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주택 거실의 시대별 디자인 특성 및 이미지 경향분석

        이은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63

        Since the rapid development of economy began, various changes in the area of Korea house have occurred. The development of economy 'leaded to abundant lives and increased the interests of resid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at, the elements or methods which make up an interior varied, and it showed us the change of each generation. Recently, as the interests about the residing environment rise and the phenomenon of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in an interior, the prediction of the direction on the residing environment gets to the importance. In order to keep up with such a trend, through analyzing the distinction of the interior in a house and the change of the general image of the interior, we can understand the trend of each generation and anticipate the orientation and the image of the structure of the interior for our future. Therefore, on the base of the living room of Korea from 1970, when the development of economy began, to the 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 and the image of the interior according to each generation, and figure out the tendency of the change of each generation in the interior of a house. The processes of this study consist of 4 steps: 1) analysis on the character of each generation in terms of the design of the living room in a house 2) abstraction of the imag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evaluation of the living room according to each generation using Repertory Grid Method 3) analysis on the character of each generation's design in the living room of a house and the change of the image of that 4) suggestion on the direction of the design in the living room of a house for a fu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Character of each generation's design in the living room of a Korean house 1) The wall paper is constantly used with the material of a ceiling, and the use of wood is reduced. The rate of the use of the painting also is increasing gradually. The flat ceiling is decreasing little by little, and the rate of the use of the ceiling with Dancha is increasing. The color of white and Y type are dominant in using. 2) The material and the color of the wall are similar to the trend of the ceiling 3) Most of material of a flat part in 70's and 80's were synthetic resin, but its usage is reducing now. The use of flooring is increasing up, and Paketri was used a lot in 70's. The color of YR type is used a lot on that. 4) The use of textile in the material of a sofa is increasing gradually to be dominant, used leather a lot in 80's and 90's, and the mixture of textile and wood was used a lot in 80's. The color is the type of Y, YR, and R, and the use of color of an achromatic color is increasing. 5) The light of Pendent was used a lot in 70's and 80's and the use of that was reduced gradually. In 90's, the use of the light of architecture was increased. 6) The main color from 70's to 2000's was white in common, and the rate of the use of the type of YR and Y was increased up. The supporting color was the type of YR, and the focusing color was the type of R in common. Also, the use of black intends to increase. 2. Trend to the change of the image of the living room of Korea 1) The image of 「bright」, 「warm」, 「comfortable」 appears as the common one constantly over generations and it is the basis of the general living room of a house. 2) The image of 「vague」, 「close」, and 「dark」 appeared in 1970 by the influence of the color of the dark interior or the construction of the complex space. 3) In 1980, the construction of the complex space or western classic style-decorated and wisteria furniture, chandelier, and the shape of flower were used a lot. As a result of that, the images of 「awkward, 「clumsy」, 「rural」,「cool」, 「antique」, 「noble」, 「natural」 are representative. 4) In 1990 there was the turning point to change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complex space to the simple one and from complex and decorated furniture to the simple one. And the new image by the use of concrete and glass raised its head. With such a background, the images of 「awkward」, 「neat」, 「open」, 「reserve」, 「cold」, 「gay」, 「ntiqued」, and 「soft, were showed. 5) In 2000, the images of 「simple」, 「open」, 「cool」, 「cold」, 「urban」, 「changable」, 「intense」, 「unique」 and 「soft」 with the u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simple space, the style of the basic and straight furniture, the light of architecture, or concrete·glass appeared. If these trends continue, the light of architecture or the color of achromatic·cold type and neat and simple furniture will be used, we can expect the living room made up the simple space using a few furniture if it is possible. Also, the images of 「bright」, 「warm」, and 「comfortable」, will be continued as the basi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images of 「soft」, 「open」, 「simple」, 「Urban」, 「sybertic」, 「changable」, 「unique」 was compared with the flow of the structure of the interior characteristic and various. The above results will be used as reference to the anticipation of trend of new interior of the living room of Korea for a future.

