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리 기반 적응형 임계값을 활용한 강건한 3차원 물체 탐지

        이은호,정민우,김종호,이경수,김아영 한국로봇학회 2024 로봇학회 논문지 Vol.19 No.1

        Ensuring robust 3D object detection is a core challenge for autonomous driving systems operating in urban environments. To tackle this issue, various 3D representation, including point cloud, voxels, and pillars, have been widely adopted, making use of LiDAR, Camera, and Radar sensors. These representations improved 3D object detection performance, but real-world urban scenarios with unexpected situations can still lead to numerous false positives, posing a challenge for robust 3D models. This paper presents a post-processing algorithm that dynamically adjusts object detection thresholds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ego-vehicle. While conventional perception algorithms typically employ a single threshold in post-processing, 3D models perform well in detecting nearby objects but may exhibit suboptimal performance for distant ones. The proposed algorithm tackles this issue by employing adaptive thresholds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ego-vehicle, minimizing false negatives and reducing false positives in the 3D model. The results show performance enhancements in the 3D model across a range of scenarios, encompassing not only typical urban road conditions but also scenarios involving adverse weather conditions.

      • KCI등재

        Elicitor 처리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Saururus chinensis)의 미용식품활성 및 피부상재균 억제효과

        이은호,김병오,강인규,정희영,조영제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8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1 No.2

        Elicitor를 처리한 삼백초의 물과 ethanol 추출물들의 기능성화장품활성을 살펴보았다. Elicitor 처리한 삼백초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1.5 mg elicitor/leaf 1 g (group A)에서 3.0 mg elicitor/ leaf 1 g (group B)으로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효과는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elicitor 처리에 의해 물 추출물보다 70%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한 효과를나타내었다. Elicitor 처리한 삼백초 추출물의 미용식품활성은elastase 억제 효과와 미백효과가 비처리군인 대조구와 유사한효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elicitor 처리가 삼백초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의 증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확인되었으나, 염증 억제 효과가 비처리군인 대조구에 비해 우수한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grpoup A와 group B 모두에서 대조구에 비해 억제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elicitor 처리가 유용물질의 산업화라는 전제를 충족시키기 위한 biomass 기법으로 매우 적당하다는 것을 시사해주었다. 따라서 삼백초 재배 시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elicitor를 처리하면 수확되는 삼백초의 단위 무게 당 생산량을 높일 수 있고, 생리활성도 증대시킬 수가 있어 산업화를 위한 원료생산에 효율적인 재배기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cosmetic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Saururus chinensis by elicitor treatment are examined. Anti-oxidative activity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of elicitor treated S. chinensis extract increased in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s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1.5 mg elicitor/leaf 1 g (group A) to 3.0 mg elicitor/ leaf 1 g (group B). Also, 70%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water extract. Elicitor treated S. chinensis extract showed similar inhibitory effect on elastas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indicating low effect of elicitor on elastase inhibition and whitening effect. However, it showed high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control group. Both group A and B showed high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en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elicitor treatment is suitable for biomass method used for industrializing useful compounds. Therefore, elicitor treatment during S. chinensis cultivation will increase bioactivity in the plant source which will yield high quality for industrialization.

      • KCI등재

        奎章閣所藏 中國本 書類와 그 가치

        이은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한국문화 Vol.73 No.-

        Kyujanggak(奎章閣) of Jungjo(正祖) was the Royal Institution which led the learning of the day. The chinese version’s the kind of The Book of history(中國本 書類) which is housed in Kyujangkak is the material which helps to confirm Jungjo's awareness of Shangshu(尙書). One of the most remarkable list of books(書目) among the Kyujangkak's The chinese version’s the kind of The Book of history are as below. First, it's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which completely denied GuwenShangshu(古文尙書) or doubted GuwenShangshu which is similar as WangYingLin(王應麟)’s Guwenshangshumazhengzhu(古文尙書馬鄭注, 奎5306) and Yanruoju(閻若璩)’s Shangshuguwenshuzheng(尙書古文疏證, 奎4844). Second, it is writings which double as annotation of The han․Song Dynasty(漢․宋) such as Qianshi(錢時)’s Rongtangshujie(融堂書解, 奎4643), Renqiyun(任啓運)’s Shangshuyuezhu(尙書約注, 奎3316) and Jinlüxiang(金履祥)’s Shangshubiaozhu(尙書表注, 奎3317). Third, the shangshu of Gyeongyeon(經筵, lecture for king) such as, Yuanhuang(袁黃)’s Shujingqimengjiejingxuanzhu(書經啓蒙捷徑選註, 奎4817), Zhangnai(張鼐)’s Shujingyan(書經演, 奎5206) and Zhangjuzheng(張居正)’s Shujingzhijie(書經直解, 奎4710) etc. are the valuable materials which are high in scarcity. Especially it is considered that Yuanhuang(袁黃) and Zhangnai(張鼐)’s the writings are valuables which is hardly seen even in the China. It is understandable that Jungjo read not only annotation of Caishen(蔡沈) but also ancient annotation(古注) of The han․Song Dynasty variously and aimed to figure out understanding of multiple about Shangshu by writing of doubting GuwenShangshu. The understanding of Jungjo about Shangshu is proved in Sangseogangyi(尙書講義) which deals with discussion with Chogemunsin(抄啟文臣, Kyujangkak Scholar).

