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탄력성 군(群)탐색과 성과 연령과의 관계

        이연실(Yon Sil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5

        본 연구는 유아들의 탄력성 유형을 탐색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측정도구는 이연실(2012)의 유아의 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는 Cronbach a, 기술통계량, 군집분석, t-test,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에게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탄력성의 하위요인으로는 ‘수용과 인내’, ‘적극성’ 그리고 ‘문제해결력’이었다. 그리고 유아의 탄력성을 군(群)으로 분류한 결과 ‘탄력성이 극히 취약한 집단’, ‘관계적 탄력성이 뒤떨어지는 집단’, ‘정서적 탄력성이 극히 뒤떨어지는 탄력성취약 집단’, ‘균형적 탄력성 발달 집단’, ‘보통 탄력성 집단’, ‘정서적 탄력성이 낮고 관계적, 능력적 탄력성이 높은 집단’, ‘관계적, 능력적 탄력성이 뒤떨어지는 탄력성 취약 집단’으로 나타났다. 여자 유아들은 ‘균형적 탄력성발달 집단’과 ‘보통 탄력성 집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남자 유아들은 ‘정서적 탄력성이 극히 뒤떨어지는 탄력성 취약 집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만4세는 만5세에 비해’정서적 탄력성이 극히 뒤떨어지는 탄력성취약 집단‘을 가장 많이 형성하였으며, 만5세의 경우 ‘보통 탄력성 집단‘과 ‘관계적 탄력성이 뒤떨어지는 집단’을 가장 많이 형성 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understand group features based on resilience type and its relationship with age and sex. Children`s resilience scale(Yon sil, Lee 2012)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Cronbach`s α, t-test, x2, group analysis and statistics were also used. We mainly found acceptance, patience, initiative and troubleshooting ability as major subfactors of resilience. Children`s resilience was classified into 7 types which are as follows. "Low resilience group", "low relational resilience group", "low emotional resilience group", "balanced resilience group", "regular resilience group", "low emotional resilience, high relational and competence resilience group", and "low relational and competence resilience group". Most female children belonged to the "balanced resilience group". Most male children belonged to the "low emotional resilience group". Most children around the age of 4 belonged to the "low emotional resilience group" when compared to children around the age of 5. And most children around the age of 5 belonged to the "regular resilience group", and "low relational resilience group" when compared to children around the age of 4.

      • KCI등재

        유아의 탄력성 군집(群集)에 따른 문제행동

        이연실(Lee, Yon Si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탄력성의 군집별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측정도구는 이연실(2012)의 유아의 탄력성 척도와 문제행동의 경우 PBQ(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를 장영숙․조정애(2000)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는 Cronbach a, ANOVA,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를 실시하였다. 첫째, 전체유아를 대상으로 탄력성 군집에 따른 문제행동을 분석한 결과 외현적 문제행동에 속하는 적대공격과 과잉행동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특히 정서적인 탄력성이 떨어지는 집단이 외현적 문제행동을 더 많이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걱정불안의 경우 전체적으로 탄력성이 떨어지는 집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타행동의 경우 ‘탄력성이 극히 취약한 집단’과 ‘정서적 탄력성이 극히 뒤떨어지는 탄력성 취약집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아의 경우 적대공격에서는 정서적 탄력성이 떨어지는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걱정불안의 경우 남녀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잉행동과 기타행동에서는 남녀 각각 불균형적으로 발달된 탄력성이 더 높은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ldren's resilience type and its relationship with problematic behavior. Children's resilience scale(Yon Sil, Lee 2012)and PBQ(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aire) were used as a measurement tool. Cronbach a, Anova, Scheffe were also used. After analysing children's resilience type and its problematic behavior. Firstly, hostilities and hyperactivity was found as a problematic behavior. Especially, a problematic behavior was mainly found from low emotional resilience group. Secondly, concerns and worries were found from low resilience group. Thirdly, other behaviors were found from low resilience group and low emotional resilience group. Fourthly, hostilities were mainly found from a male group(with low emotional resilience). concerns and worries were found from both female and male. Finally, we found that hyperactivity and other behaviors were related with disproportionately developed resilience from both female and male.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우울과 불안 성향이 자녀 양육유형에 미치는 영향