      • 전주한옥마을 관광객의 선택속성, 방문동기, 만족도, 충성도의 이해 : -IPA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들이 인식하는 관광지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관광객들을 방문동기 유형별로 구분하고 방문동기 유형에 따른 관광지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방문동기 유형에 따른 만족도와 충성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한옥마을 프로그램 개발과 마케팅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전주한옥마을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4월 12일부터 4월 1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에 불성실하게 답변된 3개의 표본을 제거하여 총 297부의 유효한 표본을 실증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방문동기를 유형별로 구분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하였다. 한옥마을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도-수행도 분석(IPA)과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하였으며, 방문동기 유형에 따른 만족도와 충성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하였다. 우선, 관광지 선택속성의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을 한 결과 ‘한옥마을 경관’ 항목이 중요도와 수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 1사분면의 높은 중요도와 높은 수행도의 선택속성 항목으로는 한옥마을에서 즐기거나 볼 수 있는 항목들과 접근성과 관련된 항목들이 포함 되었다. 제2사분면은 높은 중요도와 낮은 수행도의 항목들로 우선적으로 시정해야하는 항목으로는 서비스 품질과 관광안내 정보 등의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다음으로 방문동기 유형에 따른 관광지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해 알아보고 두 집단 간의 차이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관광객들의 방문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으로 도출하였고, 2개의 군집인 ‘낮은 동기부여 집단’과 ‘높은 동기부여 집단’으로 분류 하였다. 그 결과, 22개의 관광지 선택속성의 항목 중에 19개의 항목은 각 사분면에 두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3개의 선택속성(안내지도의 용이성, 지역 주민의 친절성, 대중 교통이용의 편리성)의 항목들은 방문동기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방문동기 유형에 맞는 선택속성에 대한 유지, 개선과 같은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방문동기 유형에 따른 만족도와 충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군집 1 ‘낮은 동기부여 집단’ 보다 군집 2 ‘높은 동기부여 집단’의 만족도와 충성도 모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관광객들의 방문동기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주한옥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선택속성에 대해 파악하였고, 그러한 선택속성이 잘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수행도 평가를 통해 개선해야하는 선택속성의 항목들과, 잘 유지되고 있는 항목들을 파악 하였다. 또한, 방문동기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과 향후 한옥마을의 마케팅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mpirically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perceived by tourists. In addition, tourists were classified by types of tourism motivation, the differenc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by the pattern of tourism motivation were understoo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nd loyalty was grasped,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to develop program and to plan marketing of Hanok village.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argeting tourists visiting Jeonju Hanok Village. The survey was made from April 12th to April 19th in 2014, total 300 papers were circulated, and 297 valid papers, after discarding 3 dishonest paper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o analyse data SPSS 18.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lassify tourism motivation by types. IPA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Hanok Village selection attributes, t-test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difference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nd loyalty by tourism motivation types. First, according to the IPA result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the highest record i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was the scenery of Hanok Village. In the first quarter, where factors of high level i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positioned, factors of visible and enjoyable and factors related to accessibility were included. In second quarter, where factors of high level in importance but low in performance are positioned, those should be corrected by priority, factors of service quality and tourism information were located. Seco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type of tourism motivation were reviewed,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mad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clusters.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result of tourism motivation, 5 factors were deducted, then those were classified into two clusters, 'low motivation cluster' and 'high motivation cluster'. As of the result, 19 items among 22 item of selection attributes were commonly located in each quarter of both clusters, but remaining 3 items (ease of guide map, kindness of local residents,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use)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motivation. Therefore, it was understood that the plan to maintain and improve selection attributes, fit to tourism motivation types, would be necessary. Lastly, according to the analyzing result to define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nd loyalty based on the type of tourism motivation, it was proved that both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of cluster 2, 'high motivation cluster', higher than those of cluster 1, 'low motivation cluster', so it was understood that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fit to tourism motivation types, would be necessar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election attributes, highly regarded by tourists visiting Jeonju Hanok Village, were understood, then selection attributes items, to be improved as well as well maintained, were grasped through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to define whether such selection attributes were well performed. Also, it wa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 points to develop differentiated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s of tourism motivation as well as to set up future marketing plan for Hanok Village.

