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셀룰러 V2X에서 Deep Q-Network 기반 적응형 분산혼잡제어 연구

        이은화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3GPP가 release 14에서 표준화한 LTE(long term evolution) Cellular-V2X(cellular vehicle-to-everything)는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차량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기술을 지원한다. 특히 mode 4는 셀룰러 인프라의 지원 없이 SB-SPS(sensing based-semi persistent schedul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무선자원을 선택한다. SB-SPS는 경쟁 기반 MAC(medium access control)이기 때문에 도로의 혼잡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무선자원을 선택하고자 하는 차량 간 경쟁이 심화 되어 패킷 충돌 및 패킷 손실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논문은 고속도로에서 차량으로 인해 도로가 과포화 상태에 있을 때 일어나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화학습 알고리즘인 DQN (Deep Q-Network)을 통해 각각의 차량마다 최적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를 조절하는 분산 혼잡제어(decentralized congestion control, DCC)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C-V2X에서 사용하는 표준화된 분산 혼잡제어가 존재하지 않기에 본 논문에서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ntrol)에서 사용되는 SAE(society automotive engineers) J2945/1의 이웃 차량 밀도와 밀도계수를 조절하는 TTI 제어식을 사용하는데 이웃 차량 밀도는 주변 차량의 CAM(cooperative awareness message)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 반면에 밀도계수는 SAE J2945/1에서 25로 지정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이 밀도계수를 DQN을 통해 학습하여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TTI를 조절한다. DQN은 딥러닝을 사용하여 상황에 옳은 TTI를 했는지 판단기준이 되는 가치함수를 추정하고 올바른 값을 도출해내도록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며 환경을 배워나가는 가치 기반 강화학습 알고리즘이다. 이렇게 학습된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모델과 SAE J2945/1 알고리즘을 PDR(packet delivery ratio) 과 평균 IPG(inter packet gap) 측면에서 비교하였고 제안된 기법이 기존 알고리즘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시뮬레이션 결과로 입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2km 왕복 8차선 도로 내의 각각 400대, 500대, 600대의 차량이 자원할당을 시도할 때의 결과이며 또한 변동성이 있는 도로 환경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의 차량 혼잡도에 변화를 주며 학습하여 이를 차량 밀도를 고정하여 학습한 알고리즘과도 비교 분석한다. 제안하는 분산혼잡제어의 DQN은 단일혼잡도에서 학습한것과 여러 혼잡도에서 학습한 알고리즘이 있다. 단일 혼잡도 400일 때 기존 알고리즘보다 PDR, 평균 IPG 측면에서 높은 이득을 보이며 차량 밀도 500, 600일때도 특정 송, 수신 차량 거리에서 PDR이 낮은 값을 가지지만 두 성능 지표로 보았을 때 J2945/1보다 높은 성능을 보인다. 하지만 실제 도로 상황에선 차량 밀도를 고정한 상태로 학습한 DQN 모델은 제대로 혼잡도가 달라지면 전송주기를 최적으로 조절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adaptive DQN을 제안한다. adaptive DQN은 높은 밀도로 고정하고 학습한 모델의 PDR 성능이 더 높지만 평균 IPG와 PDR 두 성능 지표를 모두 고려하면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의 J2945/1보다 성능 우위를 보인다.

      •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및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이은화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專門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및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감능력 증진에 효과적인가? 둘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갈등해결능력 증진에 효과적인가? 위의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5학년 8개 학급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갈등해결전략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동질성을 보인 다른 1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3주간 총 10회기의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두 집단 모두 공감능력과 갈등해결전략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3.0을 활용한 검사지 반응의 통계적 분석, 프로그램 종료 후 아동 설문지, 매 회기별 소감문과 연구자가 관찰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집단 간 공감능력 및 갈등해결전략의 차이와 집단 내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 분석(MANOVA)을 실시하였으며, 검사지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공감능력이 유의미하게 증진되었으며,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의사소통적 공감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갈등해결전략에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갈등해결전략의 하위요인인 회피전략은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양보전략과 절충 및 협력 전략은 높았고, 지배전략은 낮았다. 아동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 내용 분석 결과, 아동들은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면서, 예전보다 갈등상황에서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고 마음에 공감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려는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 핫시팅, 전문가 집단회의, 역할개입 등의 드라마 활동을 통하여 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서 타인에게 공감하고 표현해 보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갈등해결전략 역시 유의미한 변화를 하게 되었으며,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공감능력과 올바른 갈등해결전략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증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갈등해결전략의 변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연구 대상자의 범위 확대가 필요하며,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긍정적 변화를 유지시키기 위한 후속프로그램의 개발 노력도 필요하다. 주요어 : 공감능력, 드라마,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 갈등해결전략 * 본 논문은 2019년 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논문임.

