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시상(詩想)의 나무

        이재연(Lee, Jae-Yon)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2 No.-

        본 논문은 20년대에 김억이 발표한 『해파리의 노래』(1923)와 『봄의 노래』(1925)를 대상으로, 반복 사용된 시어와 조어(造語) 관계를 파악하여, 김억 시의 주된 심상을 찾는다. 그 작업은 크게 두 가지로, 우선 시어의 정량분석을 실행, (a) 두 시집에 공통으로 등장하는 시어들, (b) 각 시집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어들, (c) (a)와 (b)에서 잡히지 않는 시어들을 구한다. 출현빈도가 높은 시어 간의 조어관계 파악을 통해 주된 심상의 변화과정을 추적하는 것이 첫 번째 작업이다. 두 번째는, 그러한 심상의 변화과정, 결론부터 말하자면, “떠돌다”의 이미지가 그 단어 주변의 시어들과 조응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변주하는 과정을 영문학자 프랑코 모레티 (Franco Moretti) 의 ‘나무’라는 형태론적 해석을 통해 시각화 해 보고자 한다. 그의 나무는, 문학사에 잊힌 다수의 작품을 포함한 아카이브를 만들고 그 속에서 하나의 문학적 장치가 공통의 기원에서 분기하여 변화하는 과정을 표상한다. 김억의 시집 분석에 있어 모레티의 나무는, “떠돌다”라는 주된 심상을 담고 있지만 크게 주목받지 않았던 작품들을 발굴하여, 떠도는 이미지의 다양한 변주와 그 의미를 시집 안에서 또한 시집 사이의 컨텍스트 속에서 새롭게 드러내리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Haep’ari ui norae Songs of Jellyfish』(1923) and 『Pom ui norae Songs of Spring』(1926), the two collections of poems by the 1920s prominent Korean poet, Kim Ok, by looking into the repeating words that create the main imagery. Such an objective will be structured in two parts. The first is a statistical approach to poetic words: to find (a) frequently appearing words in both collections; (b) frequently appearing words in only one collection; (c) words that have little to do with (a) and (b), whereby a trace of a combination of such words that construct and change the main image of the poems is made. The variations of the main image, which is to rove around, will be detailed through the second section of the paper to which I applied Franco Moretti’s morphological reading of trees. His tree visualizes the process of change through divergence from the single literary origin in the new archive he constructs by including the forgotten works from conventional literary history. This tree is therefore to reveal the new meanings of the poems, which embed the imagery of roving around and yet are little known, in terms of tracing the variations of the main imagery in the inter-and intra-context of Kim’s two collec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프랑코 모레티의 세계문학론 비판 - 매체론의 관점에서 -

