936 cases with endometritis and a few cases of wound infections (2.2% or 21 cases). 4. We have encounterd with 1 case or 0.075%(1:1319) maternal death among 1319 cesarean sections. The cause of death was cerebral homorrhage due to eclamptic convulsion 5. The policy of primary breech cesarean section and perinatal death; (1) Since we have established policy starting from 1980 to 1981 that almost all (79% or 140 cases) primary breech presentation has been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the perinatal death or traumatic delivery was reduced completely or down to 0. It was compared with 10 cases or 6% of higher perinatal deaths (corrected) during the era of early 1960s (1963~68) with conservative delivery method or 85% of primary breech presentation has been delivered vaginally. (2) Neonatal mortality due to hyaline membrane disease 338 cases of elective (without labor) cesarean section h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