      • 페미니스트 신학의 과제로서의 여성 정체성과 연대성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 샐리 맥페이그(Sallie McFague)의 신학적 모델들을 중심으로

        이은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Existing Feminist the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ly, even though the male-centered God symbol distorts the female identity, a complementary alternative has not yet been discovered in Feminist theology. According to Feminist theologians, it is argued that the another alternative, which is the female-centered God symbol also harms female identity by emphasizing gender by itself. The challenges of male-centered God symbols still remain in Feminist theology. Secondly, a comprehensive approach toward women’s unification has not yet been suggested in Feminist theology. In Feminism and Feminist theology, unification is shaped by gathering people based on a common female experience and identity. Until now, large forms of solidarity were formed in Feminist theology due to the fact that various dimensions of female oppression were not revealed and that framing a common female experience and identity was not so difficult. However, as women began to realize that they all share different experiences, it became fundamentally challenging to bring women together. Feminist theology nowadays try to solve the issue of oppression upon women by bringing together the subdivided solidarity based on women’s diverse experiences. In this paper, it suggests that not only Sallie McFague’s ‘world model as a body of God’ can unite women together, but also that her ‘God model as mother’ can overcome the problems of male-centered and female-centered God symbols all at the same time. To confirm the facts, this paper analyzes McFague’s theological models.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God model as mother’ by looking into not only the theory such as ‘Metaphorical Theology’, which directly deals with the issue of gender-based male-centered god symbols but also ‘Models of God’ that deals with the issue of the age of nuclear crisis. In ‘Models of God’, the ‘God model as mother’ is described as a ‘creator’ and a ‘judge’, and because these two words are classified theologically as God’s masculine value, it is clear that ‘God model as mother’ does not only emphasize female sex but that it is based on various genders. Because McFague’s ‘God model as mother’ is based on various genders and does not limit female identity to the feminine gender, it can solve the problem of existing male-centered God symbols. Also, the fact that it is a female model, it relativizes the male-centered God model and consequentially helps not to support patriarchy. In addition, by explaining creation with images of childbirth and by dismantling the dichotomy of spirit and body, it dissolves the hierarchized understanding of spirit as a male and body as a female. Furthermore, McFague’s ‘God model as mother’ is complemented by a ‘God model as couple’ and a ‘God model as friend’, both of which complement the ‘God Model as mother’ and provide various role models for women.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world model as body of God’ based on MaFague’s ‘A New Climate for Theology’. In this book, McFague proposed a ‘world model as a body of God’ to encourage human participation in social issues. ‘The world model as the body of God’ gives a new identity such as ‘God's body’ to all beings, including women, and enables both sides to unite with each other based on that identity. McFague’s ‘world model as the body of God’ makes women form a unification on the common basis of God's body, rather than human characteristics. When women’s unification is encouraged through ‘the world model as the body of God’, a common identity is shared with all women and they can form a more comprehensive unification. In addition, since the model respects diversity, Feminist theology can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various issues related to women. The model also views every individual as a dignified being, and as a result, Feminist theology can encourage unification without establishing a hierarchy between social issues through the model. In essence, McFague’s models should be actively applied to the present Feminist theology, for they are a good example to solving the problem of the distorted female identity in Feminist theology and can also bring together the differentiated female solidarity. 