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세포분열 영역의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서 사용되는 개념의 일치성 분석

        이윤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교육의 모든 과정에서 교사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적 개념을 일관성 있게 사용하여야 하며 평가에서 또한 교육과정과 교사가 의도한 학습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개념을 제시하여야 한다.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서 사용되는 개념이 불일치될 경우 학생들은 과학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나아가 이는 오개념 형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념을 수업과 평가에서 일관성 있게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개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치성은 여러 측면에서 강조되지만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설문을 통해 목표, 인식 등을 분석하는 수준으로 실질적인 증거 부족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도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교사나 학생의 실제 수업 상황에서 사용하는 개념의 일치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생명과학Ⅰ의 ‘세포와 생명의 연속성’ 단원은 세포와 유전 개념을 포함하고 있어 미시적이고 추상적이며 여러 단원의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학생들은 ‘세포와 생명의 연속성’ 단원을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며 이로 인해 교사들 또한 이 단원을 수업하는데 곤란에 부딪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명과학Ⅰ의 체세포분열, 감수분열과 관련한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이 개념들 간의 일치성을 언어네트워크를 통해서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체세포분열, 감수분열의 학습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개념은 염색체, 세포, 유전자, 중기 등이었다. 실제 수업, 평가에서 세포분열을 다룰 때, G1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와 같은 단계에 따라 염색체, 유전자의 이동, 변화 등을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었다. 세포분열과 관련한 교육과정, 수업, 평가 단계에서 수업은 가장 많은 수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었다. 많은 수의 개념은 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수업에서 사용하는 개념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 또한 많은 수의 개념으로 인해 성취기준과 관련 없는 평가가 이루어지기도 하며 평가 문항이 모든 성취기준을 포함하고 있지도 않았다. 따라서 평가방법이나 성취기준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포와 생명의 연속성’의 세포분열 영역에서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서 사용된 개념의 일치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교사나 학생이 느끼는 단원의 부담감은 여전히 크다. 세포분열은 생명과학에 있어 여러 단원의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며 개념 의존도가 높으며 유전 개념을 학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개념이다. 교육과정과 수업과 평가 사이의 일치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이 낮은 이유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더해 학생의 개념, 교과서, 수업, 평가 간의 일치 연구 등을 통해 학습의 보완을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다. In all stages of science education, the teacher should use the scientific concept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consistently, and the concept should be presented so that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intended by the teacher can be included in the assessment. If the concepts used in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are not consistent, students may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science correctly and this may lead to the formation of misconceptions. Therefore, the teacher can use the concept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consistently in class and assessment, thereby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The consistency of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is emphasized in many aspects, but most of the related studies show the limit of the lack of substantive evidence at the level of analyzing goal, recognition, etc. through questionnai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more precisely the analysis tool,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gruity of the concept used in the actual teaching situation of the teacher or the student. The 'cell and continuity of lives' unit of Life Science I has a complex structure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s of micro and abstract, including the concept of cells and genetics. For this reason,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ell and continuity of lives' unit, and teachers are also having difficulty teaching this unit.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cepts used in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related the area of cell division including somatic cell division and miosis in life sciences Ⅰ and the consistence between these concepts wit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concepts that are important in the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relation to learning of somatic cell division and miosis are chromosome, cell, gene, middle stage. In dealing with cell division in actual instruction and assessment, it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chromosomes, gene movement,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stages such as G1 period, middle period, and late period. The instruction included the greatest number of concepts. Because many concepts can interfere with student learning,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concepts used in class. There are also a number of concepts that are not relevant to achievement criteria, and the assessment items do not include all achievement criteria. Therefore, evaluation methods and performance standards should be discussed. The consistence of concepts used in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area of ​​cell division of 'cell and continuity of lives' was very high. But teachers and students feel the burden of the unit is still large. Cell divi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s of several units in life sciences, and is highly concept dependent, and is a concept that must be essential prior to learning genetic concepts. Despite the high degree of consistence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instruction and the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aching - learning strategy that can identify the reason why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 is low and solve it. In addition to this, students will be able to supplement their learning through cooperative research among students' conceptions, textbooks, classes, and evaluations.