      • KCI등재

        심장수술에서 저체온 체외순환 후 발생한 허혈성 뇌손상시 BIS의 변화

        이은호,최재용,조선준,심지연,함경동,정용보,최인철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2 No.6

        The bispectral index (BIS) has been developed as a measure for monitoring the hypnotic drug effect. EEG processing results in a BIS scale from 0 to 100, where 100 represents an awake and responsive patient, and the scale decreases when hypnotics are administered. Here we describe two patients in whom the BIS decreased to nearly 0 during cardiac surgery. Postoperatively both patients showed hypoxic brain injury. There are several possible causes for a decrease in the BIS during surgery, including deep anesthesia, hypothermia and cerebral ischemia. In the present cases, cerebral hypoperfusion was the likely cause. During cardiac surgery, hemodynamic changes such as acute hypotension and cardiac arrest can cause cerebral ischemia. Cerebral ischemia develops most commonly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CPB). Therefore, the BIS may be useful for detecting severe cerebral ischemia during CPB, al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as a cerebral monitor.

      • KCI등재

        일반논문 : 『묵자(墨子)』의 『서(書)』 인용(引用)에 관한 연구(硏究)

        이은호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書』는 "君擧必書"의 전통에 기인한 史官의 역사기록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戰國시기 諸子百家의 쟁명을 통해 단순한 史書에서 철학적인 의의를 담은 이론서로서 탈바꿈하게 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書』의 잔편들이 『묵자』를 비롯한 제가의 문헌 및 漢代의 전적에 고스란히 남아있게 되었다. 先秦이후, 유가에 의해 편집된 『상서』만이 그 적통의 지위를 이어받게 되었고, 그런 와중에 『今文』과 『僞古文』 등의 정치적 투쟁의 역사를 겪으면서 오늘날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전래문헌을 대신하여 최신의 학문으로 부상하고 있는 출토유물의 등장으로 기존의 『尙書學』(혹은 書經學)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결국, 『상서학』은 유가의 『상서』의 범위를 벗어나, 諸子書속의 書편과 漢代의 경학, 이후 위고문의 여러 주석 및 청대의 고증학의 성과를 아우르며, 오늘날 출토되는 지하유물까지도 그 영역을 확대해서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本稿의 『묵자』의 『書』인용은 이러한 문제제기에 대한 단편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墨家는 儒家와 더불어 춘추전국시대를 대표하는 지식인 집단이었고, 그들의 방법론은 비록 상이했으나 그들이 추구했던 이상이나 논리의 근거로써 이용한 聖王의 표상 등은 대동소이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書』의 인용은 儒家와 마찬가지로 墨家에서도 양보할 수 없는 중요한 논리의 근원이었던 것이다. 『묵자』의 『書』인용은 모두 46차례에 이르며, 이를 현전 『尙書』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현전하는 『묵자』53편 가운데 『書』의 인용은 권5 「七患」편에서 권37「非命」편에만 집중되어 있다. 둘째, 『묵자』의 『書』인용은 『위고문』의 저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셋째, 先秦逸『書』의 잔편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문헌이라는 점이다. 이는 곧 현전『尙書』의 절대성에 대하여 제고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준다.