기존의 페미니스트 신학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고 있다. 첫째, 페미니스트 신학은 남성 중심적 신 상징 문제의 완전한 대안을 찾지 못하였다. 남성 중심적 신 상징이 문제가 되는 까닭은 그것이 여성 정체성을 왜곡할 수 있기 때문인데, 현 페미니스트들 신학자들의 진단에 따르면 그 문제의 대안으로 제시된 여성 중심적 신 상징 역시 사회적 젠더를 강조함으로 여성의 정체성을 왜곡할 위험성을 갖고 있다. 현재 페미니스트 신학은 완전한 해결책 없이 남성 중심적 신 상징의 문제를 계속하여 마주하고 있다. 둘째, 페미니스트 신학은 현재 포괄적인 여성 연대를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 신학이 연대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공통된 여성 경험과 정체성을 기반으로 사람을 모으는 것이다. 이전까지 페미니스트 신학은 그 방법으로 커다란 연대체를 형성할 수 있었다. 다양한 여성 억압의 차원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였다. 공통된 여성 경험과 정체성을 상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런데 현대로 넘어보면서, 여성들은 서로의 경험이 각기 다르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이에 따라 여성을 하나로 묶는 것은 근본적으로 어려워지게 되었다. 현재 페미니스트 신학은 다양한 여성 경험에 따라 다양화되고 세분된 연대체와 함께 현시대의 문제를 각개전투의 형식을 빌려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상기한 페미니스트 신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서술되었다. 본 논문의 목표는 맥페이그의 ‘어머니 하나님 모델’이 남성 중심적 신 상징의 문제와 더불어 여성 중심적 신 상징의 문제를 동시에 극복한 모델이라는 사실을, 또한 맥페이그의 ‘하나님의 몸으로서의 세계 모델’이 세분된 여성 연대체를 하나로 연합시킬 수 있는 모델이라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다. 그 사실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맥페이그의 신학적 모델들을 분석하였다. 특별히 어머니 하나님 모델을 분석할 때는, 성차별적인 남성 중심적 신 상징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은유신학』 뿐만 아니라 핵 위험 시대 문제를 주제로 삼은 『어머니, 연인, 친구』 역시 다룸으로써, 더욱 확장된 의미에서 어머니 하나님 모델의 의의를 확인하였다. 『어머니, 연인, 친구』에서 어머니 하나님 모델은 하나님을 ‘창조자’이자 ‘심판자’로 진술되는데, 이 지점에서 맥페이그의 어머니 모델은 단순히 ‘여성스러운’ 것에 한정된 모델이 아님이 밝혀진다. ‘창조’와 ‘심판’은 곧 신학적으로 하나님의 ‘남성스러운’ 가치로 분류된 것이기 때문이다. 어머니 모델은 여성의 성에 근거하지만 여성스러움을 강요하지 않는, 다양한 젠더를 기반으로 한 모델이다. 맥페이그의 어머니 하나님 모델을 사용할 경우, 그것은 다양한 젠더에 근거한 모델이기에 여성의 정체성을 여성 젠더에 국한하지 않으며 기존의 남성 중심적 신 상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어머니 하나님 모델은 여성 모델로서 남성중심적 모델을 상대화시켜 그 모델이 가부장제를 지지하지 않게 돕는다. 또한 그 모델은 출산의 이미지로 창조를 설명하며 영육의 이분화를 파기시킴으로 영과 육, 남성과 여성의 위계화된 이해를 해체한다. 그뿐 아니라 맥페이그의 어머니 하나님 모델은 연인 모델과 친구 모델의 보완을 받는데, 이 두 모델은 모두 어머니 모델을 보완하며 여성에게 다양한 역할 모델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능한다. 또한 본 논문은 『기후변화와 신학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몸으로서의 세계 모델을 분석하였다. 그 저서는 기후변화의 문제를 다룬 맥페이그의 저서로, 맥페이그는 본 저서에서 사회문제에 대한 인간의 연합적인 참여를 독려하는 방법으로 하나님의 몸으로서의 세계 모델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하나님의 몸으로서의 세계 모델은 여성을 포함한 모든 존재에게 ‘하나님의 몸’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하여, 그 정체성에 근거해 서로 연대하게끔 하는 모델이다. 맥페이그의 하나님의 몸으로서의 세계 모델은 여성들을 인간의 특성이 아닌, 하나님이 부여한 하나님의 몸이라는 공통의 기반으로 연대체를 구성하게 만든다. 하나님의 몸으로서의 세계 모델을 통하여 여성 연대를 독려할 경우, 그것은 여성 모두에게 공통된 정체성을 부여하기에 여성들은 그 정체성을 근거로 더욱 포괄적인 연대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그 모델은 각각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모델로서 그 모델을 사용할 경우, 페미니스트 신학은 다양한 여성 문제에 여전히 관심 가질 수 있다. 또한 그 모델은 각각의 개체들을 그 자체로 존귀하게 여기게 함으로, 페미니스트 신학은 그 모델을 통해 사회문제 간의 위계를 설정하지 않고 연대를 독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밝히는 바, 맥페이그의 모델들은 현 페미니스트 신학의 왜곡된 여성 정체성 문제와 분화된 여성 연대의 문제에 좋은 해결책이 되므로 현 페미니스트 신학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 손드하임 뮤지컬에 나타난 통합과 해체 연구-<스위니 토드>에 나타난 극과 음악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이은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Based on the principles of integration and deconstruc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musical Sweeney Todd (1979), created by Steven Sondheim, an American lyricist and songwriter who has made outstanding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modern musical theatres. The principles of “integration” and “deconstruction” are one of the crucial elements in the creation of the musical theatre. In the realm of the musical theatres, “integra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songs and dance interact closely with drama to form a complete organism of linear narrative. “Deconstruc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each element of song, dance and drama carries out an independent role through the fragmentation of the linear narrative of drama. Conventionally, musical theatres that are faithful to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are called book musicals, while musical theatres that are faithful to the principle of deconstruction are called concept musicals. In Sweeney Todd, the two opposing creative principles coexist: the integrated nature of a book musical and the disintegrated nature of a concept musical. This work maintains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in many aspects such as the linearity of drama and the organic repetition of musical motif. However, it also reflects the principle of deconstruction by breaking the linearity through narrations and asides of the characters or chorus, and by breaking the norms of book musicals through hovering between the singing scenes and the dialogue scenes. There are many considerations which make the coexistence of principles of integration and deconstruction in Sweeney Todd possible. Sondheim’s own explanation of the way he created this coexistence reveals how freely he chose a variety of existing techniques and conventional styles.