      • 에너지 자립마을의 협력네트워크 활성화 요인 : 서울시 성대골을 중심으로

        이윤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에너지 자립마을이 정착하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다양한 행위자들의 참여와 협상, 그 과정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상호 역할과 책임을 인정하는 협력적 과정이 필요하다. 즉 에너지 자립마을이 지속될 수 있는 기반으로 협력네트워크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 자립마을의 협력네트워크 활성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협력네트워크를 발전시킬 수 있는 개선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시에서 시도되고 있는 에너지 자립마을 중에서 주민 주도성이 높으며 에너지 자립마을 활동을 가장 오랫동안 진행해 온 성대골을 대상으로 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에너지 자립마을의 협력네트워크 분석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국내보다 앞서서 에너지 자립마을을 시도하고 경험을 쌓아온 해외 사례, 오스트리아 귀씽과 무레크, 독일 윤데, 영국 토트네스 사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1) 다양한 행위자, 2) 공감대 형성과 공동의 목표, 3) 지속적인 교육 및 상호학습, 4) 상향식 의사소통 구조, 5) 이익과 보상을 에너지 자립마을 협력네트워크의 활성화 요인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 다섯 가지 활성화 요인을 기준으로 하여 성대골 에너지 자립마을의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하고, 협력네트워크로 발전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지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양한 행위자’와 ‘지속적인 교육 및 상호학습’이 성대골의 협력네트워크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상향식 의사소통 구조’는 미흡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행위자가 연결될 수 있었던 것은 마을 거점이 있었다는 점과 마을 대표의 자원동원 역량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지속적인 교육 및 상호학습이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에너지 자립마을 활동이 시작되기 이전에 마을 내에 결속력이 있는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고, 교육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사이에 상호 소통하는 방식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반면, 성대골의 의사소통은 마을 대표가 중심이 되어 하향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그 과정에서 정보 공개가 불충분했고 바로 이러한 소통방식으로 인해 갈등이 빚어졌다. 재생가능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형 지역 에너지 체제의 형성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시민들의 민주성을 회복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성대골은 민주적인 과정을 통해 공동체를 회복하고, 민주적 감각을 키워나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2011년 성대골 절전소를 시작으로 에너지 자립마을 공모사업까지 성대골은 에너지 자립마을에 필요한 협력네트워크 기반을 다지는 시기를 보냈다. 그동안 성대골의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의 초점이 핵심 마을 활동가 양성과 외부 자원 동원에 맞추어져 있었다면 앞으로는 마을 내부의 협력네트워크가 확장될 수 있도록 주민 참여를 확대하고 소통구조를 상향식으로 민주화하면서 새로운 활동가를 양성하기 위한 에너지 자립마을 주민조직 체계를 갖추는 등 마을의 내실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폐산업시설활용 문화예술공간의 민간자율 운영체계를 위한 정책연구 : 유럽사례를 바탕으로 한 전략적 운영방안과 연관하여

        이윤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의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에 따라 기존의 중요기능을 잃어버리거나 기능이 정지되어 방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폐산업시설 등의 유휴공간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활성화 및 활력제고를 위한 정책방안으로 각 부처에서는 산업발전시대 국가발전에 기여하였던 산업시설을 사회적으로 적극 활용하여 새로운 생산의 공간이자 사회적 기능을 담는 교류의 장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사업을 구상중이거나 진행 중에 있다. 국내의 경우 1990년대 경제 불황과 금융위기로 기존 산업시설들이 노후화되면서 해체, 철거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버려진 폐산업시설 및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문화공간 조성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각 부처에서는 폐산업시설 및 유휴공간을 활용한 정책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고, 변화를 거친 최근의 폐산업시설 활용 관련 정책 사업은 사람과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를 강조하는 커뮤니티형 문화공간을 지향하고, 조성 및 운영을 위한 운영위원회, 자문단을 구성하며,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지향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변화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부분의 폐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 관련 사업은 운영의 지속성에는 취약한 실정이다.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에 있어 유럽의 경우 예술가와 시민이 주도하여 공간운영이 된 후 지자체가 개입하여 임대를 지원하는 등 정부와 민간의 거버넌스가 이루어져 있지만, 국내의 경우 사유재산에 대한 의식이 강하고, 예술가들 역시 공간 점거에 대한 사례가 거의 없어 정부가 개입하여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국내의 정부주도형 사업추진은 정부 및 지자체 등의 지원 여건 또는 정치적 흐름이 사업의 지속성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관련 사업이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사업의 지속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공간 운영에 있어 자생성을 갖도록 하여 사업 지속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주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민간자율 운영을 위한 새로운 운영체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폐산업시설 공간의 임대, 지역별 특화전략을 수립하여 공적기구로서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등, 기존 정책에서의 전략적인 접근을 통해 공간의 지속성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예술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회적 조건이 예술활동을 사회적으로 인정해주고 지속할 수 있는 여건조성에 있다는 관점에서 볼 때, 예술가들이 창작을 지속할 수 있는 공간조성의 방안은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국내 폐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 관련 사업의 경우, 초기 사업의 주체가 정부와 지자체인 특수성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공간운영의 지속성을 위해 추후 공간운영에 