      •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역할에 대한 만 4세 유아의 인식

        이은화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역할에 대해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하여 만4세 유아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양주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두 곳에서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가족 문제를 많이 다뤄 가족주의적 작가라는 평가를 받는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그림책 중에서 아빠와 엄마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좋은 부모역할이 잘 묘사되어 있고, 글 텍스트가 많지 않아 만 4세 유아에 게 적합한『돼지책』,『우리 엄마』,『우리 아빠가 최고야』를 선정하고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하여 그림책 읽기 활동 후 정보추출적 관점과 심미적 관점으로 질문하고 유아의 인식 반응을 점수화하여 평가하였다. 앤서니 브라운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역할에 대해 유아들의 인식반응을 알아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4세 유아들은 ‘등장인물은 누구인가?’, ‘등장인물이 하는 행동은 무엇인가?’, ‘인물의 감정 상태는 어떠한가?’와 같은 질문에 등장인물이 누구인지, 어떤 행동을 하고 있었는지, 등장인물의 기분상태가 어떠했는지를 잘 이해하고 있었다. 유아들은 책에서 표현하고 있는 부모역할에 대해 정보추출적 인식을 잘 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들은 ‘어떤 때 엄마가 화를 내시나요?’, ‘엄마가 나를 사랑하나요?’, ‘어떤 아빠가 기억에 남나요?’ 등과 같은 책을 읽고 개인적 경험에 바탕을 두고 기분이나 감정을 알 수 있는 심미적 관점으로 질문하였을 때 유아들은 자신의 감정, 느낌을 책속에 투영해서 이상적인 부모역할에 대한 바람도 있었으며 부정적인 부모역할에 대해 원망하는 듯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 결과 유아들은 그림책에서 표현하고 있는 부모역할에 대한 정보추출적 반응보다 책을 통해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 할 수 있는 심미적 반응이 더 높게 나타났다. 유아들은 그림책을 읽고 대답하는 과정에서 책에 표현되어 있는 부모역할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으며 그림책은 유아에게 개인적 경험을 환기시키고, 감정적 반응을 일으킨다. 그림책 읽기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매일 하는 활동으로 가정에서는 쉽고 친근하게 부모와 함께할 수 있는 활동이다. 이러한 그림책을 읽을 때 유아들이 내적의미 구성과 생각의 폭을 넓일 수 있는 심미적 읽기를 할 수 있도록 부모님과 교사들은 도와줘야 한다. 또한 바람직한 부모역할이 표현된 그림책은 기관에서 좋은 교육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아와 부모가 서로 상호작용 하면서 부모역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좋은 부모역할을 모델링할 수 있을 것이다.