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Sweeney Todd, this work is not limited to eclecticism. The principles of integration and deconstruction coexist in the work through sophisticated calculations beyond simple parallelism. Both principles seem to be conflicting one another, but each plays a complementary role through close interaction. This work ultimately aims at a state of convergence by hovering between opposite principles such as 1) linearity and fragmentation of drama, 2) immersing and distancing the audience, 3) and utilization and d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form of musical songs. Sweeney Todd is one of the earliest works in which the principles of integration and deconstruction coexist in balance, which is the trend of contemporary musical productions in recent years. Performing an in-depth analysis of how each principle interacts within the work carries a value of research in the history of the musical theat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drama and music correlate in each scene by dividing the composition of Sweeney Todd into scenes and details. This study intends to perform a macroscopic analysis of how the elements of integration and deconstruction pursue the state of convergence in this work through a detailed scene-by-scene analysis. 본 연구는 현대 뮤지컬의 역사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미국의 작사가이자 작곡가인 스티븐 손드하임(Stephen Sondheim)의 뮤지컬 <스위니 토드(Sweeney Todd)>(1979)의 양식적 특성과 함의점을 통합(integration)과 해체(deconstruction)의 원리로 규명하고자 한다. ‘통합’의 원리와 ‘해체’의 원리는 뮤지컬 창작의 지향점이다. 뮤지컬에서 ‘통합’이란 노래와 춤이 극과 긴밀한 상호작용을 이루어 선형적 서술(linear narrative)의 완결된 유기체를 이루는 상태를 뜻한다. ‘해체’란 선형적 서술의 극 구성을 파편화(fragmentation)하여, 노래․춤․극이 제각기 독립된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뜻한다. 관습적으로 통합의 원리에 충실한 뮤지컬을 북 뮤지컬이라 하고, 해체의 원리에 충실한 뮤지컬은 콘셉트 뮤지컬이라 부른다. <스위니 토드>는 상반된 창작특성인 북 뮤지컬(Book Musical)의 통합적 특성과 콘셉트 뮤지컬(Concept Musical)의 해체적 특성이 공존한다. 이 작품은 극의 선형성과 음악 동기의 유기적 반복 등 여러 측면에서 통합의 원리를 유지하지만, 등장인물 혹은 합창의 내레이션 및 방백을 통한 선형성의 파괴, 노래 장면과 대사 장면의 넘나들기를 통해 북 뮤지컬의 규범을 탈피한다는 측면에서 해체의 원리도 반영하고 있다. <스위니 토드>에서 통합의 원리와 해체의 원리가 공존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이 작품에 나타난 손드하임의 창작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기법과 관습들을 자유롭게 선택한 흔적들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스위니 토드>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 알 수 있듯 이 작품은 ‘절충주의’에 머물지 않는다. 통합의 원리와 해체의 원리는 단순 병렬의 상태를 넘어 정교한 계산을 통해 작품에 공존한다. 두 원리는 상반되는 듯 보이지만 끊임없이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보완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작품은 극의 선형성과 파편화, 관객의 몰입과 거리두기, 전통적 뮤지컬 노래 형식의 활용과 해체 등 상반된 원리들을 넘나들며 궁극적으로 ‘융합(convergence)’의 경지를 지향한다. <스위니 토드>는 최근 뮤지컬 제작의 동향인 통합과 해체의 원리가 균형적으로 공존하는 초기 작품이다. 이 작품 안에서 각각의 원리가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하는 것은 통합․해체․융합의 특성을 모두 포괄한다는 점에서 뮤지컬 역사에 연구사적 가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은 <스위니 토드>의 구성을 장면과 세부요소로 나누어 각각의 장면에서 극과 음악이 어떤 상관성을 이루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장면별 세부 분석을 통해 이 작품에서 통합과 해체 요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융합(Convergence)의 상태를 지향하는지에 대해 거시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흡연 지속(持續) 경험 - 근거이론 연구방법 적용 -