대한 부분은 민간주도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폐산업시설활용 문화예술공간 관련사업의 동향을 파악하고, 중앙정부 및 지자체 주도 관련사업 현황과 민간주도 관련 사업으로 나누어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폐산업시설을 문화예술공간으로 활용한 역사가 40여년을 넘어선 유럽의 사례를 바탕으로 공간운영의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각 사례의 분석을 통해 국내에 적용 가능한 폐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의 민간자율 운영체계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례는 두가지 관점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는데, 운영주체에 비중을 두어 분석하거나, 공간 및 지역의 특수성에 비중을 두어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민간자율운영을 위한 방안은 1) 공간활용에 대한 방안, 2) 프로그램 지원 방안, 3) 산업과의 연계 방안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공간활용에 대한 방안에서는 국내 관련 사업 및 공간의 임대형식에 대해 살펴보고, 해외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적합한 대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프로그램 지원 방안으로는 예술가 DB 구축을 통한 프로젝트 매칭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산업과의 연계방안으로는 창작-대중-사회서비스-경제로 이루어진 운영축을 갖춘 문화예술의 창작과 향유, 작품보급과 투자 등의 선순환 구조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이 일시적으로 문화를 향유하는 공간이 아니라 지속성이 담보된 직접 문화를 창조하고 참여하는 공간으로서 자리 잡길 바라며, 이를 위해서는 문화예술을 생산하고 향유하는 주체 뿐만 아니라 관련정책의 유연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Valid space of various types of waste industrial facilities that lost important function or became strikeboun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cities is increasing. Each department is conceiving or progressing businesses by actively using industrial facilities that contributed to the national development in the industrial development era to use it as a space of new production and place of exchange with social functions as a policy plan for vitalization and vitality improvement of space. In the case of Korea, dismantling and demolition became necessary as existing industrial facilities became malfunctioned due to economic depression and financial crisis of 1990's, and the necessary of cultural space using abandoned waste industrial facility and effective space came to the fore. Each department started to promote policy projects of using waste industrial facility and effective space, and recent policy projects related to the waste industrial facility seek for changes by aiming for community cultural space that emphasizes software, composing the operating committee and advisory group for composition and operation, aiming for vitality of local community, and gathering opinions of residents. However, despite the effort, most of domestic businesses related to the cultural and art space using waste industrial facility are vulnerable in durability aspect. This refers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related businesses, and most businesses have a limitation of getting promoted as a government led model. Meaning, governmental and local-governmental support condition is making great effect on the durability of the business. It is necessary to prepare basis for the durability of businesses related to the waste industrial facility in terms of operation of space, and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private autonomous operation system. Considering that the most significant social condition of art activity is in developing conditions of recognizing and maintaining art activities from social aspect, measures of space composition for artists to create continuously is the most pressing issue. For current domestic businesses related to the culture and art space using waste industrial facility, a strategic approach for changing the future operation space to the privately led business is necessary for durability even after tak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under consider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 of domestic businesses related to culture and art space using waste industrial facility,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by classifying it in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led business and privately led business, and deduced their limitations.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e necessity of strategic approach of space operation based on European cases with over 40 years of history of using waste industrial facility as the culture and art space, and suggested measures for the private autonomous operation system of culture and art space using waste industrial facility that can be applied in Korea through an each cases analysis. The cases were analyzed into two perspective as analyzing by paying focus on the main body of operation or o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region. Measures for private autonomous operation deduced through the case analysis consist of 1) measures for space usage, 2) measures for program support, and 3) measures for industrial linkage. For measures for the space appli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domestic