      • KCI등재

        인간의 주체적 자각으로서 誠개념 深化

        이은호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Sky(Heaven) refers to not only a natural object recognized as the largest and widest empty air seen up high over us but also Earth, Water, Fire, Mountain, Pond, Thunder, Wind and other natural phenomenon having great influences upon the base for human life and existence. Since this kind of Nature Sky caused natural phenomenon human beings couldn't change, they naturally came to have awe or dread of nature that served as an absolute power or authority they worshipped. However, there had been a gradual change in the human awareness of such an absolute power of Sky, along with a development of empirical knowledge and human reasons. The end of Age of the Warring States found an ideologically epoch-making shift that a paradigm of Superintending Sky had changed into that of Sky and Earth. An ideological shift to the latter didn't just suggest that the definition of Sky escaped its personal aspect. But its superintendence and absoluteness was also brought to human inside, which meant that men could stand up as a philosophical center together with Sky and Earth. An understanding of such a great ideological shift serves as a motive for understanding advanced Confucianism. That is to say, K'ung Fu-tzu brought out an issue of virtuously moralizing Sky in advanced Confucianism, which ideology Meng-tzu succeeded to by advocating the ethical doctrine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so that he internalized an external sky to human hearts. In the Doctrine of the Mean, such a concrete sky of hearts was specified as Sincerity,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completing the internalization of Sky. But, in here, this study covered it within advanced confucianism, acknowledging a theory that the writing of the Doctrine of the Mean showed itself after Meng-tzu, but at least before Chin-Han Dynasty, when the flow of internalizing Sky was considered. As Sky as an absolute object men had religiously worshipped returned to its original natural object, its utmost superintendence it had enjoyed so far was taken over to men, which implies the development of human reasons and self-awareness of men's own existence enabled men to think that they inherited their own selfness from Sky. Actually, Sky remained as kind of a physical sky along with Earth, not as Superintending Sky any more. Thinking men between Sky and Earth can exist as a noble being due to "Sincerity" inherited from the former, so that, if such Sincerity has reached kind of Utmost Sincerity, they will be reborn as an autonomous being helping further all creations, along with Sky and Earth. An autonomous being doesn't mean a self-complacent or self-indulgent one, but the one acknowledging relativeness to others around and modestly practicing humanity under an understanding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If, just as Sky and Earth give birth to and feeds lives, men deliver humanity and practice justice, they'll find themselves to resemble Sky itself. 天은 단순히 머리 위 높은 곳에 위치한 허공으로 가장 크고 넓은 것으로 인식되는 자연물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인류의 삶의 터전과 생활전반에 큰 영향을 주는 땅(地), 물(水), 불(火), 산(山), 못(澤), 우레(雷), 바람(風) 등의 자연현상들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自然天은 인류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자연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인류는 자연스레 자연에 대해 외경심을 가지게 되었고 절대적 권위의 숭배대상으로 여기게 되었다. 그러나 절대적 권위의 天에 대한 인류의 인식은 이성의 발달과 경험론적 지식의 축적으로 인해 조금씩 변하기 시작하면서 전국시대말기에 이르러서는 主宰天의 패러다임이 天地패러다임으로 再定位되는 사상의 대변혁을 가져오게 된다. 天地패러다임으로 전환은 단순한 天의 인격체적 성격을 탈피한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天의 주재성과 절대성을 인간내면으로 가져옴으로써 天地와 더불어 인간도 철학의 중심으로 우뚝 서게 된다. 이러한 사상의 대전환은 선진유가를 이해하는 중요한 모티브가 된다. 즉 선진유학에서 孔子가 처음 天의 德性化의 문제를 제기하였고, 맹자가 그 사상을 이어받아 性善을 주창하면서 외재의 天을 사람의 마음(心)속으로 끌어들였으며, 中庸에 이르러 그 마음(心)의 구체적인 天의 모습을 誠으로 규정함으로써 天의 내재화를 완성하였다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여기서 전제가 되어야 할 점은 기존 子思의 저작으로 알려진 中庸은 天의 내재화의 흐름상 맹자 이후에 위치하며, 그 최대 하한선은 秦漢시대이후로 내려가지는 않는다는 전제로 논의를 진행한다. 애초 인간의 절대적 신앙의 대상이었던 天의 위상이 하나의 자연물로 회귀하면서, 그동안 누렸던 지존의 주재성을 인간에게 넘겨주게 된다. 거꾸로 인간이성의 발달과 존재의 자각으로 인해 인간의 주체성을 天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으로 선언함으로써 天은 더 이상 인격적인 주재천이 아닌 땅(地)와 함께 병칭되는 물리적인 하늘로 남게 된다. 그 하늘과 땅 사이에서 사유하는 인간은 하늘로부터 내려받은 ‘誠’으로 인해 존귀한 존재가 될 수 있고, 또 그것을 더 확장시켜 至誠에 이르게 되면 天地와 더불어 만물의 화육을 도울 수 있는 주체적인 인간으로 거듭나게 된다. 주체적 인간이란 독선적이거나 방종적인 모습의 인간이 아니다. 인간 본성이 善하다는 자각아래 ‘나’ 주위의 모든 것들과의 상대성을 인정하며 겸손하게 仁을 몸소 실천하는 것이다. 天地가 생명을 낳고 길러주듯이, 인간도 仁을 낳고, 義를 실천한다면 비로소 하늘의 모습과 똑닮은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Elicitor 처리한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의 항산화, tyrosinase, elastase, collagenase 및 hyaluronidase 억제 활성 증대