        이연실 ( Lee Yon-sil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7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자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및 불안의 각 하위요인을 분석하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우울과 불안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6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우울감이 높으면 통제적·적대적 양육태도를 나타내며, 우울감 수준이 낮으면 자율적·애정적 양육태도를 높게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불안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통제적·애정적·적대적 양육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우울과 불안의 하위변인 모두는 양육태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어머니의 우울이 낮고 상태불안이 높을수록 자율적 양육태도가, 상태·특성불안이 높으면 통제적 양육태도가 높아지며, 우울과 특성불안이 높을수록 적대적 양육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심리적 어려움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경로과정을 이해하고 어머니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bfactors of depression and anxiety, which affect maternal attitude, and the influence of the two variables on maternal attitud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5 selected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early childhood. A survey was conducted,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trolling and hostile maternal attitudes were dominant in the group who suffered from severer depression, and autonomous and affectionate attitudes were common in the group with less depression. Second, controlling, affectionate and hostile attitudes were prevaling in the group whose anxiety was more serious. Third, every subfactor of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moth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paternal attitudes. Fourth, less depression and more state anxiety led to more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and more state and trait anxiety was followed by more controlling attitude. Hostile attitude became stronger when there were more depression and more trait anxiet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are aimed at understanding the path that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mothers impact on their maternal attitude and at relieving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 KCI등재후보

        유아의 자기조절과 리더십과의 관계

        이연실(Lee, Yon sil)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유아들의 자기조절과 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라 어떠한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 표집한 9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6세 유아 574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자기조절에 대한 성별차이에서는 여아들이 남아들에 비해 행동억제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리더십에 대한 성별차이에서는 여아들이 남아들에 비해 주도성, 사교성, 민감성, 몰입의 리더십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체유아를 대상으로 자기조절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주도성과 사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은 자기평가이었다. 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은 행동억제, 자기평가이었고,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정서성이었다. 넷째, 남아의 경우, 유아의 주도성과 사교성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의 하위변인은 자기평가, 몰입에는 자기결정, 행동억제이었다. 다섯째, 여아의 경우, 주도성과 사교성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의 하위변인은 자기평가, 마지막으로 민감성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의 하위변인은 행동억제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리더십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관련변인을 탐색하는 경험적 연구로써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We investigate how children's self-regulation influences on their leadership. We also examine if gender is different what kind of aspect could appear from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74 children who are at the age of 4 to 6 from 9 children's houses. The item of frequence and percentage were used to analyze subjects of general quality. We conducted T-test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We chose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First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we found that female groups show higher restraint of a behavior than male groups. Secondly, we also found that female groups have higher leadership, sociability, sensitiveness and immersion than male group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how children's self-regulation influences on their leadership, we found that self-estimation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and sociability from all groups. we found that sensitiveness is affected by self-estimation and restraint of a behavior from all groups. we also found that children's emotionalism influences on their immersion from all groups. Four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male groups, self-estimation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and sociability but immersion is affected by both self-determination and restraint of a behavior.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female groups, self-estimation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and sociability but sensitiveness is only affected by restraint of a behavior.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현장전문가들이 지각한 유아의 탄력적 심리행동 특성

        이연실(Lee Yon Si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유아의 탄력적 심리행동적인 특성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고,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심리치료사와 임상심리전문가 그리고 유아교육기관 종사자 각 5명으로 이루어진 총 15명을 대상으로 탄력적 유아의 특성과 관련된 사례를 제공받아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의 대범주와 20개의 소범주가 추출되었으며, 이 중정서적 탄력성과 관련된 대범주 영역이 가장 많이 보고되어졌으며, 상대적으로 다른 대범주에 비해 많은 특성과 구성요소를 지닌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사회환경적 탄력성에 대한 내용이 많이 나타났는데, 특히 신뢰와 친밀성이 유아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유능적 탄력성에서는 능동적 활동성과 문제해결력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이며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장지향적 탄력성에서는 호기심과 성취동기가 많은 빈도수를 보이며 보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a mentality and behavior of resilient children and obtain basic information about education and consultation for parents. Data was collected from 15 participants' experience about a character of resilient children(a therapist, clinical psychologist and the persons for an educational institutions). Data analysis above revealed following results. 4 main categories and 20 sub-categorie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Firstly, the category, emotional resilience, was mostly reported and showed more features and factors than the other categories. Secondly, social and environmental resilience was also reported and related with more reliance and intimacy. Thirdly, competent resilience was related with a capability for solving a problem and activity. Finally, future-oriented resilience frequently showed more curiosity and achievement motive.