      • 스토리텔링을 통한 유아영어 신장방안

        이은화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유아영어를 신장시키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기위한 방안으로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유치원(만5세) 교수 학습에 적용한 영어 수업이 정의적 영역 및 언어 사용 능력 및 관심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유아의 영어 교육과 유치원 교육과정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 연구에 의한 스토리텔링 수업 모형을 살펴보고 수업 모형을 설계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에 알맞은 스토리를 찾고 교구와 동영상 등을 제작하고 직접 적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통한 유아들의 영어 수업은 어린이의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인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구를 적극 활용하고 스토리텔링 방법을 사용한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 후 절반 이상의 어린이가 80점 이상의 점수를 획득하였고 수업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임한 아이들이 많이 있었으며 게임을 통해서 문장을 익혀가고 역할극을 통해서 스토리를 더욱 좋아하게 되었으며 Active Board를 통한 수업은 효과적이었다. 이처럼 스토리텔링은 어린이에게 어휘나 문장, 언어 사용 능력, 영어 학습에 대한 관심도, 정의적 영역까지도 높이는 데 아주 좋은 방법일 뿐 아니라 이야기를 듣고 차후의 전후 활동에 다양한 학습을 해 봄으로써 영어에 더욱 친숙해지고 학습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들려주기 위해서는 교사의 충분한 사전 준비가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들에게 보다 적절하며 효과적인 영어 수업에 대한 연구가 계속하여 이루어져야하며, 끊임없는 개선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improve teaching strategies using storytelling which has positive influences in teaching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interest, communitive competence and affective domain by adopting storytelling to the kindergarten kids. Chapter 2 includes the notion, strong points, educational effects of the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kids, the criteria in selecting storybooks and discusses the typical teaching methods, Natural Approach and Whole Language Approach. Chapter 3 deals with designing of this study. It was operated 60 kindergarten kids according to the suggested teaching lesson plan. The storytelling lessons were conducted two times a week and 20 times in total. Chapter 4 suggests teaching models, teaching outlines, lesson plan, practical actives in using storytelling. For this, five short English stories were introduced and taught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nglish class that used storytel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interest, self-pride, and communitive competence. Most of kindergarten kids like listening to stories, playing games, and enjoying role-play. In addition, materials by using Active Board and Beam were effective. English storytelling is highly effective for children's learning English but gives some burden to the teacher.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storytelling for kindergarten students class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on consistent studies.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 및 개선방안에 대한 강사의 인식 연구