        이재연 ( Lee Jae-yo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8 No.-

        영문학자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의 연구는 문학의 여러 방면에서 두드러진다. 교양소설 혹은 성장소설에 관한 독특한 해석, 세계문학을 보는 새로운 시각,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문학사를 다시 읽는 방법, 또한 그러한 거시적인 방법을 통해 던지는 사회비평 등등, 폭 넓은 시야와 심도 있는 분석으로 다방면에 족적을 남겼다. 본 논문은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을, 그가 제안한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라는 거시적 방법론과 그 사례들을 살피며 타진해 보고자 한다. 그의 방법론은 문학사에서 잊힌 비정전을 포함하여 거시적인 아카이브를 구성하고, 그 안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현상을 하나의 계열로 묶어, 그 패턴의 형태적 의미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이 구체적으로 적용된 사례가 『그래프, 지도, 나무』(Graphs, Maps, Trees )라는 책이다. 이에 본 논문은 그 책에 초점을 맞추어 그가 제시한 형태론적 세계문학을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비판의 시각은 매체론, 특히 한국문학의 매체론적 관점이다. 신문과 잡지와 같은 매체에 대한 관심은 괴테가 세계문학론을 제창했을 때부터 있었고, 특히 미국의 영문학에서는 최근 정기간행물 연구(periodical studies)라는 영역이 새롭게 개척되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또한 한국문학에서는 서구 문예 수입, 장르의 형성, 문학의 사상화(思想化), 출판시장의 분화, 작가 등단 제도 등 근대문학 형성에 있어서 신문과 잡지와 같은 정기간행물, 혹은 매체의 역할은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모레티의 세계문학론과 세계문학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제시된 `멀리서 읽기`를, 매체론의 한 사례인 한국 근대문학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그가 간과하고 있는 측면(문학지식의 계열화에 수반되는 물적 토대)에 근거하여 몇 가지 문제제기를 하려 한다. The works of a literary and cultural historian Franco Moretti are conspicuous in many ways. Trained in Marxism and Russian formalism, he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New Left in England. Also, he interestingly interpreted the socialization of the individual through the genre of bildungsroman. Then, he shifted his research interest to the notion of world literature, and to explore its global scale, he developed his own quantitative approach combined with advanced computer technology in digital humanities. His recent publication reveals that Moretti conducted a social critique of the European bourgeois culture with his new quantitative method. His macroscopic view of literature and use of cutting-edge technology in his research inspire historians of Korean literature located in the so-called periphery of world litera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a of world literature outlined by Franco Moretti by reviewing his method called “distant reading” and examples of such an approach. His distant reading is to construct a macroscopic archive through inclusion of forgotten works from literary history and to analyze morphological patterns that frequently appear in the archive. His book entitled Graphs, Maps, Trees is a collection of examples of which he applied distant reading. By delving into such cases, I will raise questions about Moretti`s macroscopic perspective of world literature in conjunction with Korean literature. As located at the periphery of global circulation of literary knowledge, Korea appropriated Western genres, established its literary institutions, and developed book markets through modern newspapers and magazines. This experience of furthering modern literature through periodicals would provide another view to revisit Moretti`s world literature.

      • KCI등재

        창작 보조기에서부터 문장 생성기까지 : 글쓰기 기계의 과거와 현재

        이재연 ( Lee Jae-yon ),한남기 ( Han Nam-gi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7

        인공지능(AI)에 의한 한국어 서사 창작이 가능할까? 허무맹랑한 과학소설의 한 질문처럼 보이는 이 질문은 초거대규모 인공지능의 등장과 함께 점차 현설성을 얻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에서 시도되었던 여러 서사 자동 생성의 노력을 살펴보고 앞으로 한국어 AI 창작의 가능성을 전망해보고자 한다.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해외의 테일스핀, 민스트럴, 국내의 스토리헬퍼 등 AI활용 이전의, 규칙기반 혹은 사례기반의 서사 창작 방식을 살펴본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어휘 할당을 통해 문장생성을 한, 일본의 「컴퓨터가 소설을 쓰는 날」(コンピュータが⼩説を書く日) 그리고 최근에 개발된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에 기반해 작성된 『길 위 1번지』(1 the Road)의 사례를 훑어본다. 이를 통해 각 모델에서 서사를 만든 방식을 살펴보고 이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미래의 서사 자동 창작을 가능하게 만들 조건과 이러한 창작 기계가 불러올 여러 문학적 사회적 여파에 대해 예비해 보고자 한다. Will it be possibl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o write stories in Korean? As ludicrous as this question may sound, the recent development of hyperscale artificial intelligence brings us closer to the answer.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an AI writer by examining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attempts to develop writing. First, we will look at quantitative reasoningbased story generation devices, including Tale-Spin (1977) and Minstrel (1993) from the United States and StoryHelper (2013) from Korea. In the second half, we will analyze the results of more technologically advanced automatic sentence-generators, such as 「The Day a Computer Writers a Story」 (2016) from Japan and 1 the Road (2018) from the United States. The study of past writing machines will help us identify the problems we must overcome to develop an advanced Korean writing machine. By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imple story generators and complicated sentence generators, we will also reflect on the literary, cultural, and social concerns that advanced writing machines might bring about in the future.

