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추공 온도자료를 이용한 고기후 연구에 대한 개관

        이영민,김형찬,송윤호,Lee, Youngmin,Kim, Hyoung-Chan,Song, Yoonh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1

        19세기말부터 진행된 지구온난화를 규정하기 위해서는 기상관측목적의 지표대기온도(Surface air temperature; SAT) 측정이 시작된 19세기말 이전의 온도 자료가 필요하다. 다행히 과거의 지표온도(Ground surface temperature; GST)가 지중으로 전파되어 기록된 시추공 온도자료로 일반적으로 과거 약 1,000년 전까지의 기온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시추공 온도자료로부터 복원된 과거의 기온변화의 정보는 19세기말부터 시작된 지구온난화를 규정하고 또한 그 이전에 있었던 소빙하기(Little Ice Age)와 중세온난기(Medieval Warm Period) 같은 기후변화를 알아내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o properly interpret and define climatic warming trends of the last $100\~150$ years.; climatic changes over the past several centuries must be constrained. High resolution surface air temperatures (SATs) to reconstruct global temperature trends extend back only to the late of 19th century. Fortunately, on long time scale and over large areas, ground surface temperatures (GSTs) track SATs. GST changes penetrate into the subsurface and are recorded as transient temperature perturbation. Therefore, borehole temperatures can be used to recover climate change over the last millennium in an area; paleoclimate change inferred from borehole temperatures can be used to interpret global warming over the last century, little ice age, and medieval warm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시대의 트랜스이주와 장소의 재구성

        이영민(Youngmin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3 문화 역사 지리 Vol.25 No.1

        최근 글로벌화의 확산과 맞물려 국경을 뛰어넘는 이주가 전례없이 대규모로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그들 이주자들의 이주 목적과 과정은 과거의 이주자들과는 사뭇 다르며, 따라서 그 변화된 의미를 수용하기 위해 트랜스이주(자)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트랜스이주에 따라 장소가 어떻게 변하고 있으며, 트랜스이주와 장소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어떤 관점과 어떤 방법이 적실성을 갖는지를 논하고 있다. 글로벌화를 ‘흐름의 공간’으로 간주하여 초국가적, 탈영토적 네트워크의 역동성을 탐구하고자 했던 비장소적(ungrounded) 연구 조류는 이제 ‘장소의 공간’의 관점에서 관계적 구성물로서의 로컬과 장소의 특성을 밝히고자 히는 장소적(grounded) 연구로 발전하면서 재영토화에 주목하는 새로운 연구 조류로 거듭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초국가주의와 트랜스이주 논의가 지녔던 방법론적 국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여, 즉 거대담론으로서의 지구적 논의를 극복하여 이주자의 주체성에 주목하고 관계적 공간으로서의 로컬리티로 회귀한다는 점에서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주자들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초국가적 네트워크는 여러 장소들을 연결시켜 주면서 독특한 로컬리티를 만들어간다. 트랜스네트워크와 로컬(리티)가 결합된 트랜스로컬리티 개념은 방법론적 국가주의를 보완하여 특정 지점의 장소성과 문화혼성성을 밝히는 데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Recent decades have seen the wide spread of transnational migration on an unprecedentedly large scale with globalization progressing. The transmigran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past international (im)migrants in terms of the aims and processes of migration cross-over national boundar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place has change according to the transmigration, and seeks for the relevent perspectives and methods for the research on the interplay of transmigration and place. There has been widely accepted the ungrounded research frame focusing on the dynamics of transnational and deterritorialized network spaning over the global 'space offlow'. And also new grounded research frame has broadly being emerged with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nd place as a relational construction based on the reterritoiralization of 'space of place'. This new frame suggests many supplement points in terms of redrawing on migrant's subjectivity and returning on locality as relational space, and thus getting over the limits of the existing methodological nationalism on the research on transnationalism and transmigration. The concept oftranslocality combining trans-network and locality could be wisely applied on the research on relational place and cultural hybridity on a particular site on which transnationality is grounded.