        이은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목적 및 효과, 수업 및 학생관리, 강사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방과후학교 강사처우, 개선방안, 개인적 경험에 따른 인식을 조사하였고,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도 알아봄으로써 방과후학교의 질적 향상과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강사들은 방과후학교 목적 및 효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강사들은 방과후학교 수업 및 학생관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강사들은 방과후학교 강사평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넷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강사들은 방과후학교 강사처우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다섯째, 초등 방과후학교 강사들은 방과후학교 개선방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여섯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강사들은 방과후학교 개인적 경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교육청별 단위로 1개교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방과후학교 현직에서 강사로 근무하는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방과후학교 목적 및 효과에 있어서 우선 방과후학교 목적에 대해서는 주지교과의 기초학습 능력 신장보다는 소질과 능력 신장에 보다 강조를 두고 있어 포괄적인 교육 목적을 인식하고 있었고, 방과후학교 운영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방과후학교 수업 및 학습관리에 대해서는 학습능력에 따른 반 편성과 교실환경은 적절한 편으로 국•영•수 등의 교과관련 프로그램 보다는 특기•적성 프로그램과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확대를 원하고 있었다. 셋째, 방과후학교 강사평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으나, 평가결과에 따른 환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바람직한 평가방법으로는 학부모의 수업참관과 종합학예회 및 발표회 개최, 설문지를 통한 반응조사를 선호하고 있었다. 넷째, 방과후학교 강사 처우에 대해서는 좀더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교수법과 학생대화기법에 관한 강사연수를 받기를 원했고, 강사들의 전용공간과 학교기자재의 원활한 활용 등이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다섯째, 방과후학교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정부의 정책의지와 지원의 비일관성과 교과교육 중시경향이 가장 큰 저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이에 따른 방과후학교 활성화 해결방안으로는 특성을 살린 체계적인 전문 프로그램 운영, 우수한 강사확보, 교육시설 개선과 재정지원, 수강료의 적정선 유지, 다양한 강좌 개설, 학부모의 관심에 대해 개선을 원하고 있었다. 여섯째, 방과후학교 개인적 경험에 있어서 학생을 가르치는 보람에 만족을 느끼고 있지만, 고용의 안전성 확보 미흡에 대한 고충이 심하였고, 강사채용에 있어서 공정성과 투명성이 시행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바탕으로 방과후학교가 좀 더 내실 있게 운영되기 위한 방안과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사의 교육학적인 자질 함양을 위하여 교육학 일반 연수가 필요하다. 교육 및 연수를 통해 방과후학교 강사로서의 인성적인 특성과 학생을 보다 나은 상태로 지도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방과후학교만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사교육기관에서 할 수 없는 인성교육, 기초교육, 잠재능력계발, 사회성교육, 특기•적성 교육, 교과교육을 정규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통합성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이윤창출보다는 학교에 소속된 학생 학부모의 요구와 교육의 공적 목표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설 운영해야 한다. 셋째, 방과후학교 강사의 질 관리를 위한 객관적 평가 제도가 필요하다. 넷째, 방과후학교 강사 처우에 대한 합리적인 규정을 마련하는 것이다. 다섯째, 방과후학교 관계자들과의 인간관계 형성 및 협조체제가 필요하다. 여섯째, 방과후학교 정책에 따른 정부의 일관성과 차등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urpose, resulting effects, class and students management, and perception on the instructor evaluation regarding after­school program. Treatments for instructors, improvement methods, and personal experience were examined in order to find out the method for corresponding improvement. By figuring out the difference resulting from background factors, it wa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fter­school and its consistent development. Inquiries mad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ly, what do after­school instructors think of the effects and purpose of after­school program? Secondly, what do after­school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 think of class and student management? Thirdly, what do afterschool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 think of after­school instructor evaluation? Fourth, what do after­school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 think of treatment on after­school instructors? Fifth, what do after­school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 think of the improvement methods for after­school program? Sixth, what do after­school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 think of their personal experience? 1 elementary school per Seoul Educational Board was selected for this experiment, and we surveyed 145 instructors who are now working for after­school program.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regarding the experiment.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y thought of the purpose and effects of the after­school program to be emphasizing improvement of talent and abilities rather than abilities for the main subjects thus, having positive perception on the effect of after­school program.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more talent and ability oriented programs and nursery programs rather than merely focusing on language arts, English, and math for class management. Thirdly, they seem to have positive perception on after­school instructor evaluation; however they thought not enough corrections are being made referr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They had preference for parents’classroom observation, presentation, and questionnaires for evaluation. Fourth, they wanted more improvement on instructor treatment. They wanted more lectures on conversation techniques for when they are talking with students, and wanted improvement on their private area, and school equipment. Fifth, they thought of the government’s inconsistent support, and their emphasis on education of main subjects to be dragging down the improvement for after­school. Accordingly, they wanted specialized programs, superior instructors, supports regarding educational environment, adequate tuition, various classes, and parents’ interest for improvement. Sixth, even though they felt satisfied teaching students from their personal experience,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unstableness of the job and wanted transparency and fairness toward recruitment of instructors.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n this experiment, regarding its results, in order to effectively carry out afterschool program. Firstly, more studies on Pedagogies are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al quality thus, making instructors more appropriate for managing students with humane characteristics. Secondly, various after­school programs are needed to increase competency. By linking Character education, basic education, potential development, social education and skills•Aptitude education, and subject education with regular education course, it is required to carry out comprehensive education course and meet parents’ demands and the public purpose of the education. Thirdly, objective evaluation system is required in order to deal with the quality of after­school instructors. Fourth, reasonable rules are required to treat after­school instructors better. Fifth, system for cooperation and relationships with after­school officials is required. Sixth, consistent and differential support from government is required regarding after­school program.

      • 자유관계절과 간접의문절의 비교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은화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English free relative clauses and indirect question clauses based on High school textbooks. Through this process, after surveying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nglish free relative clauses and indirect question clauses, this study finds the way to identify two things. First, because the syntactic free relative clause which includes ‘what’ has characteristics of modifier, extraposition is impossible. It is on a theoretical basis to separate between ‘what-free relative clause’ and ‘what-indirect question clauses’. Second, free relative clauses include the antecedent.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move preposition in front of the sentence in a free relative clause. However, indirect question clauses can move preposition forward ‘what- interrogative.' Lastly, according to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erb, free relative clause and indirect question clause can be distinguished. As mentioned earlier, If meaning contained in the main verb describes the subordinate content or it explains the situation, it can be a free relative clause. If the verb of the main clause isn’t definite like doubt, supposition, assumption, etc., it can be indirect question clause. To explain again, in the free relative clause, the speaker knows already the content. Indirect question clause shows a speaker suggest that they do not know the content. Based on the theoretical reasons, this thesis compares free relative clause with indirect question clause in the body of 1st grad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It is important for the students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a free relative clause and an indirect question clause.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teachers can fully understand syntactic and semantic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 free relative clause and indirect question clause. So teachers can give students an explanation that is easier to understand.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learn English can get some study courage with confidence.