      • KCI등재

        1차 대전 이후의 세계와 환등상 -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다시 읽기

        이재연 ( Lee Jae-y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6

        염상섭 첫 소설 『표본실의 청개구리』(1921)에는 중학교 박물시간의 개구리 해부 장면, 남포의 광인 김창억이 3층집을 짓는 장면, 그리고 소설 말미에 R동에 있는 화자가 큰 깨달음과 함께 공포를 느끼는 장면이 마치 논리적 고리가 없이 삽입된 장면처럼 연결되어 있다. 초기작 이후 염상섭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사실주의 기법 때문에 그의 첫 소설을 사실주의나 자연주의로 본 연구경향이 있었으나 그러한 경향으로 보기에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환영, 기억, 착각 등 모더니즘적 요소가 많다. 본 논문은 앞서 언급한 문제적 장면들을 근대적 시각 경험을 통해, 근대를 넘는 세계를 조망하고자 하는 욕망에 의해 연결됨을 주장한다. 그 세계란 1차 세계대전이라는, 조선의 식민지 문제를 일본제국과의 개별적 이해관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장시킨 역사적 계기 이후 다가올 미래이며, 그 세계에 대한 조망은 광인이 김창억이 축조한 3층집에 의해 획득된다. 본 논문은, 김창억을 광인이 아닌 1차 세계대전 이후를 본 예언자로 인식했던 화자의 욕망에 따라, 그 3층집을 벤야민이 언급한 환등상(phantasmagoria)으로 읽는다. 식민지 조선에서 이 환등상은 계몽과 근대를 향한 욕망을 내재화하고 구조화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근대성의 식민적 기원을 보여주는 환영적 구조물이다. 이 건축물에 의해 화자는 세계에 대한 조망뿐 아니라 자신의 인생도 부감(俯瞰)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를 통해, 화자는 근대성과 식민성은 분리될 수 없음을, 자신은 근대인이자 식민지 지식인이라는 자각을, 식민지적 근대를 넘기 위해서는 근대인으로서의 자기 자신까지 부정해야 함을 깨닫고 공포감을 느낀다. Yom Sang-sop is a well-known Korean fiction writer for his Balzacian realism. After making some literary experiments with the first couple of works, he developed his own style of realism, which has become a famous method of analyzing the unfathomable psychology of middle-class people in the fast-growing capitalist society of colonial Korea. Yom’s first fiction, A Green Frog in the Specimen Room (1921), however, puzzled researchers because it did not fit the grammar of his realism. Illogically inserted snippets are nonetheless linked together. These are the scenes of a frog dissection, a construction of a three-story house by a madman called Kim Ch’ang-ok, and a big fearful awakening by the narrator (“I”) at the end of the story. In order to closely read these parts, I make a new attempt to analyze the illusions, memories, and confusions in the story from a modernist perspective. These snippets can be explained by a 1920s Korean intellectuals’ visual experiences and desires to sketch the reality that will come in the future, which was foreshadowed by the First World War. That is, WWI reshaped Korea’s colonial issues beyond its individual relationship with Japan under the global world order. Such a desire to visualize the future, I argue, is manifested through the madman Kim Ch’ang-ok’s three-story house, which I read as what Walter Benjamin called “phantasmagoria,” an illusion that beautifies the magical powers of commodity while simultaneously revealing the origin of the capitalist social system. In colonial Korea, this illusion not only embodied a desire to overview the modern world and implement enlightenment but also worked to reveal the colonial origin of modernity. The narrator benefited from Kim’s house as an illusion in sketching the world to come as well as in dissecting his own life. The fear which seized the narrator, I argue, accounts for his awakening that in order to overcome colonial modernity, he has to negate the colonizer’s gaze, which was unconsciously embedded in his modern visual experiences. As Mignolo says, coloniality could not be detached from mode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