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계 학습 알고리즘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노약자의 근감소증 진단 연구

        이은진(Lee Eunjin),이찬호(Lee Chan-Ho),김초롱(Kim Cho Rong),윤영욱(Yun Yonguk)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근감소증을 판별할 수 있는 시스템 제안과 어플리케이션 구현, 기계학습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노약자 근감소증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다. 근감소증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여러 위험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한다. 근감소가 일어난 경우 움직임과 걸음걸이가 둔화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걸음걸이를 통해 근감소증을 판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걸음걸이를 판별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테스트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한다.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받기 위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된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센서를 활용한다. 수집된 센서 데이터는 알고리즘으로 실시간 판별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이 되고 기계학습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로 활용이 될 수도 있다. 우선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움직이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상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Firebase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기계학습을 위한 알고리즘 연구는 support vector machine (SVM)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근감소증에 대한 실태조사를 수행했고 근감소증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테스트용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고 이를 통해 노약자의 근감소증으로 인한 사고, 장애우 등의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한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움직임이나 걸음걸이 분석을 통한 헬스케어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유혹하는 여성: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서 재현된 여성의 욕망과 섹슈얼리티

        이은진(Lee, Eunji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7 대중음악 Vol.- No.20

        이 글은 대중문화, 특히 대중음악 전반에 걸쳐 여성에 대한 재현 방식과 여성성의 수행 방식이 정형화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문화적 텍스트에서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이 일정한 경향성을 띠고 있다는 것은 여성을 특정한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정형화한다는 의미이며, 여성을 유형화된 전형으로 인식하는 것은 차별과 혐오의 기제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음악은 여성을 정형화하여 재현하는 언어적 서사를 음향적 전형성으로 제시하고, 여성 연행자가 정형화된 텍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여성의 발화 방식을 특정한 형태로 규정한다는 특수성을 가진다. 대중가요는 이러한 이중적 정형화가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분야이자 그 대중성을 통해 가장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매체이다. 따라서 대중가요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정형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문화적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여성혐오의 발현 양식에 대한 이해를 좀 더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 서는 대중가요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재현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원형이 만들어진 일제강점기에 초점을 맞추어 이 시기의 대중가 요에서 여성과 여성성의 수행을 재현하는 방식이 일정한 경향성을 띠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연애’를 소재로 한 노래들에서 이러한 경향성이 두드 러지게 나타나는데, 여성의 욕망을 ‘연애’로 한정 짓고 여성이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는 방식을 유아화된 형태로 제시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경향성이 가장 표면적인 층위에서 드러나는 것은 가사에서이지만, 이를 좀 더 직접적이고 감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음악적 장치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연애를 욕망하는 여성을 소재로 다룬 노래에서 드러나는 음악적 경향성을 살펴봄으 로써, 연애라는 사적 관계에서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했던 일정한 규범이 대중 가요를 통해 재생산되고 있었음을 논의하였다. 이 시기 대중가요에서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는 여성 화자는 자신이 순진하고 어린 처녀임을 강조하는 동시에 여성적 섹슈얼리티를 강조해야 했다. 이를 위해 대중가요에서는 여성의 목소리를 부각하는 음악적 장치를 사용하는 한편 아양과 애교를 드러내는 창법을 강조했다. 이러한 재현 방식을 통해 당대의 대중가요는 여성의 욕망을 일정한 방향으로 규정하고 그 욕망을 표현하는 규범적 방식을 재생산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특정한 방식으로 정형화되었고, 이러한 전형성이 대중에게 유통됨으로써 여성적 섹슈얼리티의 규범적 수행 양식이 학습되는 효과를 낳았음을 논의하였다. Women and femininity, in many cultural texts, are represented and performed in a certain standardized way. This standardized pattern, widely dispersed in popular culture, is an evidence that there is a certain tendency in regards to representing women in cultural texts. This, in turn, indicates that women are being standardized and categorized into specific types, and the tendency to perceive women as stereotypes is strongly based on the mechanism of discrimination and hatred(Misogyny). Although the practice of representing women as stereotypes can be found in most cultural texts, music deserves special attention for it is a field in which a female performer herself has to perform the stereotyped text, conveying a verbal narrative depicting a standardized image of women, by means of a sound model which is perceived and defined as a typical female way of singing and speaking. Popular music, a medium of most powerful and vast influence, is where the double standardization of women appears most clearly. Therefore, in order to gain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pattern of manifestation of Misogyny in cultural text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how women in popular music are and have been represented as stereotypes. To discuss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popular music, the author of this article analyzes the Korean popular music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during which the archetype of Korea’s modern popular music was formed, to find that the popular music of Korea had a tendency to represent and perform women and femininity in a certain standardized way from the beginning. Although this tendency is most clearly revealed in verbal text, i.e. the lyrics, it is music that delivers this tendency directly and sensuously to the listeners. Thus, this article analyzes,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musical elements and verbal text, the musical tendencies of popular vocal music representing the image of women longing for love.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songs which deals with romantic relationships show that how certain norms that the society imposed on women, regarding personal relationships, were being reproduced through popular music of the era. In the narratives where a female subject expresses her desire for love, she has to stress the fact that she is a young virgin and use musical devices suggesting flattery and coquetry. This specific way of representation defines female desires in a certain way and reproduces a specific manner of expressing those desires. This particular manner was accepted by the Korean socie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norm, and female sexuality became standardized in a certain way to be accepted by both women and men as typical. In sum, this article analyzes the Korean popular music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find that these popular song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producing the norm of femininity, in which the masculine desire is projected, and disciplining both women and men to accept the standardized feminie sexuality.