      • 한국 대중가요에서 여성작사가 작품의 주제 및 소재에 관한 고찰 : - 2010년대 이후 작품들을 중심으로 -

        이은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대중가요에서 여성 작사가들이 두각을 나타냈던 시기는 1980년대부터 이다. 그로부터 지금까지 여성 작사가들의 작품은 대중들과의 조응 속에서 수많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2012년부터 시작된 ‘가온차트 케이팝 어워드’ 시상식에서는 2015년을 제외하고 전부 여성 작사가들에게 ‘올해의 작사가상’이 수여되기도 하였다. 이렇듯 여성 작사가들의 작품은 많은 여성들의 욕구 · 욕망을 반영함과 동시에 폭넓은 계층의 공감을 형성하였다. 또한 한국 대중가요에서 여성 작사가들의 작품은 시대적 상황과 더불어 그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의 모습을 드러낸다. 그로 인해 변화하는 여성상과 함께 당대 문화의 정체성을 보여줌으로써 작품이 지니는 의미는 남성 작사가의 작품과 구별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 대중가요에서 여성 작사가들의 작품경향과 그에 따른 대중들의 정서와 문화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0년대 이후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작사가 김이나와 2015년 저작권 수입 1위인 강은경의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2010년대 이후 그녀들의 작품 분석을 통해 주제 및 소재를 분류해보고 이를 토대로 드러나는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사랑의 기쁨 · 사랑의 아픔 · 이별의 슬픔 · 그리움 · 일상속의 감정 · 신념 · 사랑의 갈망 · 미련과 후회 ·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특히 이들의 가사에 나타난 여성 화자의 감정의 표출과 담아내고 있는 정서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류한 주제와 소재에 따른 가사들의 경향을 분석하면서 알게 된 사실은 시대적 변화와 무관하게 사랑과 이별의 관한 주제가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점이다. 여성 작사가의 노랫말 속에는 작중화자가 여성이 되므로, 당대 여성들의 생활상과 사상 · 감정이 드러나며 여성들의 욕구 · 욕망과 경험 및 세계전유방식, 취향 등이 반영된다. 이를 통해 대중들이 공감할 수 있는 시대가 공유하는 하나의 여성상을 알아 볼 수 있었다. It was around 1980s when female lyricist appeared in Korea pop songs. Since then, the works of female lyricists have enjoyed numerous commercial successes. In the ‘Gaon Chart K-pop Awards’ ceremony, which began in 2012, the winners of “the lyricist of the year” have been female lyricists except for the year 2015. Thus, the works of female lyricists reflected the desires of many women, as well as forming a sense of empathy to common people. In addition, the works of female lyricists in Korea popular songs reveal the lifestyle of the women who lived in the era. It distinguished from the work of the male lyricist by showing the changing female image along with the identity of the contemporary culture of the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female lyric artists and their emotional and cultural trends in Korean pop songs, I have looked into the works of Eana Kim and Eunkyung Kang who are the lyricist showed the most prominent activities since 2010 and the most wealthiest artist for making income from copyright in 2015 respectively. I hav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s since the year 2010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themes and materials from their works. The joy of love, the pain of love, the sorrow of parting, the longing, the feelings of everyday life, the beliefs, the desire of love, remorse and regret and so on are analyzed. Especially, I looked at the pattern of emotions showing from the lyrics. The fact that I have realized during the trend analysis of the pieces are that there were overwhelmingly themes about love and parting regardless of the periods where the lyrics from. In the lyrics of a female lyricist, the narrator is a woman, so the lifestyle,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contemporary women are revealed. Also, it reflects the desires and ambition and experiences of women and the way of world appropriation and taste. Through this, I was able to recognize a single female image shared by the age when the public can sympath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