related businesses and lease of space and intended to deduce appropriate alternatives through comparison with foreign cases,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project matching support through construction of artist DB as a support measure. For measures to link with the industry, this study suggested creation and enjoyment of the cultural art with management comprised with creation-public-social service-economy and virtuous circulation of spread of artwork and investment. Ultimately, cultural art space using abandoned waste industrial facility is expected to settle down as a space of creating culture with secured durability instead of space for sharing culture temporarily, and not only the principal agent of producing and sharing cultural art but flexibility of related policy needs to be supported as well.

      • 관리자의 슈퍼리더십이 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윤혜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승무원 조직에서 관리자의 슈퍼리더십과 구성원의 자기효능감 및 혁신행동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개선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실증조사에 필요한 슈퍼리더십과 종속변수인 자기효능감 및 혁신행동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고, 실증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총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관리자의 슈퍼리더십은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2> 관리자의 슈퍼리더십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3> 자기효능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A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303부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3부 모두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분석 방법은 AMOS와 SPSS 18.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고 가설검정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 모형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관리자의 슈퍼리더십은 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혁신행동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리더의 목표설정이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로 볼 때,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슈퍼리더의 명확한 목표설정은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를 자극하여 구성원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자기확신과 신뢰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슈퍼리더의 격려와 지도는 혁신행동의 아이디어 개발에, 슈퍼리더의 보상과 질책은 혁신행동의 아이디어 개발, 홍보, 실행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관리자의 효과적인 슈퍼리더십 발휘가 구성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산을 비롯해 확장, 실행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반증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리자의 슈퍼리더십이 구성원의 자기효능감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중요성을 재고하고, 관리자에 대한 지속적인 슈퍼리더십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항공사 승무원에 대한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의 필요성과 대안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도 제시하였다. More recently, business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rapidly. We are well aware that companies with no innovation are culled. Because the subject of innovation is person, this i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Airline flight attendants are working in job characteristics that is physical and mental stress in limited space of an aircraft. So it is required the ability to controll oneself as a self-leader and this is the super-leadership to foster such self-lea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f-efficacy and innovation behavior for super-leadership.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it was proved super-leadership influences the self-efficacy and innovation behavior. In addition, th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innovation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oal-setting factor of super-leadership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uper-leader's goal setting should be obvious and super-leader should be encouraged to enable members to set goals for themselves based on trust and interest in the members. In addition, the goals based on a self-made by creating a horizontal communication atmosphere. Second, encouragement/guidance factor for super-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idea development factor of the innovation behavior. And rewards/ feedback factor for super-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s all subordinate factors such as idea development, idea promotion and idea action. Thereby producing creative ideas with encouragement and guidance of super-leader and the appropriate feedback and recognition of superiors is to increase the innovation behavior of members. Third, the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behavior. Keeping up with the new demands of horizontal communication, leaders of airline crew organization need to appply the super-leadership based on these results.