      • KCI등재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과 성인자녀관계만족의 종단적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이은진(Lee, Eunjin),남석인(Nam, Seok In)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 자료를 바탕으로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과 성인자녀관계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부부 쌍(dyadic) 자료를 활용하여 남편과 아내의 상호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로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5차(2013년)-7차(2017년) 본조사에 참여한성인 자녀를 둔 노인 부부 1,420쌍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교차지연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델(Cross-lagge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적용하여 남편과 아내의결혼만족과 성인자녀관계만족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분석하고, 두 변수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 아내의 결혼만족의 종단적 자기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자녀관계만족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 아내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변수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는 부부의 성인자녀관계만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반면, 반대로 결혼만족이 성인자녀관계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 상대방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성인자녀관계만족도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상대방효과는 남편, 아내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자기효과는 남편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건강한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를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 of older adult couples based on longitudinal data, and to verif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by utilizing couple s dyadic data. As the analysis data, responses of 1,420 older adult couples with adul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from 2013(Wave 5) to 2017 (Wave 7) were used. This study applied the Cross-lagge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to test actor and partner effect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husband and wife, and verify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in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ngitudinal actor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 and wif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adult chil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Thir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adult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older couple s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Meanwhile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adult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Forth, the partner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adult child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but the actor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husband.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sitive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 in old age were suggested.

      • KCI등재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 :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이은진(Eunjin Lee),김성희(Sunghee Kim),남석인(Seok In Nam)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4

        본 연구는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7년 2월부터 8월까지 대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2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변수가 2개인 직렬다중매개모형 검증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과거수용은 노화태도에, 노화태도는 우울에, 우울은 자살생각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살 예방을 위한 긍정적인 과거수용과 노화태도 증진 방안을 정책적·실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st acceptance on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and verified double mediation effects of attitude to aging and depression. The responses of 329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used. As an analysis metho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verification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past accept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ging attitude, the aging attitude on the depression, and the depression on the suicidal ideation, but the direct effect of past acceptance on the suicidal idea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double mediation effects of attitude to aging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acceptance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prevent suicide in old age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임금근로자의 위험요인 노출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이은진 ( Eunjin Lee ),홍세희 ( Sehee Hong ) 한국산업보건학회 2021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31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in the exposure to hazard factors of salaried employees and test the determinants. Methods: Latent profile analysis(LPA)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KWCS). 30,050 of salaried employee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fter classifying the employee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test the determinants. Results: Salaried employees were classified with three latent profiles based on the exposure to the hazard factors. Employees included in class 1(32.8%) tend to experience low level of physical hazard factors, moderate level of psychological hazard factors, and high level of office work hazard factors. Employees included in class 2(61.8%) tend to be exposed to the moderate to high level of physical hazard factors, moderate to low level of psychological hazard factors, and low level of office work hazard factors. Employees included in class 3(5.4%) tend to experience high level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hazard factors, and moderate level of office work hazard factors. After classification, the demographic, health-, and employment-related variables were tested. Conclusions: This study clarified the features of each class, and proved that employees in class 3 are quite hazardous in that they are exposed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hazard factors much more frequently than other employees. Thus, this study can be used in predicting the high-risk employees and taking preemptive measures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 KCI등재