      • KCI등재

        가중치 분석을 적용한 지역공동형 훈련성과 평가지표 개발

        이영민(Youngm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논문의 목적은 가중치 분석을 통해 지역공동형 훈련성과를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예비지표 목록을 구성하였고, 2단계에서는 전문가 검토를 통해 지표의 적절성과 대표성을 점검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현장 훈련기관 전담자 검토를 통해 지표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고, 최종 성과 평가지표를 산출하였다. 4단계에서는 최종지표를 바탕으로 가중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협약기업 발굴 및 관리실적 영역(협약기업 참여율,근로자 훈련참여율 등), 훈련실적 영역(수료율, 취업률 등),비용효과성 영역(1인당 훈련비용), 만족도 영역(협약기업 만족도,훈련생 만족도), 지역공동 훈련활성화 영역(지역인적자원개발협의체 운영, 지자체의 인력개발 의지 등)별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가중치는 지역산업의 훈련수요 대응, 협약기업 만족도, 지역인적자원개발협의체 운영 순으로 높았다. 또한 지역공동형 훈련성과 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과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regional co-training program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Firstly, we pooled indicators by reviewing the literatures. The researcher checked the properness and representative of them and then, the training professionals reviewed them again. Finally, we finalized the indicators, depending on the indicator domains such as MOU (Memorandum of Agreement) company (the training participation rate of MOU companies, training participation of employees, and etc.), training performance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employment rate, and etc.), cost-effectiveness (training cost per capita), satisfaction (satisfaction rate of MOU companies and training participants), and regional co-training enhancement (the operation of the committee, the will for training of the regional municipal government, and etc.). The weight size varied by the regional training needs, satisfaction of MOU companies, and regional committe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We also suggested the continuous revision of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regional co-training.

      • KCI등재

        중등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의 상호보완성 연구: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영민 ( Youngmin Lee ),이연주 ( Yeon-joo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2

        빠르게 변해가고 있는 한국의 다문화사회는 소수 이주자 집단은 물론이고 주류 선주민 집단의 의식과 태도의 변화를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화를 가장 적극적으로 담아내고 미래의 사회통합을 향한 대안을 모색해야 할 사회과교육이 기존의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목표,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등에 있어서 이주민과 그 자녀들을 향한, 그리고 그들을 위한 교육에 주력해 왔음을 비판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보완책으로서 유럽사회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는 상호문화교육의 이론적 특성들을 소개하고, 중등 사회과교육에의 적용 가능성과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다문화·상호문화교육 내용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다문화·상호문화교육 내용의 재구성방향을 탐색하였다. 상호문화교육은, 다문화사회를 구성하는 주체가 소수자(이주민) 집단과 다수자(선주민)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강조하는 이분법적 경계긋기를 걷어내고, `우리 모두`를 위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결국 차이성에 대해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이와 경계에서 발견할 수 있는 보편성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 관계를 확장시켜 나가는 교육인 것이다. 특히 사회과 지리교육 안에서 상호문화주의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는 물론이고 상호문화교육과 관련된 교과교육학적 논의에 대한 소개는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이 연구를 통해 향후 다문화교육으로부터 더욱 확장된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논의가 폭넓게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burgeoning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sks the mainstream native Korean people as well as the immigrant families to change their consciousness and attitude toward the harmonious Korean society. Despite this situation,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has only included the aim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mainly target the assimilation of immigrant families into the mainstream society. Assuming that there is a limit to directly applying the American mod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ways to improve our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research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we learned that the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ism was high. While they actively accepted and applied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their understanding of intercultural education was low. This proves that our education system is caught in the fixed mod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o find out whether intercultural education can make up for the weaknes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be applied to the social studies subject, and also hope to help define the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 for future textbook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introduces intercultural education as a method distinguishable from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minds the readership of the necessity of continuous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 증강현실을 위한 카메라 영상과 3 차원 모델의 정적 합성

        이영민(Youngmin Lee),원광연(Kwangyun Wohn)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B

        본 논문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시스템에 필요한 제반연구를 다루며 이 시스템의 카메라에서 얻은 실제 영상과 알고있는 3 차원 모델과의 정적합성(static registration)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관찰자의 시점과 카메라 렌즈 위치의 오차로 인한 차이를 최소화하도록 시험 설계하였다. 사용된 카메라는 관찰자의 시각을 넓히기 위하여 하나의 광각 CCD 카메라를 이용하였으며 이 때 발생하는 렌즈의 왜곡을(distortion coefficient)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왜곡이 제거된 영상 위에 알고있는 3 차원 모델과의 확장된 어파인 공간(Affine Space) 좌표에서의 합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연구는 하나의 영상으로부터 가상모델의 정적합성 방법을 제시하며, 그 실험의 결과는 추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