      •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윤혜 광주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둘째,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W초등학교 5학년 1개 반 2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45차시에 걸친 3단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가 맡은 1개 학급을 연구반으로 설정하여 제1단계 15차시의 전통적 수업을 하고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어 제2단계 15차시 분량의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을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해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제3단계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수업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다시 수렴하여 15차시 분량의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얻은 자료를 대응표본 t검증한 결과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양적자료를 보완하기 위해 질적자료인 인터뷰와 수업 성찰일지 및 수업 전사본, 학생 산출물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양적 및 질적 자료를 분석하여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탐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은 모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검사 결과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을 실시한 연구반의 학업성취도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오히려 하락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증한 결과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업성취도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변화를 분류한 결과 학업성취도가 향상된 학생, 큰 변화가 없는 학생, 하락한 학생으로 나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적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가 높아진 학생들은 상호교수 과정에서의 배움의 효과가 충실히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성취도가 낮아진 학생들은 학습내용과 협동학습방법 모두를 어려워하여 내용 정리가 잘 되지 않는 점과 협동학습 과정에서 또래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큰 것이 학업성취도의 하락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은 학생들의 학습태도의 일부 하위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을 실시한 연구반의 학습태도 점수의 평균은 사전검사에 비해 소폭 하락하였다. 하지만 학습태도의 하위 영역의 결과를 t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흥미, 성취동기, 교우관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적연구 결과 학생들은 흥미중심의 협동학습 시간의 대화하는 즐거움으로 인해 수업참여가 개선되었다. 또한 배우는 방법을 인식하는 학습태도의 변화를 보였고, 또래들과 함께 학습하며 책임감이 늘어나는 태도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을 진행할 경우 기존의 학업성취도가 낮았던 학생들에게 협동학습은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흥미중심의 협동학습은 다양한 학습방법을 다양한 학습자들과 함께 경험하게 되므로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 교육대학원 교과과정 교육만족도에 대한 연구 : 서울소재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윤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대학원이 교과과정에 있어서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예비교사의 양성, 교육전문가의 전문성 제고 등을 목적으로 한다면 그에 맞는 교과과정이 조직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교육대학원은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을 운영하지 못하여 교육대학원의 특수한 목적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수요자인 학생들은 교육대학원의 진학동기나 직업 등에 따라서 공부하려는 목적이 다르다. 특히 일반사회교육전공 학생들은 전공의 특성상 사회과학 분야의 여러 과목들을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성이 부족해질 수 있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소재 교육대학원의 일반사회교육 전공과정의 학생들을 설문조사하여 개인적인 배경,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학생들의 관심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 구성도 조사하였다. 또 교육대학원교과과정 교육만족도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 교육만족도와 학생들의 개인적 배경, 인식, 교육대학원 구성과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수업시간이나 교직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인원이 교육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하거나 피드백을 잘 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우선 개선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수업시간과 인원의 문제일 것이다. 수업시간은 하나의 과목을 일주일에 보통 90분 정도의 수업을 한다. 야간제인 교육대학원의 행정상의 문제로 인하여 더 늘리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수업시간이 늘어나게 되면 교수자가 강의할 수 있는 내용도 충분히 설명할 수 있고, 다양한 교재나 자료 활용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 교직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인원은 많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는 교직수업 수강인원이 다양한 전공 학생들이 모두 모여 수업을 듣다보니 인원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인원이 많다보면 집중도가 많이 떨어지게 되고 교수자의 말에 집중하기보다는 다른 일을 하거나 잡담을 하는 경우도 많다. 교직수업을 여러 반으로 나누어 운영한다던가 아니면 많은 사람들이 들어도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자의 강의 능력이 필요로 될 것이다. 교육대학원은 이처럼 수요자인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위하여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은 최대한 노력해야한다. 또한 나라의 기둥이 청소년들을 가르치고 있거나 가르칠 학생들을 교육시킨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좀 더 높은 수준의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겠다.