        이은혜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Living as a female smoker in the Korean society means facing biased criticism beyond the use of one’s simple personal pleasures. Although women’s smoking rat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female workers within emotional labor field, their experience is hidden due to the nature of women smoking, which is regarded as a “stigma” in this coun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women's smoking problems by investigating the continued smoking experience of female emotional laborers and prepare and accumulate basic body of knowledge for preventing smoking, smoking cessation, and improving women’s health.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grounded-based research theory, based on symbolic interactionism, to obt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behind the continued smoking habits of female emotional laborers in the social structural and contextual environment of South Korea and the process thereof. Th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twenty female smokers currently engaged in emotional labor. The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June to August 2019, an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for theoretical sampling.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presented by Strauss & Corbin (2015), and 38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derived.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he study: “Smoking provides comfort and relaxation in a world where there is no one to lean on” was derived as the core category of the continued smoking experience of female emotional laborers. Central phenomenon of the experience of female emotional laborers was identified as “smoking for comfort and relaxation”. The social structural and contextual environment where female emotional laborers continued to smoke had conditions in which smoking in public was difficult, but they had easy personal accessibility to smoking; thus, “social bias in female smoking,” “workplace vulnerability for female emotional laborers,” and “environment with high accessibility to smoking” were derived. It was the “circumstance” that allowed female emotional laborers to continue smoking under causative conditions, and “life that was driven by the heart, not by independent choices” were derived for female emotional laborers who continue to smoke. The “sweet temptation of smoking” and “unpleasant inner voice” were derived as intervening conditions in which they ‘played a tug-of-war’ between the two. In the social structural context, female emotional laborers were acting/interacting by continuing to smoke ”to be with familiar smoking” through a repeated cycle of smoking cessation and relapse due to temporary decisions to stop smoking because they were “compelled to say farewell to smoking” or “ have a smoking relapse with an ardent mind”. As a result, female emotional laborers ultimately “experience continuous smoking relapses” and live a life that “drags on throughout the day” by either “returning to smoking despite moments of hesitation” or continuing “to smoke to survive life.” The experience of female emotional laborers who continue to smoke in our society, regardless of the social, contextual conditions in which women’s smoking is criticized and considered as an anomaly, may be overcome by converting the predisposed condition of female smokers, which is the causal condition of living “a life driven by the will of the heart, not by one’s independent choices,” to an independent condition, and by positively redirecting and strengthening the “unpleasant inner voice” between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make the “sweet temptation of smoking and unpleasant inner voice” tug-of-war play. In order to do so, social and policy efforts to maintain the health of female emotional laborers should be continued. The present study is an opportunity for nurses to understand and target the social, contextual conditions of female emotional laborers so that they can stop smoking, prevent smoking relapse,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ir health. In addition,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by identifying the program’s needs, and an active interest and research for institutional and policy supplementation should be continued. 우리사회에서 여성 흡연자로 살아간다는 것은 단순한 개인적 기호 식품의 사용을 넘어서, 여성 흡연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편견에 직면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의 사회 진출과 함께 여성 흡연율은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에게서 두드러지게 증가되고 있으나, ‘낙인’으로 간주되는 여성 흡연의 특성상 그 실체적 경험은 숨겨져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흡연 지속경험을 확인하여 여성의 흡연 문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흡연 예방과 금연 그리고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지식체를 마련하고 쌓아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 여성근로자가 한국의 사회 구조적, 맥락적 환경 안에서, 흡연을 지속하는 것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그 과정은 어떠 한 것인지에 대해 심도 깊게 이해하고자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근간으로 하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감정노동 근로에 종사하면서 흡연을 지속하는 여성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6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하여 진행되었고, 이론적 표본추출을 위하여 지속적 비교분석을 함께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trauss와 Corbin(2015)에 의하여 제시된 패러다임 모델에 맞추어서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38개의 개념, 14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흡연 지속 경험에 대한 핵심 범주로는 “기댈 곳 없는 세상에서 위로와 쉼이 되어주는 흡연으로의 지속적 재귀”가 도출되었다. 