        이은호,조영제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0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3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hange of the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enzyme activities [tyrosinase, elastase, collagenase, and hyaluronidase (HAase)] of extracts from elicitortreated Oplismenus undulatifolius. Elicitor-treated O. undulatifolius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than the non-treated extrac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licitortreated O. undulatifolius extract and non-treated extract, the elicitor-treated group showed high activity. Elicitor-treated O. undulatifolius showed higher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as anti-wrinkle effec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s whitening effect, and anti-inflammation effect to induced as HAase inhibition than the non-treated extract. Therefore, elicitortreatment during O. undulatifolius cultivation in outdoors will elevate total phenolics content in the plant and elevate of various bioactivities, which will yield high quality for industrialization.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물질유도제인 elicitor를 처리한 주름조개풀의 열수, 에탄올 추출물들의 항산화 효과, tyrosinase, elastase, collagenase 및 HAase 등의 미용관련 생리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Elicitor 처리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DPPH 및PF 등의 항산화 효과는 elicitor 비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elicitor 처리구가 농도의존적으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Elicitor 처리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미용활성은 elastase 및 collagenase 억제 효과에 의한 주름개선효과와 tyrosinase 저해에 의한 미백효과가 비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효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elicitor 처리가 주름조개풀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의 증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HAase 억제에 의해 유래되는 염증 억제 효과도 비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우수한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Elicitor 처리에 의해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생리활성 효소에 대한 억제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elicitor 처리가 유용물질의 산업화라는 전제를 충족시키기위한 biomass 기법으로 매우 적당하다는 것을 시사해주었다. 따라서 주름조개풀 노지재배 시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elicitor를처리하면 수확되는 주름조개풀의 단위 무게 당 유용물질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고, 생리할성도 증대시킬 수가 있어 산업화를 위한 고기능성 원료생산에 효율적인 재배기법으로 활용할 수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 KCI등재

        退溪의 『書釋義』에 관한 연구

        이은호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4 No.-

        퇴계의 『經書釋義』는 조선의 성리학이 자리를 잡으면서, 道學的 이상이 좌절과 실패를 딛고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자리를 잡아가던 16세기의 經學書이다. 그 내용은 성리학에서 중시하는 四書와 三經 가운데 난해한 부분을 뽑아 ‘釋義’한 것인데, 『五經淺見錄』에는 볼 수 없는 諺解가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훈민정음 창제이후 꾸준하게 진행된 경전의 우리말화 과정과 연관이 있으며, 懸吐의 단계에서 完全諺解의 과도기적 형태로서 부분적인 諺解가 가미된 ‘釋義’의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經書釋義』 가운데 『書釋義』는 『書經』에 대한 해설서로서 총 633조목으로 構成되어있다. 『書釋義』도 『書集傳』의 내용을 바탕으로 모든 經文과 蔡註에 대하여 언급하지는 않았고, 퇴계 자신이 난해하다고 판단했거나, 諸家의 설이 나뉘는 구절이나 단어에 한정하여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것이다. 『書釋義』 편장의 차례는 『書集傳』의 순서와 동일하다. 본 논문에서는 『書釋義』 633조목 가운데, 『書集傳』의 蔡註의 해석과는 다른 입장을 보이는 퇴계의 견해에 대해서는 ‘독창성’이라 규정하고, 퇴계가 바라보는 독자적인 경학관에 주목해보았다. 退溪의 『書釋義』는 16세기에 이루어진 『書經』에 대한 經學書로서, 관본언해본이 나오기 전에 당시까지 유행하던 諸家의 說을 모두 모아 비교판단하여 경서해석의 기준을 마련하고, 경서언해의 기반을 닦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땅에 성리학이 전해지고 朱子書를 읽기시작하면서부터 시도되었던 경서의 우리말화 과정이 결실을 맺는 과정에서 실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息山 李萬敷의 天道有敬說 硏究