      • 온라인 커뮤니티 고객참여와 구전영향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육아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윤혜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셜미디어의 등장은 소비자 참여를 증가시켰고, 온라인 소비자 리뷰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평판경제(reputation economy)를 형성하였다. 소비자들은 더 이상 마케터가 제시하는 브랜드, 가격, 과거의 사용경험 등과 같은 상품의 보편적인 가치가 아닌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경험하게 되는 품질과 가치를 중요시하고 구매의사결정에 반영한다. 따라서 공통된 관심사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사회적 친목을 도모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고객이 참여하여 생성하는 수많은 구전 컨텐츠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발생하는 소비자 구전의 영향력과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행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한 내용분석과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연구에서는 소비자 참여, 온라인 소비자 구전, 온라인 소비자 구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내용분석에서는 실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후기글을 특성별로 분류하여 온라인 구전 컨텐츠의 영향력 결정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유형과 참여동기, 참여를 통해 얻게 되는 혜택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한 실증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표본을 수집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IBM SPSS Statistics 23을 사용하여 통계적 처리를 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구전의 정보영향력은 댓글이 있을수록, 필수품일수록, 국내브랜드일수록, 사진이나 동영상이 첨부된 글일수록, 소비자가 직접 경험하고 작성한 순수작성후기일수록 조회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품 품목과 정보내용의 조절항을 만들어 회귀식에 투여한 결과, 필수품인 경우 가격이나 구매처, 디자인 등의 구매정보일수록, 선택품의 경우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체험정보일수록 조회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어떤 유형의 소비자들의 참여정도가 높은지 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전업주부일수록, 월 평균소득과 월 평균 육아용품 관련 구매비용이 높을수록, 커뮤니티에 방문하는 접속빈도가 높을수록 더 적극적인 참여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티 참여동기를 분석한 결과, 자아표현동기와 이타동기, 관계동기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참여혜택에 대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여의 정도가 낮은 경우 쾌락적, 사회적, 실용적, 경제적 혜택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지만, 참여의 혜택이 높아질수록 경제적 혜택은 유의하지 않은 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시사점과 마케팅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 Bohuslav Martinů의 「Piano Sonata No.1, H.350」 : 민족 음악적 요소의 분석연구

        이윤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오페라, 독일의 낭만주의의 흐름에 이어 19세기 후반에는 다양한 작곡가들이 자신의 국가적, 민족적 특성을 드러내는 음악적 요소를 사용했다. 이것은 민주주의를 향한 갈증과 염원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주로 상대적으로 침략을 많이 당하던 국가에서 더 활발하게 민족 음악적 활동이 이루어졌다. 동유럽권에서는 체코의 민족음악이 일찍 활성화되었고, 그 중심에는 베드르지흐 스메타나(Bedrich Smetana, 1824-1884), 안토닌 드보르작(Antonin Dvorak, 1841-1904), 레오시 야나첵(Leoš Jánaček, 1854-1928), 보후슬라브 마르티누(Bohuslav Martinů, 1890-1959)가 있었다. 체코의 민족음악 발달과 함께 러시아, 헝가리, 스페인, 핀란드 등에서도 민족음악이 발달하였고, 민족음악은 20세기 현대음악의 다양성의 기초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 다룰 마르티누의 피아노 소나타는 그가 1954년에 작곡한 유일한 피아노 소나타이다. 마르티누는 프랑스에서 스스로 깨우친 민족음악을 중심으로 음악적 요소들을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그의 말년에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에서 민족음악의 요소들을 다양하게 활용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피아노 소나타에 사용된 민족 음악적 요소로는 언어의 특성, 조성, 중심 음정 관계, 민속 무용 리듬, 자유로운 박자 사용, 형식, 민속 악기의 특성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신고전주의 형식, 호케트 리듬, 리토르넬로, 5음음계, 옥타토닉 스케일, 복조성의 사용, 반음계 및 온음음계 진행 등의 다양한 작곡 기법이 사용되었다. 본 논문인 보후슬라브 마르티누의「Piano Sonata No.1, H.350」에서는 민족 음악의 본질에 대한 정확한 인지를 토대로 그의 피아노 소나타에서 사용된 민족 음악적 요소를 중심으로 함께 사용된 다양한 작곡 기법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연구와 이해를 목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