2. 감정노동 여성근로자가 흡연을 지속하는 중심현상은 “삶의 위로와 쉼이 되어주는 흡연”으로 도출되었다. 3. 감정노동 여성근로자가 흡연을 지속하는 사회 구조적 맥락적 조건은 여성 흡연자가 공개적으로 흡연을 하기는 어렵지만, 여성 개인적인 흡연 접근성은 용이한 조건으로, “여성의 흡연에 대한 사회적 편견”, “감정노동 여성의 취약한 노동현장”, “흡연에 접근성이 높은 환경”이 도출되었다. 4. 인과적 조건으로 감정노동 여성근로자가 흡연을 지속하게 하는 것은 ‘사연(事緣)’이었고, “자주적 선택을 포기한 채 마음이 가는 대로 이끌리는 삶”이 도출되었다. 5. 중재적 조건은 흡연의 달콤한 유혹과 내면의 목소리 사이의 줄다리기를 하도록 하는 “흡연의 달콤한 유혹”과 “내면의 불편한 목소리”가 도출되었다. 6. 이러한 사회 구조적 맥락 속에서 감정노동 여성근로자들은 “어쩔수 없이 흡연과 결별해 보기”로 일시적 금연을 하거나 “절절한 마음으로 흡연을 다시 찾아가기”로 재흡연을 하기도 하고, 반복되는 담배와의 만남과 헤어짐을 통하여 “익숙한 흡연과 함께하기”로 흡연을 지속하는 작용/상호작용을 하였다. 7. 그 결과, 감정노동 여성근로자는 “머뭇거리는 순간이 있지만 기댈 곳을 찾아 결국 도돌이를 하”거나 “삶을 버티기 위해 놓을 수 없는 담배”를 지속하여, 흡연의로의 지속적 재귀를 하는 것으로 “오늘을 버티기 위해 끌려가는 삶”을 살고 있었다. 우리 사회에서 감정노동 여성근로자가 흡연을 지속하는 경험은 여성의 흡연을 비판적이고 일탈로 보는 사회적, 맥락적 조건에서, “자주적 선택을 포기한 채 마음이 가는 대로 이끌리는 삶”을 사는 인과적 조건인 흡연 여성의 소인적 조건을 자기 결정권을 가진 주체로 바꾸고, “흡연의 달콤한 유혹과 내면의 목소리 사이의 줄다리기” 하도록 하는 중재적 조건 가운데 “내면의 불편한 목소리”를 긍정적으로 승화하고 강화하는 것으로 극복될 수 있겠으며, 이를 위해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계기로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건강을 위해 흡연 지속을 중단하고, 이들의 흡연 재발을 예방하며 나아가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간호 대상자인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사회 맥락적 조건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른 간호요구를 파악하여 간호 중재를 개발하고, 제도적, 정책적 보완을 위한 적극적인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현대 중국어‘在’문형과‘着’문형의 비교 연구

        이은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주제는 중국어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문제로 본 논문에서는‘동작의 진행과 상태의 지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장에 주로‘在’와‘着’가 쓰이며, 각각의 문장 유형을‘在’문형과‘着’문형으로 분류하여, 각 문형의 의미를 밝히고, 그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하였고, 동사의 사용차이가‘在’문형과‘着’문형의 의미차이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두 번째 목적으로 하였으며,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의미가 같아도 내포하는 의미는 다르기 때문에 용법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 두 문형의 의미차이와 용법 차이를 고찰하는 것이 세 번째 목적이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대해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국어에서‘在’문형과‘着’문형은‘동작의 진행과 상태의 지속’의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두 문형의 의미가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다‘在’문형은 동작이 진행 중인 상태만을 나타내지만,‘着’문형은 동작이 진행 중인 상태와, 동작의 완료 후 그 결과로 인한 상태지속의 의미도 나타낼 수 있다. ‘在’문형과‘着’문형의 동사 분석을 통해 두 문형의 의미차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在’문형에 쓰이는 동사는 동작동사, 종결동사, 위치동사이며, 모두 동작의 진행과정과 지속과정을 포함하고,‘在’문형은 이들 동사의 동작성을 강조한다. 그러므로‘在’문형은 동작의 진행과 동작 진행상태의 지속을 나타낸다.‘着’문형에 쓰이는 동사는 동작동사, 자세동사, 위치동사이며,‘着’문형은 이들 동사의 지속성을 강조한다. 그러므로‘着’문형은 동작 진행상태의 지속과 동작 완료 후의 상태지속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在’문형과‘着’문형은 모두‘동작이 진행 중인 상태의 지속’을 나타낸다. 그러나 내포된 의미가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다. 이는 두 문형의 용법을 비교해보면 그 의미차이를 명확히 알 수 있다.‘在’문형에서는‘存’의 의미를 강조하여 문장의 V를 주된 동작으로 삼고, 다른 동작이나 상황의 출현을 허용하여 이들과 병행하면서 V가 계속됨을 의미한다. 그러나‘着’문형에서는‘持’의 의미를 강조하여 문장의 V의 동작을 변함없이 유지하며, 다른 동작이나 상황의 출현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在’문형과‘着’문형은 문장 혹은 문단에서의 표현과 그 방법은 다르다.‘在’문형은 사건과 인물의 활동을 나타내는 전경을 서술의 방식으로 표현하며‘着’문형은 주변 환경이나 존재상태의 성질, 주된 사건의 배경을 묘사의 방식으로 표현한다. 담화 상의‘在’문형과‘着’문형은 독립성과 의존성의 차이를 보인다.‘在’문형과 정태성을 나타내는‘着’문형은 담화상의 독립성을 갖는다. 그러나 동태성을 나타내는‘着’문형은 의존성을 갖는다. 이러한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在’문형과‘着’문형의 의미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在”和“着”两种格式在现代汉语中使用很普遍,两者存在着某些相通之处, 在使用上存在着一些纠结,在对外汉语教学中更是一个难题。以前研究者的注意力一般都集中在了“在”和“着”上, 这两种格式本身倒很少有人关注到,目前也还没有见到对这两种格式进行专门比较研究的文献。本论文将“在”和“着”两种格式放在一起进行对照研究,通过对照“在”和“着”两种格式中的 “V”的特点,界定它们的表达意义,并揭示“在”和“着”两种格式意义及其表达上的差别。举具内容是如一下。 第一, 揭示“在”和“着”两种格式表达意义。“在”格式表达“动作进行持续”。“着”格式“动作进行持续”或者 “动作结束以后状态的持续”。 第二, 揭示“在”和“着”两种格式表达意义部分的差别。 “在”和“着”两种格式一方面具有共同的语义特征“[+延续性]”。另一方面又存在两组对立的语义特征“[+事件判断]:[+状态性质]”和“[+存续性]:[+持续性]”。在此基础上, 本文将“在”的语法意义界定为“事件处于存续状态中”将“着”的语法意义界定为“状态的持续”。 第三 , 揭示 “在”和“着”两种格式表现方式部分的差别。 本部分联系“在”和“着”的语义特征, 探讨“在”和“着”两种格式在表现上的相异之处。 “在”格式常常用来表述发生在当前的事件或情景,是表述的重点,自然也很容易具有前景化倾向, 而表现叙述的方式。 “着”格式常常用来表述“静态存续”或“事件主线提供背景信息”,自然也很容易具有背景化倾向, 而表现描述的方式。 第四, 揭示 “在”和“着”两种格式“话语独立性”部分的差别。 “在”格式句具有话语独立性。静态的“着”格式句具有“话语独立性”,动态的“着”格式句具有“话语依存性”,添加“呢”可以使得它们独立起来。