      • KCI등재후보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

        이연실 ( Yon Sil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들의 놀이성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유아들의 놀이성 군(群)이 어떻게 분류되는지 알아보며, 놀이성 군(群)에 따라 리더십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 표집한 9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세-6세 유아 64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arnett(1990)이 제작한 아동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김영희(1995)가 번안하여 우리나라 문화에 맞게 타당화 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이채호, 최인수(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계수 Cronbach α를 구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의 각 하위요인들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놀이성 군을 알아보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군(群)의 특성과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군집분석으로부터 나온 놀이성 군(群)에 따라 교사가 평정한 유아의 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성이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주도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성 하위변인은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이었다. 둘째,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신체적 자발성과, 사회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이었다. 셋째, 사교적 리더십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성 하위변인은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그리고 즐거움의 표현이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확인된 유아의 놀이성 군(群)은 `소극참여 놀이군`이 가장 많았고, `주도활달 놀이군`이 많았으며, 주저관망 놀이군이 가장 낮은 수를 차지하였다. 다섯째, 유아의 리더십 하위 변인인주도성, 사교성, 민감성, 몰입 모두는 `주도활달 놀이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소극참여 놀이군`, 그리고 `주저관망 놀이군`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ir leadership. Firstly, we investigated how the playfulness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Secondly, we studied how the type of preschool children`s playfulness is classified. Fin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playfulness, we also observed a potential difference in the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5 children who are 4 to 6 years old from nine children`s houses and kindergartens. In order to measure a children`s playfulness, we used Barnett`s children playfulness scale(1990) which had been modified by Kim young hee(1995). We also used the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scale for teachers proposed by Choi in soo and Lee chae ho in order to measure the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The item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to analyze subjects` demographic quality. Cronbach a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and we used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how subfactor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ypes of playfulnes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also conducted to observe a distin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hildren`s playfulness. One-way 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children`s leadership rated by teachers. Lastly, Duncan verification was used as well. Data analysis above revealed following results: Firstly, we found that subfactor such as social spontaneity and cognitive spontaneity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Secondly,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and the expression of joy affect a sensitiveness. Thirdl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and the expression of joy also influence the social leadership and immersion. Four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at `Passive-participation playfulness type`, `Initiative-active playfulness type`, and `Hesitative-onlooking playfulness type` which are listed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Finally, we recognized that the importance children`s leadership such as initiative, sociability, sensitiveness, immersion in `Initiative-active playfulness type`, fallowed by `Passive-participation playfulness type` and `Hesitative-onlooking playfulness type` which are listed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 KCI등재후보

        유아의 탄력성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이연실 ( Yon Sil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2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유아의 탄력적인 행동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유아의 탄력성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아동심리치료사와 임상심리전문가 및 유아교육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문헌검토와 경험적 자료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탄력성 차원의 하위요인은 안정성, 민감성, 인내와 끈기, 몰입, 자기위로능력, 수용성, 낙관과 활력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환경적 탄력성 차원의 하위요인은 신뢰와 친밀성, 환경과의 긍정적 상호작용, 주도성, 개방성, 적극성, 관계지향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능적 탄력성 차원의 하위요인은 직관과 통찰, 문제해결능력, 표현력, 능동적 활동성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성장지향적 탄력성 차원으로는 직면과 도전, 미래지향성, 호기심과 성취동기로 구성되었다. 또한 탄력적인 유아의 심리행동적인 특성의 하위문항은 총 164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하여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serves as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resilience inventory fo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ilient behavior exhibited by children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resilience inventory for children. The preliminary study wa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 therapist, clinical psychologist and experts from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mentioned above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stability, sensibility, patience, tenacity, immersion, self-consolation, acceptance, optimism and energy were all identified as subfactors of emotional resilience. Secondly, social and environmental resilience were related with subfactors of reliance, friendship, interaction with an environment, initiative, openness, aggressiveness and relational intention. Thirdly, competent resilience was connected to intuition, insight, problem solving abilities, expressiveness and activity as subfactors. Finally, future-oriented resilience was seen to be made up of the subfactors challenge, confrontation, future-oriented, curios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A total of 164 items were extracted from this study in order to test the resilient child`s mind and behavior. This study will be put to practical use for future research purposes.