        이은호 동양철학연구회 2008 東洋哲學硏究 Vol.56 No.-

        儒學에서 誠 · 敬은 이미 先秦시기 『中庸』과 『易傳』에서 그 철학적 가능성을 배태하고 있었고, 성리학에 이르러서는 수양론에 있어서 중요개념으로 떠오르게 된다. 특히 程子의 ‘主一無敵’이라는 敬에 대한 입론은 朱子에 이르러 인간이 內聖外王을 실현하는 가치개념으로 자리잡은 반면 誠은 天道를 설명하는 개념정도로 인식되고 만다. 조선의 경우, 息山이 살았던 시대에는 퇴계와 율곡을 중심으로 각각 敬 중심의 철학과 誠 중심의 철학 등으로 나뉘어져, 학파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심한 대립과 아울러 敬에 대한 올바른 인식조차 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그런 와중에 息山은 天道有敬說에서 天道와 人道가 제각각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아울러 誠과 敬 또한 서로 다른 것이 아닌 하나라는 주장을 펼친다. 더 나아가 올바른 敬의 면목을 알기위해서는 다시 程朱學 본연의 모습으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당시의 혼란스럽고 분열된 시대상황과 결부하여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비록 그의 주장이 독창적이거나 정주학이나 퇴율의 성리학을 뛰어넘는 차원의 입론이 아니고 또한 龍頭蛇尾격의 마무리로 끝을 맺고 있지만 당시 조선의 사회가 程朱의 종지를 벗어나 공리사변으로 치닫고, 사회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채 온갖 모순을 양산해내는 상황에 맞서 성리학 본연의 정신으로 되돌아가 반성의 기회로 삼자는 한 유학자의 성찰적 태도는 분명히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墨子』의 「書」 引用에 관한 硏究

        이은호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書』는 “君擧必書”의 전통에 기인한 史官의 역사기록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戰國시기 諸子百家의 쟁명을 통해 단순한 史書에서 철학적인 의의를 담은 이론서로서 탈바꿈하게 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書』의 잔편들이 『묵자』를 비롯한 제가의 문헌 및 漢代의 전적에 고스란히 남아있게 되었다. 先秦이후, 유가에 의해 편집된 『상서』만이 그 적통의 지위를 이어받게 되었고, 그런 와중에 『今文』과 『僞古文』 등의 정치적 투쟁의 역사를 겪으면서 오늘날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전래문헌을 대신하여 최신의 학문으로 부상하고 있는 출토유물의 등장으로 기존의 『尙書學』(혹은 書經學)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결국, 『상서학』은 유가의 『상서』의 범위를 벗어나, 諸子書 속의 書편과 漢代의 경학, 이후 위고문의 여러 주석 및 청대의 고증학의 성과를 아우르며, 오늘날 출토되는 지하유물까지도 그 영역을 확대해서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本稿의 『묵자』의 『書』인용은 이러한 문제제기에 대한 단편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墨家는 儒家와 더불어 춘추전국시대를 대표하는 지식인 집단이었고, 그들의 방법론은 비록 상이했으나 그들이 추구했던 이상이나 논리의 근거로써 이용한 聖王의 표상 등은 대동소이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書』의 인용은 儒家와 마찬가지로 墨家에서도 양보할 수 없는 중요한 논리의 근원이었던 것이다. 『묵자』의 『書』인용은 모두 46차례에 이르며, 이를 현전 『尙書』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현전하는 『묵자』53편 가운데 『書』의 인용은 권5「七患」편에서 권37「非命」편에만 집중되어 있다. 둘째, 『묵자』의 『書』인용은 『위고문』의 저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셋째, 先秦 逸『書』의 잔편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문헌이라는 점이다. 이는 곧 현전『尙書』의 절대성에 대하여 제고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