      •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을 중심으로

        이은혜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을 중심으로- 이은혜 지도교수 : 박순길 특수교육전공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생활체육은 신체기능의 약화를 예방하고 체력을 증진하기 때문에 장애인들의 생활체육 참여환경을 개선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생활체육 참여 영향요인을 밝혀내고 이를 개선하여 지속적 참여가 가능하도록 최적의 체육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특성(동호회소속, 운동종목, 운동참여기간, 운동강도, 운동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스포츠유능감, 외모, 체지방,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 건강)과 전체 신체적 자기지각 및 심리적 안녕감(긍정적복지감, 부정적복지감, 개인적성장, 자아수용, 자율성, 삶의목적)과 전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의 신체적 자기지각 및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체육 참여특성 변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에 거주하며 장애인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20세 이상 남녀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 243명이 대상이다. 연구절차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이루어졌고, 연구자가 관련단체를 방문하기 전 서면을 통해 동의를 얻은 후 일정에 맞춰 직접 방문하여 관계자들의 협조를 얻어 설문조사 및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특성(동호회소속, 운동종목, 운동참여기간, 운동강도, 운동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스포츠유능감, 외모, 체지방,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 건강)을 비교한 결과, 동호회소속, 운동참여기간, 운동강도, 운동빈도에서 공통적으로 스포츠유능감, 근력이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체육 참여특성, 즉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은 동호회 활동을 할수록, 운동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운동을 힘들게 그리고 매일 할수록 다른 사람들보다 운동을 잘한다고 인식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 정도로 힘이 세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특성(동호회소속, 운동종목, 운동참여기간, 운동강도, 운동빈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긍정적복지감, 부정적복지감, 개인적성장, 자아수용, 자율성, 삶의목적)을 비교한 결과, 운동참여기간, 운동강도, 운동빈도에서 공통적으로 긍정적복지감, 개인적성장, 자율성, 삶의목적이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체육 참여특성, 즉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은 운동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운동을 힘들게 그리고 매일 할수록 다른 사람들보다 현재의 생활방식에 만족하고 스스로 자부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의 신체적 자기지각 하위변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운동참여기간, 운동강도, 운동빈도로 나타났고, 이것은 생활체육 참여특성을 잘 예언해 주었다. 즉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은 신체적 자기지각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기 위해서는 운동참여기간이 6년이상이고 운동을 힘들게, 매일 운동을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의 심리적 안녕감 하위변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운동강도와 운동빈도로, 생활체육 참여특성을 잘 예언해 주었다. 즉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기 위해서는 운동을 힘들게 그리고 매일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들이 동호회 활동을 하고, 운동을 힘들게 자주하고, 운동참여기간이 길수록 신체적 자기지각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생활체육 참여는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타인과 신뢰의 관계를 맺고 삶의 목표와 방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인들에게 적극적인 운동참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탈형이상학적 사유와 시학적 신학 : 하이데거, 마리옹, 카푸토를 중심으로

        이은혜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존재신론 비판을 단초로 개진된 장 뤽 마리옹과 존 카푸토의 탈형이상학적 신학의 주제들을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형이상학 중심의 신학과 현시대의 경험과의 간극을 어떻게 좁혀갈 것인지를 고찰하면서, 탈형이상학적 신학의 가능성 중 하나로 "시학적 신학"의 길을 생각한다.

      •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지속가능한 발전’ 교수·학습자료 개발

        이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제시된 ‘지속가능한 발전’내용요소를 수업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내용요소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국제적 요구와도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는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수정 및 보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내용요소에 대한 내용체계,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교과역량 및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요구와 내용영역을 고찰하여 학습목표와 내용 및 학습 활동을 선정하였다. 둘째, 교수․학습자료는 수업의 맥락적 이해, 수업지도안, 수업활동지 및 활동교구를 포함하며, 전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문가는 학습내용과 선정이 적절하고 활동 준비물이 단순하여 실제 학교현장에서 사용하기 쉽다고 평가하였다. 셋째, 학습요소가 많아 차시를 늘려서 수업하기를 권장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더 많은 차시에서 활용 가능한 지도안, 도움자료를 추가함으로 교수․학습자료를 개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