      • KCI등재후보

        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연실 ( Yon Sil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탄력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돕고자 탄력성을 개념화하는 정의와 발달 과정 그리고 탄력성의 개념과 관련한 관점 및 탄력성의 개념을 구성하는 구성요인과 더불어 탄력성을 개념화할 때 논쟁되어지는 주요한 딜레마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탄력성은 크게 세 차례의 연구 발달과정을 거쳐 주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며, 연령에 따라 탄력성의 개념은 변화한다고 보았다. 둘째, 탄력성이 개념화하는 발달과정에서 크게 3가지의 탄력성 관점이 전개되었으며, 측정학적인 관점에서는 탄력성의 영역을 세분화하여 다차원적으로 보았다. 셋째, 탄력성의 개념을 구성하는 구성요인은 다차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탄력성은 각 4가지의 주요한 논쟁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탄력성의 개념화에 대한 내용을 보다 깊이 있고 면밀하게 알 수 있으며, 탄력성이 보다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인 기초와 근거를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a resilience concept. Firstly, a definition and process of development was examined in order to conceptualize resilience. Secondly, a viewpoint and organizing factor of a resilience concept was also examined. Finally, A controversial dilemma was checked during conceptualizing resil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 resilience has become a major concept through three research development processes. A resilience concept can be changed and it is depending on an age. Secondly, three major viewpoints of resilience have been found from a development process of resilience conceptualization. The study also shows that a domain of resilience was multidimensional Thirdly, organizing factors of a resilience concept have a multidimensional feature. Finally, resilience has four major points of dispute. A conceptualization of resilience can be understood more detailed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is also useful to prepare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basis for application of resilience.

      • KCI등재

        유아의 탄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연실 ( Yon Sil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유아 1002명, 교사 50명을 측정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 방법은 요인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t-test, Cronbach α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크게 3개의 차원으로 나뉘어, 정서적 탄력성, 관계적 탄력성, 능력적 탄력성이 나왔다. 각각의 차원에 대해 다시 요인분석한 결과 정서적 탄력성은 수용과 인내, 타인이해, 몰입성, 자기위로로 나뉘고, 관계적 탄력성은 개방성, 적극성, 놀이성, 친밀성으로 나뉘며, 능력적 탄력성은 도전과 성취, 표현력, 문제해결력으로 나눠진다. 유아의 탄력성 척도의 각 하위요인과 전체와의 상관, DECA와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여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변별타당도를 보기 위해 문제행동을 상하집단으로 구분하고, 탄력성의 차이를 본 결과 대부분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변별타당도도 입증되었다. 유아의 탄력성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전체 Cronbach a는 .98이며, 각 하위요인의 전체 Cronbach a는 정서적 탄력성은 .96, 관계적 탄력성은 .94, 능력적 탄력성은 .96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정서적 탄력성의 하위변인의 신뢰도는 .84, -.94 관계적 탄력성의 하위변인은 .87, -.90 능력적 탄력성의 하위변인의 신뢰도는 .84, -.94로 모든 하위변인이 높은 신뢰도 수준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data from 1002 children and 50 teachers in order to develop resilience measure. Data is analysed by factori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Cronbach a. Resilience measure is sorted into 3 categories which are emotional resilience, relational resilience and competence resilience. 3 categories are also classified into several subfactors. Emotional resilience is related with understanding for others, self-consolation, immersion, acceptance and patience. Relational resilience is related with openness, activeness, closeness and playfulness. Competence resilience is related with expression, an ability of solving problems, challenge and accomplishment. The child resilience measure, measure`s subfactors, overall measure and DECA are very related and a validity of their correlation is verified. A problem behavior group is sorted into two groups which show statistical distinction. So distinction validity is also prov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esting the measure`s reliability, the overall Cronbach a is .98. Cronbach a of the emotional resilience is .96. Cronbach a of the relational resilience is .94. Cronbach a of the competence resilience is .96. Therefore the child`s resilience measure is quit reliable. Finally, reliability of emotional resilience`s subfactor is between .84and .94. Reliability of relational resilience`s subfactor is between .87and .90. Reliability of competence resilience`s subfactor is between .84and .94. According to the result, all subfactors show high reli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