        중국 전통 직물의 연꽃무늬 유형

        이은진(Lee Eunjin) 한복문화학회 2017 韓服文化 Vol.20 No.1

        It is to consider the nature of design and classify the types, focused on the lotus pattern which appeared via weaving of 106 pieces in Chinese traditional textiles, in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e time of 106 relics, it was 80 pieces(75.0%) for Ming dynasty(明代), 19 pieces(18.0%) for Qing dynasty(淸代), and represents most of parts, so we can know that lotus pattern is widely used in Ming dynasty. For 106 pieces of subject, there are 135 kinds of lotus pattern. It is classified the lotus pattern as real type, design type, and abstract type, in accordance with shape and number of petal, shape of bloom, whether or not of bud, whether or not and shape of lotus thalamus, whether or not of lotus root, whether or not and shape of pollen, shape of leaf, and whether or not and placement of peduncle and leafstalk, etc. For 106 lotus patterns of 135 sorts, design type is 114 kinds (84.45%), forming absolute proportion, abstract type for 15 kinds (11.11%), and real type for 6 kinds (4.44%). The lotus pattern of real type can be subdivided into four kinds, according to component. In China, there are less sorts and proportions of lotus pattern of real type, compared to Korea, so it prefers real pattern in Korea. There are no evidence of real-A type, real-B type, real-C type, and real-D type, appearing in Korean relics, for Chinese artifacts. On the contrary, real-h type, which represented even lotus root, not being seen in Korean relics, was appeared. The design type was subdivided into eleven types, depending on expression method of petal and shape of bloom. For Chinese textiles, design-C type, design-D type, and design-G type to be appeared in Korean relics were not shown. On the other hand, design-K type, design-L type, and design-M type, which has only one piece respectively in Korean textiles, have been appeared as several pieces. The abstract type was subdivided into three types, in accordance with shape of bloom and expression of petal.

      • KCI등재
      • KCI등재

        Exploring Learners’ Perceptions of Virtual PBL Applied Global Citizenship Course

        이은진(Eunji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논문은 온라인 PBL 활용 ‘글로벌시민의 이해와 인식’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방법 연구방법론으로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Q방법론은 양적 및 질적 접근법을 통합한 방법론으로, 특히 동일한 이슈 또는 주제에 대한 응답자들의 의견이나 생각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기에, 본 논문에 유용한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대상은 K 대학교에서 2021년 1학기에 비대면으로 시행된 PBL 활용 ‘글로벌시민의 이해와 인식’ 수업이다.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총 30개의 진술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해당 수업에 참석한 28명의 응답자들을 P표본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PQMethod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비대면 & 피드백 중시형’, ‘전통적 학습 방식 & 피드백 중시형’, ‘자기주도적 학습 & 팀워크 중시형’의 세 가지 서로 다른 유형이 나타났다. 유형 1의 경우, 자신감 측면에서 대면 수업보다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 2는, 특히 평가와 관련하여 발표 또는 토론방식에 비해 지필평가를 선호하여 전통적 학습 방식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두 유형 모두 온라인 수업의 즉각적 피드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3의 경우, 발표 중심 수업에 대한 자신감, 활발한 팀 활동 참여 등 PBL 수업 과정 자체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글로벌시민의 이해와 인식이라는 같은 수업에 대해서도 응답자들의 서로 다른 인식 및 생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해당 교과의 올바른 방향성 제시뿐 아니라 학습자 맞춤형 수업 콘텐츠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learners’ perceptions of virtual problem based learning (PBL) applied global citizenship course. Methods For this, Q-methodology was used, integrating qual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Particularly, the method was useful for identifying and comparing how different or similar attitudes learners had on online PBL applied global citizenship course, and even being able to give deeper insights into the future PBL applied class. Results The total of 30 statements were finally chosen and 28 participants actually participating in the virtual PBL applied global citizenship course at K University responded to the stat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using PQ-Method, three distinctive types appeared to be significant: ‘Virtual & Feedback Oriented’, ‘Traditional Learning & Feedback Oriented’, and ‘Self-Directed Learning & Team Work Oriented’. Type I favors online class and immediate feedback, Type II prefers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particularly related to evaluation, over virtual one, and Type III is almost ready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actively involved in team work. Despite no statement the three types agreed with, all types directly or indirectly agreed with the importance of building rappor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identifying various attitudes towards the online PBL applied global citizenship class. Furthermore, it can als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right’ directions for the future virtual PBL class, including developing more customized and organized curriculum, and helping learners become more motivated self-directed learners.

      • KCI등재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 Role Attitudes, Depression, and Coping with Family Conflict in Older Males

        Lee, Eunjin(이은진),Chae, Joosuk(채주석),Nam, Seok In(남석인)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남성 노인의 성역할태도와 우울의 관계를 확인하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가족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복지패널(KoWePS) 9차년도 자료의 65세 이상 남성 노인 1,955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족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노인의 전통적인 가부장적 성역할태도는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갈등 대처방식은 성역할태도와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남성 노인의 우울을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성역할태도의 재구조화와 가족 갈등대처방식의 개선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gender role attitudes are related to depression in Korean older male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nflict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is study, The target of the study was 1,955 men aged 65 and over in the 9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addition,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conflict cop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triarchal gender role attitudes of Korean older mal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Family conflict coping strategies play a role as a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and depression. Through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tructuring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way of coping with family conflict were suggested as measures to alleviate the depression of the older males, an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